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논문 자료들.

[ㅍ] 비교가치론과 도덕교육의 접근

온울에 2008. 5. 6. 23:03

목 차

Ⅰ. 문제 제기
Ⅱ. 가치론과 윤리학
Ⅲ. 윤리적 가치의 제 입장
1. 관념론과 가치
2. 실재론과 가치
3. 네오토미즘과 가치
4. 실험론과 가치
5. 실존주의와 가치
Ⅳ. 비교가치론과 도덕교육
1. 관념론과 도덕교육
2. 실재론과 도덕교육
3. 네오토미즘과 도덕교육
4. 실험론과 도덕교육
5. 실존주의와 도덕교육
Ⅴ. 맺음말
--------------------------------------------------------------------------------
발행자명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교육연구소 
학술지명 교육연구논집 
ISSN  
권 5 
호  
출판일 1997.  




비교가치론과 도덕교육의 접근


The Approach of Comparative Axiology and Its Moral Education


최정웅
(Choi, Jungwoong)
허재복
(Hur, Jaebok)
6-201-9701-03

영문요약
Every men are being of conduct. The activity of man is customarily divided into ordinary action and human conduct. The word called human conduct means that a man is axiological being. The human conduct is originated from values in the life.

This paper was attempted to examine and analyze comparative axiology and its moral education. The purpose to be achieved are to compare with values which is the ground of human conduct, and to examine and analyze moral education through variable axiologies which is the ground of human conduct.

Generally speaking, a value is an enduring belife that a specific mode of conduct is personally or socially preferable to other. The axiological question is whether men of desires are really desirable, ie., whether men ought to disire what they is fact do desire. The field of value theory called axiology is a sphere of philosopy. The word philosophy literally means the love of wisdom and has traditionally implied the pursuit of widsom. The axiology called a sphere of philosophy is customarily divided into two branches of ethics and aesthetic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thics and aesthetics. Ethic is that sphere of concern which deals with conduct, with what man do ; aesthetics is that sphere with what men consider beautiful, with what men enjoy. Then, ethics is the study of values in the realm of human conduct. It deals with such question as : what is "right" or "good" life for all men? How ought we do behave? It is concerned with providing "right" values as the basis for right conduct. Moral and ethical (and immoral, unethical) are interchangable in ordinary language. Moral means what is right or good, and immoral means what is bad or wrong.

Therefore, where does value or moral principle come from? This paper deals with axiology and moral education from a ethical value point view such as Idealism, Realism, Neo-Thomism, Experimentalism, and Existentialism. These philosophical school had a great influence on moral education or ethical education. The ethical values provide a man with moral principle in human conduct, also provide a instructor with the basis to criterion of moral education.

For the Idealism, value is absolute mind or absolute self. Idealist belive that values originate with a supernatural being. Value do not chang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constant and are not man-made but are a part of the macrocosm, that is, microcosm.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state that we should always act as through our individual actions were to become a universal law of nature, Kant’s ideal community consisted of man who treated one another as ends rather means. Therefore, to an Idealism, the moral problem in education can be thought about best by viewing the ethical conduct of men as growing out of social tradition, Because social conventions are the wisdom of the past functioning in the present. It then obviously becomes nesscessary to transmit the social conventions to the child in moral education, and since this can best be accomplished through the medium of words and symbols it is recommended that is all those subject matters having to do with convention and social ideals particular stress be laid upon such value and didactically taught.

For the Realism, Ingenerally realistic value agree with idealism that values are basically permant. But realistic value is natural moral mode which is originated from Nature. Realist deny that have any supernatural sanction. The moral education of Realism can be found directly by observing the procedured of Nature, because Nature tends to support sustain life. In contrast to Idealism, Realism tends to look for moral exemplars not so much in human persons an in natural precesses.

For the Neo-Thomism, Neo-Thomist believe that value can be understand much of this moral law by using Reason, but they insist that the moral law has been established by God. The goodness follows from Reason in the Neo-Thomism. The good conduct is that conduct is controlled by the rational faculty of man. The Neo-Thomist affirms that men naturally tend toward the good. The moral education of Neo-Thomism is training of the Reason which is a precondition of the rational comprehension of moral law and certainly of the understanding of any specific moral dictum. Therefore, the prescription of moral education is fact that it is through these subject matters that the rational faculties of the mind are brought to peak power and, consequently to a potential understanding of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certain act.

For the Experimentalism, values are not absolute mind or reason but consequence of public test or utility. Experimentalist belive that values are problem of experience and based on only experience. Also Experimental value is originated in the process of valuation between human organisms and their context or situation. Therefore, for experimentalism, values are not absolute but relative. The moral education for Experimentalism is learning through living which is the process of living itself. The children learn the morality of term of conduct by using it in their lives, by living through its application in real circumstances formulated at their level of behavior and comprehension, and by seeing that it works, ie., workability or utility. The Experimentalism then, the moral education, the Experimentalism, has a larger moral duty than merely the inculcation of this or that ethical practice ; its function is the intelligent criticism of the public standard, wherever that standard is expressed in the words and deeds of men is day-to-day life.

According to the Existentialism, value is not absoulte or universal but relative. Because it is originated from the anguish of freedom, ie., choosing. To be means to be engaged in choosing. There is no escaping the making of choices in human life. The freedom in the unigue foundation of values, and nothing justify us in adopting this or that value of scale of value. The Existentialist, therefore, claims that the individual is the author of his own right in axiology. The Existentialism hold the view that values are totally subjective, and morality and values are strictly within human beings, and that there are no values or morality outside of them. The Existentialism of moral education, then, is originated from the baselessness of values and individual choice. Human life is full of paradox and contradiction, and no single life-style is necessarily the valuable one. Therefore, the one of Existentialist’s moral education turn to Martin Buber’s theory of the "dialogue". A dialogue is a conversation between persons in which each person remains a subject for the other, a conversation, in Buber’s terms, between an "I" and a "Thou".

It is suggested that the view of each ethical values bring into each of different human conduct. The Idealism, Realism, and Neo-Thomism direct for us absolute theory of ethics ; the Experimentalism, and Existentialism direct relative theory of ethics, then, the Idealism guide for us deontological theory of ethic ; the Realism guide for us telelogical theory of ethics and Natural theory of ethics ; the Neo-Thomism guide for us teleological theory of ethics. These ethical theory provide a man with moral principle in human conduct, also provide a instructor with the basis to criterion of moral education.


--------------------------------------------------------------------------------

Ⅰ. 문제 제기
인간은 행위의 존재이다. 인간이면 누구나 아침에 일어나서 밥을 먹기도 하고 빵을 먹기도하며, 때로는 친구들에게 거짓말을 꾸미기도 하고 또한 그 친구를 위해 조언을 해주기도 하는 등 인간의 하루 하루의 삶은 이러한 일상적 행위와 사회적 행위의 연속이다. 이러한 인간의 일상적 삶과 사회적 삶속에서 인간은 어떻게 자신의 삶을 영위해야 하는가? 무엇을 인생의 최고 가치로 삼아야 하는가? 무엇 때문에 어떤 것은 추구할만 하고 어떤 것은 그렇지 못한가? 무엇 때문에 어떤 행위는 옳은 것이 되고 어떤 행위는 그른 것이 되는가? 타인에 대해 우리는 어떤 책무를 가져야 하는가? 그리고 왜 우리는 그러한 것을 실천해야만 하는가? 우리는 어느 정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가? 인간의 일상적 삶과 사회적 삶 속에서 그 행위들의 근거는 무엇이며, 그것의 기원은 어디인가? 인간 행위들의 근거가 자신의 정신세계 내부에 있는가, 아니면 그것의 밖에 초월해서 존재하는가? 이와 같은 물음에서 더 나아가 어떤 유형의 행위교육이 가능한가? 그러한 도덕교육은 "인간행위"1)를 의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또, 이러한 인간행위와 관련된 물음의 근거인 "옳음"이라는 실재는 과연 무엇인가? "옳음"이라는 행위 원리는 보편적으로 존재하는가? 이러한 모든 물음들은 우리가 매일 일상적으로 직면하는 문제들이다. 또 인류의 역사는 그 시대를 달리하면서 언제나 늘 이 물음에 대해서 의문과 논쟁속에서 윤리적 근거를 찾고자 윤리학자들은 노력해 왔지만, 그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삶의 순간마다 ‘나는 어떤 행위를 하여야 하는가’하는 물음은 인간 존재자가 짊어진 물음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물음중의 하나다.

인간 행위에 있어서 ‘마땅히 있어야 하는’ 또는 ‘마땅히 해야하는’ 가치의 문제는 사실의 문제와 그 성격을 달리한다. 다르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사실의 문제는 ‘있어야 할 세계’가 아니라 ‘있는 세계’이며, 당위의 세계가 아니라 존재의 세계이다. 사실과 존재의 세계는 기술과 설명이 가능하며 그 객관성을 드러낼 수 있는 세계이며, 因果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나 가치의 세계는 바람직스럽게 인간의지가 지향하는 세계인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판단의 세계요, 평가적 세계다. 다시말해 가치의 세계는 사실의 세계로 환원될 수 없는 세계다. 가치와 사실은 별개의 것이다. 가치진술로 표현하는 행동의 결과 자체는 그것만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다. 당위는 가치판단 혹은 규범적 진술로 표현될 수 있으며, 존재는 사실판단이나 경험적으로 진술될 수 있다. 가치판단은 개인이 사실에 대하여 받아들이는 견해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가치판단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평가관점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평가함(Valuing)’의 근거는 무엇인가? "인간은 존재하는 모든 대상과 사건들에 대해 반응을 일으킬 때 인간의 언어는 그것들을 기술할 뿐 아니라 그것을 또한 평가하며 바로 그 평가의 능력은 인간의 思考能力이다."2) 인간은 바로 그가 가지고 있는 思考라는 특유의 기능이 윤리적일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행위의 사유과정을 통한 평가함(valuing)이라는 가치의 다른 양상은 다른 양상의 가치교육 또는 도덕교육을 동반시킨다. - 물론 여기서 도덕 교육은 인간 행위의 바람직한 모습으로의 변화가 반드시 가능하다는 명제가 眞일 경우를 가정하지만 - 가치가 인간의 정신세계를 초월하여 존재한다면, 우리는 초월의 가치를 그 내용으로 하는 객관적인 도덕교육의 한 모습을 상상할 수 있으며, 가치가 인간의식 내부에 존재한다면 우리는 정신세계의 내부 발달을 가져오도록 하는 도덕교육의 한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가치가 철저하게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의 결과라면, 결국 그 대상을 선택하고 그 대상에 ‘의미지움’으로의 주관적인 혹은 개인적인 도덕교육을 가정할 수 있는 것이며, 가치가 공적인 검증(public test)의 결과에 기인한다면 도덕교육은 공적인 검증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공리적 도덕교육 방식으로의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요컨데 도덕교육의 접근은 가치가 어디서 기원하고 어떻게 작용하고 기능하느냐에 따라 그 접근양상이 필연적으로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가치와 도덕교육의 관계는 그 만큼 상관성이 높은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간 행위의 근거로써 가치가 발생하는 기원에 따라 논쟁하고 있는 그 쟁점들을 서로 비교하여 보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이며, 그러한 가치론의 제 입장에 따라 도덕 교육의 다른 양상을 가정할 수 밖에 없음을 논증해 보려는 것이 그 다음 목적이다.

그러나 이 글의 주요 논점은, 교육을 통해서 인간 행위의 바람직한 변화가 가능하다는 명제를 어느 정도 긍정했을 경우를 물론 가정 하지만, 결국 도덕은 인간 행위의 근거로써 가치 문제의 그 발생기원이 다양하기 때문에 인간행위의 근거가 다양해 질 수 밖에 없으며, 더구나 도덕교육의 접근방식도 가치근거에 의해 제약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그 핵심이다.

따라서, 전술한 목적을 탐구하기 위해서 이 논문의 전개는 철학에 있어서 가치와 가치론의 개념을 먼저 밝히며, 이 가치를 논의함에 있어서 여러 가치론적 입장을 밝히고, 그 각각의 가치론의 입장에 따른 도덕교육을 접근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관념론(idealism)과 실재론(realism), 네오토미즘(neo-thomism), 실험론(experimentatism)과 실존주의(existentialism)의 입장에서만 한정하여 그것에 접근하며, 그 각각의 가치론적 입장에 있어서의 일반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각 가치론에 따른 도덕교육도 구체적인 접근까지는 하지 못함을 밝힌다. 그러면 철학에 있어서 가치론과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Ⅱ. 가치론과 윤리학
인간은 자연과 사회라는 환경속에서 회피할 수도 포기할 수도 없는 삶의 문제상황(Aporia)에 항상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상황에 대한 인간의 대응방식은 어떤 생물들과도 다른 이성적이고도 창조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여타 생물체들의 환경에 대한 대응방식은 본능에 구비된 방식에 제한되어 있으나 인간은 본능 이외에 원리적인 사고와 판단, 즉 이성적 사유를 통해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처해 나간다. 항상 문제상황이 던져져 있는 인간에게 지식 또는 지혜에 대한 사랑은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특성상 근원적이고도 필연적인 것이다. 따라서 지혜에 대한 사랑(philosophia)이라는 그리스 말에서 유래된 철학의 어원적 정의가 그대로 보존되는 한, 철학은 인간에게 근원적이고도 필연적인 것이다.3)

그러면 여기서 지금부터 우리가 논의하려는 가치론과 윤리학은 어떤 위상을 지니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앞서 전술한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철학의 문제부터 먼저 논의한 후 그것에 대해 답해보기로 한다. 왜냐하면 가치론은 철학의 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철학은 지혜에 대한 사랑이고, 지혜에 대한 사랑은 필연적으로 철학이 또한 불가피하다는 논리는 지적 작업일반을 통틀어 철학이라고 불렀던 고대 그리이스시대에서는 타당한 일이었다. 왜냐하면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수행되었던 인간의 다양하고도 많은 문제들에 대한 지적 노력들은 오늘날 다양하게 분화된 각각의 개별과학적 문제 영역에서 개별과학들 나름의 탐구에 기초한 개별과학들의 ‘지혜에 대한 사랑’으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19세기 후반 이후 특히 심리학, 물리학, 생물학 등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괄목할만한 개별과학적 성과들은 주로 인간과 우주에 관한 형이상학적 지식에 기초하여 성립되었던 전통적인 지식체계 내지 세계관을 크게 흔들어 놓았다. 그리하여 형이상학의 폐기 또는 철학자체의 정체성위기(the crisis of identity)까지 운위되기도 하였고 급기야 논리실증주의자들은 철학의 영역을 개별과학이 사용하는 언어 및 개념의 명료성을 뒷받침해 주기 위한 언어분석 내지 논리학의 영역에 국한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원적인 지혜에 대한 사랑으로써의 철학의 위상이 견지되어온 까닭은 무엇인가? 그것은 비록 개별과학적 노력이 모두 인간 삶의 보존과 향상을 위한 지혜에 대한 사랑이자 이성적 작업이라 할지라도 그 방법이나 전제, 목적, 결과들이 언제나 인간 삶의 보존을 위한 지혜와 지식으로 조화롭게 귀결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실제로 오늘날 분화되고 발달한 개별과학들이 이룩한 성과들 중에는 서로 갈등을 빚거나 상호 상충되기 까지 하는 경우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결국 이와 같은 개별과학들간의 갈등내지 차이들은 인간 삶의 보존과 향상을 위한 또 다른 문제들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 문제는 종국적으로 개별과학적인 영역에서의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과 분석 그리고 총체적이고도 유기적인 통합을 동시에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통적인 철학자들의 견해는 물론 현대 영미 분석철학의 태두 러셀(Rusell, B.)까지도 여전히 "철학은 제 과학의 기본개념을 명확하게 하며 상이한 제 과학을 종합하여 세계에 대한 하나의 종합적 견지를 가지는 지식"4)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분트(Wundt, B.) 또한 "철학은 특수과학에서 얻은 인식을 모순 없는 체계로 통일해 과학에서 사용되는 일반의 인식의 방법과 그 가정을 그 원리에 귀속시킬 수 있는 보편학"5)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하다면 철학의 고유한 문제영역 내지 연구대상을 우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철학은 결국 개별과학들이 다루는 그 모든 대상과 방법, 목적전체를 연구대상으로 즉, 대상일반, 방법일반, 목적일반을 그 연구대상으로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철학은 특정의 대상이 아니라 대상이라는 존재자 그 일반에 관해서, 특정의 지식에 관해서가 아니라 지식 그 일반에 관해서, 개별적 진리가 아니라 진리 그 일반에 관해서, 그리고 특정가치에 관해서가 아니라 가치 그 일반에 관해서 근본적이고도 비판적인 관점에서 탐구해 가는 것이다. 요컨데, 철학의 연구대상이 대상일반, 방법일반, 목적일반으로 나뉘어진다고 할 때 철학의 연구영역 또한 그 연구대상에 따라 세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전통적인 관점에서 철학의 주요분과로서 일컬어지고 있는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ology)은 바로 그와 같은 철학의 연구영역상의 구분에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철학은 경험의 전 영역에 있어서의 통일성을 수립하고자 시도하는 것이다."6)

그러면 여기서 가치론을 논의하기에 앞서 존재론과 인식론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해 보기로 하자. 대상일반의 차원에서 비판적이고도 근본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존재론(ontology)은 대상 모두가 어떤 근거에서건 존재하는 그 어떤 것이라는 측면에서 그 모두를 일단 존재자라고 칭하고 그 존재자에 대한 근원적인 탐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존재론이 다루는 존재라는 우리의 의식속에서건 물질적 시공속에서건 이름 붙일 수 있는 일체의 것을 다 포함하는 것으로 그 존재자 일체를 철학은 ‘세계’라 칭한다. 따라서 존재론은 바로 그 세계에 관한 근원적인 고찰이다. 다시말해 존재론은 존재자들을 범주화하고 헤아려 보는 일이다. 즉 존재자가 물질로 존재하느냐, 심적 실재로 존재하느냐, 가능으로 존재하느냐, 상상 혹은 관념으로 존재하느냐를 따져 보는 것이다. 한편, 인식론(epistemology)은 知자체에 관한 것이다. 참된 지식의 근원, 근거, 과정, 범위 등 지식 자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인식론은 개별과학적인 지식의 구체적인 내용, 즉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에 관심을 갖기 보다는 참된지식, 통합의 지식을 탐구하는 철학의 한 영역인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여기에 이어서 논의하고자 하는 가치론(axiology)과 윤리학(ethics)은 무엇인가? 價値라는 말은 무엇보다 어렵고 이해하기 곤란한 상징체계라고 할 수 있다.7) 철학자 Morris가 말한 바와 같이 이는 거창한 말(the Great Words)의 하나이며 과학, 종교, 예술, 도덕과 같이 그 자체의 의미는 다의적이고 복잡한 것이다.8) 여기서 그 의미가 다의적이고 복잡하다는 것은 인간개체와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다.9) 인간이 말하고 행위하는 것에 있어서 무엇이 바람직스럽다고 평가할 것인가? 이와 같이, 이것은 무엇이 바람직스럽고(the desirable) 무엇이 소망스러운가와 관련된다. Morris는 가치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인간이 선호하는 것 또는 선호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선호해야만(ought)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는 선호한 것(the preferred)과 선호할만한 것(the preferable), 소망한 것(the desired)과 소망할 만한 것(the desirable)과의 구분과 유사하다. 그들의 선호가 무엇이든지간에 모든 사람들이 선호하고 소망하는 일들을 하기는 하지만 -그들의 행동이 명백하게 나타나든 상징적 공언이든 간에- 진실로 가치론적인 문제가 되는 것은 그들의 소망들이 진실로 바람직한(desirable)가 이다. 다시 말해 그들이 실제로 바라는 것을 ‘소망해야만’하는가 이다."10)

결국 이 같은 가치의 문제는 ‘있는’ 세계가 아닌 ‘있어야’할 세계, 지향의 세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 같은 가치의 문제에 있어서 인간 활동이 지향하는 일체의 모든 가치들에 관한 총체적이고도 반성적인 고찰의 영역을 가치론(axiology)이라 한다. 이것은 특수한 가치들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 그 가치일반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또한 탐구한다. 따라서 가치론은 우선 가치일반의 문제 즉, 가치의 근원, 가치의 비교기준 및 근거 등을 따져 묻는다. 그리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인간의 삶의 주요 가치들의 문제들, 예를들어 善(good), 惡(bad), 正(right), 邪(wrong), 美(beautiful)와 醜(ugly) 등의 문제들을 주로 다루게 된다. Morris는 가치론의 영역을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눈다.

"가치론이라 불리우는 가치이론의 영역은 통상적으로 윤리학(ethics)과 미학(aesthetics)의 두 분파로 나눌 수 있다. 윤리학은 ‘인간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하는 행위(conduct)와 관련된 영역이고, 미학은 ‘인간이 무엇에 즐거워해야 하는가’와 같은 아름다운(beautiful) 것과 관련된 영역이다."11)

따라서 이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윤리학은 인간의 행위에 있어서 "옳음(right)과 그름(wrong)", "좋음(good)과 나쁨(bad)"의 문제의 원리를 탐구하는 가치영역인 것이다. 한편, Kneller는 윤리학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윤리학은 인간 행위에 있어서 가치에 대한 탐구이다. 윤리학은 모든 인간을 위한 행복은 무엇인가, 인간은 어떤 행위를 해야만 하는가와 같은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옳은’ 행위의 근거가 되는 ‘옳은’ 가치를 제시하는 것과 관련된다."12)

우리는 생활의 순간마다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하는 문제에 부딪힌다. 그 때마다 우리는 이에 대해 ‘무엇이 옳은가’ 또는 ‘무엇이 그른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이 때 우리의 행위나 태도는 곧 그 물음에 대한 해답이다. 행위에는 의지의 결단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가 해야할 것은 아직 하여지지 않은 것이다. 그것은 행위에 의해서 비로소 ‘존재’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행위하지 않는 한 어떠한 삶도 존재도 경험할 수가 없다. 그러면 여기서 우리의 고민은 그 행위의 기준인 ‘옳음(right)의 근거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이다. 이러한 ‘옳음’이라는 윤리적 가치는, 절대적 가치가 있는가 아니면 상황적이며 상대적인 것인가, 그것은 또 신과 관련된 것인가 그것과 무관한 것인가, 주관적인가 아니면 객관적인가, 이성적 행위와 관련된 것인가 아니면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인가, 변화하는 것인가 아니면 영원불변하는 것인가13) 등의 문제들이 서로 논쟁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들을 계속해서 논의해 보자. 다음 절에서는 가치론의 여러 영역중에서 윤리적 가치와 관련된 문제들을 관념론, 실재론, 네오토미즘, 실험론, 실존주의의 관점에서 그것을 탐구해보기로 한다.

Ⅲ. 윤리적 가치의 제 입장
인간은 인식적인 존재인 동시에 가치적 존재이다. 인간의 삶은 이 가치적 행위의 연속이다. 인간은 그들의 행위로 그들의 존재를 생성시킨다. 인간은 여러 가지 상황속에서 항상 가치있는 것을 좋아하고 선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어떤 측면에서 본다면 인간이 갖게 되는 가치가 인식보다도 더욱 행위에 의미있게 영향을 주게된다. "윤리적인 면에서의 근본적인 문제는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14) 결국 이것은 무엇을 하는 것이 옳은가의 문제로써 이러한 도덕적 가치의 문제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 주체와 상관없이 가치는 존재하는가, 아니면 인간의 인식주체가 만들어 가는 가치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두 부류의 견해에서 전자는 관념론(idealism), 실재론(realism), 네오토미즘(neo-Thomism)의 입장이며, 후자는 실험주의(experimentalism)과 실존주의(existentialism)의 입장이다. 전자의 입장에서 가치라는 것은 인간의 의지나 목적에 관계없이 존재하는 입장이며, 후자에 있어서의 가치는 인간이 만든(man-made)것으로써 실험주의는 결과의 검증을 통해서 그것이 나오며, 실존주의는 주체자의 선택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다.15) 물론 여기서 관념론은 인식론의 측면에서는 인식주체가 지식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절에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인간행위의 존재가 되는 도덕적 가치의 근거를 여러 철학파의 입장, 이른바 관념론, 실재론, 네오토미즘과 실험론, 실존주의 입장에서 탐구해 보기로 한다.

1. 관념론과 가치
관념론자들에 있어서의 가치 실재(reality)는 "우주(cosmos)에 깃들여 있는 절대적 정신(Absolute Mind)"16)이라고 본다. 이러한 절대적 정신이 인식의 기초가 되며 가치의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 혹은 ‘무엇이 옳은 것인가’의 물음에 대해서, 그 답은 절대정신을 따르라는 것이다. 인간적 자아나 개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관념론자들의 가치는 절대적 자아를 모방하는 것으로 올바른 행위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개인적 자아가 절대적 자아와 교호작용을 할 때 절대적자아가 행위의 규범을 개인적 자아에게 제시해 주게 된다고 관념론자들은 생각한다. 이러한 절대적자아가 인간에게 가치론적 원칙을 제시하면 그 원칙 속에 도덕적 행위 원칙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절대자아는 眞(truth), 善(good), 美(beautiful)의 궁극적 존재다. 다시말해 진·선·미의 완전한 통합이 절대자아라는 것이다. 이러한 절대자아의 모방(imitation)17)이 인간행위의 원리라는 것이다.

결국 관념론자들이 말하는 윤리적 행위의 근거는 절대정신, 궁극적의지(ultimate will)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지, 일반의지(general will)에서 찾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반의지는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어디서나 적용할 수 없는 행위규범인 것이다. 다시말해 "당신에게 다른 사람이 그렇게 해주기를 바란다면, 당신이 먼저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라(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n do unto you.)"18)는 황금율(Golden Rule)은 비록 기독교적 가르침으로 남아 있긴 하지만, 이러한 규범은 정당화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규범은 절대적 자아가 가진 행위규칙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보편적인 행위 원리의 법칙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칙은 개인에게 적용되면 개인적 중심의 이기적인 가치가 되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내가 더 좋은 대접을 받게 될 수 있고 자신을 위해 무엇이 가장 좋은 것인지를 개인적 측면에서 고려되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황금율의 원칙은 자신에 대한 의무를 포함하지도, 타인에 대한 의무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편적인 도덕법칙이 될 수가 없다.

그러면 관념론이 말하는 도덕법칙은 무엇인가? 관념론자들은 소우주(microcosm)인 개인적 자아는 대우주의(macrocosm)인 절대적인 존재가 제시하는 보편적인 도덕법칙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Kant는 "당신의 행위 준칙이 언제나 보편적 행위법칙의 원리에 타당할 수 있도록 행위하라(Act only on that maxism which enable you at the same time to will that it be a universal law.)"19)는 정언명령(categorical imperative)의 형식적인 원리를 제시한다. 이것은 인간의 도덕적인 행위의 근거는 인간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궁극적인 정신(Ultimate Mind)이 인간의 내부 세계에도 실천이성(practical reason)을 통해서 명령하는 행위규칙이 있다는 것이며 그것에 따른 행위를 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Kant의 정언명령이 함의하고 있는 것은 한 사람에게 옳은 일은 모든 사람에게 옳은 것이어야 하며, 한 사람에게 그른 것은 모든 사람에게 그르다는 것이다. 이것은 Kant의 도덕법칙이 인간개별자를 둘러싼 특수한 상황과는 관계없이 일간일반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며, 동시에 행위의 근거가 인간의 무조건적으로 실천적 善의지의 자율에 기초하고 있는 한 그 도덕법칙은 인간 스스로에 의해 무제약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것임을 말해준다. 결국 Kant에 있어서 도덕적인 행위의지는 자기규율적인 동시에 도덕법칙이 이성(reason)에만 자유로이 복종하는 의지인 것이다. 그것은 자신의 "내적원리(inner principles)"20)에 대한 의무감에 기초해서 행위 하는 것이다.

요컨대 관념론에서 말하고자 하는 도덕원리 또는 행위의 근거는 절대적 정신에 따르는 것이며 그 절대적 정신은 절대적 자아의 실천이성(practical reason)에 따르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의 근거는 善의지가 지향하는 보편적인 정언명령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그것에 따르는 행위가 이루어질 때 윤리적 행위가 되고 바람직한 ‘옳음’의 가치가 되는 것이다.

2. 실재론과 가치
실재론(realism)에 있어서 인간의 행위는 절대정신에서가 아니라 실재하고 있는 존재에서 나온다. 실재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Wild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말하면 첫째는, 우리는 인간의 견해나 욕구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많은 사물들로 구성된 한 세계에 살고 있다. 둘째, 이성의 사용으로 우리는 실재 그대로의 사물들에 관해 어떤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런 지식이 인간행위를 안내하는 지침이다.…… 이와 같은 인간에 대한 신념은 또한 실재론 철학의 세 가지 기본원리이기도 하다 : (1) 인간이 만들거나 구성하지 않은 진정한 존재의 세계가 있다. (2) 이 진정한 존재는 인간의 정신으로 알 수 있다. (3) 그런 지식은 개별적이고 사회적인 인간행위에 대한 유일하게 신뢰할만한 지침인 것이다."21)

실재론자들은 인식주체의 사유와 상관없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인간행위의 규칙을 다만 이성을 통해서 아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가치의 근거는 자연적 세계에 있다"22)는 것이다. 자연을 통해서 인간의 행위의 근거인 윤리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실재론은 자연적 방법을 통해서 옳고(right), 그름(wrong)의 윤리적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고 있다.23)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아가라는 말은 자연적인 형태의 행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24) 자연적이지 못한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부도덕한 행위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자연을 따른다는 것이 쾌락을 추구하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자연을 따른다는 것은 자연이 제시한 조건을 따른다는 것이다. 자연이 제시한 행위의 법칙이 영원한 궁극적 진리라면 윤리학의 절대적 법칙은 도덕적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자연의 구조속에 내재해 있는 옳고 그름의 법칙을 의미하는 것이된다. 여기서Morris가 주장하고 있는 말을 들어보자.

"자연은 중력, 열역학, 에너지 및 신진대사의 법칙, 다시말해서 만물의 모든 운동법칙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행위에 대한 법칙도 포함한다."25)

한편 실재론은 인간의 사회적 행위에 대한 법칙인 경제적·정치적 법칙까지도 자연의 법칙인 ‘수요나 공급의 법칙’이나 ‘절대적 권력의 붕괴법칙’에서 나타난 것을 이용한 것이라 보고 있으며, 그들은 개인의 행위에 있어서도 인간이 인간적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꼭 따라야할 실재적·자연적 세계의 내재적 도덕률을 따라야 한다고 보고 있다.26)

따라서 도덕법칙은 인간의 공리성(utility)을 초월하고 인간의 이익이나 욕구(desire)와도 무관하며 우주가 요규하는 행위방식만을 나타내는 법칙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재론의 도덕법칙은 Kant의 정언명령(categorical imperative)과 상당히 일치하는 것 같지만 실재론지들은 이를 부인한다. 가령, Kant는 인간의 의지를 들어 거짓말을 하는 것은 보편적 도덕법칙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비해, 실재론자들은 인간의 의지가 이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느냐의 문제를 가지고 반대하고 있다.27) 즉 실재론자들은 거짓말을 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을 자연인이 자연적인 상황속에서 살아가는 것을 구체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스스로 입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인이 거짓말을 하게 되면 그 사람을 믿지 않게 되고, 이러한 불신은 인간의 합리적 대화를 파괴하게 되기 때문"28)이라고 실재론자들은 보고 있다.

요컨대, 실재론의 가치준거는 자연법(natural law)에 있으며, 자연에 일치하는 행위가 가치있는 행위이며 옳은 행위가 되는 것이다. 자연의 세계에도 자연법이 있듯이, 인간의 세계에도 마찬가지로 도덕법칙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결국 인간이 이미 자연성이라는 실재를 가지고 있는 것에 따른 행위를 하라는 것이다. 그 자연성에 따른 행위일 때 ‘옳은’행위가 되는 것이다.

3. 네오토미즘과 가치
이 네오토미즘(neo-Thomism)29)은 19세기 후반 부터 근대의 합리주의 철학에 대한 불신과 관련하여 토마스 철학으로의 새로운 복귀로 모든 주요문제를 해결하려는 운동이 네오토미즘이다. 토미즘(Thomism)이 Aristoteles의 철학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이 네오토미즘도 실재론(realism)과 마찬가지로 그 기원을 Aristoteles의 철학을 공통으로 하고 있다.30) 실재론은 가치문제를 자연적인 필연성(natural requirement)으로 본다면, 네오토미즘은 논리적 필연성(logical requirement)으로 본다.31) 다시 말해서 네오토미즘은 세계를 논리적 체계(a logical system)로 보며, 거기에는 인간의 지성(intellect)이 조율되고 지향되는 체계라는 것이다. 이 같은 논리적 체계에서의 ‘가능태와 현실태(potentiality-and-Actuality)’의 원리가 가치의 문제에도 인식론이나 존재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적용된다.

인간은 어떤 행위를 해야하는가? 이 물음에 대한 근거를 네오토미즘은 이성(reason)에서 찾는다. Morris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선한 행위는 인간의 이성의 기능에 의해서 통제된 행위이다. 고대 그리이스의 사상을 수용하는 네오토미즘은 무지(ignorance)가 악의 근원이요 핵심이다는 것을 믿는다. 인간이 옳은 것을 알지 못하면 우연을 제외하고는 옳은 행위가 기대되어 질 수 없다. 반면에 인간이 옳은 것을 안다면, 그들이 한 행위에 책임을 부과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은 항상 옳은 것만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 문제는 그들이 옳은 것에 습관화 되지 않았다는 사실일 뿐이다."32)

이와 같이 선(goodness)은 이성으로부터 기인한다고 그들은 믿고 있는데, 이러한 이성적 행위에 대해서 가능태(Potentiality)와 현실태(Actuality)의 존재적 성격에 따르면, 네오토미즘은 "인간이라고 하는 것은 자연적으로 선(the good)에 이르도록 하는 성향이 있다."33)고 확신한다. 인간이 알고자 하는 성향이 있다는 인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존재에 대해서 인간은 善을 향하여 행위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틀림없이 이 말은 "모든 도토리가 떡깔나무가 될 운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인간은 선하다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 말은 모든 도토리가 떡갈나무가 되려하듯이 인간도 善하게 되고자한다는 성향을 누구나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34) 따라서 네오토미스트들의 가치문제는 어떤 의부의 자극없이도 인간은 자연적 성향에 근거하여 옳음을 지향하는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Aristoteles의 용어를 빌리자면 가치의 논리적 체계는 질료(matter)와 형상(form)의 계속적인 운동과정인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Morris는 계속하여 다음과 같이 비유하고 있다.

"도덕적 문제는 카누를 흘러 내리는 강하류를 따라 노를 젓는 것과 어느 정도 같은 것이다.카누의 전진방향은 노를 젓는 조건보다 이미 먼저 주어진 가정인 것이다. 이 때 카누조정자의 할 일은 얕은 여울과 위험을 피하면서 카누가 가고 있는 곳을 지켜 보는 것이며, 경제적으로 그리고 기민하게 노를 젓지 않아도 결국 귀착하게 될 카누여행의 종점에 비유될 수 있다."35)

결국 인간의 윤리적 행위는 ‘옳음’을 향하여 나아가도록 이미 창조되어져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도덕적 행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만 노를 보다 더 열심히 저을 수 밖에 없다. 카누가 가고 있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보다 신속하게 움직이게 하는 것은 물론 인간의 의지(will)다. 그러나 여기서 의지의 문제는 논외로 하겠다.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에 대해서 ‘이성의 지배에 따라 행위하라’는 것이 Neo-Thomism의 일관된 답일 것이며, 또 이미 인간은 이성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 것을 그 전제로 한다. 인간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삶의 목표인 행복은 우리 자신들의 외부에 있는 물질이나 권력, 명예에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 내부의 자연성을 실천함으로써 행복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理性이야말로 이 자연적 본성에 대해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이며, 진정한 인간행위의 근거가 바로 그것이다.

4. 실험론과 가치
실험론(experimentalism)36)에 있어서 가치는 불변의 가치를 부정한다. 관념론에서의 도덕의 보편성, 실재론의 자연적 도덕율, 네오토미즘의 내재적 이성 등의 절대적 가치 모두를 실험론은 부정한다. 이들은 인간이 경험을 통하여 부여한 가치를 초월하여서는 어느 것도 논의할 수 없다고 본다. 실험론에서는 도덕적인 옳음이 사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 자신이 바람직한 가치를 만들어간다. "인간은 마치 그들의 진리를 형성하는 사람이듯이 그들의 가치를 만들어 가는 건설자"37)인 것이다. 인간은 절대가치를 전제하지 않고 오직 경험을 통해서 가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인간이 어떤 가치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더 이상 보편적인 것으로 볼 수가 없다. 가치는 항상 어떤 특정한 상황(situation)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상황이 윤리적 문제를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실험론자들은 모든 윤리적 상황(situation)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는 욕구(desire)로 부터 발생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38) 가치판단의 기준은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어떤 경험을 다시 정리하려는 욕구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궁극적인 어떤 절대원리로부터 나올 수 없다는 것이다.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느냐의 윤리적 옳음의 문제는 "항상 일종의 인간적인 상황(context) 속에서만 고려되어져야 한다."39)는 것이다. 이들에 의하면 윤리적으로 도덕적인 문제는 인간의 행위 결과에 따라 다루어져야 한다.

가령, 어떤 A라는 사람이 호주머니에 한 푼의 돈도 가지지 못했는데, 마침 A라는 사람이 빵가게 앞을 지나간다고 가정해 보자. 그 사람은 필연적으로 ‘빵을 먹고 싶다’는 욕구(desire)가 발생할 것이다. 이 때 A라는 사람은 이와 같은 도덕적인 문제에 대해서 여러 방도의 ‘예견되는 결과(end-in-view)’를 고려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도덕적 상황에 있어서 A라는 사람은 ‘훔쳐볼까’ 아니면 ‘그냥 참을까’ ‘어디 돈을 빌려 볼까’ 등등의 지성적 작용(work)이 일어난다. 이 처럼 각각의 대안들에 대해서 A라는 사람은 그 결과(consequences)를 각각 예측해 보게된다. -훔칠 경우, 들키면 망신을 당할거야! 돈을 빌릴 경우, 체면이 말이 아닐거야! 그냥 참을 경우, 배고프지만 마음은 가볍다! 등의 결과를 예측하게 된다.- 이 때 이 결과의 예측은 A라는 사람의 지성(intellect)이 작용하여 그 상황에 대해서 각각의 대안 행위들 중에서 하나의 행위를 결국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택의 과정은 결국 A라는 사람이 그 행위 결과를 고려하여 자기 자신에게 가장 유용한 것으로의 가치형성(valuation)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의 가치형성의 과정을 거쳐 바람직한 결과가 나타났을 때 그것을 윤리적 ‘옳음’ 또는 善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도덕적인 문제상황에 직면했을 때 다양한 대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처럼 결과에 대한 관심은 윤리적인 문제에 적용된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가 하는 것은 우리가 어떤 행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준거가 된다. 이 같은 가치형성(valuation)의 과정은 과학적인 탐구방법과 유사하다. 물론 자연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하는 것과 거의 똑 같은 방식으로 검증은 비록 불가능할지라도, 도덕적인 문제 상황에 대해서 그 "결과에 대해 시험(testing of consequence)"40)을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유용한 작용을 하는 것이 선이다.(what work is good)"41)고 했을 경우, 그것은 개인적인 쾌락의 원칙만을 따른 것이 아닌가 하고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때로는 개인에게 유용한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이 사회의 공적인 결과에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다. 그래서 실험론자들은 개인 자신의 쾌락의 결과를 넘어선 보다 더 ‘광범위한 상황(wider context)’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2) 말하자면 자기혼자만의 가치가 아니라 보다 더 공적인 가치에 따라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평등이라는 개념은 사회속에서 ‘바람직하게 작용(workability)’하기 때문에 훌륭한 가치이지 보편적 진리 또는 보편적 가치이기 때문에 좋은 관념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실험론(experimentalism)의 가치는 도덕적인 문제상황 속에서 공적인 검증(the public test)의 과정을 통해서 ‘예견되는 결과(end-in-view)’를 고려하면서 나타나는 가치형성(valuing)의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가치형성의 과정(process of valuing)을 기존의 보편적 가치나 절대적 가치 이상으로 중요시 한다. 그것은 훌륭한 행위는 훌륭한 행위를 형성해가는 과정인 것이다. 따라서 실험론의 가치는 과학적 가치탐구요, 과학적 윤리라고 볼 수 있다.

5. 실존주의와 가치
실존주의(existentialism)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명제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43)는 것이다. 인간의 행위의 방식이나 행위의 규준이 되는 어떤 본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존재는 우연에 의해 세계내에 던져진 존재이므로 자신이 주체적으로 그의 삶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시 말해 실존의 존재양상이 선택이므로 실존주의에 있어서는 가치론이 그 중심이 된다.44) 인간존재는 선택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적 과정인 것이다. 이 실존의 선택은 자유적 존재를 전제로 한다. 사실, "존재한다는 것은 선택의 상황아래에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45) 존재하는 것과 선택하는 행위는 모두 같은 의미인 것이다. 존재하는 것이 곧 선택하는 것이요, 선택하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다.

실존주의의 윤리적 상황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까지도 어떤 것을 행하는 것으로 본다. 그것 철저히 자유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인간은 윤리적 문제에 접하여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하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가 없는 존재이다. 인간존재는 일상 생활의 매 순간마다 철저하게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인간의 모든 활동, 언어의 사용이나 감정의 표현등 모두는 의미있는 선택의 연속인 것이다. 실존주의자들은 절대적 가치를 인정하게 되면 도덕적 자율성을 부정하기 때문에 모든 가치의 절대성을 부정한다. 개인 주체가 철저하게 가치지향의 자유로운 선택권을 갖는다. 한 개인의 어떤 행위를 꼭 해야 하고 그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면 그 개인은 자유를 가진 존재라 볼 수 없다. 비록 다른 사람에 의해서 강요된 어떤 특정 가치를 선택 했어도 그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것이고, 그에 대한 책임도 동시에 자신이 질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서 타인에 의해 조형된 인간행위도 그 행위의 형성자체는 바로 자신 뿐이다. 왜냐하면 그는 타인에 의해서 형성된 자신을 그가 선택했기 때문에 그는 선택에 의해서 형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46)

따라서 인간이 되는 일은 선택을 하는 일이며47) 선택이란 결국 미지의 미래속으로 자신의 존재를 던지는 것이다. 말하자면, 인간존재는 우연히 세계에 던져진 "卽自的 存在(being-in-itself)"48)인 동시에 미래를 향하여 주체적으로 의미있게 자신을 던지는 "對自的 存在(being-for-itself)"49)인 것이다. 미래를 향하여 의미있게 자신을 던질 때 인간은 언제나 존재론적으로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가치적 존재인 것이다. 그러므로 실존주의에 있어서 가치는 ‘의미부여’ 또는 ‘의미지움’인 것이다. 다시 말해 실존주의에 있어서 가치는 무근거(baselessness)인 것이다. 절대적 가치나 객관적인 가치라는 것이 없다. 존재자가 대상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할 때 존재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대상에 대해서 이러한 의미지움에 따라 존재가 나타나며, 그것은 결국 선택의 결과이기 때문에 책임이 항상 수반된다. Morris는 다음과 같이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50)

"나는 궁극적으로 나의 선택에 책임이 있다. 개인은 善의 창조자이다. 그는 어떠한 다른 도덕적 권위나 요인에 대해서도 그 자신을 이해 가능한 것으로 만들 수 없다. 나는 내가 믿는 것 그리고 내가 하는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만일 내가 책임이 없는 것이 있다면 그 점에 있어서 나는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다"51)

그러므로 인간은 철저히 자유로운 존재이므로 그의 행위의 근거는 인간 주체가 대상에 대해 의미부여를 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가치는 철저히 주관적일 수 밖에 없게 된다. 만약 세계내 존재인 인간이 어떤 존재이유 즉, 본질을 가지고 이 세계에 왔다면, 그는 자신의 이유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있어서 완전한 自由人이, 되지 못한다. 실존주의에 있어서는 인간존재를 우연성과 불합리적인 성향으로 받아들이고 또 그것 없이는 진정한 자유의 설명이 불가능한 것이다. 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적 과정이며 선택은 가치가 나타나는 근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52)

요컨대 실존주의(existentialism)에 있어서 인간은 가치의 창조자인 것이다. 가치는 인간주체가 존재자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의미지우는 일인 것이다. 가치는 무근거(baselessness)이며, 철저히 주관적인 것이다. 따라서 윤리적 가치라고 하는 ‘옳음’도 인식주체자가 존재자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의미부여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말하자면 실존주의에 있어서 가치는 철저히 인간존재의 자유의 고뇌(the anguish of freedom)로 부터 나온다.

Ⅳ. 비교가치론과 도덕교육
지금까지 윤리적53) 가치의 근거를 관념론, 실재론, 네오토미즘, 실험론, 실존주의의 다섯 가지 입장에서 분석해 보았다. 관념론의 입장에서는 윤리적 가치를 절대 정신의 보편성에서 찾았으며, 실재론은 그것을 자연적인 도덕율에서, 네오토미즘은 그것을 내재적 이성에서, 실험론은 공적인 검증을 통해서 실존주의는 자유로운 선택에서 각각 그것을 찾았다. 계속해서 이 절에서는 각각의 가치론의 입장을 근거로 하여 도덕교육의 접근을 시도해 보기로 한다. 그러면 먼저 관념론의 입장에서의 도덕교육은 어떠하겠는가?

1. 관념론과 도덕교육
관념론(idealism)에 있어서의 가치는 절대정신(Absolute Mind)에서 근거하기 때문에 그러한 절대정신의 모방이 가치교육이 된다. "관념론자들이 보는 도덕교육의 문제는 사회적 전통(a social tradition)을 통해서 나타난 인간의 윤리적 행위를 분석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54)인간의 역사 속에서 그들의 전통은 그 속에 숨겨진 많은 가치적인 요소들을 함의하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전통속에 숨어있는 가치들을 학생들에게 잠재적으로 내면화 시켜 주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도덕교육이 된다. "사회적 관습(social conventions)이라는 것은 현재에 기능을 발휘하는 과거의 지혜(wisdom of the past)"55)라고 Horne은 말한다. 결국 인류가 그것이 가치있다고 따르고 중요시하는 사회적 전통이나 관습은 오랜 역사속에서 검증되고 지속되어 온 과거의 지혜의 보고인 셈이다. 그러한 과거 속에 베어 있는 절대정신 또는 절대자아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소위 그릇된 인격(bad character)이라는 것은 사회적 관습에 근거하지 않은 그릇된 욕망의 탐익으로 부터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관념론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은 학생들에게 절대정신이 내재된 사회적 관습(social conventions)을 올바르게 전달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도덕교육은 "전통전수의 매카니즘(tradition transmitting mechanism)"56)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중한 전통적인 유산을 영속화시켜 가는 사회적, 문화적 도구가 도덕교육인 셈이다. 인간이 오랜 역사를 통해서 이루어진 전통과 느린 속도로 축적된 신념체계가 우주의 궁극적 진리와 善(good)의 근사치(approximation)이며, 그러한 전통과 신념체계에 가까이 젊은이들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한다는 것이다.57)

이러한 도덕교육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상징수단(medium of words and symbols)’을 통해서 가장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역사나 문학과 같은 교과목은 이러한 도덕교육을 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교과목이 될 수 있다.58) 이러한 관념론의 입장에서 우리의 도덕교육을 비추어 보았을 때, 현재초등학교의 도덕교과의 커리큘럼이 절대정신의 유산을 상당히 많이 간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행 도덕교과의 내용은 지나치게 인지중심 즉, 판단력 중심의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관념론의 입장에서의 인성교육은 많이 무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념론의 입장에서 도덕교육은 우리의 ‘도덕교과 교육’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좀 더 부언하자면, 우리의 전통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신화나 문학, 예컨데 단군신화, 심청전, 춘향전 등의 내용을 도덕교과 교육 내용에 반영해야 한다. 왜냐하면 거기에 도덕적 내용이 아주 풍부하게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우리의 민족이 가지고 있는 도덕적 전통들 속에는 인간의 소우주적 정신과 윤리적 양심이 제시되어져 있으며 그들 속에서 정의감과 사랑이 자연스럽게 싹틀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견해에 대해서 Morris의 말을 들어보자.

"문학의 분야는 도덕적 내용을 상당히 지니고 있다. 그 유명한 ‘작은 붉은 암탉(Little Red Hen)’은 단지 하찮은 이야기만은 아니다. 그것은 상당한 메세지를 담고 있는데 아이들에게 전달하는 자립심의 德을 일러준다. ‘아기돼지 삼형제(Three Little Piggies)’는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상당한 내용을 담고 있다.…… 헨젤과 그레텔(Hansel and Gretel)과 같은 이솝우화의 동화는 모두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도덕의식을 성장시키는데 기여를 한다."59)

한편, 관념론자들은 위대한 사람(hero)을 통하여서도 올바른 도덕교육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순신 장군, 세종대왕, 유관순 등의 전기나 자서전을 통하여서도 아동들은 절대적 자아(Absolute self)에 가까운, 자신보다 위대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위대한 인물의 업적, 용기, 관용 등을 통하여 아동들은 훌륭한 그들의 삶의 방식이나 윤리적 준거를 배우게 된다는 것이다. 관념론의 도덕교육자들이 파악하고 있는 이 같은 인물들은 ‘완전한 인간(Infinite Person)’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동들은 그들의 삶을 윤리 규범으로 모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관념론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은 절대정신에 근거한 위대한 전통을 해석하고 그것과 대화하며 그것을 모방(imitation)하는 일이다.

2. 실재론과 도덕교육
인간이 만들거나 구성하지 않은 진정한 존재의 세계가 독립적으로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실재론(realism)에 있어서의 가치의 所在는 자연적 세계에 있다. 그럼으로 실재론의 도덕교육도 역시 자연성에 그 근거를 둘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도덕율(moral law)의 근원을 자연법(natural law)에 두기 때문이다.

실재론자에 있어서 관념론적 도덕교육의 접근 방식은 사소한 감상으로 보여질지도 모른다. 그것은 관념론적 도덕교육이 아동들의 실제적 경험 세계 속에서의 도덕교육까지는 접근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것에 비해서 실재론자들은 실재의 세계인 자연의 세계가 아동들의 올바른 행위를 하도록 한다고 보고 있다. 즉, 자연을 직접관찰함으로써 도덕적인 면을 학습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60) 다음의 경우를 보자.

"우리는 아동에게 물새와 참새의 습관을 보여주고, 그들의 새끼들에게 먹이를 먹이고 날도록 가르쳐 주는 것을 아동에게 보여준다. 우리는 가정에서 애완 동물을 키우고, 초등학교 교실에서는 햄스터(hamsters)와 거북이, 금붕어를 키운다.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우리는 그것에 대해 알든지 모르든지 간에, 암암리에 자연(Nature)이 지원하고 유지시키는 삶(생명)에 대해서 아동들이 놀라운 태도를 갖도록 하게 한다."61)

아동들에게 동물을 직접 관찰하게 하고, 어미가 새끼들을 어떻게 양육하며 도와주는지를 알아보도록 하면, 자연의 세계 속에서 생물들이 놀라울 정도로 생명체를 유지하는 법칙을 아동들이 배우게 될 것이다. 이는 아동들이 생활자체에서 나타나는 도덕성을 느끼게 하여 학습자의 마음에 생명체의 존엄성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재론에 있어서 도덕교육은 아동들에게 자연의 생동감 있는 장면을 직접 관찰케 함으로써 성립하는 가치교육인 것이다. 즉 관념론에서의 허구적인 전설이나 인간적 훌륭한 인물을 통하는 도덕교육을 반대한다. 왜냐하면 인간의 가치내면화는 바로 자연의 과정을 지켜봄으로써 발견되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자들도 자연상태를 관찰하여 도덕법칙을 찾아내는 데에도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있다. 아동들은 성장함에 따라 동물세계의 낭만적 유형이 나타나게 되면 자연에서 생각하여 낸 도덕성에 대해 회의적이게 된다.62) 그러지만, 생물학, 화학, 물리학을 공부할 때에도 자연적인 도덕성을 등한시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과목들은 아동들에게 자연에 대한 절대적질서(order)를 제공할 것이다.

실재론자들에 있어서 이성이 발달안된 아동들에게 조건형성(conditioning)을 통해서 자연적 과정(natural processes)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건화를 통해서 한국적인 도덕 교육이 또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다시말해 아동들이 자연속에 내재해 있는 가치를 발견하기 전에도 조건화의 도덕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말은 결국 ‘습관화’를 통하여 도덕교육이 가능함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요컨대, 실재론에서의 도덕교육은 자연적 도덕율에 근거한 자연의 직접적인 관찰을 통한 자연적 과정이며, 조건화를 통한 행위규칙의 훈련인 것이다.

3. 네오토미즘과 도덕교육
善한 행위의 궁극적인 기준으로써 理性(reason)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다. 네오토미즘(Neo-Thomism)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목표는 바로 이성의 개발인 것이다. 그러므로 Neo-Thomism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입장은 실재론(realism)과 유사하다.63) 특히 인간의 의지를 훈련시킨다는 측면에서 더욱 그렇다. 그 이유는 Neo-Thomism이나 실재론의 근본사상은 Aristoteles의 철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Neo-Thomism의 절대이성에 대한 가치론적 입장은 훌륭한 행위에 대한 궁극적인 기준이 있다고 본다. 이성의 능력을 훈련시키고 발전시킨다는 것은 학습자의 도덕교육을 위한 중요한 교육목표가 된다. 이러한 도덕교육 목표를 실재론의 조건형성(conditioning)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Neo-Thomist의 도덕교육의 전제는 이성의 철저한 훈련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신의 이성적인 힘이 절정에 이르도록 하여 그 결과로 어떤 행위의 ‘옳음’과 ‘그름’의 잠재적 이해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64)

그러면 Neo-Thomism에 있어서 도덕교육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접근해 보기로 하자. 그 첫째의 단계65)는 ‘의지(will)’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다. Neo-Thomist에 의하면 도덕교육은 의지의 교육인 것이다. 의지는 잠재적인 상태이긴 하지만 아동들에게 존재하는 지성과 아주 흡사하다. 의지는 도덕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두번째의 단계66)는 보다 직접적인 의지의 훈련이다. 의지를 단련시키기 위해서 모든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의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과업을 주고 그것을 실제로 해 보게 하는 것이다. 마치 아이들이 이성(reason)을 기르기 위해 수학의 어려운 문제를 풀듯이, 도덕교육에 있어서 의지를 길러주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한다.

"학교에서 아이들이 어렵고 하기 싫은 과업을 부과한다. 아아들에게 이것을 완전해질 때까지 엄격히 실시한다. 즐겁지 않는 일에 의지력을 적용해 봄으로써 아이들을 장래에 보다 더 활기찬 도덕적 의무에 대한 준비로써 그의 의지를 단련시킬 기회로 삼게한다."67)

"네오토미즘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마지막 단계는 비로 교리문답(catechism)이다."68) 교리문답이란 기계적 기억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불변의 정답을 얻도록 하는 도덕교육이다. 한 번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배우게 되면 학습자들은 도덕적 진리를 학습하여 어떤 생각도 할 수 없이 궁극적인 진리를 배우게 된다. 이는 모든 진리가 교리문답(catechism)속에 존재하게 됨을 암시한다. 그들은 이 의미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모든 도덕적 진리와 규범은 지금 교회교리인 ‘안전한 보관소(safe-deposit boxes)’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있다. 이 같은 진리와 문답형태로 행해지기도 하고 암기로도 행해진다면, 아동들은 도덕교육을 받았다고 말할 수 있게 된다."69)

즉, 이성과 의지의 훈련을 원용하여 그 결과로 교리문답(catechism) 수업을 함으로써, 교회의 네오토미사트들은 윤리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내용을 부과한다. 그 한 전형적인 예가 성교육(sex education)의 문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오토미즘의 도덕교육은 엄격한 이성적 행위의 훈련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가치의 근거가 이성(reason)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네오토미즘에 있어서 도덕교육은 가치의 불변성에 근거하기 때문에 실험론에서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4. 실험론과 도덕교육
실험론(experimentalism)에 있어서 가치론은 네오토미즘의 가치론과는 반대의 입장에 있다.70) 네오토미즘은 이성이라는 절대적 가치의 입장이나 실험론은 가치에 있어서 상대적이요. 상황적이다. 따라서 실험론에 있어서의 가치는 상황적 행위와 관련된 것이며 경험적인 근거(empirical ground)에서 찾지 종교적인 근거에서 찾지 않는다. "행위는 언제나 특수하고 구체적이며 개별화 되어 있고 독특한 것이기에 수행되어야 할 행위에 대한 판단 역시 특수해야 한다."71) 그러므로 개개의 도덕적 상황에서 특유하게 나타나는 최고선, 최고 가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지성에 의거한 탐구가 있어야 한다. 여기서 실험론에서의 도덕적 가치는 "삶의 과정 그 자체(the process of living itself)인 것이다."72) "성장 그 자체가 유익한 도덕적 목적이기"73)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론의 교육자들이 보는 도덕교육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것을 배운다’는 이론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74) 실험론의 도덕교육은 도덕적인 상황에서 아동들이 그 결과를 경험케함으로써 학습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가령, 아동들에게 받아들이기를 바라는 구체적인 도덕적 가치로 ‘차례지키기’와 ‘기회균등’의 원칙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다음 이야기는 이러한 가치를 어떻게 학습시킬 것인가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현재 운동장에 그네가 있다. 쉬는 시간에 20명의 아동이 와서 10명이 그네 뛰기를 원했다.여기서 하나의 문제상황이 나타난다. 어떻게 그네를 타는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일어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몇 가지의 경우가 있을 것이다. 우선 힘의 우위에 따라 그네를 타게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교사는 그네 타기를 금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실험론의 입장에서의 교사는 차례지키기(taking turns)라는 것을 제시하고 아동들은 이에 따라 그네타기를 해 볼 것이고 차례지키기의 결과 그것이 무간섭주의나 금지보다 월등히 좋다는 것을 알게되면 차례지키기의 도덕적 경향성은 아동들이 도덕적 자아속에 내면화 될 것이다."75)

이와 같이 아동들은 그들이 줄을 서서 차례로 타는 행위를 직접해 봄으로써 그 방법이 가장 좋다는 결과를 가지게 된 것이지, 이성의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따라서 아동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이러한 도덕적 행위를 학습하게 된다. 즉, "어린이는 그들의 삶에 의해서 일어나는 행동이나 이해의 수준을 형성하는 실제 환경속에서의 적용을 통한, 다시 말해서 얼마나 그것이 유용하게 작용하는가에 따라서 이러한 도덕적 행위를 학습하는 것이다."76) Kilpatrick은 이러한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본다 : (1) 개개의 어린이는 그의 삶을 학습하고, (2) 어린이는 그가 행위의 마음 속 깊이 받아들이는 만큼 학습하고, (3) 어린이는 그에게 중요하다는 정도에 따라 그리고 그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의 의미있는 관련의 정도에 따라 학습하고, (4) 마침내 그가 학습한 것은 즉시 그의 인격(character)이 된다."77)

학습자가 사고(thought)속에서 뿐만 아니라 외현적 행위(conduct)를 통하여 배워야 하는 것이 실험론의 도덕교육이며, 학습자에게 경험의 세계를 검증할 수 있도록 도덕적 상황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그러한 도덕적 상황을 아동 스스로가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도덕교육인 것이다. 즉 학습자 스스로가 여러 가지 더 좋은 대안들 중에서 보다 더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을 찾아내도록 하는 학습인 것이다.78)

성교육(sex education)에서와 같이 학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면, 현재의 사회에서 어떠한 해결책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또한 어떠한 해결책이 있었는지를 간접경험이나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학습자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학습자의 도덕적 해결책이 사회적 경험에서 나타나는 공적도덕(public moral)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더 많이 사고하도록 하여야 한다. 요컨데 실험론(experimentalism)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은 가치가 공적인 검증(the public)의 유용성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삶을 통하여 공적인 도덕적 표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학습인 것이다.

5. 실존주의와 도덕교육
실존주(existentialism)에 있어서의 가치는 인식주체자의 자유에서 기인하는 존재에 대해서 의미부여이며, 객관적인 ‘옳음’이라는 세계는 없다. 가치는 개인이 창조해 간다는 점에서 실험론의 그것과 비슷한 점이 있다.79) 그러나 실험론의 과학적 방법을 통한 가치 그 자체가 교조적인 것이며 사회적인 것이다. 그것을 개인의 자유성에 근거한 가치가 아니다. 따라서 실존주의의 가치는 앞절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실험론의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가치 해명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실험론이 가치를 개인이 형성하는 것에서 사회적인 공공의 가치에 부합되는 공리성에로 그것을 찾았기 때문에 개인의 절대적인 주체를 강조하는 실존주의와는 다르다. 따라서 실존주의에 있어서 인간은 유니크(unique)한 존재이므로 인간은 도덕성을 창조하는 존재이지 무분별하게 추종하는 존재가 아니다. 실험론에 근거한 도덕교육은 개인의 주체, 자각, 자아 등의 실존은 인정하지 않는다. 다음 Kneller의 말은 실존주의 교육을 단적으로 지적하는 말이 될 것이다.

"실존주의자들은 문제 중심의 방법론(problem-centered methodology)이 상당히 비개인적(impersonal)이며 비생산적(unproductive)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문제(problem)라는 것이 사회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들의 사회적 의무에 있어서 개인(individual)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80)

실존주의에 있어서 가치는 "인간 개개인의 모든 ‘가치지움(valuatiou)’의 궁극적인 기초"81)가 되기 때문에, 도덕교육도 결국 그 개인에게 관심을 돌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존주의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목표는 완전한 ‘자아의 해방(the release of individual)’이요, ‘본래적 자아로의 회복인 것이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본래적 자아로의 각성을 시켜주는 일련의 과정인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인간들이 ‘자기(a self)’가 되기 보다는 ‘大衆(the one)’이 되는 것이 덜 두렵기 때문에 현대인은 놀랍게도 자기가 아닌 다수를 위한 제도나 장치를 많이 가지고 있다.82) 이러한 견해에서 실존주의에 있어서 도덕교육은 대중속에 매몰되어 있는 인간에서 다시 본래의 자기로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그들의 도덕교육은 학생들에게 삶의 의미를 제시해 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스스로 발견하고,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여기서 학습자 자신이 교육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도덕교육은 학습자가 주체가 아니라 객체로 전락한 때가 많았으며, 아동이 고정된 가치체계를 추종하고 모방하도록 강요했던 교육이었다. 이 때의 교육의 주체는 교사가 되고 객체는 아동이 된다. 이러한 교사와 아동의 관계는 Buber가 분석한 ‘I-it83)(주체-객체)’의 관계가 되어 버린다. 이러한 I-it의 관계는 참다운 삶의 의미나 가치를 자각 할 수가 없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들에게 실존적 자각을 불러일으키게 할 수 있을까? Buber는 그것을 ‘對話(dialogue)’에서 그것을 찾는다. ‘I-thou(주체-주체)’84)의 관계 속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자신이 누구인지를 발견하도록 한다. "대화란 상대방에 대하여 주체성을 갖는 개체간의 대담이다."85) 나 인식주체와 너 인식주체가 상호만남을 통하여 가치를 형성하는 것이 그의 대화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교사의 상호 인식주체의 담론을 통하여 새로운 세계의 지평을 여는 것이 대화인 것이다. 교사의 아동의 주체적 만남에서 그들은 서로의 내면 세계를 제공함으로써 가치를 창조해 가는 것이다. 주체적 인격이 서로 만남으로써 자신을 각성하고 자신의 본래적 자아의 모습을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존적 도덕 교육은 고대 희랍의 Socrates에게서도 그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대화적 변증론을 통하여 인간이 잠시 잊어버린 진리와 가치를 회복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김종문 교수는 「대화학습의 도덕교육」에서 ‘대화’와 ‘대화학습’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화의 삶은 너 타인과의 만남의 장이다. 그것은 논의와 행위가 상호작용하는 의사소통적 삶의 마당이며 또한 합당한 응답이 이루어지는 이야기 마당이다. 그것은 합의의 기쁨을 교류하여 진리와 함께 기뻐하는 사랑의 마당이다. 대화가 열리는 삶의 마당에서 너와의 만남은 행복을 공유하는 삶의 멋이다. 이러한 대화의 삶 안에서 타인들과 나 주체는 서로가 서로의 간절한 그리움으로 된다. 나와 타인들과의 만남이 열리는 대화의 교실은 가르치는 자가 진리와 가치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자가 진리를 이야기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는 삶의 마당이 된다."86)

그러므로 실존주의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은 아동과 교사가 주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대화를 강조하는 교육이다. 왜냐하면 가치는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도 아니고 절대적인 표준이 있는 것도 아닌, 오로지 자신이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대화를 통한 서로의 만남은 인격적인 만남이 되고 보다 더 많은 새로운 이해의 세계를 창조해 나간다. 이러한 주체적 만남의 도덕교육은 새로운 존재의 세계를 형성하고 그 새로운 존재에 대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본래의 자아, 자아의 완전한 해방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러한 ‘자아의 완전한 해방’은 철저한 개인의 ‘책임’이 동시에 수반되는 도덕 교육인 것이다.

Ⅴ. 맺음말
인간은 어떤 행위(행동)를 하고 있는가, 인간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 인간은 무엇을 하도록 해야 하는가? 이 세 물음 가운데 첫번째의 물음은 인간의 심리적 성향의 문제로써 가치중립적인 행동현상의 사실적 물음이다. 그러나 두 번째의 물음은 가치와 관련된 윤리적 혹은 당위적 행위의 가치적 물음이며, 세 번째의 물음은 가치교육의 한 영역인 도덕교육 혹은 윤리교육의 물음인 것이다. 지금까지 이 글은 이 세 물음 가운데 두 번째, 세 번째의 가치적 물음과 가치 교육적 물음에 대한 그들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서로 비교해 보는 것이었다.

인간은 행위의 존재다. 인간의 모든 삶은 행위의 연속이다. 이러한 인간의 행위에 있어서 그 것은 다양하다. 인간은 사회적 삶 속에서 때로는 일상적이고 습관적인 행동을 하며, 생명체로써 기질적·감각적 활동도 하고, 때로는 타인으로부터 존경을 받기도 하고 비난을 받기도 하는 등의 평가적 행위를 하고 있다. 인간은 어떤 삶이든 간에 행위로 부터 결코 벗어날 수가 없으며, 행위는 당위적이기 때문에 가치중립적일 수가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은 모든 행위는 실천적이기 때문에 가치중립적일수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생활의 매순간 마다 ‘무엇을 해야할 것인가’의 문제와 부딪힐 수 밖에 없는 존재다. 인간은 행위를 통해서 그들의 존재를 형성시켜간다. 그러한 존재들이 그들의삶이 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했다.

본 논문은 ‘인간행위’의 근거로써 가치가 어디서 기원하고 있고 또 그것이 어떻게 작용하고 기능하는가 하는 그 논쟁들의 관점을 비교하여 보는 것이 그 첫째 목적이었으며, 그러한 가치론의 여러 입장은 다른 도덕교육의 양상을 안내하게 된다는 것을 논증하려는 것이 그 다음 목적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탐구하기 위해 철학에 있어서 가치와 가치론의 개념을 먼저 밝히었으며, 인간행위의 여러 가지 중 윤리적 가치의 여러 견해를 탐구하였으며, 이 윤리적 가치들의 근거를 안내하는 도덕교육을 각각 접근해 보았다. 그러나 이 글에서 일관되게 주장하는 주요논점은 역시 도덕교육은 결국 인간행위의 근거인 가치의 그 기원과 그 작용이 다양한 만큼 그것도 다양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가치의 문제는 ‘있는’ 세계가 아닌 ‘있어야’ 할 세계, 지향의 세계를 말한다. 가치문제에 있어서 인간활동이 지향하는 일체의 모든 가치들에 관한 총체적이고도 반성적인 고찰의 영역이 가치론이다. 이것은 특수한 가치들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 그 가치일반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탐구한다. 따라서 가치론은 가치일반의 문제 즉, 가치의 근원, 가치의 비교기준 및 근거 등을 따져 묻는 영역인 것이다. Morris는 이 가치론의 영역을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는데 그것이 윤리학의 영역과 미학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윤리학의 가치영역만을 다루었는데, 특히 관념론, 실재론, 네오토미즘, 실험론, 실존주의의 입장에서 그것을 분석해 보았다.

이 다섯 철학파의 윤리적 가치론의 입장과 그것이 안내하는 도덕교육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관념론(idealism)에 의하면, 가치 실재(reality)는 우주(cosmos)에 깃들여져 있는 절대정신(absolute mind)인 것이다. 그들이 말하는 가치의 근거는 절대정신에 있으며, 그 절대정신은 절대적자아를 따르는 것이다. 이 절대적 자아를 Kant는 실천이성이라고 명한다. 이것은 善의지가 지향하는 보편적인 정언명령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절대정신에 근거한 관념론에서의 도덕교육은 절대정신이 축적된 전통을 이해하고 그것을 모방하는 것이 된다. 둘째로 실재론(realism)에 의하면, 가치근거는 자연법(natural law)에 있으며 자연에 일치하는 행위가 가치있는 행위라고 본다. 자연의 세계에도 자연법칙이 있듯이 인간의 내부에도 도덕법칙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도덕법칙은 자연성에 따르는 것이라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법에 근거한 실재론의 도덕교육은 자연의 직접적인 관찰을 통한 자연적 행위과정을 익히는 것이며, 조건형성(conditioning)을 통한 행위규칙의 훈련인 것이다. 세째로 네오토미즘(neo-Thomism)에 의하면, 가치근거는 엄격한 이성(reason)에 있다는 것이다. 이성이 인간행위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성에 근거한 도덕교육은 이성적 행위를 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다. 이성적 행위의 훈련을 하기 위해서 교리문답(catechism)과 학생들에게 실천을 통한 의지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하게 된다. 네째로 실험론(experimentalism)에 의하면, 가치는 공적인 검증(public test)의 과정을 통해서 유용한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에 있다는 것이다. 즉 이것은 ‘나타날 결과를 고려(end-in-view)’하여 개인이 가치를 형성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공적인 검증의 결과에 근거한 도덕교육은 전체적 삶을 통해서 공적인 도덕적 표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다섯째로 실존주의(existentialism)에 의하면, 그들의 가치는 인간주체가 존재자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의미지우는 것이다. 가치는 무근거(baselessness)이며, 인식주체가 인식대상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의 도덕교육은 아동과 교사가 주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대화를 강조하는 교육인 것이다. 왜냐하면 가치라는 것은 철저히 자유로운 선택의 과정이므로, 완전한 자아의 해방이 그들이 말하는 도덕교육이 된다. 따라서 실존주의에 있어서 도덕교육은 세계와의 대화인 것이요, 해석인 것이다. 대화를 통해서 가치가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그들은 본다.

이와 같은 다섯 철학파의 가치론은 다음과 같은 윤리설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관념론, 실재론, 네오토미즘은 모두 절대주의 윤리설을 유도하고 실험론, 실존주의는 상대주의 윤리설을 유도한다.

관념론은 법칙론(deontology)적 윤리설을 안내하고, 실재론은 목적론(telelogy)적 윤리설을 안내하고, 자연주의 윤리설을 안내하게 된다. 네오토미즘은 목적론적 윤리설과 종교적 윤리설을 강조하게 된다.

이 처럼 다른 윤리설은 인간행위의 다양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인간행위의 가치근거가 다양하고 도덕원리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들이 주장하는 도덕교육도 결국 그것에 따라 필연적으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가치가 인간의 정신세계를 초월한 절대정신에 있다면 그러한 절대정신을 개발시켜주는 도덕교육이 필요할 것이며, 가치가 자연적인 규칙속에 있는 자연성이라면 그러한 자연적 정신을 개발시키는 도덕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가치가 종교적인 이성에 있다면 그러한 이성적인 능력을 개발시켜 주어야 하고, 가치가 공적인 검증의 결과에서 발생한다면 도덕교육은 그러한 가치문제 상황을 아동들에게 직접 제공해야 한다. 가치의 근거가 없다면, 만남과 대화를 통해서 참의미를 형성시키고 창조시켜 주어야 한다. 요컨대 인간의 윤리적 행위는 그 가치근거가 다양한 만큼 그것도 역시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도덕원리, 가치근거를 서로 인정해 주는 ‘배려의 윤리’가 오늘날 포스트모던시대의 사회에 요청되는 대목인 것이다.




--------------------------------------------------------------------------------

참고문헌
김종문(1984). 「도덕과 교수법연구」, 서울 : 형설출판사.
김종문(1995). 「대화학습의 도덕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김태길(1991). 「윤리학」, 서울 : 박영사.
한전숙·이정호(1996). 「철학의 이해」, 서울 :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Barrett, W.(1958). Irrational Man, A Study in Existential Philosophy. New York : Doubleday & Company, Inc.,
Denton, D. E.(1974). Existentialism and Phenomenology in Education. New York : Columbia Univ.
Dewey, J. (1959).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 The Macmillan co.
Dewey, J. (1965).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Boston : The Beacon Press.
Frankena, W. K.(1973). Ethics. New Jersey : Prentice-Hall, Inc.
Horne, H. H.(1931). This New Education. New York : Abingdon Press.
Kneller, G. F.(1958). Existentialism and Education. New York : Philosophical Library.
Kneller, G. F.(1971).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Morris, V. C.(1966). Existentialism in Education. New York : Harper & Row, Ine.
Morris, V. C. & Pai, Y.(1976). Philosophy and the American School. Boston : Houghton Mifflin Co.
Ozmon, H. A & Graver, S. M.(1995).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New Jersey : Prentice-Hall, Inc.
Sahakian, W. S.(1974). Ethic :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Problems. New York : Harper & Row.
Thiroux, J. P.(1977). Ethic : Theory and Practice. California : Glencoe Publishing Co., Inc.
Wild, J.(1948). Introduction to Realistic Philosophy. New York : Harper & Bros, Inc.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ed. N. B. Henry, Part I, 1942). "Philosophy of Education from the Experimentalist Outlook", Chapter II in Philosophies of Education, Forty-First Yearbook. Chicago : the Society.

--------------------------------------------------------------------------------

각 주
1 ‘인간의 모든 행위(활동)’는 행동(Action)과 행위(Conduct)로 나뉜다. ‘Action’은 심리적 특성이고 감각적이며 욕구적인 움직임이다. 이에 반해 ‘Conduct’는 사회적 현상이며 인간관계적 행위이며, 가치 판단적 행위이다. 따라서 ‘Action’은 인간이 눈물흘리고, 손발을 움직이며, 걷고 뛰는 등의 인간의 심리적 욕구로부터 나오는 활동인 것이다. 그런데 ‘Conduct’는 인식 주체자의 주체적 판단에서 비롯된다. 다시 말하면, ①도덕적 행위(moral conduct), ②부도덕적 행위(immoral conduct), ③ 무도덕적 행위(amoral conduct), ④ 비도덕적 행위(nonmoral conduct)로 나뉜다. 도덕적 행위(moral conduct)는 인간의 사회적 삶 속에서 옳음(right)과 좋음(good)의 문제와 관련된 행위이며, 부도덕한 행위(immoral conduct)는 그름(wrong)과 나쁨(bad)의 문제 즉,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 하는 행위이다. 무도덕적 행위(amoral conduct)는 도덕감(moral sence)이 없는 행위이다. 예컨대 정신질환자나 유아의 행위는 그들이 그들의 행위가 옳은지(right) 혹은 그른지(wrong)를 알지 못하고 하는 행위들이다. 비도덕적 행위(nonmoral conduct)는 도덕성(morality)의 영역 밖의 문제다. 예를 들어 차(car), 총(gun)은 그 자체로는 immoral도 moral도 아니다. 그러나 인간이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moral이 될 수도 immoral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인간의 모든 삶와 활동은 ‘행동(Action)’과 ‘행위(Conduct)’로 다음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moral conduct의 근거인 "옳음", 즉 right의 所在를 알아 보고 그것들이 안내하는 도덕교육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2 김종문, 「도덕과 교수법연구」, 서울 : 형설출판사(1984), p.14.
3 H.A. Ozmon and S.M. Graver,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New Jersey : Prentice-Hall, Inc. 1995, p. xvi.
4 B. Russell ; 한전숙, 이정호,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1996), p.9, 재인용.
5 W. Wundt ; 한전숙, 이정호, 앞의책, p.9, 재인용.
6 George F. Kneller,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New York, J. Wiley, 1971), p.4.
7 Van Morris and Young Pai, Philosophy and the American School, Boston : Houghton Mifflin Co., 1976, p.220.
8 Ibid., p.220.
9 Ibid, p.220.
10 Ibid., p.221.
11 Ibid., p.224.
12 George F. Kneller, op. cit., p.29.
13 Ibid., p.26.
14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246.
15 Ibid., p.247.
16 Ibid., p.250.
17 Ibid., p.251.
18 Ibid., p.252에서 재인용.
19 I. Kant, V. C. Morris < Y. Pai, op cit., p.253, 재인용.
20 Ibid., p.253.
21 John Wild, Introduction to Rralistic Philosophy(New York : Harper and Bros., 1948) p.6 ;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6, 재인용.
22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256
23 Ibid., p.256.
24 Ibid., p.256.
25 Ibid., p.256.
26 Ibid., p.256.
27 Ibid., p.258.
28 Ibid., p.258.
29 네오토미즘(neo-Thomism)은 실재론의 한 분파다. 실재론(realism)은 크게 합리적 실재론(rational realism)과 자연적 실재론(natural realism) 또는 과학적 실재론(scientific realism)으로 나눌 수 있다. 다시 합리적 실재론은 고전적실재론(classical realism)과 종교적 실재론(religious realism)으로 나뉜다. 여기서 네오토미즘(neo-Thomism)은 종교적 실재론에 속한다.
30 Ibid., p.261.
31 Ibid., p.261.
32 Ibid., p.262.
33 Ibid., p.262.
34 Ibid., p.262.
35 Ibid., p.262.
36 실험론(experimentalism)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실용주의(pragmatism), 진보주의(progressivism) 등의 용어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구주의’는 인간의 지성은 그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 또는 도구라고 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실용주의’는 유용성이 진리이며, 가치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진보주의’는 종래의 전통적인 철학과는 달리 상당히 혁신적인 것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여기서 experimentalism을 굳이 ‘경험주의’라 하지 않고 ‘실험주의’ 또는 ‘실험론’이라고 쓰는 이유는 전통적인 철학의 방법과는 상당히 대조적으로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가치론 영역의 연구방법이 특히 그와 같은 과학적 검증방법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세이후 근대(mordern)의 경험주의 인식론과 구분하고자 함이다.
37 Ibid., p.269.
38 Ibid., p.269.
39 Ibid., p.269.
40 Ibid., p.270.
41 Ibid., p.271.
42 Ibid., p.271.
43 J. P. Sartre ; H. A. Ozmon and S. M Craver,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New Jersey : Prentice-Hall, Inc., 1995, p.249. 재인용.
44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274.
45 Ibid., p.274.
46 G. F. Kneller, op. cit, p.73.
47 D. E. Denton, Existentialism and Phenomenology in Education (New York, Columbia Univ., 1974), p.38.
48 J. P. Sartre ; H. A. Ozmon and S. M Craver, op. tit, p.249, 재인용.
49 J. P. Sartre ; E A Ozmon < S. M. Crarer, op. cit., p.249, 재인용.
50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277.
51 V. C. Morris, Existentialism in Education (New York, Harper < Row, 1966), p.32.
52 Ibid., p.39.
53 윤리(ethics)와 도덕(morals)은 어원적으로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ethics는 희랍어의 ethos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의미는 character라는 개인의 기질과 관련되며, 한 문화의 본질적인 기풍과 관련된 것이다. morals는 라틴어의 mos 또는 moris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의미는 관습(custom)이나 예절(manner)을 뜻한다. 또 moris의 복수형인 mores는 습관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원적으로는 ethics는 개인의 기질 또는 성격을 의미하고, morals는 개인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언어에서 ethics와 morals는, 윤리적이니 도덕적이니 비윤리적(unethic)이니 부도덕(immoral)이니 하는 식으로 거의 같은 의미로 차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전문적인 학자들사이에도 구별없이 쓰는 경향이 잇다. 그러나 철학에 있어서, 인간행위의 원리나 가치의 근거를 의미하는 도덕철학(moral philosophy)으로 사용할 때 ‘윤리(ethic)’라는 말을 많이 쓰고, 그러한 행위원리나 가치근거에 따라 사람들의 심성(心性)이나 덕행(德行)을 가르킬 때 ‘도덕(morals)’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그래서 이 글에서도 이 두 말을 뚜렷이 구분하여 쓰고 있음을 밝혀둔다. ethics와 morals의 의미를 좀 더 분명히 하고자 하다면 Thiroux, J. P. Ethics : Theory and Practice(Californis : Glencoe Publishing Co., Inc., 1977, pp.2∼32.)을 참조하길 바란다.
54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292.
55 H. H. Horne, This New Education(New York : Abingdon Press, 1931), p.182.
56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286.
57 Ibid., p.286.
58 Ibid., p.292.
59 Ibid., p.293.
60 Ibid., p.294.
61 Ibid., p.294.
62 Ibid., p.294.
63 Ibid., p.297.
64 Ibid., p.297.
65 Ibid., p.297.
66 Ibid., p.298.
67 Ibid., p.298.
68 Ibid., p.298.
69 Ibid, p.299.
70 Ibid., p.300.
71 J. Dewey,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Boston : The Beacon Press, 1965, p.165.
72 J.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 The Macmillan Co., 1959, p.282.
73 J. Dewey,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Boston : The Beacon Press, 1965, p.177.
74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302.
75 Ibid., p.302.
76 Ibid., p.303.
77 W. H. Kilpatrick, "Philosophy of Education from the Experimentalist Outlook", Chapter II in Philosophies of Education, Forty-First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ed. N. B. Henry, Part I (Chicago : the Society, 1942), p.69.
78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303.
79 Ibid, p.305.
80 G. F. Kneller, Existentialism and Education(New York : Philosophical Library, 1958), p. 135.
81 V. C. Morris and Y. Pai, op. cit, p.306.
82 W. Barrett, Irrational Man, A Study in Existential Philosophy, New York : Doubleday < Company, Inc., 1958, p.220.
83 M. Buber ; E A Ozmon < S. M. Graver, op. cit, p.264, 재인용.
84 M. Buber ; Ibid., p.264, 재인용.
85 G. F. Kneller, op. cit, p.80.
86 김종문, 「대화학습의 도덕교육」, 서울 교육과학사(1995), pp.23-24.

--------------------------------------------------------------------------------

이력사항

최정웅
(Choi, Jungwoong)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허재복
(Hur, Jaebok)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