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논의한 두울과 관련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자 합니다.
◎ [수행규칙] :
[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 읽기 )
☆ 여울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할 때,
[ 00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없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01 ] : [ 그 두울에서 안섬쌍(p)과 크기가 다른 안섬쌍(q)n이 있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충분규칙]
[ 02 ] : 그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1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지우기 )
[ 따름 ] :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으면, 자리에서 버린다.
[ 2 ] : (오직) 하나의 돌(p)을 자리에 받아 놓는다.( 쓰기 )
◎ [충분규칙] : 여울(이음) 조건을 적용한다.
0. [수행규칙]의 무효화를 시도하지 않는다(전제).
1. [ 그 두울에서 안섬쌍(p)과 크기가 다른 안섬쌍(q)n이 있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2. [빈울규칙]을 생략할 수 있다.
☞ [충분규칙]이 해지되면, 여울(짓기) 조건을 적용한다.
◎ 두울(안섬) 조건 :
0. 모든 안섬쌍을 돌둑으로 가정하면, 모두 다 섬이다(전제).
1. 내적(안)으로,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돌둑).
2. 상대적(밖)으로, { 마주섬 or 안에섬 }이 하나 이하이다.
◎ 두울에서 여울짓기 조건 : 두울과 한울 짓기이다.
★1. 어떤 자리(x)를 포함하는 가능돌둑(흑)이 가능돌둑(백)n에 이웃할 경우,
1) 흑의 가능돌둑(x)이 두울안섬(쌍) 조건을 만족한다-올둑(흑).
2) 올둑(흑)에 이웃한 가능돌둑(백)n이 안섬조건을
최소한 하나는 만족한다-올둑(백)n.
★2. 어떤 자리(x)를 포함하는 가능돌둑(흑)이 가능돌둑(백)n에 이웃할 경우,
1) 안섬(쌍)조건을 만족하는
최소한 하나의 가능돌둑(백)n이 있다-올둑(백)n.
2) 그 올둑(백)n에 이웃한 가능돌둑(x)이 안섬조건을 만족한다-올둑(흑).
(★1) or (★2)인 자리(x)에 돌(흑)을 받아 놓음이다.
※ 두울안섬 조건을 상대적인 입장에서 가능돌둑에 까지 확장해서 규정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두울안섬 조건과 그 규정된 내용은 동일하다.
단, 그 표현 방법이 상대적으로 받음의 입장이고, 가능돌둑을 포함해서 규정하고 있다.
※ 먼저 상대방(백)의 안섬 가능성을 확인하여 가능한 경우 가능돌둑(백)으로하고-옫둑(백)n,
그 다음에 상대방-옹둑(백)n-에 대한 자신의 안섬 가능성을 2차적으로 확인한다-올둑(흑).
이처럼 여울짓기은 그 규정방식이 거꾸로이다-입장 바꿔 생각을 해봐~~요...
거꾸로 규정하기에 여울짓기 조건을 만족하는 자리는 두울을 끝내지 못한다.
오히려 여울짓기 조건을 위반하는 자리에 놓을 때, 두울의 연속이 끝난다.
※ ★1은 p(흑)를 우선하는 입장에서 안섬쌍조건을 만족하는가이고,
★2는 p(흑)가 q(백)에 대해 상대적인 입장에서 q(백)의 안섬쌍 조건을 우선 확인한다.
따라서 안섬쌍 조건을 이중으로 확인하여 하나라도 만족하면 여울을 벗어나지 못한다.
◎ 한울이음 : 두울안섬 조건을 전제,
1. 한울이음의 발생 : 안섬쌍(q)n이 섬이다.
2. 한울이음의 유지 : 한울이음인 안섬쌍(p)n에 놓음이다.
◎ 두울이음 : 두울안섬 조건을 전제,
1. 두울이음의 발생 : 자리(x)에 이웃한 안섬쌍(q)n의 모든 이음자리가
모두 안섬쌍(p)에 포함일 때이다.
2. 두울이음의 유지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에 놓음이다.
◎ 여울짓기 : 두울안섬 조건을 전제. (한울과 두울의 맺음을 포함한다)
1. 여울짓기의 발생 : 한울이음이 발생할 때이다.
2. 여울짓기의 유지 : 여울짓기인 안섬쌍(p)n에 놓음이다.
※ 여울짓기는 발생이 없다. 즉, 한울이음과 두울이음을 그 발생으로 한다.
또한 한울맺음과 두울맺음의 단속순환을 여울짓기의 유지로 포함한다.
따라서 여울짓기 안에서는 오로지 유지 뿐이다.
단, 여울(한울/두울)이음을 끝내는 것을 포함하고서...
◎ 여울자리(p) : [수행규칙]이 적용되는 자리(p)이다.
1. 빈울자리(p) : 빈울(p)의 숨자리(p).
2. 한울자리(p) : 한울(p)의 섬자리(p).
3. 두울자리(p) :
1) 여울 안에서 안섬쌍(p)n의 맺음자리(p)이다(필요).
2) 여울 밖에서 서로 맞섬인 안섬쌍(p)의 맺음자리(p)이다(충분).
※ 두울의 맺음자리(p)는 구조적으로 결정된 안섬쌍(p)을 돌둑(p)으로 구체화 하는 자리이다.
일반적으로 돌둑(p)으로 결정된 자리가 섬일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때로는 섬과 무관하게 안섬쌍(p)을 돌둑(p)으로 구체화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여울자리(p)가 반드시 섬인 자리일 필요는 없다.
두울에서 모든 순환을 배제하려 할 때에는 여울짓기 조건을 적용하고 [충분]을 생략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너무 광범위해서 "바둑이 밭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망각하게 한다. 바둑에서 밭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수용하면 [수행규칙]을 무효화 하려는 시도가 밭을 추구한다는 사실과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즉, 밭을 추구하는 방법이 [수행규칙]인데 그 방법이 밭을 추구할 수 없다면, 방법으로써 [수행규칙]은 그 존재의 근거 혹은 존재가치가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밭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수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모든 순환을 억제하는 제약은 적용범위가 불필요하게 너무 넓다. 그러므로 여기에 <충분조건>을 적용시켜 바둑이 밭을 추구한다는 사실에 적절한 그러나 논리적으로 적합한 제약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밭의 추구에 적합한 조건이 한울/두울의 이음이다. 변하는 것은 유지에서 뿐이다. 즉, 충분조건을 수용할 때는 여울이음으로, 충분조건을 해지할 때에는 여울짓기가 두울의 유지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그 밖에 여울자리, 두울구조의 조건 등은 변하지 않는다. 다만 적용이 관점이 확대 되느냐 아니면 축소 되느냐 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세부적인 것들을 빼고 간략하게 전체를 보기 위한 결과입니다.
다시 용어를 수정했습니다. (죄송)
♤ [수행규칙]은 변함없다...
'바둑..! > ◈ 여울바둑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좌22] : 용어를 정리합니다1. (0) | 2008.06.06 |
---|---|
[강좌23] : 용어를 정리합니다2. (0) | 2008.06.06 |
[강좌24] : 여울의 맺음입니다. (0) | 2008.06.06 |
[강좌25] : 여울맺음의 일반화입니다. (0) | 2008.06.06 |
[강좌27] : [수행규칙] 강의를 마칩니다. (0) | 2008.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