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바둑..!/관련 자료들~

[=] 바둑의 기초이론

온울에 2008. 5. 13. 04:31

바둑

바둑은 두 명이 흑과 백의 돌을 판 위에 번갈아 놓으며 집을 차지하는 것을 겨루는 놀이이다. 가로와 세로 각각 19줄이 그어진 바둑판 위의 각 교차점(모두 361개)에 돌을 두며, 공격과 수비를 하는 전략 게임이기도 하다.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대중적으로 행해지며,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규칙을 채용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바둑은 대표적인 놀이문화로서 전통문화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고, 다른 나라에도 동양의 대표적인 보드게임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각 나라별로 여러 단체에서 개최하는 세계대회가 존재하며, 역대 세계 챔피언은 대부분 한국, 중국, 일본 삼국에서 배출되었으며, 90년대 이후에는 한국 기사들이 가장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바둑은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였지만, 그 기원이 언제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근대 바둑의 전통은 중세 일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바둑을 업으로 삼는 프로 기사와 혼인보(本因坊) 등의 바둑 가문이 막부시대 일본에서 등장하여 여러가지 바둑 이론과 정석들이 등장하였다. 한국에서는 20세기 초까지 고유의 규칙을 사용하는 순장(巡將)바둑이 성행하였으나 해방 후 일본으로부터 현대 바둑이 유입되어 현대에 들어 순장바둑을 두는 사람들은 크게 줄어들었다.


 단원 김홍도 바둑그림

일반적으로 바둑의 발상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다. 박물지, 설문, 중흥서, 태평어람 등에는 요 임금과 순 임금이 아들 단주(丹朱)와 상균(商均)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기 위해 바둑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두 명의 경기자는 각각 흑과 백의 돌을 쥐고 교대로 자신의 돌을 바둑판 위에 놓는다. 돌을 놓을 수 있는 위치는 바둑판에는 그려진 가로줄과 세로줄의 교차점이다. 한번 놓인 돌은 바둑판 위에서 움직이거나 들어낼 수 없지만 예외로 상대방의 돌을 빈 칸 없이 자신의 돌로 둘러싸면 상대방의 돌을 들어낼 수 있다. 이를 돌을 '따낸다'고 한다. 돌은 바둑판 위의 빈 곳 아무데나 둘 수 있지만 이미 다른 돌이 있는 자리와 돌을 둘 경우 상대방이 그 돌을 포함하여 자신의 돌을 따낼 수 있는 위치에는 둘 수 없다. 같은 색의 돌과 바둑판의 경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자신의 집이며 경기가 끝난 후 집의 숫자를 세어 더 많은 집을 얻은 쪽이 승리한다.

실력에 차이가 나는 상대 사이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흑돌 몇 개를 화점에 미리 두고 시작할 수 있는데, 이를 접바둑이라고 한다. 이에 반하여 동등하게 시작하는 바둑을 맞바둑이라고 한다. 접바둑은 백이 먼저, 맞바둑은 흑이 먼저 돌을 둔다. 맞바둑은 먼저 두는 흑이 약간 우세하므로 백의 핸디캡을 상쇄하기 위해 다섯 집 가량의 덤을 준다.

바둑판에는 각각 열아홉 개의 가로줄과 세로줄이 그어져 있어 첫 수에 돌을 둘 수 있는 자리는 총 381개이다. 좀더 짧은 게임을 위해 가로줄과 세로줄이 각각 아홉 개인 바둑판 위에서 경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지역과 경기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변형이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이와 같다.





바둑판 용어

바둑판
  •  : 네 귀퉁이를 의미한다. 가장 빠르게 집을 지을 수 있어 초중반에 중요한 곳이 되는 것이 보통이다.
  •  : 귀를 뺀 나머지 변두리를 의미한다.
  • 중앙 : 바둑판의 가운데 부분을 말한다. 집을 짓기는 어려우나 중앙의 돌은 바둑판 전체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한다.
  • 화점 : 네 귀와 네 변, 그리고 중앙에 점이 찍혀있는 곳을 말한다. 바둑판에는 총 아홉 개의 화점이 있다. 특히 각 귀에 위치한 4×4 위치의 네 개의 화점은 집이나 세력으로 변하기에 용이해서 초반의 중요한 위치이다.
  • 삼삼 : 삼삼은 각 귀의 3×3 위치의 점을 의미하며 총 네 곳이 있다. 이는 한 수 만으로 귀를 자신의 집으로 할 수 있어 집 차지에 용이하나 중앙으로의 발전성이 낮다.
  • 소목 : 소목은 각 귀의 3×4의 지점으로 3×3에서 변 쪽으로 한 칸 떨어진 곳이다. 총 여덟 개의 소목이 있다.
  • 고목 : 고목은 각 귀의 4×5의 지점으로 화점에서 변 쪽으로 한 칸 떨어진 곳이다. 총 여덟 개의 고목이 있다.
  • 외목 : 외목은 각 귀의 3×5의 지점으로 소목에서 변 쪽으로 한 칸 떨어진 곳이다. 총 여덟 개의 외목이 있다.
  • 대고목 : 대고목은 각 귀의 4×6의 지점으로 고목에서 변 쪽으로 한 칸 떨어진 곳이다. 총 여덟 개의 대고목이 있다.
  • 대외목 : 대외목은 각 귀의 3×6의 지점으로 외목에서 변 쪽으로 한 칸 떨어진 곳이다. 총 여덟 개의 대외목이 있다.
  • 천원 : 천원은 바둑판 정중앙에 위치한 점을 말한다.

 규칙에 관한 용어

  •  : 기력이 비슷한 두 명이 두면 반드시 처음 두는 사람이 유리하게 된다. 이를 막기위해 나중에 두는 사람에게 추가의 집을 제공하는 규칙을 의미하며, 중국, 일본, 대한민국에서의 덤에 관한 규칙은 각각 다르다.
  • 호선 : 기력이 비슷한 두 명이 덤을 포함하여 대국하는 것을 호선이라고 한다.
  • 정선 : 기력이 약간 차이나는 두 명이 미리 흑백을 정하고 두는 것이다. 하수가 흑을 쥐며, 대신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덤을 주지 않는다.
  • 접바둑 : 기력이 더욱 차이나는 두 명의 대국자가 대국시에, 하수에게 이점을 주기 위해 화점에 흑이 미리 돌을 깔고 하는 것을 접바둑이라고 한다.
  • 착수금지구역 : 놓는 즉시 (단수 상태가 아니라)먹히는 곳은 놓을 수 없게 금지되어 있다. 이 경우와 패를 제외하면 비어있는 눈 아무데나 돌을 놓을 수 있다.
  •  :
    1. 맞붙은 서로의 돌이 모두 (분리된)두 집이 안 되지만, 서로 따먹을 수가 없는 상태이다. 둘 모두 살아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집은 계산하지 않는다.
    2. 판이 특수한 상황에 빠져 승부가 나지 않는 판을 빅이라고 하기도 한다. 삼패빅, 만년패빅, 장생빅 등 여러가지 경우가 있다.
  •  : 호구가 나란히 붙어 두 사람이 서로 무한히 따먹기를 반복할 수 있는 모양이다. 패가 생긴 경우, 상대에게 돌을 먹힌 뒤 바로 되딸 수 없으며 다른 곳에 한 번 둔 후에 따도록 규정되어있다. 이 때 다른 곳에 두는 것을 "팻감"을 쓴다고 하며 상대방이 패를 메꾸어 해소하지 못하도록 중요하거나 큰 자리에 팻감을 쓰게 된다. 물론, 중요한 패가 아닌 경우에는 그냥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다. 패에 관한 용어로는 양패, 꽃놀이패, 만년패, 반패, 늘어진 패, 단패 등이 존재한다.
  • 장생 :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는다면 무한한 수순이 반복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아무도 양보하지 않는다면 무승부로 취급한다.

 전술에 관한 용어

  • 단수 : 한 수만 더 놓으면 상대의 돌을 따낼 수 있는 상태이다. 상대의 돌을 단수상태로 만드는 것을 "단수친다"고 표현한다.
  • 호구 : 호랑이 입이라는 뜻으로 어떤 한 눈의 주변 3개의 눈에 돌을 놓아 상대가 그 눈에 돌을 놓을 경우 바로 단수가 되는 형태이다. 호구모양으로 돌을 놓는 것을 "호구친다"고 한다.
  •  : 단수가 되었을 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서는 남아있는 한개의 눈(따기 위해 놓아야 하는 곳)에 돌을 놓아 나갈 수 밖에 없는데, 그 때 바로 다시 단수를 치고 나가면 다시 단수를 치고... 이렇게 반복되어 결국은 따먹히게 되는 모양이다.
  • 축머리 : 축이 진행되는 길에 놓여있어 축이 되지 않도록 하는 돌이다.
  • 장문 : 당장 따내지는 못하지만 잡힐 수 밖에 없도록 가두는 수이다.
  • 사활 : 하나의 말(연결된 돌의 무리)이 상대에게 따먹히지 않으려면 "분리된" 2개의 집을 가져야만 한다. 많은 집이 있어도 분리된 두 집이 되지 않으면 죽거나 빅이 된다. 분리된 두 집이 있는 말은 완생했다고 하고, 그렇지 않은 말은 미생마라고 하며, 죽을(따먹힐) 수 있으므로 신경을 써야한다. 어떤 말을 잡거나 살리기 위해 싸우는 장면을 사활이 걸렸다고 한다.
  • 맞보기 : 맞보기란 두어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곳이 동시에 두 곳이 있는 경우로, 상대방의 응수에 따라 반대쪽의 곳을 두어서 이득을 얻는 것이다. 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득을 얻을 수 있으므로, 서둘러 두지 않고 훗날을 기약하는 것이 요령이다.
  • 옥집 : 옥집이란 집의 형태를 취하고는 있으나, 훗날 반드시 이어야만 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실제의 집으로는 계산되지 않는 것이다. 즉, 옥집을 제외하고 독립된 두 집이 났을 때, 살아있게 된다.
  • 환격 : 상대편이 자신의 돌 하나를 잡게 놓아둔 뒤에 바로 그 자리에 다시 놓아서 상대편의 돌 여럿을 잡는 일.
  • 회돌이 : 옥집이 되는 끊는 점에 사석을 두어서 상대편의 돌을 포도송이처럼 똘똘 뭉치게 하여 우형화(愚形化)하는 수단.
  • 정석 :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최선의 수를 연구하여 정리된 전략. 흑 백 모두 나쁘지 않은 결과로 귀결되는 것이 보통이며 기력이 높지 않은 사람들끼리의 대국에선 많은 정석을 아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유명한 집 모양에 관한 용어

  • 곡사궁/귀곡사궁  'ㄱ자'로 구부러진 네 개의 눈모양을 곡사궁이라 한다. 귀에서 생긴 형태는 귀곡사라 한다.
  • 매화육궁  궁도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모양이 매화꽃잎처럼 동그랗게 뭉쳐
    급소치중 한방으로 죽는 6궁. 이름은 예쁘지만 비능률적인 모양의 전형이다
  • 오궁도화  대마의 눈 모양이 열십자로 벌여 복사 꽃잎처럼 동그랗게 가운데에 치중의
    급소를 남기고 있는 형태. 궁도는 넓어도 상대편이 가운데 놓으면 살지 못하는
    우형(愚形)의 대표적인 형태.
  • 빈삼각  한점을 중심으로 같은 편의 돌 석점이 옆과 위 또는 아래로 붙어 있는 모양.
    좋지 않는 행마로 발전성이 없는 우형의 전형이다.
  • 장생

    왼쪽과 같이 수순이 반복되어 무승부가 연출되는 기이한 형태가

    장생의 모습. 흑1 자리에 백이 먼저두면 오궁도화로 흑이 잡히므로

    흑1로 집어 넣는다. 백도 2로 때릴 수밖에 없을 때 다시 흑3으로 때려

    내고 백4로 다시 먹여 치는 이와 같은 일련의 수순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것. 즉 흑백간 어느 쪽에서 양보하지 않는 한 동형반복이 계속되어                                               판전체가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

  • 귀삼수



    참고도는 흑선백사로 귀삼수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즉 흑1,3,5가 귀삼수를 유도하는 맥점으로 11까지 귀의 백의 수는

    3수로 백이 잡힌다.  이와 같은 형태를 귀삼수라고 하며 참고도의

    흑1,3이 귀삼수를 유도하는 멋있는 맥점으로 실전에 많이 이용된다.


http://blog.naver.com/sang8807/30027644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