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2008

☆ 바둑의 일곱가지 문제...

온울에 2008. 6. 6. 17:01
현재의 바둑이 간직한 문제(밭과 관련)들...

  첫째, 추구하는 대상이 명료하지 않다.

   둘째, 집이 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집을 셈하는 동일한 근거가 애매하다.

   넷째, 낳음하는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다섯째, 돌들이 왜 하나로 기능하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여섯째, 마무리에서 생략과 압축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곱째, 종국을 확실이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하나같이 중요하고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들이다.

아마도 순환문제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논의 영역일 것이다.

"밭" 개념은 위에서 제기된 일곱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일관되고 합리적인 설명을 할 수 있다.

위의 문제들이 너무 당연한 것을 묻는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당연한 것은 당연히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 당연하지^.....

"집" 개념은 이들 가운데 어느 하나도 설명하거나 그 이유 혹은 근거가 되거나 하지 않는다.

집은 밭을 포함하는 이차적인 구성물이라 할 수 있겠다.

"집" 개념은 바둑을 두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개념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집" 개념은 진행규칙과 관련해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고, 할 수도 없다.

간단히 구분하면 "집"은 바둑의 전략을 설명하고, "밭"은 바둑의 규칙을 설명한다. 

'집'과 '밭'은 그 적용 영역과 각기 담당하는 기능이 서로 다르다.

"집" 개념에 사로 잡히지 않아야 설명을 요구하고 있는 위의 문제들에 응답할 수 있을 것이다...

1.. 집을 추구의 대상으로 할 때, 모든 경우에 대해서 추구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즉, 모든 경우에 대해서 추구의 대상인 것은 아니다.

밭은 추구대상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놓음을 유혹하는 것이다.

2..3.. '집'은 단일한 추구대상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7..의 근거도 제시하지 못한다.

4.. 에워싸면 낳는다.

그런데 왜 그럴까 ?

집은 이에 대해서 관심이 없다.

지금까지 그래 왔으니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그저 따르기를 강요할 뿐이다.

5.. 왜 돌둑이 하나인가 ?

이 질문도 지금까지 없었지만 질문을 해도 이에 대해 집은 답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다.

(4..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 강의들을 참조하시길...)

6.. 생략이 압축인가 ?

애매한 집으로는 생략이 된다.

그러나 바둑에서 생략한 결과와 생략하지 않고 진행한 결과가, 같지 않다면

누가 이를 허용하겠는가 ?  - 한 수의 가치가 얼마나 심각한 데...

그런데도 수넘김으로 이를 허용하고 있다.

이것은 종국을 결정하기 위한 미봉책(간접 과세)인 것 같다.

종국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세금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끝낼 수 밖에 없게 한 것이다.

바둑 밖으로부터 강제로 세금을 부과하는 외삽법이다.

바둑 밖 누군가, 어딘가에 요청하지 않고도, 바둑 안에서 자연스럽게 해결 가능한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