목 차
Ⅰ. 서론
A. 연구의 목적
B. 연구의 내용
C. 연구의 방법
Ⅱ. Installation의 이론적 배경
A. Installation의 발달과 전개
B. Installation의 조형적 의미
Ⅲ. Installation 작품분석
A. 실내 전시공간
1. 천정, 벽
2. 바닥
B. 실외 전시공간
Ⅳ. 결론
--------------------------------------------------------------------------------
발행자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술지명 硏究論集
ISSN
권 22
호
출판일 1992.
Installation의 특성
김희정
최병상
8-598-9201-14
국문요약
Installation은 197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기법적 mode로 전개되어 형식주의적 thema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장소성과 새로운 전시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형영역의 확장에 따른 현대미술의 한 표현 양식으로 나타났다.
최근 우리나라 미술계에서도 설치미술의 경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관심도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지점에 Installation과 특성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Installation의 작품분석에 의한 조형적 특성은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Installation의 전개와 발달에 근거한 조형적 의미와 설치작품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작품은 실내,실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작품을 도구로 Installation의 mode를 중심으로 8점을 목적표출하여 그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작품은 실내, 외로 나누었으며 실외의 경우에는 범위가 방대하므로 R. Smith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nstallation의 조형적 특성은 첫째, 어떠한 매체든지 이용함으로써 고정된 틀을 거부하고 자유로운 조형공간의 재창조를 이룬다. 둘째, Installation에서 중요한 요소는 덩어리나 재료가 아닌 공간이며 전시공간 전체를 창조하는 3차원이 아닌 4차원적 공간을 형성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
Ⅰ. 서론
시대의 변천에 따라 새로운 재료의 발견과 개발된 예술 형식의 추구는 현대미술의 다양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광범한 실험적 추구는 현대 미술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고 볼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속에서 발생한 것이 Installation이다.
Installation은 공간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나아가서는 공간을 창조한다. 단순히 공간속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함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고 공간을 규정짓고 그것을 구조화하고 작품화 한다.
Installtion은 공간 재 창조에 의한 새로운 조형적 특성을 나타내고자 하는 mode이기 때문에 조형 공간의 영역을 추구해가는 현대미술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런한 시점에서 그 특성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A.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c에 나타난 Installation의 작품분석에 의한 조형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B.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Installation의 발달과 전개에 의한 조형적 의미를 고찰하고 설치단계 작품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작품은 실내, 실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C.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기본도구는 문헌과 작품이며 Installation의 특성이 잘 드러난 작품을 제작하는 5명의 작가를 유의표집하였다. 작품은 그들의 작품이 행하여지는 설치미술의 mode에 따라 8점을 목적표출하여 분석 하였다. 특히 실외작품의 경우 그 규모가 광범위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R.Smith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Ⅱ. Installation의 이론적 배경
A. Installation의 발달과 전개
Installation의 설지, 장치, 가설이라는 뜻을 지닌 보통명사이며, 1)어원적으로는 '어떤 '공간속에 사물을 놓는다'를 의미 한다.
미국에서 출판된 현대미술을 논하는 텍스트 약60여전을 보았어도 Installation과 Art란 말을 복합어로 합성시켜 사용한것은 없었다. 이는 Installation이 현대 조형상 새로운 공간 창출의 매체역할을 하고 있는 object의 등장과 함께 하나의 기법을 소개하는 mode로 발전되었음을 말해준다.2)
오스본이 편집한 테임스 앤 허드슨사의 「20세기 미술사전」을 보면 간단한 문장으로 설치의 의미가 설명 되고 있다. 'Installation: 1970년대에 어떤 특수한 전시를 위해 화랑에 각별히 구축해논 하나의 Assemblage 또는 환경 때문에 유행하게된 용어'이다. 3)
우리말로는 Installation을 설치작업이라는 말로 옮겨쓰고 있다. '설치한다'라는 의미로 볼때 Installation은 조각과 밀접하게 관련 지워진다. 조각도 공간적인 예술이다. 그러나 그 공간은 주어진 공간이며 수동적인 공간이다. 조각작품 스스로가 가지는 어떤 형태에 의해서 의미가 주어진다. 그러나 하나의 '작품'으로서의 'Installtion' 또는 객관화된 행위로서의 'Installation' 제1요소가 공간이다. 형식, 재료, 기법등의 문제는 2차원적인것이다.4) Installaction은 공간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나아가 공간을 재창조한다. 자신과 함께 새로운 공간을 규정짓고 구조화 하고 작품화 한다.
엄밀한 의미로 Installation은 확대되어온 현대조각의 양식적 영역속에 포함 되며, Installation의 다양한 부분들 안에 조각이 그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각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기보다는 서로 교류하는 하나의 연결선상에 놓여있다. 다양한 표현 매체와 양식의 자유로운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Installation은 미술의 많은 발달된 요소를 함축하고 있으며 그 확대된 현대미술의 시대적 산물로서 그 개념을 확장해가고 있다.5)
설치작업이 등장하게 된것은 광범위하게보면 조각과 회화에서 기존의 좌대와 액틀을 벗어난 형식의 확장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할것이다.
C. Andre는 조각의 전개과정을 3단계로 6)나누고 있는데 그 마지막 단계인 場으로서의 조각은 회화에서 액자의 틀을 벗어나 collage와 같은 3차원적 바탕을 이룬것과 같이 받침대를 제거한 새로운 공간 영역의 확산을 뜻한다.
규격을 초월한 자유로운 배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Installation의 환경적 요소는 그 조형이 이루는 주제와 주변의 온갖 물질의 배합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object들의 또다른 형성을 부여한 '공간의 환경화'에 의한 재형성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Allan Kaprow는 "총체예술을 창조하는 것을 주목하라 이것은 모든것을 둘러싸고 있는 예술적인 경험에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라고 말한다7) 그는 환경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단순히 주어진 공간이 아니라 공간을 재형성 하려는 의도를 지녔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A.Kaprow는 오늘날 Performance의 원천을 이루고 동시에 Installation의 원천을 이루었다. 총체적인 환경예술은 보다 발전된 양식의 Installation을 낳게된다.
1960년대 Minimalism과 후기 Minimalism에서 Robert Morris, Carl Andre 등에 의해서 장소성과 공간 배치를 중요시 하는 실내공간에 놓여진 작품이 전개된다.8)(도1, 도2) C.Andre는 20c의 조각이 형태에서 구조로, 구조에서 장소로 변화되어 간다는 것을 표명한 바 있듯이 작품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이 이끄는 대로 마지막 형상을 결정짓게 되는 작품으로 전향하게 된다.
설치작업이 작업실내에서 작품이 완결되어지지 않고 외부적 조건을 전제로 한다는 점과 언제 어디서나 작업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장소성과 공간배치를 중요시 하는 실내공간에 놓여진 작품도 Installstion 형식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 초에 거대한 규모, 사람이 살지않는 넓은 공간, 여유있는 제작비의 이용가능성, 전후 미술의 실험 정신 등의 배경으로 활성화된 대지 미술은 Robert Smithson, Michael Heizer 등의 대지작업을 통해 장소로 개진된 새롭고 확대된 조각 개념을 보여주고 있다.
Installation은 object의 출현, 미술 영역의 확대로서 행위성, 환경의 개입으로 모든것이 합체되는 'Total Art Work9)로 발전하게 되며 복합적이고 전체적인 미술의 한 양식으로 1970년대 부터 조형적 의미가 구체화 되기 시작 한다.
현재 Installation은 J.Borofsky, Charles Simonds, Anne and Patrick, 백 남준, Richard Long, Michael Singer등의 작가에 의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3,도4,도5,도6,도7,도8).
B. Installation의 조형적 의미
Installation이란 모든 구성요소가 이동 가능하기 위하여 일정한 틀을 갖지 않고 현실의 특수한 상황에 맞추어 설치되는 과정속에서 공간을 형성해 간다10)
Installation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의미는 몇가지로 구분해서 연구 할 수 있다.
첫째로는 작품의 설정에서 부터 완결까지 자의적 배치에 의해 형성된 형태라 할 수 있다. C.Andre의 Installation은 자의적 배치에 의해 확보되는 장소가 끊임없이 형성되는 동시에 공간을 창조해 간다. (도9) 이 점이 설치작업의 원형을 C. Ander에게 두고 있는 까닭이며 이로부터 본격적으로 화랑의 전시공간이 Installation을 통해 종합적인 공간을 형성한다.11)
둘째로 Installation은 평범하고 일정한 objet들이 일정 기간동안 설치후 철수되면 그곳에 형성되었던 공간과 조형은 철수와 동시에 사라지게 된다.
Installation의 일회적인 조형들은 소멸과 동시에 또다른 새로운 object와의 만남을 통한 공간 창조를 음하고 그렇기 때문에 현대미술에 가장 적합한 양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전통적 Image의 형성이 조형적 의미를 내부에만 국한시켰다면 Installation은 관객을 포함한 전체적 환경속에 관객과 함께 설치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3차원의 물질적 한계성을 탈피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공간 내부에 있어서 그 자율적 위치를 확보함으로 가능해진다. "현재 형성되는 작품들은 미술관 자체가 표현대상이 되며 전시영역의 경계선을 탈피하여 바닥 벽면 천정 등이 직접적으로 작품의 요소로 적용되어진다.
Ⅲ. Installation 작품분석
Installation은 어디에서나 설치가 가능하므로 그 범위가 넓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Installation작업의 mode에 따라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으로 나누고 특히 실외공간은 R. Smith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A. 실내 전시공간
우선, 천정과 벽을 이용하는 것과 바닥을 이용한 것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천정과 벽면을 이용한 작품을 hanging mode로서 천정으로 부터 늘어뜨리거나 벽에 걸려지는 작업이 있으며 바닥을 이용하는 작품은 Standing mode로서 놓여지는 것과 깔려가는 유형으로 나타난다.
1. 천정, 벽
천정과 벽면을 이용하여 object가 걸려지는 선구적 사례는 1942년 M. Duchamp이 직접 카다록을 디자인 하였던 「초현실주의 입국허가서」 (도10) 이라는 전시회에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Andre Breton이 천정에 끈을 걸고 M. Ducham은 16마일이나 되는 횐 끈을 전시장 천정과 벽에 거미줄처럼 어지럽게 걸쳐 놓았다. 그 이전까지 나타난 Objet Installation은 단순한 3차원적 Collage에 불과했지만 M.Duchamp의 끈의 설치는 Objet Collage 형식의 Assemblage 양식에 비해 가장 최초와 순수한 양식을 보여주었다.12)
벽면을 이용한 Installation은 R.Morris가 대표적인데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주로 제작했던 felt작품은 (도11) 벽면으로 부터 늘어져 유동적 형태를 보여 준다. 벽에 걸려진 덩어리는 육중한 무게와 형상에 밀려 흘러내리듯 상당한 무게감을 느끼게 한다. 동적인 조형의 흐름을 크게 부각시키도록 설치하였다.
felt 재료가 주는 물리적 특징과 형태에서 느껴지는 긴장감을 바닥면의 빈 공간까지 전체 전시공간을 압도하고 있다.
또다른 재료로써 거울을 이용한 R. Smithson의 Installation은 거울에 비쳐서 대칭적으로 보이고, 반사된 형상까지 작품의 구조속에 통합되도록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거울에 나타나는 허상까지 공간영역으로 확보하여 설치한 유형으로 「Slant Pieced (도12) 에서도 잘 표현된 경우이다.
R. Smithson의 거울을 이용한 작품이 felt보다 좀더 Installation의 조형적 특성을 잘 살펴주고 있는 요소는 조형영역의 확장이라는 차원에서, 거울에 비취 진 허상의 조형까지 새로운 공간영역으로 보았다는 점이다.
2. 바닥
바닥을 이용한 Installation은 환경에 결부시킨 질서적인 형태감을 잘 나타내고 있다. 바닥 자체가 수평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조건을 최대한 살려 Scatter Piece로 바닥면을 깔아 가면서 그 영역을 확대시킨 수평지향적 유형과 바닥면에서 Objet를 쌓아 올라가는 수직지향적 유형으로 구분된다. 바닥에 놓여지면서 설치되는 조형은 가장 먼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작품들은 조각이 좌대에서 벗어나 조형 영역에 대한 수용의 폭을 넓히는 출발점이 되었다.
수평지향적인 Installation 작품들은 R. Morris의 「Untited Stated」, C. Andre의 「기초지층」 (도13) 에서 분석해 볼 수 있다.
이 작품들은 Installation 발단을 이루며 조형 특징의 일부인 수평지향적, Scatter Piece를 결정지워 준다. C.Andre의 「기초지층」을 보면 시멘트 벽돌 작업에서 보듯이 바닥에 깔아 놓아간 형태를 이루는데 일정한 기간동안 설치후 치워지면 흔적도 없이 다시 해체된다. C. Andre의 작품은 실내바닥의 수평구조에 의해 시각범위를 최대한 조형화 시켰다. 13)C. Andre가 제작하는 기하학적 형태들은 반복에 의해 공간을 정해가는 Scatter Piece라 할 수 있다. 이는 바닥을 이용한 Installation의 특징이며 그의 작품을 결정짓는 매체이다.
B. 실외 전시공간
실외 전시공간은 Installation이 한정된 전시영역을 거부하고 어느곳이든 현실에로의 확장을 시도한 점에서 중요하다. 이는 Place-grounding mode로서 장소의 제한없이 조형화 하고자 하는 의지의 실현이다. 그러므로 그 범위는 광범위하나 본 연구에서는 R.Smith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실외 공간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실외 공간을 이용한 Installation은 화랑 공간의 작품들보다 규모면에서 공간적으로 압도한 설치성격을 띈다.
70년대초 R. Smithson, R. Morris 등이 Earth Art를 통해 '場'에 의한 새로운 조각개념을 보여주었는데 이들의 작품들이 Installation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R. Smithson의 「Mirror Wedge」 (도14)는 변화하는 환경의 순간적인 반사이동이 잘 투영되도록 자연속에 거울을 끼워 놓은 작품이다.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태양빛의 반사에 의한 무한한 형태의 변형을 창조해 준다. 자연 경관을 이용해서 고정된 거울 속을 자연스럽고 자유롭게 변형시켜가는 조형을 이룬다. R Smithson의 거울 작품은 열려진 작물을 권유하는 Installation에 충실히 적용되며 공간과의 한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해소시컥주었다. R, Smithson의 「Spiral Jetty」 (도15) 「Amarillo Ramp」 (도16)등의 작품들은 '모든것이 예술이다’14)라는 복합적인 의미와 조형을 펄쳐 보인 것들로 현대 미술의 방향을 제시한다.
Ⅳ. 결론
현대 미술의 새로운 표현으로써 Installation의 특징을 결론짓기 위해 그 행해지는 mode에 따라 작품을 분석하였다.
작품은 실내,실외로 나누었는데 실내의 천정과 벽을 이용한 작품은 회화의 액틀이 제거되면서 주로 felt, 종이, 거울등 유동적 형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바닥을 이용한 Installation은 수평지향적으로 깔아가거나 뿌려지는 유형으로 돌이나 나무 등의 Scatter Piece들이 주로 결합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실외 공간에 형성되는 Installation은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R. Smithson의 작품을 주로하여 분석하였는데 단순한 시각적 조형을 이루게 되며 변화하는 자연조건까지 Objet화 시키는 성격을 띈다.
Installation작가들은 자신이 선택한 장소를 잘 살릴 수 있도록 재료를 선택하고 어디든지 공간을 창조해 간다. 시각적 개념적 관점위에서 상호 연관 관계를 취한다.
Installation은 고정된 틀과 조형관념을 거부하기 때문에 형식또한 자유로운 배치에 의하며 설치되는 장소에서 직접 조형과 공간을 창조한다. Installation에서 중요한 요소는 양괴나 재료 등에 의한 조형미보다는 공간이며 전시 공간을 3차원적 영역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인 4차원적 영역까지 확장시키는 종합적인 Image 창조에 역점을 두고 있다.
--------------------------------------------------------------------------------
부 록
--------------------------------------------------------------------------------
참고문헌
계간미술/(편) (1981), 「현대미술 용어 사전」, 서울: 중앙일보사.
권은희 (1989), 「Jonathan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미간행).
민중서림(편) (1988), 「Essence English-Korean Dictionary」 서울: 민중서림.
신현중, "새로운 조형과 개념으로서의 설치작업," 「미술세계」 제34호 (1987년 6월), pp.56-63.
이일(1985), 「현대미술의 시각」, 서울: 미진사.
이일(1985), "현실의 공간, 그러고 공간의 현실화,"「미술세계」 제34호(1987년 6월) pp. 34-38.
최승애(1987), 「lnstallation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미간행).
홍 명섭, "현대미술에서의 설치개념의 유형에 관하여," 「미술세계」 제34호(1987년 6 월), pp.39-50
Haskell, Barbara (1976), Two decades of American Sculpture, New York : David, Godine Publisher.
Sandier, Irving (1978), The Painter and Sculpturors of Fifties, New York: Hasper & Row Pub.
Smith, Edward Luice (1977), Art Today, London: Phaidon Press.
The random House library of Painting and Sculpture (1981), Understanding Art, Themes, Technigues, and Methods Vol. 3, New York : Random House.
Wargner, Richard and Adrian Henri (1974), Total Art-Environment, Happenings and Performance, London: Thames & Hudson LTD.
--------------------------------------------------------------------------------
각 주
1 민중서림 (편) (1988), 「Esseace English-Korean Dictionary」(서울: 민중서림). P.910
2 홍명섭, "현대미술에서의 설치 개념의 유형에 관하여," 「미술세계」. 제33호 (1987 6월), p.41.
3 앞글, p.41.
4 이 일, "현실의 공간 그리고 공간의 현실화," 「미술세계」, 제33호 (1987년 6월), p.37.
5 권은희(1989), 「jonathan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미간행) p.10.
6 조각의 전개과정 3단계; 1. 형태로서의 조각, 2. 구조로서의 조각, 3 場으로서의 조각.
7 Irving Sandier(1978), The New York School the Painter and Sculpturors of Fifties, (New York Hasper & Row Pub), p.202.
8 신 현중, "새로운 조형과 개념으로서의 설치 작업," 「미술세계」, 제33호 (1987년 6월), p.57
9 Richard Wargner and Adrian Henri (1974) Total Art-Environment, Happenings and Performance, (London: Thames & Hudson LTD),p. 10.
10 Edward Luice Smith (1977), Art Today (London: Phaidon Press), p.287.
11 최승애 (1957), rlnstallation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p.18
12 이일(1985), 「현대미술의 시각」 (서울: 미진사), p.126
13 Barbara Haskell (1977), "Two Decades of American Sculpture" (New York : David, Godine Publisher), p.213
14 The random House library of Painting and Sculpture (1981), Understanding Art, Themes, Technigues, and Methods Vol. 3, New York: Random House), p. 249
--------------------------------------------------------------------------------
이력사항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조소과
최병상
추천교수
'퍼온~사유..! > 논리와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헤겔에서의 경험의 의미 (0) | 2008.05.14 |
---|---|
[=] 현상학적 의미와 진리문제 (0) | 2008.05.14 |
[ㅍ] 의미 연구의 방법과 과제 (0) | 2008.05.08 |
[ㅍ] 재현문제-마그리트 (0) | 2008.05.08 |
[ㅍ] 수리철학의 연구-비트겐슈타인 (0) | 200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