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놀이와 인지발달의 관계에 대한 Piaget와 Vygotsky의 관점 비교김 현 경*? 이 정 숙*Children's Symbolic Play and Cognitive Development :A Piagetian Framew ork Vs A Vygotskyian Framew orkKim, Hyun-Kyung ? Lee, Jung-SookT his article suggests new directions for application of symbolic play and cognitivedevelopment based on Piaget 's paradigm and Vygotsky 's paradigm.Children 's symbolic play has focused on the way early childhood curriculumformation process differently a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T his studyemphasize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between symbolic play and cognitivedevelopment.Piaget 's framework and Vygotsky 's framework are multual negotiation andcollaboration.Central to the role of teachers isconceiving of Piagetian framework andVygotskyian framework about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n they have to dovarious intervention as a scaffolder.
Ⅰ. 서 론28)인간은 놀이를 통해 우리의 존재를 확인하고 우리의 가치를 인식한다(Kusyszyn,1977; Levy, J. , 재인용; 이은해 외, 1993편역). 특히 어린이들의 발달에 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이야기하고 있으며, Frobel이어린이의 놀이가 단순히 시간 소비라고* 유아교육과 부교수생각해온 전통적인 통념을 벗어나 놀이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것은 혁신적인것이었다(이기숙, 2000). 현대에는 어린이의 놀이가 성장 발달에 필수적인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고(이숙재, 1997),ACEI(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International)는 어린이들의 건강한 발달에놀이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Joan Isenberg & Nancy L.Quisenberry,1988). 놀이의 기능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서 발달적, 교육적 가치를 조명해온 많은 연구들은 우리가 놀이를 학교 교육에포함시키는 정당성을 부여해준다(Pleligrini& Boyd, 1993). 특히 사회극놀이의 구조적,기능적 차원을 분석한 경험적 연구결과 사회극놀이가 유아의 언어적, 사회적 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명확한 개념화를 위한 작업이 활발하다(Bishop, 1989).놀이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1920년대 이후 Ellis, Sponseller,Sutton- Smith, Kelly- Byrne, Parten 등에의해 어린이의 놀이 특징을 분석하여 놀이의 발달적 규범(developmental norm )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어 시작되었다.1940년대이후에는Erikson,Baker,Dembo, Lewin 등에 의해서 임상적인 관찰법을 이용한 놀이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1970년대 이후는 상징놀이와 인지발달, 사회적 놀이수준과 인지발달, 언어놀이와 언어발달, 대근육 운동놀이와사회, 신체적 발달과의 관계 등이 많이다루어졌다. 특히 상징놀이와 인지발달과의 관계는 Piaget와 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이들의 이론을 검증하거나 상징놀이와 인지발달과의 관계를실증적으로 분석하려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런 연구들은 놀이의 본질 규명, 놀이를 촉진시키는 요인, 놀이와 어린이의 발달과의 관계, 놀이 연구 방법에관한 것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최근 놀이연구 동향에서는 놀이와 어린이 발달의 관계나 놀이를 촉진시키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이숙재, 1999).놀이와 인지발달과의 관계에 대해서Piaget는 유아들에게 있어서 놀이는 전부이며 그래서 유아가 할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활동이라고 했다. 그러나 우리가 반성해야할 사실은 놀이가유아들의 세계에 깊숙이 퍼져있지만 그것의 교육적 가치는 거의 이해되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Piaget(1962),Vygotsky(1967), Garvey(1977), Kamii 와De Vries (1978) 등이 인지발달과 관련해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후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는 현실이다. Rubin(1978)은 유아의 놀이가 문제해결력, 협동, 도구사용기술, 창조성, 언어발달, 통찰력, 성역할, 문화의 전승 등 사회적 도덕적 및인지적 발달에 공헌하는 마술상자(mixedbag of development virtues)이다 라고까지 놀이와 발달과의 관계를 설명하고있다(이윤식 외, 1984).많은 심리학자들이 오랫동안 유아들의 발달에 미치는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와 발달과의관계를 인지 발달론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는 Piaget와 Vygotsky가 인지발달과 상징놀이의 관계를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그들 견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보고 그것이 교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Ⅱ. 상징놀이의 개념과교육적 의의
1. 상징놀이의 개념
상징(symbolic)놀이란역할(role)놀이,사회극(sociodramatic)놀이, 상상(imaginative) 상징놀이와 인지발달의 관계에 대한 Piaget와 Vygotsky의 관점 비교놀이,환상(fantasy)놀이,허구(make-belive)놀이, 가상(pretend)놀이, 사회적 가상(social pretend)놀이, 극(dramatic)놀이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학자들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이 용어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요인은인물, 역할, 상황 등이 비실제적이며, 현실에 대한 변형이 있고, 가작화(as-if)요소가놀이 속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Doyle&connoly, 1989; Garvey, 1990; pelligrini,1985; 이은화,1988, 재인용, Fein, 1981).지성애(2000)는 역할놀이는 유아들이흥미로웠던 다양한 사건이나 대상을 놀이 속에 재현 시켜보는 것으로, 유아들의환경에 있는 역할, 모델 그리고 상황을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했다.스밀란스키(Smilansky)는사회극놀이(sociodramatic play)란 용어를 사용하여인지적으로 보다 진보된 놀이형태로 상징놀이를 표현했다. 사회극놀이에서 유아들은 그들이 관찰한 세계를 그들이 기억하고 이해한 바대로 가능한 한 정확하게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준 높은사회극놀이는 일반적인 역할놀이의 구성요소인 역할의 가작화. 사물의 가작화, 행동과 상황의 가작화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한가지 놀이 주제가 적어도 10분간은 지속되어야 하며(지속성), 동일한 놀이 주제에 대한 놀이자들간의 상호작용이 있어야 하고(상호작용), 놀이자간의 언어적 의사소통(언어적의사소통)이있어야한다(이은해외,1993)고 했다.Howes(1985), Rolfe와 Cressley (1991)에의하면 사회극놀이는 유아가 자발적으로자신의 행위를 타인의 행위와 결합시키고 행위의 실제 의미와 가상적 의미에대해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Boyatzis & Watson (1993)은 상징놀이는탈중심화(decentration),탈상황화(decontextualization), 통합(integration)의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했다. 상징놀이가 갖는 이 세가지 구성요소를 좀더 살펴봄으로서 상징놀이의 개념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첫째, 탈중심화는 유아의역할놀이가 자신에 관련된 행동에서 타인에게 관련된 행동으로 그 내용이 변화하게 된다는 것이다. 유아가 자신이 아닌다른 사람인 것처럼 행동하는 능력은 이후의 역할 수행(role taking)에 전제 조건이 된다. 즉, 그런 상황에서 유아는 자기자신의 정체성(self- identity)을 다른 역할과 통합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을 다른익숙한 행동까지 확장하고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유아가 보다 복잡한 상황에서다른 대상의 관점으로 역할수행을 할 수있게 되는 것은 나아가 사회적 관계에서성공과 다양한 인지적 문제의 해결에도영향을 미친다(Alrmy et al., 1984; 재인용, 김수영 외, 2000). 둘째, 탈상황화는유아가 하나의 사물을 다른 것으로 대체(substitute)하는 능력이다. 대체물의 유사성에 대한 의존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실물과 유사성이 없는 사물을 사용한다.셋째, 통합은 초기에 단일 주제는 단일도식의 결합이라는 연속적인 활동으로통합되다가, 2세 이후가 되면 보다 복잡한 형태로 되어 2개 이상의 다른 주제를포함한 활동으로 구성되는 데, 이것은 연속적인 두가지 활동의 조합을 조화롭지 못한활동의 집합상태에서 조화롭고 체계적인상태로의 변화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2. 상징놀이의 교육적 의의
유아교육에서 놀이는 교수- 학습 방법의 중요한 매개체로 여기고 있으며, 특히상징놀이가 갖는 교육적 의의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어서, 먼저 유아교육에서상징놀이가 갖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첫째, 사회화의 기술이 증진된다(지성애, 2000). 유아들의 다양한 역할을 가정하는 사회극놀이는 가장 사회적인 놀이형태이며, 유아들의 사회인식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Hartley, Frank &Goldenson, 1952; Fergus P. Hughes, 김수영 역, 1998 ; 재인용). 또한 사회극놀이에 참여하는 유아들의 그룹 협동능력,사회적 활동에의 참여능력, 인간 관계 이해능력을 증진시킨다(Fink, 1976; Smith&Sydall, 1978; Smith, Dalgleish, &Herzmark, 1981; Fergus P. Hughes, 김수영 역, 1998 ; 재인용). Rosen (1974)은사회극놀이 훈련을 받은 유아들은 소위그룹생산성 이 증가했고, 다른 유아들의관점을 가정하는 능력과 다른 유아들의선호와 바램이 자기들의 것과 다를 때그것을 예견할 수 있는 능력이 증가되었다. 또 사회극놀이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preschool 어린이들이 일반적으로 다른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향상된 능력을 보여주었고, 특히 상상하기를 좋아하는 유아들은 창의성 검사에서도 보다높은 점수를 받았다. 둘째, 지적 발달을촉진시킨다. 사회극놀이에는 현실적인 요소와 상상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데현실적 요소는 어린이가 실제로 경험한사건이나 인물을 모방하여 놀이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어린이의 학습은 대부분모방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어린이의지적 발달을 증진시킨다. 상상적 요소가포함되어 어린이의 추상적 사고력이 촉진되며 역할이나 상황을 다양하게 상상하기 때문에 분산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이 발달된다. 더불어 의사소통 기술이나어휘력 등 언어적 표현력도 증진된다. 상징놀이를 오랫동안 하지 않은 아동은 그후에도 상상이나 새로운 일을 할 수 없게된다. 예를 들면 초기 어린 시절 동안 활력 있는 놀이를 하지 못했던 뉴멕시코 원주민들이 상상적인 상황을 창조하는 능력을 잃게 되었다(Frank & Theresa Caplan,강문희 역, 1989)고 한다. 셋째, 어린이의정서발달과도 관계가 깊다. 어린이는 사회극놀이에서 자신의 모든 희망과 욕구를충족시킬 수 있기에 긍적적인 자아개념을갖게되고, 부정적인 감정을 발산 시켜서 긴장이 이완되고, 자제력을 회복하는 등 정서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다(이숙재,1997).
Ⅲ. 상징놀이와 인지발달과의관계
1. Piaget의 관점
Piaget는 단순한 생물학적 반사에서 고도의 인지적?조작적 능력이 진화 발달 상징놀이와 인지발달의 관계에 대한 Piaget와 Vygotsky의 관점 비교하는 데 거의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이바로 놀이(play)라고 주장하며, 놀이는 유기체의 생물학적이고 자발적인 활동이며,고등 동물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특성이라고 했다(김윤식 외, 1984).Piaget는 놀이가 유아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매개체로 사용되며, 특히 상징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아는 자신의 인지 수준에 맞는 놀이에 몰두하고, 놀이를통해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습득된 기술을 연습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놀이가 인지발달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놀이가 학습에 크게 기여한다고했다(Johnson, J. E., Christie. J. F ., &Yawkey, T . D., 1999).또 그는 놀이가 인지발달에 결정적인역할을 한다고 하면서 놀이를 그의 인지발달 이론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즉, 유아인지발달의 많은 부분은 도식이라는 인지단위 또는 구조를 정교화 하고 상호협응 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자료들(대상과 사상들)은 감각-운동 도식에동화되고, 도식들은 동시에 이들 자료에조절된다고 했다. 여기서 동화가 조절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거나 지배적이면 그행위는 놀이로 지칭되며, 획득된 모방행위가 지연되어 재현될 때 동화적 놀이행위로 변환되어진다(John H. Flavell, 서봉연?송명자 역, 1995)고 했다. 놀이에 대한 Piaget(1962) 자신의 견해를 직접 인용해 본다. (유아놀이는) 동화와 조절이서로 균형을 이루어 조직적이며 이성적인 사고가 가능한 인지수준에 이르기 이전에, 동화가 조절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다시 말해서 놀이는 현실이자아에 완전히 동화된 상태라고 말할 수있다.Piaget는 놀이를 인지발달 단계에 관련지어 설명하면서 인지발달의 각 단계마다 부합되는 놀이유형이 나타난다고했다. 인지발달 단계와 놀이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운동기(0- 2세)에는 연습놀이(practice play)가 나타나는데, 출생후부터 계속해서 일생동안 발생하며, 감각, 대?소근육을 통하여 주변세계를 적극적으로 탐색하도록 유도한다. 연습놀이에서 유아는 내적인 사고를 표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신체를 통하여 외부의세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 전조작기(2- 7세)에는 상징놀이(symbolic play)가나타나는데, 내적인 사고와 생각을 가상형태를 통하여 표현하는 놀이이다. 상징놀이의 본질은 그것이 모방적이라는 것이고, 그것은 일종의 자기 표현이다(Barry J. Wordsworth, 성옥련외 역,1995). 이런 상징은 연령이 증가하면서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즉,전- 상징적 단계 (예: 빈 컵을 입에 대고마시는 흉내를 낸다) - > 자기 가작화 단계(예: 컵과 유사한 것으로 마시는 흉내를 낸다) - >분산된 가작화 단계(예: 컵과유사한 것이 아니어도 들고 마시는 흉내를 낼 수 있다) - > 가작화 놀이의 통합단계(예: 놀잇감이 없이 마시는 흉내를낼 수 있다) - > 계획적 상징놀이 단계(유아자신이 무엇을 상징화 할 것이며,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생각할 줄알게 한다(임수양 외, 1999). 셋째, 구체적조작기(7- 11세) 에는 규칙 있는 게임이나타나는데 자기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인지적 경험과 함께 게임에 적용되는 규칙을 수용하면서 놀이를 진행한다.본 연구에서는 상징놀이와 인지발달과의 관계를 좀더 깊이 살펴 볼 것이다.Piaget는 특히 상징놀이에서 체계적인 동화는 기호적(상징적) 기능의 특별한 사용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즉, 아동이 생활 경험에서의 모든 것을 표현하기 위해 마음대로 상징을 창조하는 것은언어 자체만으로 동화되어지고 명료화되어질 수 없는 경험을 표현하는 것(Piagetand Inhelder, 1969) 이라고 했다. 그리고행위는 감각 운동적 도식의 작용으로 인해기능적 즐거움을 단순히 반복하게 되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역할놀이를 순수한 동화행위로 정의하였으며, Piaget식 도식에서연습놀이와 역할놀이는 물리적 세계에대한 아동 자신의 독립적 행위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며, 양육자나 또래와 사회적상호작용의 결과가 아니다고 했다.놀이가 아동의 인지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또래들과 놀이를 통해 상호관계를 갖게되며, 그 상호관계는 곧 인지적, 사회적혹은 정의적 발달을 가져오는 촉진제가되기 때문이다. 또래와의 상호관계는 필연적으로 자기와 다른 관점의 세계에 부딪치게 되고 따라서 사회적, 인지적 갈등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 같은갈등은 다시 놀이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타인의 것에 조절하거나 혹은 타인의 견해를 자신의 것에 동화하면서 갈등을 해소해 나가는 것이다. 결국 놀이는 아동의감각 운동적 지능과 상징화의 기능을 지닌 성인의 지능을 연결시켜주는 기능적연속체(functional continuity)이며 인지발달의 선도자라 하겠다. 따라서 아동의 자발적인 활동이 없이는 아동에게 대상도지식도 없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Piaget에 의하면 행동과 사고는 불가분의관계에 있다(김윤식, 1984).상징놀이 기술의 발달이 Piaget와 그후속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잘 알려졌다.Fein(1979)은 상징놀이 기술의 발달을 상징적 기능의 발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는 여러개의 상이한 영역의 숙달된 기능이 융합되고 통합되어 나타나며, 이들발달적 경향을 탈맥락화, 대상대치, 자기-타인 대치, 상징 사회화라고 했다. 탈맥락화는 일상적인 행동과 대상을 관습적이며, 실제적인 상황 및 동기적 맥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시켜 이를 놀이 양상으로 활용하는 데에 사용함으로써 상징놀이 발달에서 나타나는 경향이다. 초기 발달에 있어 상징적 행동은 일회적인것으로 진단이 어렵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다른 면에서 탈맥락화하여 명백하게 아동은 자신이 가식하고 있다는것을 보여준다. 대상대치는 상징놀에서어떤 대상을 상징물로 대치시키는 것으로, 가상놀이의 발달에 따라 점진적으로구체적이며 실제적인 대상에 보다 덜 의존하게 된다. 자기- 타인 대치는 사람과대상물간의 대치로 점진적인 원격화 또는 분화라고 부르는 바의 발달을 반영한것이다. 상징 사회화는 역할에 적합한 행동과 대상이 표준화되거나관습화되고혼자서 하는 상징놀이가 사회극적인 놀이로 대치되면서 상징놀이가 발달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사회화 되어지는 것을 말한다(John H. Flavell, 서봉연?송명자역, 1995).Piaget는 초기 상징놀이에 대해 아동이이미 갖고 있는 도식들을 통합하기만 하면 되는 혼자만의 활동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즉 놀이적 상징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어린이들의 표상능력이발달하면 상상놀이도 자연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Piaget 이론이 1960년대- 1970년대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나치게 많이 언급되었지만, 비평가들은Piaget가 자신의 자녀들을 관찰하면서 사회적 환경에 대해 민간하지 않았다는 점과 아동이 놀이 상대자(손위 형제)나 양육자(엄마)와의 이전 상호작용 경험동안놀이행동을 학습한 것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것을 비난했다(Smolucha L. & Smoucha, F, 1998).
2. Vygotsky의 관점
사회 문화적인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Vygotsky의 발달이론은 1960년대에하나의 새로운 이론으로 서구 학자들의주목을 받기 시작했다.Vygotsky는 놀이와 아동 발달에 있어서놀이의 역할에 대해 짧게 설명했음에도불구하고 아동발달과 놀이의 중요성에관한 Vygotsky의 생각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혁신적인 것이었다. 그는놀이가 유아자신의 행동을 지배할 수 있도록 하는 정신적인 도구이며, 놀이에 나타나는 상상의 상황들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역할들과 규칙들을 포함하고, 이역할과 규칙들은 유아가 근접발달지역의가장 높은 수준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데필요한 도움을 준다고 했다. 놀이는 고도의 정신기능이며, 아동과 양육자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고,어린이들이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들을 사용하는 행위가 더 높은 차원의인지적 과정으로 발달을 위한 중추적인초석이 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상상놀이가 발달을 주도하는 요인 이라고 했다.그의 이론에서 상상놀이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 것을 다음 표현을 통해서 알 수있다.놀이는 유아내부에 근접발달 지역을만든다. 놀이에서 아동은 항상 자기 평균나이보다 더 성숙하게 행동하고 평상시보다 좋게 행동한다. 놀이에서 아동은 마치 자신보다 머리 하나가 더 큰 아이처럼 행동한다. 돋보기의 초점과 같이 놀이는 모든 발달 경향들을 압축된 형태로포함하고, 놀이 그 자체가 발달에 주요한원천이다(LauraE.Berk&AdamWinsler, 홍용희 역, 1995; 재인용., ElenaBodrova and Deborah J. Leong, 김억한?박은혜 역, 1998; 재인용)Vygotsky (1996)는 인지구조가 도구와신호의 사용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인간의 추상개념의 발달에 놀이가 중요한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Vygotsky 학자들은 놀이가 세가지 면에서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첫째, 놀이는 유아의 근접발달지역을 창조한다.근접발달지역은 혼자서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능력에 의해 측정되는 실제적인 발달수준과, 성인의 지도를 받거나 더 능력있는 또래들과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능력에 의해 측정되는 잠재적 발달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간의 차이이다. 이때 근접발달내에 있는 유아의 발달을 현실적 수준으로부터 잠재적 수준으로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지원체계가 비계설정이다. 비계설정이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 스스로 정신도구의 창의적 발명가가 되어 가는 과정은 Vygotsky발달이론의핵심부분이다(Paris&Winograd, 1990; 재인용; 이시자, 1999).실제적 발달 수준이 정신적 발달을 소급적(과거지향적)으로 특징 지우는 반면,근접발달영역은 정신적 발달을 예견적(미래지향적)으로 특징 지운다. 상상의 상황이 제공하는 역할, 규칙, 동기는 유아가근접발달지역의 가장 높은 수준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준다.둘째, 놀이는 행동과 대상물로부터 사고의 분리를 촉진한다.이것의 설명으로 Vygotsky (1933/ 1979)의말을 인용해본다. 어린이는 어떤 한가지사물을 보지만, 자기가 본것과 다르게 행동한다. 따라서 자신이 본 것과 관계 없이 독자적으로 행동하기 시작하는 상황에 이른다 고 했다.놀이는 하나의 사물을 다른 사물로 대치하는 것을 요구하므로, 어린이는 사물 그자체에서 사물의 의미나 생각을 분리하기 시작하며, 사물로부터 이렇게 의미를분리하는 것은 추상적 사고의 발달을 위한 준비이다.(Berk, 1994; 재인용, 엘레나보드로바?데보라 J. 리옹, 김억환 외 옮김, 1998).셋째, 놀이는 자기조절의 발달을 촉진한다.놀이는 특별한 놀이 주제의 역할과 규칙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금지하고 구속할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유아들로 하여금자기조절을 연습하도록 돕는다.상상놀이에서 만든 규칙에 의해서 어린이들은 사회의 규범과 기대를 보다 잘이해하게되고그들을 지지하는 방법대로 행동하려고 노력한다.상상놀이는 자기조절과 사회적으로 협동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반성적 사고를발달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Piaget와 Vygotsky의 관점 비교
Piaget와 Vygotsky 모두 어린이는 생물학적 유기체라는 기본적으로 같은 관점에서 출발하였고, 그들은 둘다 놀이의중요성을 인지발달과 관련지어 강조했지만 발달적 기능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관점을 취하고 있다. 즉, Piaget는 인지적변화를 이끄는 유기체내에 있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었고, Vygotsky는 어떻게 사회적 경험이 어린이의 사고에 중요한 수정을 초래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맞추었다.
1) Piag et와 Vy gotsky의 공통적인 견해
Glassman(1994)은 공통된 특징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Laura E. Berk &Adam Winsler, 1995, 홍용희 역).첫째, 사고의 발달에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발달의 두가지 노선이- 자연적인것과 사회적인 것- 있다. 각각은 모두 중요하고, 인지변화는 이들이 없이 이해되지 못한다.둘째, 발달은 환경에서의 경험의 결과이다. 궁극적으로 어린이들은 그들의 경험들을 내적 반성을 통해 정신적으로 변화시킬수 있게 된다.셋째, 인지 발달의 과정은 사고에 있어중요한 질적 변화들을 포함한다. 피아제에 있어 모든 어린이들은 4단계를 밟아나간다. 비고스키에 있어 사고는 먼저 어린이들이 언어적 의사 소통이 가능하게될 때와 다음에 어린이들이 교수를 받음으로써 자신의 사고를 의식하게 하고 또한 지배하도록 이끌 때 급격히 변화된다.넷째, 개인적 발달의 속도는 사회적 환경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2 ) Piag et와 V y g otsky 의 견해 차이
첫째, 발달과 학습은 어떤 관계인가?Piaget는 발달은 학습에 선행해야한다.즉, 발달이 학습을 이끈다고 했다. 반면에Vygotsky는 바람직한 학습이 발달에 선행해야하며, 그래서 학습이 발달을 이끌어 발달적 과정은 학습 후에 이루어진다고 했다.둘째, 상상놀이는 어디서부터 시작되나?Piaget는 상상놀이가 환경의 자극을 받는것이 아니라 어린이의 내부에서 시작된다고 했다. 그래서 유아기의 인지적 결함이 유아로 하여금 놀이를 하게 한다고했다.반면에 Vygotsky는 상상놀이도다른 고등정신 기능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협력의 결과라고 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이룰 수 없는 행동 경향이 유아에게 나타나는 시점에서 놀이가 시작된다고 했다셋째, 놀이란 무엇인가?Piaget는 놀이를 동화의 가장 순수한 형태로서 어린이들이 새로이 형성된 표상적 도식을 연습하는 수단으로 간주하고,놀이를 사고의 반영이라고 했다. 반면에Vygotsky는 놀이를 발달을 촉진하는 가상의 발전 결과로 보았으며, 놀이를 사고의 창조라고 했다.넷째, 유아의 인지적인 능력을 어떻게 평가했나?Piaget는 유아의 인지적인 능력을 과소평가하였다.반면에 Vygotsky는 유아는 우리가 가정하는 것보다 많은 인지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다섯째, 놀이행위는 어떻게 변하는가(이시자, 1999)?Piaget는 놀이 변화과정이 그의 인지발달단계를 반영하여 발달하고, 동화와 조절의 정신활동이 균형을 이루면서 상상놀이는 점차 소멸되어지고, 초기 상징놀이에 관해 개별적인 상징놀이에서 사회적인 상징놀이로 발전되어간다고 했다. 반면에 Vygotsky는 놀이의 변화는 외현적인 상상적인 상황과 그의 내재된 규칙의형태인 상상놀이로부터 외현적인 규칙과그에 내포된 상상적 상황형태인 규칙있는 게임으로 전환되고, 연령이 증가되면서 상징놀이가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으로 스며든다고 했다. 초기에 상징놀이가 유아가 단독적으로 행한다고 할지라도 그 놀이 안에는 이미 사회적 상황이 존재하며 내재된 규칙에 의해 놀이가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 상상놀이 역시사회적 상징놀이라고 했다.
Ⅳ. 시사점
Piaget와 Vygotsky의 상징놀이에 관한관점을 비교해보면서 우리는 유아의 교수/학습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수 있다.첫째, 상징놀이와 학습의 관계 그리고 놀이가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충분한 놀이 시간을 제공한다. 유아교육에 1980년대 이후 온실효과와 조기학업 성취에 대한 압력으로 놀이 활동을축소시키는 대신에 학습이라는 구조적인활동 시간을 늘려가고 있다. 이것은 놀이와 학습을 분리된 개념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는 놀이에 대한중요성 재인식하고, 바람직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놀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도입한다.둘째, 근접발달지역에서 전문가 역할은도움을 제공하고 상호작용을 이끌어 초보자가 필요한 행위를 습득하도록 하는것이다. 그래서 근접발달 지역 내에서 전문가의 역할은 성인뿐만 아니라 또래나짝, 발달수준이 다른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셋째, 유아의 능력을 평가할 때 근접발달지역의 개념을 사용하여 혼자서 할 수있는 것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도움을 받았을 때 수행할 수 있는 것까지를 포함한다.넷째, 교사가 활동 제공 시에 도움을 받으면 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고, 대화의 수준은 유아의 현재 수준보다 조금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다섯째, 교사와 부모는 모델이 되어주고확산적 사고와 유아의 놀이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사회?언어기술을격려해주며 다른 유아들에게 수용될수있도록 장려해준다. 가장 중요한 역할은유아들을 근접발달지역에 서 활동할 수있는 과업을 제시하는 것이다.여섯째, 신중하게 계획된 교육과정은 늘 유아를 근접발달지대에 놓이게 할 것이다.일곱 번째, 유아자신이 능동적으로 환경을 조작할 때 자기의 자발성과 능력을최대한으로 사용하도록 격려하고 자극하며, 사회문화의 영향을 중시한다.여덟 번째, 적절한 교수법으로 선교수- 후기대의 접근법이 유아를 근접발달지역에놓이게 할 것이다.아홉번째, 교사와 부모는 유아의 상징놀이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방해를 최소로 하고, 적절한 중재의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놀이활동을 적극적으로 관찰해야한다.열번째, 아동의 인지발달을 촉진시키고자할 때는 아동의 자발적 놀이 맥락속에서행해야한다.Piaget의 관점과 Vygotsky의 관점은대립의 관계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고 볼 수 있다. 부모와 교사는 Piaget의 관점에서 유아의 외현적인 발달의 수준을 알고, Vygotsky의 관점에서 내현적인 근접발달지대를 발견한다면, 놀이를통한 학습과 학습을 놀이스럽게 유도하는 통찰력이 발휘되어 유아는 행복한 유아기를 보내면서 최적을 발달을 이룰 수있으리라 생각한다.
상징놀이와 인지발달의 관계에 대한 Piaget와 Vygotsky의 관점 비교참고문헌김수영, 김수임, 김현아, 정금자(2000).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매리 앤 스펜서 플라스키(1984). 어린이를 위한 피아제 이해. 이기숙, 주영희(역). 서울: 창지사이기숙(2000). 유아교육과정(개정판). 서울: 창지사이명조, 이영석 (역)(1994). 삐아제식 유아교수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이숙재(1997).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개정판). 서울: 창지사이순형, 이성옥(1998). 보육시설 유아의연령에 따른 가상놀이 구조분석. 한국영유아 보육학.이시자(1999). 유아놀이의 인지 발달적기능에 대한 Piaget와 Vygotsky 관점비교. 미래유아교육 학회지, Vol. 6,No. 2, 49- 72.이은해, 지혜련, 이숙재 (편역)(1998). 놀이 이론. 서울: 창지사이은화, 조순옥, 조화연, 강숙현, 강순환(1998). Vygotsky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유아의 사회극놀이와 발달. 교육과학연구. Vol. 27, 5-28.전윤식, 이영석(1984). 삐아제와 유아교육. 서울: 형설출판사지성애(2000). 유아놀이지도. 서울: 정민사Barry J. Wordsworth(1995). '삐아제 의인지적?정의적 발달. 성옥련 외(역).서울: 중앙적성출판사Berk. L. E. & Winsler. A (1995).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설정(scaffolding): 비고스키와 유아교육. 홍용희(역). 서울:창지사Donaldson, M (1979). Children 's minds.NewYork:W .W .Norton&Company.ElenaBodrova&DeborahJ.Leong(1996). 정신의 도구:비고츠키 유아교육. 김억환, 박은혜(역).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Fergus P. Hughes(1998). 유아의 놀이와발달. 김수영외 (역). 서울: 창지사Frank & T heresa Caplan (1989). 놀이와아동. 강문희(역). 서울: 교육과학사JoanIsenbergandNancyL.Quisenberry (1988). Play: A Necessityfor All Children. Childhood Education,Vol. 64, No. 3, 138- 145.Johnson, J. E., & Yawkey, T . D.(1999).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2nd ed). New York: Addison WesleyLongman, Inc.Smolucha L. & Smolucha, F.(1998).T he social origins of Mind: Post-piagetian perspectives on pretend play.InOliviaN.Saracho&B,Spodek.(eds),Multiple PerspectivesonplayinearlyChildhoodEducation(3rd. Edition). New York:Macmillan Publishing Co., Inc.
[=] http://library.kijeon.ac.kr/pdf/pdf/2002.pdf
'퍼온~바둑..! > 놀이 이론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리의 민족놀이 (0) | 2008.08.17 |
---|---|
[=] 놀이 분류 재해석 (0) | 2008.08.10 |
[=] 제1장 아동학 이해의 기초 (0) | 2008.06.15 |
[=] 행렬 게임 (0) | 2008.06.07 |
[=] 놀이에 대한 10가지 입장 (0) | 200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