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바둑 4

밭과 집의 비유

* 08/06/10 밭과 집의 개념을 조금 더 명확하게 정리 해 봅시다. '집(점)'은 그 사용법이 '자리(점)'와 중복되어 있다. 그래서 개념적인 혼란을 가져오는 이유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판의 한 가운데서 만들어지는 집을 보자. 하나의 집은 몇개의 밭을 포함하고 있다. '집(자리)'을 유목민들이 사는 천막집의 가운데 기둥이라고 비유하고 싶다. 기둥이 없으면 집이 무너진다(전치: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그리고 이 가운데 기둥은 그 기둥 주변에 사용할 공간인 방을 가지고 있다. 방에서 살기위해 기둥을 세우고 방을 여러개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밭'은 우리가 사용하는 방과 비유할 수 있다. 건물의 기둥은 '자리'이고, 벽은 '둑'이고, 방은 '밭'에 비유할 수도 있다. 판의 중앙에 있는 '집(자리..

바둑은 밭을 추구한다.

우리는 바둑에서 무엇을 추구하는가? 간단히 "밭"이다. "바둑은 '집'이 많으면 이긴다"고 하지만 집은 추구의 대상이 아니라 추구의 결과물이다. 그것도 간접적인 결과물이다. 즉, 성취 혹은 결과에 대한 언급이지, 과정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바둑은 '밭'을 추구하는 게임이다"로 그 첫발을 새롭게 하자.... 그러면 집은 어떻게 처리하는가? 집은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그 힘을 발휘한다. 행마나 세기 등등.... 바둑이 밭을 추구하는 게임이므로, "더 이상 추구할 밭이 없으면, 바둑이 끝난다." 밭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집은 바둑을 끝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집보다 작고 과정적인 개념(밭)을 도입하여 종국을 확정지을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인 무정의 용어들을 보자...

[강좌25] : 여울맺음의 일반화입니다.

♤ 여울을 벗어나는 조건을 일반화 하기위해서는 흑과 백의 입장을 서로 바꾸어서 생각해야 한다. 즉, 여울을 받는 입장에서 나의 가능돌둑이 안섬쌍일 수 있는가를 살펴 보아야 한다. 두울이 순환하는 경우는 여울이 발생하고나서 순환이 계속되는 경우와 여울이 발생하기 전 한울이음의 형태에서 순환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어떤 자리의 가능돌둑(흑)이 가능돌둑(백)n을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제 두울짓기를 어떤 가능돌둑(백)을 포함하지 않고 이웃(이음관계)하는 경우까지 확장하면, ◎ 어떤 자리(x)를 포함하는 가능돌둑(흑)이 가능돌둑(백)n에 이웃할 경우. 1. 안섬쌍조건을 만족하는 가능돌둑(백)n이 있다-백(ㅇ)n. 2. 그 백(ㅇ)n에 이웃한 가능돌둑(x)이 안섬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