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에 대한 연구
(귀 기점 좌표 방식의 제안)
A Study on new location marking system of the moves on Baduk Board
(Proposal for Corner as Starting Point in Coordinates Method)
최일호
(Choi, Il-ho)
김진환
(Kim, Jin-hwan)
5-717-0301-16
영문요약
In this paper, problems of the existing location marking system for the moves are pointed out and proposed a new system for structural reform (new formation) of the location mark and also discussed the necessity and characteristic of introducing this method. The newly introduced marking system in this article is corner coordinate method which takes four comers as the starting points. We carried out, to prove handiness of the new system, two experiments for comparing the existing system (19 × 19) with the review of a record of the game. In experiment 1, the speed of placing of the moves and accuracy between two systems, and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This shows that the new system is neither complicated nor difficult than the existing system. And in experiment 2, comparing the speed of the placing stones from reading a recorded game and the comer starting point system, the new system was faster in speed.This kind of result shows the convenience of the comer starting point system.
Lastly, we have canvassed that utilization method of the comer starting point coordinate system and the need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marking system.
Ⅰ. 서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바둑수 위치 표시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한 다음 새로운 바둑판 구성과 바둑수 표시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 도입의 필요성과 특징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바둑수 표시 방법은 바둑판의 4개 귀를 기점으로 하는 귀 기점 좌표 방식이다. 그리고 귀 기점 좌표 방식의 편리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것을 기존 좌표 방식(19 × 19)과 총보 복기와 비교하는 2개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1에서는 기존 좌표 방식과 귀 기점 좌표방식 간에 착점의 속도와 정확성을 비교해 보았는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귀 기점 좌표가 구 좌표 방식에 비해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총보를 보고 바둑돌을 놓는 것과 귀 기점 좌표를 보고 바둑돌의 놓는 것을 비교한 실험2에서는 귀 기점 좌표 방식이 더 빠른 착점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귀 기점 좌표의 편리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귀 기점좌표 방식의 활용방안과 바둑수 표시 방식의 국제적 표준화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1. 바둑수 위치에 대한 기존의 표시 방식의 문제점
바둑판에는 가로 세로 19×19=361개의 착점 가능한 위치가 존재한다. 현재 바둑수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국제적으로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통일된 것이 없다. 현재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하나는 해설용 바둑판에서 사용되고 있는 숫자-한자 표시방식(그림1. 참고)과 인터넷 대국판에서 사용되고 있는 숫자-알파벳 표시 방법(그림2. 참고)이 있다.
숫자-한자 표시 방법은 좌상귀의 모서리를 기점으로 가로줄은 아라비아 숫자로, 세로줄은 한자로 표시된다. 이 방식으로 좌상귀 화점은 (4,四)로, 좌하귀 화점은 (4, 十六)으로 표시된다. 이 방식은 바둑판의 19줄 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돌의 위치를 찾는데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14, 九)는 바둑판에서 어디인가를 찾는 데는 숙달된 사람이 아니면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가로, 세로 중 어떤 것을 먼저 읽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실정에 있다. 또한 숫자와 한자로 표시되기 때문에 문자로 표시될 경우에는 가로, 세로의 표기 순서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말로 위치를 표시할 때는 숫자와 한자가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혼동의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둑 수 표시 방법은 숫자와 알파벳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없지만 위치를 파악하는 데는 숫자-한자 표시 방법보다도 더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13, L)로 표시된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우리는 마음속으로 L이 알파벳에서 몇 번째 철자인가를 생각해 봐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편함과 어려움으로 인해 두 가지 바둑 수 표시 방법은 실제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표준화된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의 필요성
직접 바둑판을 사용하여 해설을 하거나 특정 수에 대한 설명을 할 때는 바둑 수 위치에 대한 정확한 표현의 필요성이 적을 것이다. 특정 바둑수를 바둑판에 놓아 봄으로서 위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둑판을 사용하지 않고 특정 수의 위치를 표현해야 할 경우가 있다. 즉 바둑판이 없는 상황에서 바둑수를 설명해야 하는 경우가 흔히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대국을 즐기고 있는 관계로 인터넷 대국환경에서 바둑 수 설명이나 여러 가지 변화 수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 경우 우리는 언어적으로 특정 바둑수의 위치를 표시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보다 편리하고 쉬운 바둑수 표시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3. 이종민의 천원 기점의 좌표 표시법
이종민(2002) 교수는 바둑판의 구성과 바둑수 표시방법에 대한 기존의 발상을 뛰어넘는 매우 흥미로운 좌표 표시법(그림3. 참고)을 제안하였다.
그는 수학의 좌표1)개념을 이용하여 바둑판의 천원을 좌표의 원점(0, 0)이 되는 방식으로 바둑판을 4분면(quadrant)으로 분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수학의 좌표 방법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차이점은 수학에서 2,3,4 분면에서 음수가 사용되지만 이 방법에서는 바둑판의 4개 면에 기호(알파벳 A, B, C, D)를 할당하여 구분하고 있는 점이다. 기호를 사용하면 음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4개 분면의 위치를 모두 표시할 수 있고 각 면은 절대적 위치가 부여된다. 통상 바둑계에서는 바둑판의 4개의 귀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좌상귀, 우상귀, 좌하귀, 우하귀로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흑백의 두 입장에서 보면 위치가 상대적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흑 쪽에서 보았을 때 좌상귀는 백의 입장에서는 우하귀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는 흔히 '흑에서 봤을 때' 와 같은 부연설명을 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종민이 제안한 바둑수 표시 방법을 천원기점 좌표방식이라고 명명할 것이다. 이 방법은 기존의 좌표방식이 좌상귀를 기점으로 가로 제로의 19줄을 모두 사용하는 불편함이 없이 단지 각 4개 분면의 9줄만을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착점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위치를 탐색할 때 19줄 전체를 사용하는 기존의 좌표방식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귀의 4개의 화점은 모두 A,B,C,D으로만 구분되고 모두 (6,6)으로 표시된다는 간편함이 있다. 그리고 4개 면이 접하는 축에 해당하는 점의 표시는 위쪽과 왼쪽에 우선권을 주어 예를 들어 상변화점은 (AO6), 우변 화점은(B6O), 하변 화점은 (CO6), 좌변 화점은 (A60)으로 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1) 천원 기점의 좌표 표시법의 문제점
방법은 바둑판의 구조 이해와 바둑수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매우 훌륭한 제안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좌표의 기점이 바둑판의 중심인 천원에서 시작됨으로서 바둑이 보통 귀를 중심으로 시작된다는 바둑의 일반적 특징과 불일치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착점이 주로 귀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변으로, 마지막으로 중앙(천원)으로 진행해 가는 바둑의 일반적인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다.
둘째, 천원을 중심으로 바둑판을 4면으로 분할하는 4개의 축선(혹은 분할된 4개의 면이 만나는 점들)에 대한 처리이다. 그는 이것을 위쪽과 왼쪽에 우선권을 주어 예를 들어 상변 화점은(A06), 우변화점은 (B60), 하변 화점은(C06), 좌변 화점은(A60)으로 표시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방법은 비대칭의 문제와 상하좌우 변의 화점의 표시가 달라진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위쪽과 왼쪽에 우선권이라는 부가적인 약속이 추가되야 하는 부담이 발생한다.
셋째, 기존의 알려진 위치, 예를 들면 삼삼이나 이의일 과 같이 거의 관용구처럼 사용되는 점들이 표현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우상귀 삼삼과 이의일의 자리는 천원 중심의 좌표 방식에 따르면 각각 B66, B998(또는 B89)이 된다. 이것은 기존의 좌표방식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커다란 적응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기존의 바둑책의 설명과 불일치하는 혼란을 야기할 것이다.
4. 4개 귀를 기점으로 하는 새로운 좌표 방법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귀 기점 좌표 방식(그림4 참고)은 천원기점의 좌표법에서 바둑판을 천원을 중심으로 4개의 면으로 분할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기점이 4개 귀에 각각 존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귀기점 좌표방식의 규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점이 4개의 면의 귀(모서리)에서 시작한다. 즉 각 4개 모서리의 꼭지점이 1이 되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2, 3, 9로 커진다. 둘째, 4개 면의 구분은 우상귀, 좌상귀, 좌하귀, 우하귀 순서로 각각 A, B, C, D로 구분한다. 셋째, 4개 면의 접점( 바둑판을 4분한 축선에 위치한 점들)들은 각 A0, B0, C0, D0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상변 화점은 A04, 하변 화점은 C04로 표시된다. 넷째, 천원은 (0, 0)으로 표시 한다. 다섯째, 수학의 좌표방법(x, y)과 동일하게, 좌표는 가로, 세로의 순서로 읽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귀기점 방식의 장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좌표방식이기는 하지만 삼삼이나 이의일과 같은 기존은 유명한 위치법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바둑 판위의 모든 위치가 단 3개의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간편함과 우아함이 있다. 셋째, 바둑을 처음 배우는 어린이에게 수학의 좌표 개념을 바둑을 통해서 이해시킬 수 있다. 넷째, 가로 세로 19줄 전체를 사용하는 기존의 표시방법에 비해 더 빠르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바둑판은 천원을 중심으로 상하좌우가 대칭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귀기점 방식에 따라 바둑판을 4분하면 각 면의 위치는 대칭적으로 동일한 좌표값을 갖는다. 따라서 한 면 만을 학습하면 다른 면은 알파벳으로만 구분하면 된다는 편리성이 있다. 여섯째, 국가마다 바둑 수 위치에 대한 언어적 표현이 다른 문제를 통일하여 국제적 표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둑판 위치에 대한 귀기점 좌표방식이 기존의 19×19 방식에 비해서 얼마나 더 편리한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1에서는 피험자에게 귀기점 방식과 19×19 방식 2가지로 시험자료를 주고 착점의 속도와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실험2에서 총보와 귀기점 방식의 복기 속도를 비교하였다. 즉 동일한 기보에 대해 한 집단에게는 총보를 주고 수순에 따라 복기를 하는 조건과 귀 기점 좌표로 기보를 준 조건의 복기 속도를 비교하였다.
Ⅱ. 연구방법
1. 피험자
본 연구의 대상은 명지대학교 바둑학과 학생과 교양바둑을 듣는 학생 중에서 52명을 선택하였다. 피험자의 기력 분포는 표1과 같다.
2. 실험도구
1) 평가지
귀기점 좌표방식과 19×19 방식(이하에서 신·구좌표로 표현)간의 편리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 평가지 내용은 <표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신·구좌표의 용이성에 관한 2문항, 기보를 보는 효율성에 관한 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항1은 '신좌표와 구좌표로 적혀있는 60개의 좌표를 보고 7분 동안 기보에 몇 개를 적을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문제이고, 문항2는 '기보에 놓여진 30개의 수순을 3분 동안 신·구좌표로 몇 개를 옮겨 적는가?'하는 문제이며, 문항3은 '기보를 재현하는데 있어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묻는 문항이다.
2) 측정도구
평가문항에 제시된 순서에 따라 바둑돌을 기보에 옮길 때 생기는 오류를 없애기 위하여 기보 편집 프로그램인 BadukAuthor를 사용하였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회수된 평가지를 <표3>의 식을 사용하여 표준화하고 부호화(coding)한 후, SPSS Windows Version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두 가지 좌표방식에 따른 문항별 정답률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
좌표방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표3>의 수식1을 사용하여 나온 자료를 변량 분석한 결과 좌표방식(귀 기점 좌표와 구좌표)에 따라 나타나는 정답률은 각 집단에 대해 유의한(유의수준 α= .05)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좌표방식에 따른 착점 속도 차이분석
좌표방식에 따른 착점 속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표3>의 수식2를 사용하여 나온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표4>와 같다.
문항1의 경우, 좌표방식과 기력을 이용하여 구분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 05).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의 평균이 72.77( sd=22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기력의 중급인 집단의 평균이 47.19(sd=11.2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2의 경우, 좌표방식과 기력을 이용하여 구분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의 평균이 34.82(sd=12.3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기력의 중급인 집단의 평균이 21.75(sd=4.4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3의 경우, 좌표방식과 기력을 이용하여 구분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의 평균이 78.13(sd=25.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기력의 중급인 집단의 평균이 42.88(sd=5.4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4. 좌표방식에 따른 문항별 표준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항목 |
구분 |
ss |
df |
mean sq. |
F |
Sig |
문항1 표준점수 |
집단-간 |
3626 334 |
5 |
725.267 |
3 774 |
006 |
집단-내 |
8840 287 |
46 |
192 180 |
|
| |
합계 |
12466 62 |
51 |
|
|
| |
문항2 표준점수 |
집단-간 |
529.792 |
5 |
105 958 |
3.775 |
.006 |
집단-내 |
1291.257 |
46 |
28.071 |
|
| |
합계 |
1821.049 |
51 |
|
|
| |
문항3 표준점수 |
집단-간 |
13281.25 |
5 |
2656 250 |
26 648 |
000 |
집단-내 |
4585 226 |
46 |
99.679 |
|
| |
합계 |
17866 48 |
51 |
|
|
|
좌표방식에 따른 표준점수에 대한 각 집단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사후검정(Scheffe) 결과는 <표5>와 같다.
표 5. 좌표방식에 따른 문항별 표준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 사후검정(Scheffe)
종속변수 |
(I)좌표 |
(J)좌표 |
평균차(I-J) |
St. |
Sig. |
문항2 표준점수 |
구좌표 고급 |
귀 기점 좌표 입문 |
11.6376 |
3.0935 |
0 026 |
귀 지점 좌표 중급 |
13 0694 |
3 2445 |
0 014 | ||
문항3 표준점수 |
구좌표 입문 |
구좌표 고급 |
-58 7623 |
5 8294 |
0.000 |
귀 기점 좌표 입문 |
-24 3357 |
4.2572 |
0 000 | ||
귀 지점 좌표 중급 |
-23 5114 |
4.6391 |
0 001 | ||
귀 지점 좌표 고급 |
-26 2501 |
4.8272 |
0 000 | ||
|
구좌표 중급 |
구좌표 고급 |
-53 9441 |
5.8294 |
0 000 |
귀 기점 좌표 입문 |
-19.5175 |
4 2572 |
0.003 | ||
귀 지점 좌표 중급 |
-18.6932 |
4.6391 |
0 014 | ||
귀 지점 좌표 고급 |
-21.4319 |
4.8272 |
0 005 | ||
구좌표 고급 |
귀 기점 좌표 입문 |
34.4266 |
5 8294 |
0 000 | |
귀 지점 좌표 중급 |
35 2509 |
6.1139 |
0.000 | ||
귀 지점 좌표 고급 |
32 5122 |
6 2578 |
0.000 |
문항1의 경우, 좌표방식과 기력차를 이용하여 구분한 집단 사이에는 표준점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2의 경우,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집단 사이에는 표준점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입문 또는 중급인 집단과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각 집단 사이에도 표준점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과는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입문 또는 중급인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3의 경우,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집단 사이에는 표준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집단과 구좌표를 사용한 집단 사이에는 모두 표준점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과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입문 또는 중급인 집단 사이에도 표준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것은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집단에 비해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입문 또는 중급인 집단은 모두 표준점수가 작게 나타난 반면,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은 표준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3. 문항별 표준점수와 기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좌표방식에 따라 나누어진 집단 내에서 각 문항에 대한 표준점수와 기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집단은 각 문항별 표준점수와 기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좌표를 사용한 집단은 문항1과 문항2의 표준점수와 기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문항3의 표준점수와 기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 γ=0.805, 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귀 기점 좌표방식이라는 새로운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것의 편리성을 19×의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1. 구좌표와 귀 기점 좌표의 효율성
귀 기점 좌표가 구좌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용이하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하는 것이 구좌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효율성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항1과 문항2의 경우 변량분석(ANOVA)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정(Scheffe) 결과 문항1의 경우 각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실제 각 집단별 표준점수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고, 문항2의 경우는 구좌표를 사용하는 기력이 고급인 집단과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하는 기력이 입문 또는 중급인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기력과 문항3의 표준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음을 고려해 볼 때, 기력차이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구좌표를 사용한 집단 사이에서 기력과 문항2의 표준점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의외의 결과로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기보를 보고 놓아보기를 하는 것과 귀 기점 좌표를 이용하여 놓아보기를 비교한 문항3의 경우, 기보를 보고 놓아보기를 한 집단과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하여 놓아보기를 한 집단 사이에는 분석결과 표준접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Scheffe)결과 귀 기점 좌표를 이용한 집단 사이에는 표준접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보를 보고 놓아보기를 한 구좌표 각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귀 기점 좌표를 사용한 집단이 구좌표를 사용한 기력이 입문 또는 중급인 집단에 비해 문항3의 표준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귀 기점 좌표를 보고 놓아보기를 하는 것이 기보를 보고 놓아보기를 하는 것보다 효율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도 한 가지 특이한 점은 구좌표를 이용한 기력이 고급인 집단의 경우 모든 다른 집단에 비해 표준점수에서 유의미한 결과(가장 높은 표준점수로 평균이 78.13)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기력에 의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귀기점 좌표방식을 바둑 수 위치 표시에 대한 국제적 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종민(2002) 월간 바둑 8월호 서울: 한국기원
각 주
이력사항
최일호
(Choi, Il-ho)
바둑학과
김진환
(Kim, Jin-hwan)
바둑학과
'퍼온~바둑..! > 관련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게임 인공지능 비교: 체스vs바둑vs포커,스타크래프트 (2) | 2008.06.24 |
---|---|
[=] 퍼온 바둑논문들.pdf (0) | 2008.06.23 |
바둑 편집기입니다 (0) | 2008.06.22 |
[=] 내쉬 균형(game thoery)에 대하여.. (0) | 2008.06.15 |
[=] 인도 ‘시킴왕국’ 식 바둑의 세계관은? (0) | 2008.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