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바둑의 일곱가지 문제...

♤ 현재의 바둑이 간직한 문제(밭과 관련)들... 첫째, 추구하는 대상이 명료하지 않다. 둘째, 집이 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집을 셈하는 동일한 근거가 애매하다. 넷째, 낳음하는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다섯째, 돌들이 왜 하나로 기능하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여섯째, 마무리에서 생략과 압축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곱째, 종국을 확실이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하나같이 중요하고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들이다. 아마도 순환문제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논의 영역일 것이다. "밭" 개념은 위에서 제기된 일곱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일관되고 합리적인 설명을 할 수 있다. 위의 문제들이 너무 당연한 것을 묻는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당연한 것은 당연히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바둑..!/2008 2008.06.06

[강좌02] : 바둑이 끝나면 무엇을 할까?

♤ 종국의 다양한 문제를 끝에서부터 접근하는 방식을 취하기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죽은 돌을 들어내고 집을 세기 좋게 정리한 후에 집수를 계산한다. 바둑에서 마지막으로 하는 것은 각각의 집을 계산하고, 비교하여 승부를 결정 짓는 것이다. 그러나 집을 셈하는 방법이 각기 다른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1) 중국식 계가 ; (빈자리의 수) + (살아 있는 돌수) = (집 수) 2) (한국식)일본식 계가 ; (빈자리의 수) + (따낸 돌의 수) = (집 수) 3) 순장바둑의 계가 ; (빈자리의 수) - (경계 돌의 수) = (집 수) 4) 대만식 계가 ; (빈자리의 수) + (180의 돌수) = (집 수) 이러한 계가법을 통합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선 결론부터 먼저 말하자면, 차지한 자리수의..

[강좌03] : 추구와 평가는 다르다.

♤ 바둑에서 진행규칙을 계속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계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쪽을 모두 들어 낼 때, 혹은 두 눈만 남을 때 등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그러나 현행규칙에는 수넘김이 있으므로 끝나지 않았다고 우기면 계속 진행되어 결국에 가서는 새로운 바둑을 시작하는 꼴이 될 것이다(수넘김이 연속이면 판빅이 된다). 그뿐만이 아니라 대만이나 중국식 룰을 적용하면 사석이 별 의미(?)가 없으므로 현재의 종국보다 어마어마하게 긴 과정을 거쳐야만 그나마 종국(?)에 이를 수 있다. 한편으로 진행규칙은 언제 시작하는지 그리고 언제 끝나는지에 대한 규칙을 가질 수 없다. 왜냐하면 진행규칙은 진행과정에 대한 방법론적인 제약이어야지, 진행규칙의 적용 범위 밖의 어떤 것을 제약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행규..

[강좌04] : 무엇을 추구하는가?

♤ 요약..! (p &q)에게 확장가능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앞 강의에서 좀 얼버무리고 넘어간 밭의 추구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바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단(도구)을 이용하여 밭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수단(도구)은 돌(p/q)이고, 그 적용 영역은 판(의 범위 안)이다. 돌(p/q)을 가지고 밭을 추구(놓음) 한다. 가장 단순한 설명은 같은 종류의 돌만을 밭의 자리에 놓음하는 것이다. 즉, 밭에 포함된 모든 자리에 같은 종류의 돌(p)이 놓여 있으면 밭(p)의 확보이다. 이것을 밭(p)의 직접확보라고 하면 그림의 아래 쪽 흑돌들은 밭을 확보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결정 된다. 이렇게 추구할 수 없음을 ..

[강좌05] : 바둑의 정의입니다.

♤ 1. 수행규칙을 순차적용한다(우선성). 2. 추구의 대상은 밭이다(준거성). 3. 두 대국자에게 유효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한계성). 1) '바둑을 둔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이고, 그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은 '어떻게'라는 방법을 어디엔가 적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어떻게를 구분해 보면 동시에, 병렬적으로, 중첩해서, 우발적으로 등등 많겠으나 바둑에서 허용하는 단 하나의 방법은 순차적으로이다. 순차적이라는 것은 순서가 있으며 차례대로라는 뜻이다. 순서가 있다는 것은 우선한다는 것이고 흑과 백이 어떤 관게 없이 계속해서 우선하면 기회의 평등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흑백이 교차로 우선해야만 한다. 바둑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은 교차우선성의 제약을 받는다. 왜냐하면 이 교차우선성이..

[강좌07] : 영역으로써 밭 개념입니다.

♤ 지금까지의 성과를 검토 해 봅시다. 1. 추구의 대상으로 "밭"(2차원 평면의 단위 영역)이란 개념을 도입함. 1) 종국을 명확히 할 수 있다. ⇒ 두 대국자에게 유효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 유효한 밭의 자리란? ⇒ 자리에 이웃한 돌둑의 이음자리가 둘 이상이다. ⇒ 더 이상 밭을 추구(확장)할 실제적인 한수의 가능성이 없으면, 종국이다. 2) 돌의 놓음과 낳음 그리고 이음의 근거(이유)를 찾을 수 있다. 3) "우선성 해결(지향)의 원칙"으로 전환한다. 자리(0차원)에 돌을 놓고 둑(1)으로 이음하여 밭(2)을 만든(추구)다. 4) 평가의 대상과 추구의 대상은 다를 수 있다. 1) '차지한 밭의 총합'(밭수)이 평가의 대상이다. 2) 다양한 평가방법을 고안할 수 있다. → 차지한 자리(자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