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인지와 언어.

[ㅍ] Saussure 언어학의 방법론에 관한 논의

온울에 2008. 5. 9. 11:29

목 차

I. 머리말
II. 언어학의 대상 설정
1. 랑그와 빠롤의 구분과 그 문제점
2.랑그의 구성단위:언어기호
3. 체계로서의 랑그
IlI.맷음말
--------------------------------------------------------------------------------
발행자명 목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학술지명 어문학연구 
권 3 
호 1 
출판일 1993.  




Saussure 언어학의 방법론에 관한 논의
(-언어학의 대상 설정에 관하여-)


권영옥
목원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부교수
2-336-9301-02
pp.31-48

--------------------------------------------------------------------------------

I. 머리말
19세기 언어학의 주류를 이루던 역사주의 언어학의 흐름을 끊고, 언어학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Ferdinand de Saussure는 흔히 현대 언어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의 언어관이 집약되어 표현된 <일반 언어학 강의 Cours de linguistique generale>쏜는 실제로 Saussure 자신에 의해서 집필된 저서가 아니고, 그의 강의를 1) 수강한 제자들의 강의노트를 토대로 하여, 그의 사후에 제자인 Bally와 Sechehaye가 편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출판의 유래 때문에 현대언어학의 기본서인 이 저서가 간혹 구성상에 있어서나 몇몇 부분의 해석에 있어서 Saussure의 원래 의도와 다르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지적-사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론의 전체적인 맥락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을 제외하면 <일반 언어학 강의>는 여전히 가장 럴리 인용되고 있는 언어학의 지침서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그러면 Saussure 언어학이 언어 연구에 있어서 Saussure의 혁명 revolution saussurienne이라고까지 불리을 수 있었던 것은 어떤 점에서 기인하는가? 그것은 그가 언어를 체계로 파악하여, 처음으로 언어학의 연구대상을 규정하고 그 연구방법에 대하여 진지하게 이론적인 성찰을 하였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Saussure 이전의 19세기 언어학은 실증주의의 성격을 띤 역사언어학으로 산스크리트어의 연구와 인구어의 재구성에 이어 언어의 기원과 각 언어들간의 친족관계와 역사를 연구하려는 비교문법 학자들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이들은 언어의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실을 중시하며, 한 개별적인 요소의 변천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 먼저 그 요소를 전체 언어 구성에서 고립시켜 각 요소의 변천과정과 변천법칙을 개별적으로 규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언어 사실의 축적을 깊이있게 고찰해보면, 우리의 언어는 개별 사실의 무질서한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체계-즉, 조직화된 전체-라는 구조주의적 전제에 도달하게 된다. Saussure는 비교문법 학자들이 언어 연구에 있어서 한 낱말, 또는 한 문법적 댐 주의 진화에 대한 연구를 중요시한 나머지 언어의 체계적인 양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방법론은 제시함으로써 비교주의와 역사주의라는 언어학의 전통을 극복하였다.

흔히 Saussure의 언어이론을 이원적 대립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들-조음과 청각 adticulatoire et acoustique, 소리와 의미 son et sents, 개인과 사회 individu et soci7t7, 랑그와 빠를 1angue et parole, 형식과 실질 forme et substance, 연합관계와 통합관계 rapports associatifs etrappodts syntagmatiques, 공시태와 통시 태 synchronie et diachronie-로 2) 요약하고 있는데, 이는 Sausssure가 언어 현상에 대하여, 또는 더 나아가서 언어학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중적인 관점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En outre, quelle que soit celle qu'on adopte, le ph7noln는ne lin-guistique pr?sente perp6tuellement deux fdceS qui se correspondent et dont l'une ne vaut que par l'autre. (CLG, p.23)3)


Nous nounriㅓssons depuis biens des ann후es que la linguistique est une science double.4)


즉 언어 현상은 항상 서로 대응하고, 한 면은 다른 한 면에 의해서만 가치를 갖는 양면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원적 개념들 중에서 특히 Saussrure 언어이론의 출발점이 5) 되는 랑그와 빠를 의 구분을 고찰하여 봄으로써, 언어학의 연구대상을 랑그로 설정한 근거를 밝혀 보고자 한다.

II. 언어학의 대상 설정
경험적인 사실에 대한 연구가 하나의 과학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설정해야만 가능하다. 관찰가능한 모든 현상을 뒤섞힌 채로 연구의 영역에 받아들인다는 것은 체계적인 연구의 결과에 도달할 수 없는 무모한 방법일 뿐이다. Saussure는 이와 같은 사실을 비교문법 학 자들에 대한 비판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6) 즉 비교문법 학자들이 새롭고 풍부한 연구의 영역를 개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의미의 언어과학을 수립할 수 없었던 것은 바로 연구대상 object d'휴tude의 성격을 밝히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Saussure는 구체적인 언어현상으로 이루어진 언어학의 자료 mati谷re와 언어학자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현상들의 국면인 연구대상 o1jet을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은 자연과학에서와는 달리 관찰자에게 처음부터 주어진 대상 obj切ect donn6곯이 아니고 이론적인 성찰의 결과로 구축되는 대상o1jet construit이다. 다시 말해서 언어학자는 이질적인 언어자료를 대하면서 일관된 이론적 원칙에 의거하여 대상을 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언어학의 대상은 말할 것도 없이 언어 1angage이지만, 일정한 관점없이 언어에 접근해 보면 그것은 서로 상관없는 잡다한 사실들의 축적일 뿐이다. 그리하여 Saussure는 언어를 사회적이고 본질적인 기호체계인 랑그와 개인적이고 우발적인 빠를로 구분하여 랑그를 연구대상으로 규정하였다.

En s6parant la langue de la parole, on s6pare du meme coup: 1. ce qui erst social de ce qui est individuel ; 2. ce qui eost essentiel de ce qui eost accessoire et plus ou moins accidentel. (CLG, p.30)

1. 랑그와 빠롤의 구분과 그 문제점
Saussure가 랑그와 빠롤을 구분하기 이전에 이미 Paul이 <언어사 원리>에서 언어관습 sprachusus과 개인의 언어활동 individuelle sprechth; tigkeit이라는 유사한 개텀을 제시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7) 그러나 Pau1은 Saussure와는 달리 오히려 언어분석에 있어서 오히려 개인적인 측면을 강조했으며, 언어의 체계적인 성격을 중요시하는 개념을 들지 않았다. Saussure가 Paul의 영향을 받은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는 랑그와 빠롤의 구분을 재정립하고 언어연구에 있어서 랑그의 우위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이 개념이 Saussure 언어학의 열쇠가 되는 중요 성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일반 언어학 강의>에 나타난 랑그와 빠롤의 개념에 대해서 언어학자들의 엇갈린 견해가 표출되고 있는데, 대체로 랑그는 사회적이고 집단적인 공유물인 반면 빠롤은 개인적인 차원이라는 해석에는 모든 언어학자들이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으나, 보다 구체적인 해석에 있 어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Fuchs와 Le Goffic은 랑그와 빠롤의 대립에 대하여 가능한 세 가지 해석을 나열하고 있다. 8)

첫째로 일반적인 기호체계 code universe1와 개인적이고 특수한 기호체계 codes palticuliers, 즉 개인언어 id교olectes의 대립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비판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언어능력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사회집단에 의해 채택된 관습의 총체"라고 정의된 랑그는 개인언어들의 총합과는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랑그와 빠롤이 각각 하나의 기호체계라면, 랑그와 빠롤로 구성되는 언어도 체계를 이루게 되는데, 언어 1angage는 혼질적이고 그것을 구성하는 단위를 밝힐 수 없으므로 체계를 이룬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애초에 언어 1angage는 체계를 이루지 않기 때문에 언어학의 연구대상을 랑그로 규정한 출발점에 모순이 된다.

Pris dants son tout, le langage est multiborn1e et h7t6roclite ;h cheval sour plusieurs domaines, h la bois physique, physiologique et psychique, il appartient encore au domaine individuel et au do-maine social; il ne se laisse classer dans aucune catigorie des fhits hulnains, parce qu'on ne saith conlnlent d6gager son unit6, (CLG, p.25)

두번째 해석은 언어단위와 그 단위들의 가능한 결합의 집합인 잠재 태의 랑그와 이러한 랑그의 실현, 즉 실제의 결합이라는 빠롤의 대립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Saussure가 역설했던 랑그의 사회적인 성격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인 해석에 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세번째 해석은 Saussure의 원래 의도와 가장 근접하게 보이는 것으로, 언어공동체가 소유하는 일반적 기호체계와 화자에 의한 기호체계의 자유로운 운용행위의 대립이다. 즉 언어공동체와 화자, 기호체계와 운용행위의 대립은 사회적인 측면파 개인적인 측면, 체계적인 것파 우발적 인 것을 구별하게 한다.

위의 해석을 종합해 보면, 랑그는 언어공동체가 공유하는 사회적 산물로서 그 특성이 언어단위와 그 단위들의 가능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체계라고 정의될 수 있다.

그런데 빠롤은 랑그의 실현이라는 정의하에, 화자의 의도에 따른 언 어단위의 결합과 그 결합을 구현시키는 발음, 또한 이러한 행위의 결파 인 발화연좨 chaine parl7e까지를 포함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Lyons은 각 개인이 산출한 언술 ?nonc?s을 빠롤의 예로 들고 있는 데, 이것은 빠롤을 언어단위들의 결합의 산물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Si nous adaptons 1'expression de Saussure, nous dirons que tous ceux qui "parlent franfais" (loes ffancophones) ont e on colnlnun uone donn?e, que les ?nonc?s qu'ilk produisent on "parlant frats-9)

그러나 우리의 견해로는 빠롤이 행위의 결과인 언술 ?nonc?s을 포합 하기보다는 의사소통의 행위 acte로 정의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음성연쇄 chaine phonique나 발화연쇄1 chaine par17e인 언술이 빠롤행위의 산물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물론 빠롤은 단순히 발음행위만을 뜻하 는 것이 아니고 랑그라는 기호체계를 실제로 운용하는 개인의 의지적인 행위로 정신적이고 물리적인 성격을 갖는다.

La parole eost au contraire un acte individuel de volont? et d'in-telligence, dlans lequel il convient de distinguer: 1.loes colnbinai-sons par lesquelles le sujet parlant utilise le code de la langue en vue d'exprimer sa pens흐e personnelle ; 2. le In6anisme psyco-physique qui lui pernlet d'extfrioriser coes combinaisons. (CLG,pp.30-31)

한편 랑그와 빠롤의 대립은 Chomsky의 언어능력 comp군tence과 언어수행 perf곯ormance이라는 개념의 구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Chomsky 자신은 먼어능력과 언어수행의 대립이 랑그와 빠롤의 구분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랑그를 언어요소의 체계적인 목록 으로 보는 Saussure의 개념과는 달리, 기저 언어능력은 Humbolt의 창조적인 언어관에 입각한 생성과정의 체계라고 주장한다.

La distinction que je signale ici s'apparente h la distinction `1ans-gue-parole'' chez Saussure ;mais c'est n7cessaire de rej리eter le con-cept saussurien de "langue', qui r6duit celle-ci h un inventaire sys- t6matique d'?lement pour revenir h la conception humboltienne qui fait de la competence soujacente un syst믄rne de processus gini-ratifs.10)

그러나 문제는 랑그를 단순히 언어요소의 체계적인 목록으로 못박은 Chomsky의 견해에서 비롯된다. 장병기는 Saussure 언어이론에서 랑그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그것에 대한 개념이 단순한 요소들의 목록으로 해석된다는 것이 과연 합리적일까하는 의문을 제기하면서,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랑그를 단순한 어집으로 볼 수 없는 구절들을 반중으로 제시하고 있다. 11)

Amacker도 랑그가 언어 이전에 존재하는 개념이나 사물에 상응하는 명칭들의 목록이라고 믿는 것은 이중으로 그릇된 개념이라고 보고 있 다.

Croire que la langue eost uone nomenclature, un ensetnble d'?ti-quettes qui se co1lent ? des choses ou ? des id?es pr?existantes, est une conception doublemlent erron?e.12)

그러므로 랑그는 무한히 잠재해 있는 창조력을 지닌 가치체계라는 점에서 Chomsky의 언어능력과 공통점을 갖는다. 오히려 랑그를 언어능력과 같다고 인정할 수 없는 이유는 랑그의 사회적인 특성이 언어능력에는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Saussure는 랑그가 사회적 산물임을 역설하며, 언어습득을 언어공동체의 언어관습을 익히는 사회화의 한 과정으로 본 반면, Chomsky는 언어능력을 인간의 선천적인 능력으로, 이를 통하여 인갇의 창조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개인적인 측면이 더 고려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Saussure가 언어연구에 있어서 랑그의 우위성을 제기한 것과 같이, Chomsky도 언어능력의 연구를 우선하였다는 점은 공통점이라 하겠다.

Saussure의 랑그개념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랑그가 구체적이냐, 아니면 추상적이냐에 관한 것이다. Saussure는 랑그를 구체적인 특성을 지닌 것으로 정의한다.

La langue n'eost pas moins que la parole un obj비et de nature concrete, et c'eost un grand avantage pour l'6tude. Les signes lins-guistiques, pour etre essentiellelnent psychiques, ne sont pas des abstractions ; (CLG, p.32)

그러나 Anncker는 랑그를 추상적으로 보아야만 Saussure의 이론이 일관성이 있고 모순을 제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abord, seule la pardee tost imm?diatement percue ; la langue ne se donne jamais directeInent ? l'observation : forme en puissance, elle est essentielleInent abstraite ; biens que Saussure ait visiblement h?sit? ? reconnaitre expressis verbis ce caract?re d'abstraction aux unit?s de la langue et ? 1a langue elle-nleme il haut decider le faire.13)

즉, 랑그의 구체적 실현인 빠롤은 실질 substance의 영역에 속하지만, 랑그는 빠롤과는 달리 직접 관찰의 대상이 아니고 잠재된 헝식 forme으로서 본질적으로 추상적이라는 것이다. Saussure가 랑그는 실질이 아닌 형식이라고 강조한 점을 상기해 보면, 랑그가 추상적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Saussure가 랑그의 추상적인 성격에 대해 이와 같이 모호한 태도를 취한것은 De Mauro의 설명대로 당시의 실증주의적인 경향이 추상적인 이론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1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랑그와 빠롤의 구분은 언어학의 연구대상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방법론을 이루고 있지만, Saussure가 제시한 개념은 해결되고 보완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그런데 언어학의 대상을 랑그로 규정한 것은 Sausssure 이후 Choms-ky에 이르기까지 이론없이 받아들여진 원칙이었으나, 최근의 언어학 경향은 이러한 제한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랑그를 운용의 면에서 파악해야 하는 의미작용 signification에서는 빠롤현상의 연구가 요구되어, 빠롤의 언어학에 대한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2.랑그의 구성단위:언어기호
Saussure가 언어기호 signe Iinguistique를 기표 signiniant와 기의 sig-nifi교◎의 결합으로 정의한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 기표와 기의만큼 Saussure의 본래 의도대로 해석되지 않은 용어도 거의 없을 것이다.

먼저 Saussure는 언어기호에 대하여 전통적으로 통용되어 왔던 일원적인 개념을 거부하는 것으로 출발점을 삼았다. 스토아 학파의 Saint Augustins은 기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Un signe est une chose qui, outre l'esp?ce ing?re?e par loes sens, fait venir d'elle-m?me ? la pens?e quelque autre chose.15)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기호란 다른 어떤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므로 기호와 기호에 의해서 상기되는 의미는 별개의 것이라는 전제가 있게된다. 즉 단어를 언어기호로 보면 의미는 언어기호에 의해서 상기되는 기호 외적인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원적인 기호 개념과는 달리 Saussure의 기호는 개념 concept과 청각 영상 image acoustique의 결합인 이원적인 개렴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서 arbre라는 청각 영상은 "나무"라는 개념과 마치 종이의 앞 뒤면과 같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이 양자의 결합이 기호를 이룬다는 것이다.

Nous appelons signe la colmbinaison de concept et de l'image acoustique;mais dans 1'usage courant de ce terme d?signe g?n?-ralement l'image acoustique seule, par exemple un mot (arbor, etc.). On oublie que si arbor est appe1? signe, ce n'est qu'en tant qu'ill porte le concept "arbre" de telle soltie que l'id?e de la par-tie sensorielle implique celle du total. (CLG, p.99)

이어서 Saussure는 한편으로 개념과 청각 영상 사이의 대립과, 쪼 한편으로 개념, 청각 영상과 그들의 결합인 기호사이의 대립을 강조하기 위하여, 개념 대신에 기의 signifi6◎죠를, 청각 영상 대신에 기표 signifiant라는 어근이 동일한 용어를 제시하여 "기호=기의+기표"의 관계를 더 욱 더 가시화해 주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원적인 기호 개념을 받아들이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작 기의와 기표에 대한 해석은 Saussure의 의도와 다르게 내려지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우선 언어기호를 사물과 명칭의 결합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언어기호의 체계는 목록d1이 아니므로 이러한 해석이 타당하지 않음을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다. 그런데 언어기호가 단어의 의미와 음의 결합이라는 해석은 앞의 해석보다 좀 더 미세한 성찰을 통하여야만 기의-기표와의 차이점이 밝혀지기 때문에, 더욱 흔히 언어학 저술에 오용되어 언어기호의 본질을 왜곡시키고 있다. Saus-sure는 기표인 청각 영상은 물리적인 음이 아니라.음의 정신적인 혼적 empreinte psychique으로 정의함으로써 청각 영상과 음을 명백히 구분하고 있다.16) 즉 청각 영상이란 실제로 음이 존재하지 않아도 머리속에 떠올릴 수 있는 음의 영상으로 기호의 정신적 특성이 강조된 개념이다.

Le signe lin{{uistique unit non uneo chose et un norn, rnais un concept et une image acoustique. Cette dernitre n'eost pas le son rnatiriel, chose purement physique,lnais 1'enlpreinte psychique de ce son, la representation que nous en donne le t6nl류moignage de nos sents; (CLG, p.98)

이와 같이 기표가 정신적 특성을 가져야만 그것이 기표와 함께 구성하는 언어기호, 또 더 나아가서 랑그의 정신적 특성에 모순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기표가 언어기호의 구성소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다양한 음의 영역을 떠나서 하나의 동일한 단위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화자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arbre가 "나무''라는 개념으로 이해되기 위해서는 각각 다른 음의 연속이 동일한 하나의 청각 영상으로 인식되고, 그와 동시에 "나무"라는 동일한 개념이 상기되어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청각 영상인 기표는 빠롤행위에 의해서 매우 다앙하게 실현되는 음의 연속과 다른 차원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념인 기의도 빠롤행위에 의해서 여러 가지 다른 의미 sens로 구현됨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adopter"라는 개념이 화자에 따라서 또는 문맥에 따라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은 그 기의가 각각 다르게 실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언어기호는 구체적인 실현-즉 빠롤에 와해서 실현되는 다양한 음과 의미-의 추상화된 단위로서, 무한히 다앙한 음의 실현이나 의미의 실현을 동일한 하나의 단위로 인식시키는 기준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앞에서 논한 바와 같이 Saussure는 언어기호를 추상적인 단위로 보는 것을 거부하였으나, 그의 이론이 일관성 있는 추론이 되기위해서는 언어를 추상적인 형식으로 간주해야 한다. 특히 언어기호의 체계인 랑그가 분류의 원칙을 제공한다는 Saussure의 주장은 바로 언어기호를 정신적이고, 실질이 아닌 추상적인 형식으로 보아야만 타당하기 때문이다.

L.a토 langue, au contraire, est un tout en soi et un principe de cIassihication.]]뮨s que nous lui donnons la preIniere place parnh les faits de langage, nous introduisons un ordre naturel dans un ensenlble qui ne se prete h aucune autre classification. (CLG,p.25)

한편 언어기호는 그 크기에 있어서, 위에서 들은 예와 같이 단어나 형태소에 국한되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비록 Saussure가 언어기호를 기의와 기표의 결합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arbre와 cheva1과 같은 단어만을 예로 들고 있지만, 과연 언어기호를 단지 최소 단위인 단어로만 볼 것인가, 아니면 단어의 연결인 구 syntagme나 문 phrase같은 복합 단위로까지 확대시켜 볼 것인가하는 문제가 제기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Saussure의 견해는 다소 모호하게 보인다. 구 syntagme는 언어기호의 결합이 자유로운 정도에 따라서 랑그에 속하기도 하고 빠롤에 속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은 구의 한 유형이라고 정의하면서도 랑그에 속하지 않고 빠롤에 속한다고 한다.

La phrase est le type par excellence du syntagnle. Nlais elle ap-partient h la parole, non h la langue. (CLG, p.172)
Nlais il f21ut reconnaitre que dlans le dornaine du syntagnle il n'y a pas de lignlite tranchfe entre le fait de langue, rnarque de l' usage collectif, et le hait de parole, qui d출pend de la libert? indivi- duelle. (CLG, p.173)

Ducrot는 언어기호를 최소단위인 단어 혹은 형태소 morp?me에 국한시키고자 한다. Saussure를 인웅하면서 이러한 언어기호의 결합인 문은 화자의 지적인 활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빠롤에 속한다는 것이다.17)

그러나 구나 문을 실현된 단위가 아니고 언어기호의 잠재적인 결합 combinaisons virtuelles으로 파악한다면, 구나 문도 복합 단위로서의 언어기호에 포함될 수 있어야 한다. 랑그의 구성단위로서 언어기호를 규정한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랑그라는 대상의 불연속적인 특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랑그란 결합될 수 있는 이산적인 단위 unit은 discrde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d1 이산적인 단위는 층위에 따라서 단어, 구 또는 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기호도 형태소, 구, 문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3. 체계로서의 랑그18)
Saussure의 언어이론에서 구조주의가 태동하였다는 것은 그가 랑그를 기호체계로 보는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일반 언어학 강의> 이전에 발표한 <인구어에 있어서의 원시 모음 체계에 관한 논문>에서19) 그는 이미 랑그를 체계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체계 syst谷빈訖me란 그것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가 요소들 사이의 상관관계와 또한 그 요소와 체계 전체의 관계에 의해서 정의될 때, 그 전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체계에서는 어떤 한 요소가 변화되면, 동시에 체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체계가 변화된다. 따라서 랑그가 체계라는 사실은 랑그의 구성요소인 언어기호가 다른 언어기호들과의 관계에 의해서 정의됨을 뜻하는데, 언어기호는 다시 기표와 기의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기표는 다른 기표들과, 또한 각각의 기의는 다른 기의들과 관계속에 존재하며 그관계에 의해서만 가치 valeur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관계는 크게 통합관계 rappo1ts syntagmatiques와 연합관계 rappodts associatifs 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통합관계란 두 개 이상의 언어기호가 결합되어 구 syntagme로 실현될 때 한 언어기호가 그것의 앞에 나오는 요소와 뒤에 나오는 요소, 또는 구 전체와 갖는 관계로, 그 기호의 가치는 이러한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PIac? cl근 dans un syntagnle, un te1Ine n'acquiert sa valeur que par-ce qu'il eost oppos휴 5 ce qui pr6cide ou ce qui suit. ou h tous 1oes deux. (CL(3, p. 171)

Saussure는 분석의 층위에 있어서 형태론, 어휘론, 통사론등의 전통적인 층위를 구분하지 않고 이들을 모두 통합적인 관계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통합적인 syntagmatique 것과 통사적인 syntaxique 것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rrous les faits de syntagn1atique ne se classent Pas dants la syn-taxe, n1ais touts lest faits de syntaxe appadtiennent h la syntagrnati-que. (CLG, p.188)

한편 하나의 실현된 언어기호는 머리속에서 어떤 공통점을 가진 일련의 기호들과 연합되어 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이 때 무리를 이루는 요소들간의 상호관계를 연합관계라고 한다. 예를 들어서 enseignement이라는 기호는 다음 도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공통점의 유형에 따라 여러 종류의 무리들과 연합관계를 이룬다.


이렇게 연합관계를 이루는 요소들 사이에는 정해진 순서도 없고, 또 그 무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수도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즉 en-seignement-apprentissage-iducation등의 일련의 요소들중에서 enseig1e-ment이 항상 첫번째 요소가 아니고, 단지 화자의 선택에 의해서 그 요소가 실현될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은 모든 빠롤행위에 수반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너무 짧은 순간에 행해지기 때문에 화자가 거의 의식할 수 없을 정도이다. 흔히 우리가 일상적인 언어활동에서 어떤 언술 6nonc6쏘을 구성하는 한 요소가 얼른 입 밖으로 실현되지 않을 때, 즉 소위 적합한 표현을 찾으려 할 때 이러한 선택을 경험하게 된다. 이 경우, 선택은 아무 말이나 다 고려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고 그 폭이 어느 정도 제한됨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선택의 폭이 바로 연합관계 를 이루는 요소들의 무리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연합관계를 이루는 요소들은 그 중의 하나만이 선택되어 실현되므로 그 외의 다른 요소들은 잠재적이고 부재의 in absentia 성격을 갖는 반면, 통합관계의 요소들은 모두 실현되어 관찰될 수 있는 실재의 in praesentia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Saussure는 통합관계를 랑그의 선적 특성에 의거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실제로 이러한 선적 특성은 빠롤차원에서만 규명될 뿐으로 과연 랑그에서도 통합관계를 이루는 요소들이 선적으로 배열되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왜냐하면 언어기호들이 통합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은 추론될 수 있지만, 그 관계가 랑그에서 반드시 선적인 특성으로 나타난다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연합관계에 대해서도 "어떤 공통점"을 가진 요소들 사이의 관계라는 모호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앞에 나온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enseignement에 대하여 문법적인 면에서 enseigner, enseignons등을, 또 기의의 면에서 apprentissage,6d 꼰ucation등을, 그리고 기표의 면에서 c16ment, justement등을 연합시켜, 각각 연합관계의 무리를 이루게 하고있다. 이러한 모호한 기준에 의한다면 enseignement은 심지어 en‥‥…으로 시작되거나 ‥‥5s‥‥가 들어있는 다른 기호들파도 공통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그 기호들과 연합관계에 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적으로 심리적인 연상작용에 기초를 둔 연합 관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후의 언어학자들은 연합관계 대신에 계열관계 rappodts paradigmatiques라는 보다 제한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즉, 구 syntagne에서 한 요소를 대치할 수 있는 요소들의 무리를 계열체 paradigne라고 정의하고, 계열체를 이루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계열관계로 규정하여, 언어기호의 체계를 이루는 두 유형의 관계를 통합관계와 계열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IlI.맷음말
Saussure의 언어학이 <일반 언어학 강의>가 출판된 지 거의 일세기가 되는 현재의 시점에서도 여전히 논의되고 있는 것은 그의 이론이 먼어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방법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다앙하고 흔질적인 성격을 가진 언어 1angage는 그 자체로 언어학의 연구대상이 될 수 없으므로, 사회적인 면과 개인적인 면, 또한 본질적인 것과 우발적인 것을 구분하여 랑그와 빠롤로 나누고, 랑그를 언어학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즉 랑그를 사회공동체가 공유하는 언어기호의 체계로 인식하여, 그러한 체계의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실현 행위로서의 빠롤과 구별하였다.

한편 랑그를 구성하는 언어기호의 성격을 정신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무한히 많은 수의 실현된 언어기호 중에서 본질적인 것만을 포착하는 추상화를 통하여, 체계를 이루는 추상적인 언어단위를 인식하였다. 또한 이러한 추상적인 단위는 무한히 많은 수로 실현된 음이나 의미를 동일한 단위로 인식하는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랑그가 분류의 원칙이 되게 한다.

그리하여 Saussure 이전의 언어학에서 연구하였던 언어현상이라는 실증주의적인 개념이 관계속의 기호라는 개념을 대치됨을 볼 수 있다. 특히 Saussure는 언어기호들이 맺고 있는 관계의 유형을 크게 통합관계와 연합관계로 고찰하였는데, 이것은 랑그가 언어기호의 체계인 동시에 문법체계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Saussure는 실제로 어느 한 랑그에 대해서 구체적인 분석이나 기술을 시도하지 않았고, 현재까지도 Saussure 언어이론에 의한 언어 기술은 실현되지 않았다. 사실 언어 분석에 있어서 그의 이론의 직접적인 적용은 불가능해 보인다. 왜냐하면 김성도가 그의 논문에서 지적하였듯이,20) Saussure 이론은 엄밀한 의미에서 기술언어 1angage des-criptif가 아니고 인식론적인 언어 langage 6p 는ist6군mologique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그의 이론은 언어학의 방법론을 제공해 주는 메타이론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다.

Greimas도 Saussure의 독창성을 세계에 대한 인식방법의 변화에 있음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즉 세계를 각각 의미를 지닌 형식들의 구축물인 거대한 관계의 망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L'originalit? de la contribution de F. de Saussure r?side, croy-ons-nous, dants la transfornlation d'une vision du monde qui lui fut propre - et qui consiste saisir le monde conlnle un vaste r?seau de relations, conln1e uneo architecture de fo1]nes charg?es de sents, por-tant en elles-mi·menles leur propre signification-en uone thforie de la connaissance et uneo mithodo1ogie linguistique,21)

이러한 인식방법의 변화는 Prague 학파의 음운론, Hjelmslev의 구조언어학, Martinet의 기능주의 언어학,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 구조주의의미론, 또한 변형생성 문법까지를 망라한 언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Merleau-Ponty의 철학과 levi-Strauss의 인류학에 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하여, 가히 Saussure의 혁명을 달성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SAUSSURE, F. (1972), Cours de linguistique generale, edition critique priparee par De Mauro, Payot.
AMACKER, R. (1975), Linguistique saussurienne, Hachette.
BENVENISTE, E. (1966), Problemes de linguistique generale, vol.1, Gallimard.
CHISS, J.-L. (1987), "Synchronie/diachronie:methodologie et theorie linguistique", Fondations de la linguistique, De Boeck, article repris de Langages 46 (1978).
CHOMSKY, N. (1991), Aspets de la theorie syntaxique, Seuil.
DUCROT, O. (1968), Le stucturalisme en linguistique, Seuil.
DUCROT, O. et TODOROV, T.(1972), Dictionnaire encyclopedique des sciences du langage, Seuil.
FUCHS, C. et LE GOFFIC (1975), Initiation aux problemes des linguistiques contemporaines, Hachette.
NORMAND, C. (1978), "Langue/parole: constitution et enjeu d'une opposition", Langages 49, Didier-Larousse.
LYONS, J. (1970), Linguistique generale, Larousse.
SANDERS, C. (1979), Eours de linguistique generale de Saussure, Coll. "Lire aujourd' hue", Hachette.
김방한 (1970) 언어학 논고 ,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방한 (1985) 언어학 논고 ll ,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성도 (1992) L'?pistfmologie dana la th?orie saussurienne, 불어학의 제문제 , 허문강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
서정철 (1989) 소쒸르 기호학의 제문제 , 불어학 연구 제7권, 어문학사.
장병기 (1985) 소쉬르 언어이론에 있어서 이원성원리 연구 ,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각 주
1) Saussure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쥬네브 대학에서 1906년-1907년, 1908년-1990년, 1910년-1911년 세차례에 걸쳐 행해졌다. <일반 언어학 강의>는 주로 제3차 강의를 중심으로 편집되었는데, 세차례의 이론이 그 발전 과정이 고려되지 않고 소개되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2) 장병기(1985), p.38.
3) 본고에 인용된 <일반 언어학 강의>는 1972년 판으로 De Mauro가 Godel의 <일반 언어학 강의 원자료>화 Engler의 자료를 참고하여 광범위한 주석을 덧붙였다. 이하 편의상 CLG로 칭한다.
4) CHISS, J. -L. (1987), p.35.
5) CLG, p.420:DE MAURO, note 65.
Saussure는 Riedlinger와의 대화에서 langue/parole의 구분을 자신의 일반 언어학 이론의 "제1의 진리 la premiere verite"라고 표현하였다.
6) CLG, p.16.
7) 김방한(1985), p.67.
8) FUCHS, C. et LE GOFFIC, P. (1975), pp.11-12.
9) LYONS, J. (1970), p. 41.
10) CHOMSKY, N. (1971), p. 14.
11) 장병기(1985), pp.66-74.
12) AMACKER, R. 91975), p.87.
13) Ibid, p. 63.
14) CLG, p.420, pp. 425-427:DE MAURO, notes 65, 70.
15) DUCROT, O. et TODOROV, T.(1972), p. 131.
16) 그러나 Saussure는 청각영상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면서도 여전히 청각영상 대신 음 son 이나 음의 연쇄 suite de sons, matiere phonique 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CLG, p.98, p.100, p.110, pp. 156-157 etc.
17) DUCROT, O. et TODOROV, T. (1972), p.156.
18) 장병기(1985), CLG에서 체계 syteme는 138회나 사용된 핵심적인 용어이다. Saussure는 구조 structure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체계는 구조라는 개념과 동일하게 간주된다.
19) 1979년에 간행된 Memoire sur le systeme primitif des voyelles dans les langues indo-europeennes.
20) 김성도(1992), p.125.
21) GREIMAS. A. J. (1956), "L'actualite du Saussurisme", Le Francais Moderne 3, p.192, 김성도(1992)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