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서론
2.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분석
2.1. 쓰기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2.2. 국어지식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2.3. 쓰기 영역 내용과 국어지식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비교
3. 조사 기간, 대상 및 방법
1) 조사 기간
2) 조사 대상
3) 조사 방법
4. 문장쓰기의 실태 및 지도 방법
4.1. 문장구조
4.1.1. 문장구조 사용 실태 분석
4.1.2. 문장구조 지도 방법
4.2.문법 지식 사용
4.2.1. 문법 지식 사용 오류 현상
4.2.2. 문법 지식 오류 교정 지도 방법
5. 결론
--------------------------------------------------------------------------------
발행자명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학술지명 한국초등국어교육
ISSN
권 19
호
출판일 2001. . .
류성기
1-074-0102-02
<요 약>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문장쓰기에 있어서의 오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문장의 길이가 너무 길고 문장의 구조가 복잡하여 오류 문장이 생기는 경우이고, 둘째는 문법적 오용으로 인하여 오류 문장이 생기는 경우이다.
문장이 길고 복잡하여 생긴 문장쓰기의 오류는 문장을 짧고, 간단한 문장구조를 가진 문장으로 바꾸어 씀으로써 바른 문장으로 쓰게 할 수 있다. 논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초등학교 2학년의 경우 한 문장의 어절 수가 8어절 이상이면 어려운데, 10어절 이상이면 오류 문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4학년의 경우에는 10어절 이상이면 어려운데 13어절 이상이면 오류 문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법적 오용으로 인한 오류문장은 전반적인 문법 내용에 걸쳐 오류가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법지식들을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에게 모두 다 가르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이 모르는 사실은 문법적인 지식이지 문장이 맞았는지 틀렸는지가 아니다. 결국 문장의 오류를 문법지식적으로 설명은 할 수 없지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는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구어적 방법으로 오류문장 고치기를 하면 되는데, ‘문장 오류 발견하기→문법 규칙 의식 갖기→ 구어적 방법으로 문법 오류 고치기→글쓰기와 오류 고쳐보기’의 단계를 거쳐 지도하면 될 것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errors in the sentences of the second and four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 The first one is that a sentence is too long and too complex. The second one is that they used to write ungrammatical sentences. I studied that the seco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used to write ungrammatical sentences when they are beyond 10 words, sentences and fourth grade beyond 13 words, sentences. So teachers must teach students a sentence writing in regard of the fact.
The second and four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made grammatical errors in a sentence. There are tenses, honorific words, particles, word order etc in the grammatical errors. Though there are no instruction contents about grammar in the curriculum, teachers must teach the contents. But the teaching method is not grammatical but ungrammatical method, that is to say, spoken method. The step of teaching the contents is ´The discovery of a sentence error→The consciousness of grammatical rules→Correct the sentence errors by spoken method→Writting and correct sentence errors´
--------------------------------------------------------------------------------
1. 서론
학생들은 글쓰기를 매우 어려운 일이라 생각한다. 아마 이러한 관념 속에는 글은 멋진 글, 감명을 주는 글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하고 있어서 그러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관념을 떨쳐 버리기 전에는 글쓰기에 쉽게 접근해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멋진 글, 감명을 주는 글을 쓰기란 그렇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쉽게 글쓰기에 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학생들에게 그러한 관념을 떨쳐 버리고, 글을 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좋은 글, 감명을 주는 글을 쓰도록 하기보다는 오히려 정확한 글, 체계적인 글을 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작가가 아닌 이상에야 굳이 감명을 주는 글을 쓸 필요가 없다. 오늘날 초등학교의 글쓰기에서는 학생 모두를 작가로 만드는 글쓰기 교육을 시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 마저 든다고 한다면 너무 과민한 반응을 보인 것일까?
학교 교육에서는 정확하게 문장을 쓸 수 있고, 그러한 문장들로 문단을 구성해 가며, 또 그러한 문단들이 한 편의 글을 이루어 가는 체계적인 글쓰기에 만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비록 그것이 감동을 주지 않는다 해도, 문장 체계, 문단 구성에 맞게 기록해 가는 것을 교육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래야 학생들이 쉽게 글쓰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편의 글은 여러 개의 문단들로 구성되어 있고, 또 한 문단은 여러 개의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한 문장을 바르게 쓰지 못한다면 좋은 글이 될 수 없다. 그런데 초등학생들이 쓴 글의 문장들을 보면 문장쓰기에 있어 너무나 많은 오류들을 범하고 있다. 그래서 논자는 학생들의 글쓰기 활동에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문장쓰기의 실태는 어떠한지를 조사해 보고, 나타난 현상을 바탕으로 하여 문장쓰기에 대한 지도 방법을 찾아보기로 하겠다.
논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고, 제3장에서는 문장쓰기 실태 분석을 위한 조사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제4장에서는 문장쓰기의 실태 및 지도 방법에 대하여 논하겠으며, 제5장에서는 논의를 종합 정리하겠다.
2.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분석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장지도와 관련된 사항은 쓰기 영역과 국어지식 영역에 나타난다. 먼저 쓰기 영역에 나타난 내용을 제시하고, 다음에 국어지식영역에 나타난 내용을 제시하겠다. 그리고 이들을 비교하여 보겠다. .
2.1. 쓰기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1)
1학년
(4) 낱말이나 문장을 정확하게 받아쓴다.
기) 들려주는 낱말을 정확하게 받아쓴다.
심) 들려주는 문장을 정확하게 받아쓴다.
2학년
(4) 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정확하게 표현한다.
기) 그림의 내용을 생각해 보고, 그 내용을 문장으로 쓴다.
심) 이어진 그림의 내용을 생각해 보고, 그 내용을 문장으로 쓴다.
3학년
(2) 문장부호의 종류와 쓰임을 알고, 바르게 사용한다.
기) 문장부호의 종류와 쓰임을 안다.
심) 글자본을 보고 온점, 반점, 따옴표 등의 문장부호를 바르게 쓴다.
6학년
(6) 표현의 효과를 고려하여 문장을 고쳐 쓴다.
기) 표현의 효과를 고려하여 자신이 쓴 글의 문장을 고쳐 쓴다.
심) 표현의 효과를 고려하여 다른 사람이 쓴 글의 문장을 고쳐 쓴다.
위 지도내용을 보면 1학년 때에는 들려주는 문장을 받아쓰는 활동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받아쓰는 활동이 낱말의 수준인가 아니면 문장의 수준인가 하는 차원이지 글쓰기 활동이 아니다. 그러나 잠재적 지도는 되겠다. 글쓰기와 관련하여 문장쓰기 활동이 시작하는 학년은 2학년 때부터이다. ‘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활동’이니 글쓰기 활동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수준은 어느 문장의 수준인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단문으로 쓰는 활동인지, 복문으로 쓰는 활동인지 알 수 없다. 다만 기본활동과 심화활동을 보면 ‘(기)그림의 내용을 생각해 보고, 그 내용을 문장으로 쓴다.’와 ‘(심)이어진 그림의 내용을 생각해 보고, 그 내용을 문장으로 쓴다’. 로 되어 있으니 하나의 문장으로 쓸 수 있기도 하고, 접속어미 ‘-고, -나’등을 사용하여 중문이나 복문으로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또는 접속부사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등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문장을 이어 쓸 수도 있을 것이다. 3학년에서는 문장의 부호를 정확하게 쓰도록 하여 온전한 문장을 구사하도록 하였다. 6학년에서는 문장을 쓰고 다듬는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표현의 효과를 고려하여 문장을 고쳐 쓰는’지도를 하도록 하였으니 수사학적 문장쓰기 지도를 하도록 하였다. 문장을 정확하게 쓰느냐 안 쓰느냐의 문제라기보다는 효과적인 문장을 쓰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관한 것이다.
2.2. 국어지식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2학년
(2) 문장 안에서 꾸며 주는 말의 기능을 안다.
(기)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 주는 말을 찾는다.
(심) 문장에 꾸며 주는 말을 덧붙여 뜻이 자세한 문장을 찾는다.
3학년
(1) 우리말에는 어순이 있음을 안다.
(기) 주어진 낱말을 순서에 맞게 연결하여 문장을 만든다.
(심) 문장 안에서 낱말의 순서를 바꾸어 보고, 순서를 바꾸어도 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을 구별한다.
4학년
(2) 문장의 종류를 안다.
(기) 여러 종류의 문장을 보고 각 문장이 풀이하는 문장, 묻는 문장, 느낌을 나타내는 문장, 시키는 문장, 제안하는 문장 중에서 어떤 것인지 말한다.
(심) 풀이하는 문장, 묻는 문장, 느낌을 나타내는 문장, 시키는 문장, 제안하는 문장을 구분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한다.
5학년
(3) 문장 성분의 개념과 기능을 안다.
(기) 문장을 몇 개의 성분으로 나누고, 각 성분이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말한다.
(심) 여러 문장에서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성분을 찾는다.
6학년
(1) 언어에는 규칙이 있음을 안다.
(기) 문법에 맞지 않는 말을 찾아보고, 국어에 규칙이 있음을 발견한다.
(심) 언어의 규칙이 왜 필요한지 친구들과 토의한다.
2학년에서는 문장 내에서의 수식어와 피수식어에 대한 내용을 지도하여 그 기능이 무엇인가를 알도록 하여 학생들이 좀더 효과적으로 글쓰기를 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는 꾸며 주는 말의 개념, 종류 알기 및 종류에 따른 꾸며 주는 말의 기능 알기 등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3학년에서는 우리말에 어순이 있음을 알아 어순에 맞게 문장쓰기를 하도록 한 것이다. 우리말 어순의 개념, 중요성, 기본 어순을 알도록 지도하여 문장 구조에 맞는 문장 만들기를 하도록 하였다. 4학년에서는 문장의 종류를 알아 다양한 유형의 문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5학년에서는 문장 성분의 개념과 기능을 알아 학생들이 문장 구성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문장 성분의 개념, 종류, 종류에 따른 문장 성분의 기능을 알아 문장 구성의 원리를 파악하고, 문장 구성 능력의 기초를 다지도록 하였다. 6학년에서는 일반적인 그리고 총괄적인 차원에서 언어에 규칙이 있는데 이 규칙에 맞게 사용하여야 언어 사용이 바르고 정확하다는 것을 알게 하였다.2)
2.3. 쓰기 영역 내용과 국어지식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 관련 내용 비교
지금까지 쓰기 영역과 국어지식 영역에 나타난 문장쓰기에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여 보았다. 이제 이 둘을 비교하여 보도록 하자.
<표 1> 쓰기 영역과 국어지식 영역의 문장쓰기 관련 내용 비교
지도 내용
쓰기 영역
국어지식 영역
비고
생각을 문장으로 쓰기
2학년
문장부호 사용
3학년
효과적인 표현의 문장쓰기
6학년
수식어와 피수식어 사용
2학년
어순의 사용
3학년
문장의 종류
4학년
문장 성분
5학년
언어(문장)의 규칙
6학년
우리는 <표 1>을 보면 교육과정상에 있어서도 영역 내에서 또는 영역간에 상호 계열성 및 관련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영역 내에서 보면 쓰기 영역에 2학년의 지도내용이 문장쓰기인데, 3학년에서는 문장쓰기의 부분적인 요소인 온점, 반점, 따옴표 등을 지도하도록 되어 있어 지도 내용의 계열성에 있어 뒤바뀐 점이 보인다. 국어지식 영역에 있어서도 3학년의 지도 내용이 어순의 사용에 대한 것인데, 5학년에서 문장성분에 대한 것을 지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어순은 문장성분에 따라 배열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문장성분에 대한 것을 단순히 이론적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면 이들의 지도내용의 계열성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영역간의 지도내용에 있어서도 계열성 및 관련성을 갖고 지도내용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쓰기 영역에서는 2학년 때에 문장에 관한 지도를 하도록 하였는데, 국어지식 영역에서는 3학년에서 어순을 지도하도록 하였다. 이 둘은 상호 관련된 것으로 같은 시기에 가르쳐야 할 내용이다. 또 쓰기 영역에서는 문장부호 쓰기를 3학년에 하도록 하였는데, 국어지식 영역에서는 문장의 종류를 4학년에서 지도하도록 하였다. 문장의 종류에 따라 문장 끝에 붙이는 문장부호도 같은 시기에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지도 내용들이 지도 내용 정도는 서로 다르겠지만 그래도 같은 영역 내에서 또는 다른 영역과 상호 관련지어 잘 지도하도록 제시되었어야 할 것이다.
3. 조사 기간, 대상 및 방법
1) 조사 기간
2001. 6. 18 - 6. 23.
2) 조사 대상
내 용
지역
학교명
학년
대상 학생수
문장쓰기
경남 하동군
옥종 초등학교
2
34
경남 진주시
봉곡 초등학교
2
40
경남 하동군
옥종 초등학교
4
25
경남 진주시
봉곡 초등학교
4
35
3) 조사 방법
조사 대상을 정함에 있어서는 혹 있을지도 모르는 지역적 차별성을 고려하여 농촌 지역 학교와 도시 지역 학교에서 한 학교씩을 정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두 학교를 정함은 두 지역의 문장쓰기를 비교하려는 의도에서가 아니라 초등학생들의 보편적 문장쓰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다. 그렇기 때문에 논자의 판단에 농촌과 도시 지역의 문장쓰기 능력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이상 이들을 구별하지는 않겠다.
대상 학년을 정함에 있어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문장쓰기에 대한 지도 내용이 처음으로 제시되어 있는 2학년과 문장의 부호, 어순을 배우고 난 후(3학년 때에), 문장 종류에 대한 내용까지 배우게 되는 4학년이 대상이 되었다. 이렇게 두 학년을 선택한 이유는 첫째, 5학년에서 문장의 성분에 대한 것을 배우고, 6학년에서 효과적인 문장쓰기,언어 규칙에 대한 것을 배우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문장쓰기에 대한 것은 4학년까지는 익혀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둘째는 4학년은 문장을 넘어 문단쓰기로 들어가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4학년 때에 문장쓰기에 대한 것이 완성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조사 자료가 되는 글의 제목은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쓰기에 어려움이 없을 내용인 ‘가족’으로 하였다. 그리고 담임 선생님에게 부탁하여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쓰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제목에 대한 일체의 사전지도를 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래서 평소의 문장쓰기 능력 그대로를 보이도록 하였다.
4. 문장쓰기의 실태 및 지도 방법
문장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비교적 완전하게 나타낼 수 있는 최소의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글쓰기를 할 때 그러한 문장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주로 문장구조와 문법적 지식의 사용 면에서 알아보기로 하겠는데3), 먼저 이들에 대한 사용상의 오용 실태를 알아보고, 다음으로 지도 방법을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4).
4.1. 문장구조
문장의 구조는 단문과 두 문장 이상으로 이루어진 문장(중문, 복문, 내포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문의 문장구조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물론 이들 요소들의 앞에는 관형어나 부사어 등의 수식어가 존재할 수 있다.
(1) 단문의 문장구조
가. 영희가 예쁘다. (주어+서술어)
나. 영희가 과자를 먹는다. (주어+목적어+서술어)
다. 영희가 코가 예쁘다. (주어+보어+서술어)
라. 영희가 철수를 팔을 잡았다. (주어+목적어+목적어·서술어)
문장은 (1)과 같이 문장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둘 이상의 문장이 결합하여 하나의 문장을 이루고 있는 문장들이 있다. (2가)와 같이 단문이 대등구조로 결합된 중문이 있고, (2나)와 같이 단문이 종속구조로 결합된 복문이 있다. 그리고 (2다)와 같이 문장 속에 안긴 구조를 이룬 내포문이 있다.
(2) 가. 나는 학교에 가고, 너는 집에 갔다. (중문)
나. 철수는 과자를 먹으면서, 책을 보았다. (복문)
다. 키가 큰 철수는 농구를 잘 한다. (내포문)
그런데 글쓰기를 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장구조에 적합한 문장을 써야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를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다. 이제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글쓰기에서의 문장구조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지 살펴보자.
4.1.1. 문장구조 사용 실태 분석
2학년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문장의 구조는 다양하다. 우선 한 학생의 글을 예로 들어 보이기로 하겠다. 조사대상이 된 2학년 전체 글 중에서 ‘중상’(中上)5)에 속한 글이다.
가족
00초등학교 2학년 이0선
(1)우리 가족은 8명입니다. (2)할아버지, 아빠, 엄마, 삼촌, 나, 그리고 동생 3명. (3)우리 집은 식을벅적 가족이예요. (4)우리 할아버지께서는 국수를 좋아하세요. (5)왜 국수냐면 쫀득쫀득하시다고 맛있으시데요. (6)우리 아빠께서는 집 짓는 일을 하세요.(7)우리 먹고 살 돈을 벌기 위하여 비 올 때는 안 가시지만 매일 가세요. (8)아빠께서는 힘들게 일하시는데 저희들은 공부하며 뛰어 놀기만 하니 하지만 나중에 커서 꼭 가족들을 행복하게 해 주고 싶어요 (9)아참! (10)우리 엄마께서는요 학교 갔다 오면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주셔요. (11)저는 세상에서 엄마께서 해 주시는 음식이 제일 맛있어요. (12)왜요? (13)엄마 정성이 들어 가셔서요. (14)개구쟁이 우리 2명의 동생 정민이와 우리 귀염둥이 막내 동생 태우 어저깬 깡통으로 입술을 박아서 입술에 피가 났다.(15)정민이는 왜 개구쟁이라면 집에만 가면 나를 놀래키고 그래서 개구쟁이죠. (16)어쩔 땐 저가 잠잘 땐 머리를 뜯고 발로 막 차고 그렇지만 저는 그 동생이 귀여워요. ((?? ? ?) 숫자 및 띄어쓰기는 논자가 임의로 한 것임)
위 예를 보고 어떠한 구조의 문장이 쓰였는지 살펴보자.
(3) 가. 주어+서술어 구조
(1) 우리 가족은 8명입니다.
(3) 우리 집은 시끌벅적 가족이예요.
(13) 엄마 정성이 들어 가셔서요.
나.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
(4) 우리 할아버지께서는 국수를 좋아하세요.
다. 복문 구조
(10) 우리 엄마께서는 학교 갔다 오면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주셔요.
(14) 개구쟁이 우리 2명의 동생 정민이와 우리 귀염둥이 막내 동생 태우 어저깬 깡통으로 입술을 박아서 입술에 피가 났다.
라. 다중복문 구조
(8) 아빠께서는 힘들게 일하시는데 저희들은 공부하며 뛰어 놀기만 하니 하지만 나중에 커서 꼭 가족들을 행복하게 해 주고 싶어요
마. 다중복문+중문
(15) 정민이는 왜 개구쟁이라면 집에만 가면 나를 놀래키고 그래서 개구쟁이죠.
바. 내포문 구조
(6) 우리 아빠께서는 집 짓는 일을 하세요
(11) 저는 세상에서 엄마께서 해 주시는 음식이 제일 맛있어요.
사. 내포문+다중복문 구조
(7) 우리 먹고 살 돈을 벌기 위하여 비 올 때는 안 가시지만 매일 가세요.
아. 복문+내포문 구조
(5) 왜 국수냐면 쫀득쫀득하시다고 맛있으시데요.
자. 생략문
(2) 할아버지, 아빠, 엄마, 삼촌, 나, 그리고 동생 3명.
차. 단어문
(9) 아참!
(12) 왜요?
글을 한 편 더 보기로 하자 이 글은 조사대상의 2학년 학생 전체 글 중에서 ‘중하’(中下)에 속한 글이다.
가족
00초등학교 2학년 조0선
(1)우리 가족은 아빠, 엄마, 나, 동생2 이렇게 5가족입니다 (2)아빠는 새벽 일찍 일어나 일을 하러 가십니다. (3)엄마께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 가계 일을 하십니다. (4)나는 일찍 일어나 학교 갈 준비를 합니다. (5)여동생은 잠꾸러기입니다. (6)그래서 나는 여동생을 깨웁니다. (7)우리 남동생은 아직 애기라서 잘을 깰까봐 조심조심 준비를 합니다 (8)왜냐하면 깨면 울고 학교에 가고 싶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9)그래서 우리 엄마가 달래면 누나하고 부릅니다. (10)왜 하고 대답하면 파워디지몬 칼이나 총 또는 백과사전을 사달라고 합니다. (11)그러면 저는 응 하고 대답하면서 뒤돌아서 학교를 즐겁게 갑니다. ( ?? ? ?)숫자 및 띄어쓰기는 논자가 임의로 한 것임)
위 예를 보고 어떠한 문장이 쓰였는지 살펴보자.
(4) 가. 주어+서술어 구조
(1) 우리 가족은 아빠, 엄마, 나, 동생2 이렇게 5가족입니다
(5) 여동생은 잠꾸러기입니다.
나.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
(6) 그래서 나는 여동생을 깨웁니다.
다. 복문 구조
(2) 아빠는 새벽 일찍 일어나 일을 하러 가십니다.
(3) 엄마께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 가계 일을 하십니다.
(4) 나는 일찍 일어나 학교 갈 준비를 합니다.
(9) 그래서 우리 엄마가 달래면 누나하고 부릅니다.
라. 복문+복문 구조
(7) 우리 남동생은 아직 애기라서 잘을 깰까봐 조심조심 준비를 합니다
마. 내포문(인용문)+복문 구조
(10) 왜 하고 대답하면 파워디지몬 칼이나 총 또는 백과사전을 사달라고 합니다.
(11) 그러면 저는 응 하고 대답하면서 뒤돌아서 학교를 즐겁게 갑니다.
바. 복문+중문+내포문 구조
(8) 왜냐하면 깨면 울고 학교에 가고 싶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제까지 예로 든 글의 수준은 조사대상이 된 2학년 학생들의 글 중에서 ‘중상’과 ‘중하’에 속한 글이다. 학생들은 단문으로서 간단한 수식어가 있는 (3가), (4가)와 같은 ‘주어+서술어’구조의 글이나 (3나), (4나) 같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의 글은 비교적 잘 쓰고 있다. (3다), (4다)와 같은 복문이나 (3바)와 같은 내포문의 경우에도 문장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비교적 잘 쓰고 있다. 그러나 (3라,마,사)와 같이 다중복문이나 내포문을 포함하고 있는 복문의 경우에 문장이 길어지면 비문이 되거나 결속력이 약화되고 만다. 이러한 현상은 위 글을 쓴 두 학생에게만 나타난 현상이 아니고, 비록 글쓰기에 있어서 수준 차이는 나지만, 전체 학생들의 경향이다. 몇 예를 제시해 보겠다.
(5)가. 이런 것이 바로 가족간의 애틋한 형제간의 가족이란 말은 언제 들어온 정이 듬뿍 담긴 사랑 그 자체가 아닌까요?( 00초등학교 2학년 김0훈)
나. 그리고 한 살 차이인 우리 언니는 내가 5살 때부터 샤워를 시켜 주고 모든 것을 양보해 주고 또 언니가 6살 때 유치원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내가 울면은 반으로 달려와서 나와 같이 있어 주었다. (00초등학교 2학년 하0비)
다. 아빠 엄마가 돈을 많이 벌이면 피아노, 씽씽카를 사 주신면 공부와 엄마 아빠 말 잘 든지를 한다고 약속을 했습니다. (00초등학교 2학년 임0종)
라, 우리 아빠는 해 조라 하는 것은 다 해 주고 엄마는 아빠가 술을 먹고 들어와 어머니가 힘들어 하신다. (00초등 2 오0승)
(5가-라)는 문장이 너무 길어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전달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제 4학년 학생들의 문장구조 사용 실태를 고찰해 보자.
가족
00초등학교 4학년 신0영
(1)우리 가족은 어려울 때 도와주고 힘들고 슬플 때 주는 소중한 가족이다.
(2)우리 가족은 아버지, 어머니, 동생, 나 네 명이다. (3)아버지께서는 장식점을 하시고, 어머니께서는 집안일을 하신다. (4)아버지께서는 한문을 잘 쓰시고 책을 읽는 것을 아주 좋아하신다. (5)어머니께서도 책과 요리를 만드는 것을 좋아하신다. (6)내 동생은 아직 2학년이다. (7)내 동생은 원래 1학년인데 생일이 빨라서 일찍 학교에 들어가서 2학년이다. (8)그래서 그런지 내 동생이 친구들과 놀 때면 어리게 행동한다. (9)그래도 나는 내 동생이 참 좋다. (10)장난꾸러기여서 어쩔 때는 나를 아주 괴롭히긴 하지만 ‥‥
(11)나는 4학년이고 피아노를 좋아한다. (12)커서 꿈도 피아니스트이다.
(13)나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 피아노 학원에서 열심히 연습한다. (14)나는 이런 가족이 있는 것이 참 자랑스럽다.(15)나와 내 동생은 틈만 나면 싸운다. (16)내 동생은 고집이 많아서 얼핏하면 나에게 화를 낸다. (17)싸울 때 어머니 아버지께서 동생 편을 드셔서 내가 함부로 덤빌 수 없게 된다. (18)하지만 나는 그런 것에 상관없이 큰 소리를 치면 내 동생은 금세 울어 버린다. (19)내 동생는 나에게 지면서도 계속 덤비는 것이 참 웃기다. (20)언젠가는 내 동생이 착해졌으면 좋겠다. (21)아버지께서는 출장을 많이 가시고 어머니께서도 자주 일하러 나가셔서 집에는 외할머니께서 오실 때가 많다. (22)그럴 때마다 고생하시는 어머니 아버지께서 무척 힘드시겠다는 생각이 든다.
(23)내 동생이 어머니 아버지를 속상하시게 만든다.
(24)집에 가면 동생에게 그런 버릇을 고쳐라며 충고를 할 것이다.
(25)그리고 어머니, 아버지 말씀을 잘 듣고 앞으로도 행복한 가족이 되었으면 좋겠다. (?? ? ?) 숫자 및 띄어쓰기는 논자가 임의로 한 것임)
위 글은 4학년 학생의 글 중에 수준이 ‘중상’(中上)에 속한 학생의 글이다. 이 학생의 문장구조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하다. 문장구조 면에서 2학년 학생의 글보다는 좀더 복잡해졌다. 그러나 사용하는 문장구조의 오류에 있어서는 2학년과 별 다름이 없다. 즉 단순한 문장구조의 글은 오류가 적지만 (6바-카) 같은 복잡한 문장구조의 글에는 오류 내지는 비효과적인 표현이 많다는 것이다.
(6)가. 주어+서술어 구조
(2) 우리 가족은 아버지, 어머니, 동생, 나 네 명이다.
(6) 내 동생은 아직 2학년이다.
(9) 그래도 나는 내 동생이 참 좋다.
나. 중문
(3) 아버지께서는 장식점을 하시고, 어머니께서는 집안일을 하신다.
(11) 나는 4학년이고 피아노를 좋아한다.
다. 복문 구조
(10) 장난꾸러기여서 어쩔 때는 나를 아주 괴롭히긴 하지만 ‥‥.
(13) 나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 피아노 학원에서 열심히 연습한다.
(16) 내 동생은 고집이 많아서 얼핏하면 나에게 화를 낸다.
(20) 언젠가는 내 동생이 착해졌으면 좋겠다.
라. 다중복문 구조
(7) 내 동생은 원래 1학년인데 생일이 빨라서 일찍 학교에 들어가서 2학년이다.
(8) 그래서 그런지 내 동생이 친구들과 놀 때면 어리게 행동한다.
마. 내포문 구조
(5) 어머니께서도 책과 요리를 만드는 것을 좋아하신다.
(14) 나는 이런 가족이 있는 것이 참 자랑스럽다.
(15) 나와 내 동생은 틈만 나면 싸운다.
(22) 그럴 때마다 고생하시는 어머니 아버지께서 무척 힘드시겠다는 생각이 든다.
(23) 내 동생이 어머니 아버지를 속상하시게 만든다
바. 중문+내포문
(4) 아버지께서는 한문을 잘 쓰시고 책을 읽는 것을 아주 좋아하신다.
(25) 그리고 어머니, 아버지 말씀을 잘 듣고 앞으로도 행복한 가족이 되었으면 좋겠다.
사. 내포문+복문 구조
(17) 싸울 때 어머니 아버지께서 동생 편을 드셔서 내가 함부로 덤빌 수 없게 된다.
(18) 하지만 나는 그런 것에 상관없이 큰 소리를 치면 내 동생은 금세 울어버린다.
(19) 내 동생는 나에게 지면서도 계속 덤비는 것이 참 웃기다
아. 중문+복문+내포문
(21) 아버지께서는 출장을 많이 가시고 어머니께서도 자주 일하러 나가셔서 집에는 외할머니께서 오실 때가 많다.
자. 복문+내포문(인용문) 구조
(24) 집에 가면 동생에게 그런 버릇을 고쳐라며 충고를 할 것이다.
차. 다중내포문
(1)우리 가족은 어려울 때 도와주고 힘들고 슬플 때 주는 소중한 가족이다.
카. 불명
(12)커서 꿈도 피아니스트이다.
4학년 글을 한 편 더 보기로 하자. 이 학생의 글은 조사 대상이 된 4학년 전체 학생의 글 중에 ‘중하’(中下)에 속한 학생의 글이다.
가족
00초등학교 4학년 김0진
(1)우리 가족은 모두 4명 입니다.
(2)아버지, 어머니, 언니, 나입니다.
(3)아버지께서는 건축가 일을 하시고 어머니께서는 조리사 일을 하십니다.
(4)물론 언니와 나도 빠질 수 없지요.
(5)언니는 고등학교 1학년이고, 나는 초등학교 4학년입니다.
(5)우리 가족의 장점은 모두 서로를 아끼고 위한다는 것입니다.
(6)저희 아버지께서는 오래 전부터 건축가 일을 하셨는데, 지금까지도 그 일을 열심히 하셔서 모두에게 칭찬을 받습니다.
(7)그리고 저희 어머니께서는 조리사 일을 많이 하시고 잘 하셔서 음식도 잘 하시고 조리사 자격증을 따셨습니다.
(8)그리고 우리 언니는 제가 모르는 단어도 가르쳐 주고, 공부도 잘 합니다.
(9)나는 별 잘하는 것은 없지만 저희 가족의 귀염둥이입니다.
(10)하지만 저는 언니의 공주병 때문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1)저는 특히 책 읽는 것과 신나게 노는 것을 좋아합니다.
(12)그리고 외식을 할 때에는 다정히 손을 잡고 갑니다.
(13)나는 언니와 잘 싸웁니다.
(14)나는 이런 가족이 무척 좋습니다.
(? ? ? ?) 숫자 및 띄어쓰기는 논자가 임의로 한 것임)
위 글은 비교적 문장구조가 단순한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류 문장이 별로 없다. 그러나 (7아)와 같은 복잡한 문장은 의미의 전달이 비효과적이다.
(7) 가. 주어+서술어 구조
(1) 우리 가족은 모두 4명입니다.
(2) 아버지, 어머니, 언니, 나입니다.
(10) 하지만 저는 언니의 공주병 때문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3) 나는 언니와 잘 싸웁니다.
(14) 나는 이런 가족이 무척 좋습니다.
나. 주어+목적어+서술어
(11) 저는 특히 책 읽는 것과 신나게 노는 것을 좋아합니다.
다. 중문
(3) 아버지께서는 건축가 일을 하시고 어머니께서는 조리사 일을 하십니다.
(5) 언니는 고등학교 1학년이고, 나는 초등학교 4학년입니다.
(8) 그리고 우리 언니는 제가 모르는 단어도 가르쳐 주고, 공부도 잘 합니다.
라. 복문 구조
(9) 나는 별 잘하는 것은 없지만 저희 가족의 귀염둥이입니다.
마. 다중복문 구조
(6) 저희 아버지께서는 오래 전부터 건축가 일을 하셨는데, 지금까지도 그 일을 열심히 하셔서 모두에게 칭찬을 받습니다.
바. 내포문 구조
(4) 물론 언니와 나도 빠질 수 없지요.
(5) 우리 가족의 장점은 모두 서로를 아끼고 위한다는 것입니다.
사. 내포문+복문 구조
(12) 그리고 외식을 할 때에는 다정히 손을 잡고 갑니다.
아. 중문+복문+중문
(7) 그리고 저희 어머니께서는 조리사 일을 많이 하시고 잘 하셔서 음식도 잘 하시고 조리사 자격증을 따셨습니다.
지금까지 4학년 학생의 글 두 편을 보았다. 2학년 학생의 글보다는 전체적으로 문장의 길이가 길고, 내용의 수준도 높다. 그리고 문장구조상으로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것보다는 훨씬 복잡한 구조의 문장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장 구조에 대한 지도도, 언어 이론적 방법이 아닌 언어 생활적인 방법을 이용해서라도,충분히 해야 할 필요를 느끼게 해 준다.
지금까지 두 편의 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학년 학생의 글에서도 문장구조가 복잡하면 문장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표현이 비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현상은 두 학생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몇몇의 다른 학생의 글에서 이러한 오류를 찾아보자.
(8) 가. 그 이유는 아빠와 엄마에게 물어 보니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그러시는 것이다. (00초등 4학년 공0욱)
나. 왜냐하면 저를 키워 주셔서 제가 어른이 되면 보담을 해 보고 싶기 때문에 건강해야 하고 또 기쁜 일은 외식하는 것과 일을 열심히 하는 것과 무엇인지 열심히해서 기쁘고, 슬픈 일은 친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신 것입니다. (00초등학교 4학년 양0지 )
다. 왜냐하면 무슨 일이 있으면 짜증나고 화가 나도 서로 그 일을 도와 주고 나누어 주고 해서 화목하고 서로 힘든 일을 나누어 맞아 주고 서로 좋아하고 해서 행복하고 화목한 가정이다. (00초등학교 4학년 김0빈)
라. 내가 4 때와 2학년 때 제주도에 가서 삼촌께서 회사에 다니며 쉬는 아파트가 있다. (00초등학교 4학년 김0봉)
4학년의 글에서 (8)과 같은 문장을 찾는다는 것은 어렵지 않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러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4학년이 되어서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확한 문장으로 표현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교육과정상 4학년에서는 문단쓰기 단계로 들어간다. 그런데도 위와 같이 하나의 문장마저 제대로 쓰고 있지 못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4.1.2. 문장구조 지도 방법
지금까지 살펴 본 바에 의하면 초등학교 2학년 또는 4학년 학생이라 하더라도 문장 기술력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 최소한 단문, 중문, 복문은 물론이려니와 단순한 내포문까지도 잘 쓰고 있다. 초등학교 2학년 또는 4학년 학생이 잘못 쓰거나 결속력이 약한 문장을 쓰고 있는 것은 다중 복문, 중문과 복문의 다중 결합문, 복문과 내포문 등이 다중 결합된, 그것도 문장의 길이가 매우 긴 문장이다6).
그렇다면 이와 같이 문장에 대한 어학적 지식은 없어도 중문, 복문, 내포문 등의 문장쓰기를 할 수 있고, 그러나 복잡하고 긴 문장의 경우에는 비문이나 결속력이 약한 문장쓰기를 하는 학생들의 문장쓰기는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첫째, ‘바른 문장쓰기 인식하기’를 지도한다. 자신이 쓴 글이나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읽고 오류 문장을 찾아내어 보고, 오류 문장이 있음으로 인하여 의사전달이 잘못됨을 인식하게 한다. 그리고 바른 문장으로 글을 써야 한다는 인식을 갖게 한다.
둘째, 오류 문장을 바른 문장으로 고치는 ‘문장 오류 고치기’ 활동을 해 본다. 이러한 활동을 해 봄으로써 바른 문장을 쓰는 데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하고, 바른 문장쓰기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될 것이다. 물론 국어학적 용어들을 사용하여 가르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바른 문장과 바르지 못한 문장을 제시하고, 바르지 못한 문장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수정해 보면서 가르친다. 예를 들면 (9)과 같은 예문을 주고 무엇이 틀렸는지 말해보고 고쳐보기를 한다. 그리고 바른 문장인 (9’)와 비교해 보게 하는 것이다.
(9) 가. 나는 갔다.(주어+서술어)
나. 너는 맛있게 먹었다.(주어+목적어+서술어)
다. 멋있는 철수는 영희에게 주었다..(주어+목적어+목적어+서술어)
라. 빵을 만들어 주신 엄마가 내가 가장 좋다.(내포문)
마. 아빠가 장난감을 사 주셔서 나는 너무나 기뻐서 엄마를 좋아했다.(문 성분의 일치)
(9’)가. 나는 집에 갔다.
나. 너는 빵을 맛있게 먹었다.
다. 멋있는 철수는 영희에게 선물을 주었다.
라. 나는 나에게 빵을 만들어 주신 엄마가 가장 좋다.
마. 나는 아빠가 장난감을 사 주셔서 너무나 기뻤다. 그래서 나는 아빠를 좋아한다.
‘오류 문장 고치기’ 활동 중에서 주요한 활동은 ‘적절한 길이의 문장으로 쓰기’와 ‘복잡하지 않는 문장으로 쓰기’이다.
먼저, 길이가 긴 문장을 ‘적절한 길이의 문장으로 쓰기’활동에 대하여 알아보자. 장문을 사용하면 오류 문장이 생기고, 결속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보자.
가족
00 초등학교 2학년 곽0송
우리 가족은 엄마께서 요리를 잘 하시고 아빠께서는 회사에서 일을 하시고 토요일만 오시고 나, 언니, 동생은 청소를 하고 놀고 공부를 하고 우리 가족은 그렇게 화목해지는 않았고 그저 그렇고 집이 두 개고 그리고 아빠께서 일하는 게 자랑스럽고 보고 싶고 엄마께서 ‥‥.
이렇게 장문인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이 범하기 쉬운 문장쓰기의 오류들이 바로 문장의 적절한 길이에 대한 관념이 적다는 것이다. 문장의 길이를 어느 정도로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없다. 독자의 호흡 단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량적 방법으로 제시한 R. Flesh의 가독성(可讀性)은 참고가 될 만하다.
<표 2> R. Flesh의 가독성
단 어
이해도
8( 및 그 이하)
매우 쉬움
11
쉬움
14
꽤 쉬움(*좀 쉬움-논자 첨언)
17
보통
21
꽤 어려움(*좀 어려움-논자 첨언)
25
어려움
29( 및 그 이상)
매우 어려움
그리고 우리 나라 신문기사에 나타난 한 문장의 평균 글자 수가 62.3자, 논문에 나타난 한 문장의 평균 글자 수가 50.8자, 소설에 나타난 한 문장의 평균 글자 수가 31.2자 등을 참고로 하여 국어 문장의 표준 길이는 50자 전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는데 이것도 참고가 될 만한 내용이다.(정문연(1985:22)). 그런데 이러한 기준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초등학생에 대한 것은 이를 감안해야 할 것이며, 특히 언어발달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학년간의 관계도 감안하여 한 문장의 어절 수 또는 글자 수와 길이를 고려하여 지도해야 할 것이다.
논자가 조사한 글 중에서 장문으로 표현이 잘못된 (5)는 (5가)가 19어절에 44자, (5나)가 35어절에 77자, (5다)가 18어절에 45자, (5라)가 17어절에 39자이다. 평균 22.25어절에 51.25 자이다. 그리고 4학년이 쓴 (8)은 (8가)가 11어절에 31자, (8나)가 32어절에 91자, (8다)가 29어절에 71자, (8라)가 14어절에 32자이다. 평균 21.5어절에 56.25자이다. 한 문장 내의 글자 수가 성인의 문장보다도 많다. (띄어쓰기를 한 빈칸은 수에서 제외함). 이와 같이 한 문장 내에 어절 수와 글자 수가 많은 문장은 비문이나 결속력이 약한 문장이 될 수밖에 없다. 인지발달 정도가 이렇게 많은 어절과 글자 수를 한 문장 내에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5’)와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을 길이가 작은 문장으로 나누어 쓸 때에는 의미의 전달이 명확하게 된다.
이제 <표 3>을 보자. 2학년 학생들의 글쓰기 작품의 어절 수를 기록해 놓은 것이다.7) 논자의 판단에 의하면 상위 세 학생은 글쓰기 표현력이 원만한 학생이고(‘중상’수준), 하위 세 학생은 글쓰기 표현력이 상위 학생들보다 부족한 학생들(‘중하’수준)이다. 비교의 차원에서 제시해 놓았는데, 상위 학생들이 구사한 한 문장 내의 어절 수가 하위 학생들보다 평균적으로 많다. <표 3>의 네모 칸 속의 숫자는 한 문장 내의 어절 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음영이 표시된 칸은 오류 문장을 나타낸다.
<표 3> 2학년 학생들의 한 문장 내 어절 수
<표 3>을 보면 2학년 학생들이 글쓰기를 할 때의 한 문장은 대부분 10어절 이내의 문장을 사용하였다. 보통 글쓰기 표현력이 좋은 학생일수록 한 문장 내의 어절 수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학생들도 한 문장 내에 어절 수가 많으면 문장의 잘못된 표현이 많이 생긴다. 위 표의 음영이 있는 것은 논자가 판단하기에 문장이 잘못된 것인데, 비교적 긴 어절 수의 문장이 이에 속한다. 하위 수준의 학생들도 꼭 긴 어절 수의 문장만이 잘못된 문장은 아니지만 보편적으로 그러한 경향이다. 각 어절별 문장의
오류 문장의 수를 보자. 2어절의 3문장과 3어절의 12문장에서는 오류 문장이 발견되지 않았다. 4어절의 문장 총 17 중에서 1문장의 오류 문장이 발견되었다(5.9%). 5어절의 문장에서도 총 7문장 중 1문장이 틀렸다(14.3%). 6어절의 문장에서는 총 11문장 중 2문장이 틀렸다(5.5%). 7, 8어절의 문장에는 오류 문장이 없다. 9어절의 문장은 총 4문장 중 1문장이 틀렸고(25%), 10어절의 문장은 총 3문장 중 2문장이 틀렸다(66.7%). 16어절의 문장은 1문장이 있으나 틀리지 않았고, 32어절의 문장도 1문장 있으나 오류 문장이다. 이들이 터하여 초등학교 2학년 수준에서의 한 문장 내 어절 사용 난이도의 등급을 보이면 <표 4>와 같다8).
<표 4> 초등학교 2학년 문장쓰기 난이도
난이도
어절수
비고
아주 쉬움
3 이하
쉬움
4-5
보통
6-7
어려움
8-9
아주 어려움
10 이상
이제 4학년 학생들의 글쓰기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문장쓰기에 대한 것을 분석해 보자, 대상이 된 4학년 학생의 글쓰기 작품도 2학년 학생에서와 마찬가지로 글쓰기 표현 능력에 있어 ‘중상’, ‘중하’인 학생 각각 3명씩을 선정하였다. <표 5>의 네모 칸 속의 숫자는 한 문장 내의 어절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음영이 표시된 칸은 오류 문장을 나타낸다.
<표 5> 4학년 학생들의 한 문장 내 어절 수
한 문장 내의 어절수는 4학년 학생들이 2학년 학생들보다 많은 편이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다 그러한 것은 아니고, 개인차가 있다. <표 3>과 <표 5>에서 비교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인적으로는 2학년 학생이 4학년 학생보다 어절수가 많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4학년이 2학년보다 어절수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4학년의 글에서도 장문으로 인하여 오류 문장이 발생하는 경향은 여전하다. 어절수가 많은 장문이라 하여 반드시 오류 문장은 아니고, 어절수가 적은 단문이라 하여 반드시 바른 문장은 아니다. 그렇지만 <표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어절수가 많을수록 오류 문장일 확률은 높다.
<표 5>를 보면 5어절 이내는 총 23문장인데 한 문장도 틀리지 않았다. 6어절은 총12문장 중 1문장이 틀렸고(8.3%), 7어절의 문장은 총 11문장 중에 2문장이 틀렸다(16.7%). 8어절 문장은 틀린 문장이 없고(0.0%), 9어절의 문장은 총 6문장 중 2문장이 틀렸고(33.3%), 10어절의 문장은 총 13문장 중 2문장이 틀렸다(15.4%). 대체적으로 비율이 높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12어절 문장은 총 5문장 중 2문장이 틀렸고(40%), 13어절 문장은 총 7문장 중 4문장이 틀렸다(57.1%). 14어절 문장은 총 3문장 중 2문장이 틀렸고(66.7%), 16, 17, 21, 26어절 문장은 총 1문장씩 있는데 모두 틀렸다(100%). 이를 근거로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서의 어절 사용 난이도의 등급을 보이면 <표 6>과 같다.
<표 6> 초등학교 4학년 문장쓰기 난이도
난이도
어절수
비고
아주 쉬움
3 이하
쉬움
4-6
보통
7-9
어려움
10-12
아주 어려움
13 이상
<표 6>을 보면 어절수가 많은 장문일수록 오류 문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장문을 사용하지 않고, 위 표에서 제시된 문장의 난이도를 참고로 하여 적절한 어절수의 문장을 사용하여 문장쓰기, 나아가서는 글쓰기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복잡하지 않는 문장으로 쓰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문장구조가 복잡하면 오류 문장이 생기기 쉽고, 결속력이 약하다. 그렇기 때문에 문장구조가 복잡하지 않는 문장을 쓰게 해야 한다. (5)와 (8)의 문장을 정확하고도 결속력 있는 문장으로 고친다면 (5’)와 (8’) 같을 것이다.
(5’) 가. 이런 것이 바로 가족 간의 애틋한 사랑이고, 형제간의 애틋한 사랑이 아닐까요? 가족이란 말은 언제 들어도 정이 듬뿍 담긴 사랑 그 자체입니다.
나. 그리고 한 살 차이인 우리 언니는 내가 5살 때부터 샤워를 시켜 주고, 모든 것을 양보해 주었다. 또 언니가 6살 때에는 내가 유치원에서 공부를 하고 있을 때, 내가 울면 반으로 달려와서 나와 같이 있어 주었다.
다. 아빠, 엄마가 돈을 많이 벌면 피아노, 씽씽카를 사 주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공부를 잘 하고, 엄마, 아빠 말씀을 잘 듣는다고 약속했습니다.
라. 우리 아빠는 해 달라 하는 것은 다 해 주십니다. 그러나 아빠가 술을 먹고 들어 오면 어머니는 힘들어하십니다.
(8’) 가. 그 이유를 아빠와 엄마에게 물어 보았다. 아빠와 엄마는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그랬다고 하셨다.
나. 부모님은 저를 키워 주셨습니다. 그래서 제가 어른이 되면 부모님께 보답을 해야 하기 때문에 건강하셔야 합니다. 기쁜 일은 외식하는 것과 일을 열심히 하는 것과 무엇이든지 열심히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슬픈 일은 친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신 일입니다.(00초등학교 4학년 양0지)
다. 왜냐하면 무슨 일이 있으면 짜증나고 화가 나도 서로 그 일을 도와 주어서 화목하고 행복한 가정입니다. 그리고 서로 힘든 일을 나누어 맡아 하고, 또 서로 좋아해 주어서 행복하고 화목한 가정입니다.(00초등학교 4학년 김0빈)
라. 내는 2학년 때와 4학년 때 제주도에 갔습니다. 거기에는 삼촌께서 회사에 다니면서 쉬는 아파트가 있습니다.(00초등학교 4학년 김0봉)
셋째, 글 전체 속에서 ‘문장 상호 간에 긴밀성 있는 문장쓰기’를 해야 한다. 글쓰기는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전체 글에 어울리는 문장으로 글쓰기를 하기 위해서는 글쓰기를 할 때 문장 상호 간에 어울리는 문장쓰기를 하고, 다시 읽어보고 고치기를 해야 한다. 콘텍스트적인 문장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4.2.문법 지식 사용
초등학교 2학년이나 4학년 때에는 국어 문법적인 사항 모두를 다 거의 지도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말은 국어를 사용할 때 가르치지 않은 문법적 내용들은 틀려도 지도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두라는 말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7차 교육과정의 1학년 국어지식 지도 내용에 ‘한글 낱자 음가 알기’, ‘우리말 소중히 알기’가 있고, 2학년 국어지식 지도 내용은 ‘자음과 모음 구별’, ‘꾸며 주는 말의 기능 알기’, ‘고운 말 사용 태도’가 있다고 하여 1학년이나 2학년 때에 우리말을 사용하는 데 있어 높임법이나 시제나 피동법 등의 사용상의 잘못을 그대로 방치해 두라는 것은 아니다. 문법적 용어를 사용하여 해당 내용 이상의 문법 지식을 가르치지 말라는 것일 뿐 국어 사용은 문법 현상에 알맞게 사용하도록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문장쓰기를 하는 데 있어서도 문법에 맞는 문장쓰기를 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사실 2학년 학생들에게 문법 내용들을 가르치지 않더라도 2학년 정도이면 문법 내용들을 잘 사용하고 있다. (10)을 보자.
(10) 가. 저는 먼저 가족부터 소개하겠습니다.(00초등 2 허0남)(시제)
나. 엄마께서 따라가 일을 도와 주십니다.(00초등 2 허0남)(경어법)
다. 저는 그런 엄마가 좋습니다.(00초등 2 허0남)(수식어)
라. 남동생은 엄마께서 밥하고 건강한 반찬을 주시면 밥을 안 먹습니다.(00초등 2 허0남)(부정법)
(10)은 2학년 한 학생의 글에서 본 문법 내용이다. 각 문장의 뒷부분에 있는 문법 내용 곧, 시제, 경어법, 수식어, 부정법의 사용 외에 전체 예에서 어순, 주술관계, 어미, 조사를 올바르게 사용한 점들을 볼 수 있다. 이것은 2학년 학생이 우리말의 문법에 대하여 배우지 않더라도, 그래서 문법 이론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언어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문법 규칙에 맞게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특히 음성 언어 생활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문법 규칙에 틀리게 말할 경우에는 의사소통이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문자언어 생활 곧, 글쓰기에 있어서는 음성언어 생활보다는 언어규칙에 틀린 경우들이 많이 생긴다. 이제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찾아 분석해 보기로 하자.
4.2.1. 문법 지식 사용 오류 현상
4.2.1.1. 어순 오용
국어는 어순이 자유롭다고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국어도 바른 어순으로 사용하여야 의미전달을 바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래서 강조 표현 등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바른 어순을 사용하여 의미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게 해야 할 것이다. (11)은 어순이 잘못된 예들이다. (11가)는 강조하지 않아도 될 목적어를 문두에 놓았고, (11나,다,라)는 부사어의 사용이 잘못되었다. (11마)는 절의 사용 순서가 잘못되었다.
(11) 가. 컴퓨터를 나는 많이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00초등 2 김0걸)
나. 나는 장난감을 많이 집에서 칩니다.(00초등 2 양0정)
다. 어머니는 아픈 몸을 이끄시고 머리를 언제나 하신다.(00초등 2 최0주)
라. 저는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00초등 4 김0운)
마. 나는 컴퓨터를 사면은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00초등 4 양0자)
4.2.1.2. 주술관계 오용
흔히 글쓰기를 할 때 틀리기 쉬운 것이 주술 호응이다. 성인의 경우에는 장문의 경우에 많이 나타나지만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장문인 경우는 물론이려니와 장문이 아니더라도 글을 써 나가면서 주어를 잊어버리고 글을 써 나가게 되어 글의 끝에 있는 술어는 주어가 요구하는 술어와는 다르게 끝나 버리고 마는 경우가 종종 있다. (12)가 그러한 예들이다.
(12) 가. 우리 아버지는 일은 집이나 길을 만든시니다.(00초등 2 양0정)
나. 우리 남동생은 매일 학교에서는 매일 청소도 잘하지만 집에서는 공부을 열심히 하고 어쩔 때는 남동생이란 싸우고 나는 말립니다.(00초등 2 양0정)
라. 우리 가족이 가족이 나들이 가서 재일 기뻤던 날은 3학년 때 설날에 작은 아버지와 함께 산에 있는 계곡에서 개구리도 잡고 쉬리 등 많은 개구리와 물고기를 잡았다.(00초등 4 김0수)
마. 갑자기 우리 가족 모두가 알을 좋아하게 되어 개구리 알을 실컷 먹어 물고기는 배가 불러 먹지 못한 것이 이쉬웠지만 처음으로 개구리를 맛있게 먹은 것이 아주 좋았다.(00초등 4 김0수)
바. 우리 동생 새나한테는 자기 눈에 이쁜 것만 보이면 자신이 꼭 가질려고 한다.(00초등 4 최0주)
4.2.1.3. 중복 표현
글을 간결하게 쓰지 못하고 중언부언하는 경우가 있다. (13가)는 ‘어쩔 때’와 ‘못하실 때’가 중복되었고, (13나)는 ‘집반일’이 다른 내용을 함의하고 있는 중복어이다. (13다)는 ‘나’가 중복되었다.
(13) 가.어쩔 때는 아빠께서 일을 혼자 못하실 때는 엄마께서 따라가 일을 도와 주십니다.(00초등 2 허0남)
나. 또 우리 어머니는 일은 빨래, 음식, 집반일을 잘 하십니다.(00초등 2 양0정)
다. 그리고 나는 학교, 학원을 다니니 나도 바쁘다.(00초등 4 강0재)
4.2.1.4. 어미의 불일치
초등학생의 경우 많이 틀리는 예이다. 글의 처음부터 끝까지 문맥을 맞추어 어미를 일치시켜 글을 쓰지 못하고, 금방 잘못되게 글을 쓴다. (14가-나)처럼 경어 사용에 불일치가 있기도 하고, (14다)와 같이 논지의 변화로 어미가 일치되지 못하기도 한다.
(14) 가. 우리 가족은 10명입니다. 할아버지 할머니는 화목해요.(00초등 2 김0명)
나. 만약 가족이 없다면 외롭고 집이 비어 있어서 무서울 거다. 나는 가족이 참 소중하다고 생각합니다.(00초등 2 염0근)
다. 할아버지는 농부이고 할머니는 집안 일 엄마는 초등학교 선생님 아빠는 공무원, 고모 집안 일을 하고 삼촌은 회사, 언니는 중학교 나는 봉곡 초등학교 4학년 남동생은 1학년입니다.(00초등 4 정0은)
4.2.1.5. 조사 오용
초등학생의 경우 제일 많이 틀리는 문법 현상이 조사의 오용이다. 주격조사, 목적격 조사, 부사격 조사 등 갖가지 조사가 잘못 쓰이고 있다. (15가-자)에서 그 예들을 볼 수 있다.
(15) 가. 아버지께서는 동열이의 강아지 동생을 사 주셨어요.(00초등 2 백0경)
나. 나의 도움을 주는 동생도 있습니다.(00초등 2 김0국)
다. 동생이 자고 있을 때는 동생이 깨우지 않으려고 밖에서 뛰어 놀곤 해요.(00초등 2 권0설)
라. 술을 많이 먹으면 건강이 해롭습니다.(00초등 2 김0걸)
마. 나는 공부도 잘 하고 달리기도 릴레이도 뽑히면 아빠처럼 큰 사람이 된대요.(00초등 2 박0웅)
바. 아빠, 엄마, 여동생, 남동생, 나로 가족을 이루어져 있습니다.(00초등 4 조0성)
사. 우리 가족은 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니, 동생, 그리고 내가 있다.(00초등 4 손0한)
아. 내 동생는 나에게 지면서도 계속 덤비는 것이 참 웃기다.(00초등 4 신0영)
자.저희 가족은 삶의 행복입니다.(00초등 4 양0자)
4.2.1.6. 시제오용
발화시와 사건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16가-다)는 발화시 현재로 사건시가 과거이므로 과거 표현을 썼다. 그러나 현재까지 지속되는 그리고 앞으로 계속 지속되어야 할 일이므로 발화시에 얽매이지 않고, 사건시 현재를 기준으로 현재 시제 표현으로 써야 할 것이다.
(16) 가. 성권이는 엄마께서 해 주시는 음식을 많이 먹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00초등 2 허0남)
나. 우리 동생은 이제 열심히 연습했다.(00초등 2 백0경)
다. 또 밥을 먹고 나서 덜렁 누워서도 TV를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00초등 4 최0)
라. 우리 동생 나래는 고자질을 너무 해서 별로 좋지는 않는다.(00초등 4 최0주)
4.2.1.7. 경어 오용
경어법의 오용은 (17가)처럼 경어를 써야 할 대상에게 경어를 안 쓰는 경우와 (17나-마)처럼 경어를 안 써도 될 대상에게 경어를 쓰는 경우가 있다.
(17) 가. 할아버지는 쌀, 현미, 고추, 밤, 감자 등 여러 가지를 가꾸어 가족들이 먹게 한다.(00초등 4 정0은)
나. 하지만 우리 동생은 안 ? 것 같다고 하셨다.(00초등 2 백0경)
다. 우리 동생은 어머니를 힘들게 하신다.(00초등 2 강0정)
라. 오빠는 내가 모르는 것을 가르켜 주시고, 또, 공부는 잘 못하지만 농구는 잘 합니다.(00초등 4 김0운)
마. 그 이유는 (가족이) 친절하고 착하시고 고마우시니깐요.(00초등 4 정0배)
4.2.1.8. 부정문의 표현 방법 오용
부정문을 사용할 때에 생기는 오류는 (18가-나)처럼 ‘-지 않-’의 부정문을 써야 할 때 부사어 ‘안’의 부정문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18다)처럼 부정 표현이 여러 개 나올 때 하나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18) 가. 그래서 나도 안 놀래키고 있어요.(00초등 2 김04)
나. 불량식품을 많이 사다가 않 먹으면 좋겠다.(00초등 4 양0자)
다. 전 이제부터 오빠와 ( )싸우고 화가 나도 참고 울지 안고 가음도 안 질려야겠습니다. (00초등 4 정0배)
4.2.1.9. 피동 사동 오용
피동문과 사동문의 오류는 (19가)처럼 능동문의 주어에 대한 동사 곧, 능동사를 써야 할 곳에 능동문의 목적어가 갑자기 주어로 인식되어 ‘문이 팔리다’형태로 쓰인 것이다. 전체적인 문맥에 대한 혼란으로 생긴 오류이다. (19나)도 전체적인 문맥의 흐름에 혼란이 생겨 사동문의 목적어 ‘우리들’을 필자의 머리 속에 연상된 가상 주동문 ‘우리들이 먹다’라는 주동문의 주어로 혼란을 일으켜서 ‘먹여 살리다’로 써야 할 것을 ‘먹고 살리다’로 썼다.
(19) 가. 우리 아버지는 문을 잘 팔리시곤 해서 동물을 사시죠.(00초등 2 권0설)
나. 또 우리 어머니께서는 우리들을 먹고 살리기 위하여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서 딸기 하우스에 가신다.(00초등 4 손0한)
4.2.1.10. 단어 생략
필요한 단어를 생략하고 쓰지 않는 현상은 초등학생에게 많이 일어나는 글쓰기에 있어서의 오류 현상이다. 글이 사고를 따라 가지 못하고 있고, 또 글을 쓴 후 교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라고 본다.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목적어, 서술어, 조사, 주어 등 다앙한 부분에 걸쳐 일어난다
(20) 가. 저는 힘이 세어 아무도 ( ) 몬 이깁니다.(00초등 2 김0국)
나. 책을 많이 보면 머리가 좋아 ( ) 아버지는 그래서 책을 많이 봅니다.(00초등 2 김0걸)
다. 우리 가족은 버섯을 ( ) 합니다.(00초등 2 최0호)
라. 아빠께 이 말을 ( ) 줄 것입니다. "아빠, 파이팅!!"(00초등 2 허0남)
마. 아빠께서는 경찰( ) 하시고 우리 우리 엄마는 미용실에 ( ) 하십니다.(00초등 2 강0화)
바. 나는 ( ) 매일 빨리 들어오셨으면 좋겠다.(00초등 4 손0한)
사. 우리 가족은 어려울 때 도와 주고 힘들고 슬플 때 ( ) 주는 소중한 가족이다.(00초등 4 신0영)
아. 어머니께서도 책 ( )과 요리를 만드는 것을 좋아 하신다.(00초등 4 신0영)
4.2.1.11. 구어체 사용
글쓰기에 있어 구어체는 필요 적절히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필요치 않는 곳에서는 사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에는 굳이 구어체의 사용을 막을 필요는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국어 문법 규칙에 맞는 글쓰기를 하는 데 있어 규칙에 맞는지 틀리는지를 구별할 수 있는 근거가 바로 구어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학년으로 갈수록 필요한 곳 외에는 구어체의 사용을 자제해야 할 것이다.
(21) 가. 왜 국수냐면 쫀득쫀득하시다고 맛있으시데요.(00초등 2 이0선)
나. 우리 엄마께서는요 학교 갔다 오면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주셔요.(00초등 2 이0선)
다. 그리고 우리 오빠야는 심부름을 잘 하고 나는 동생을 잘 돌보아요.(00초등 2 권0설)
라. 우리 가족은 엄마 아빠 형님아 내뿐이다.(00초등 2 이0원)
마. 그리고 오빠야의 꿈은 농구 선수입니다.(00초등 4 김0운)
4.2.2. 문법 지식 오류 교정 지도 방법
문장쓰기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는 각 학생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문법 현상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이러한 문법적 오류들을 어떻게 지도할 수 있을까?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에게 어미니, 시제니, 경어법이니, 주술관계니 하는 문법지식들을 가르칠 수는 없을 것이다. 아직 이러한 전문적인 지식을 받아들 일 단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지도하면 될까? 논자는 그 해결책을 구어적 지도 방법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초등학교 2학년 정도 되면 구어로는 어법에 틀리지 않게 말할 수 있다 혹 말을 하다가 틀린다면 스스로 이상하게 생각하고 고쳐 말한다. 이는 국어현상을 문법 규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나 사용하는 말이 문법적으로 맞았는지 틀렸는지는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글을 쓸 때 구어적 방법을 통하여 교정하기를 시도해 본다면 많은 문법 오류들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구어적 방법으로 문법 오류 고치기를 중심으로 문법 오류 고치기 지도 방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단계 : 문장 오류 발견하기
교사가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는 문장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오류를 찾아보게 한다. 그리하여 글쓰기를 한 글이라 하여도 모두가 다 바른 글이 아니라 잘못된 문장이 많이 존재한다는 인식을 갖게 한다.
2단계 : 문법 규칙 의식 갖기
1단계에서 발견한 오류 문장들을 보면서 문장은 단어들이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규칙에 따라 써져야 바른 문장이 된다는 의식을 갖게 한다. 즉 문장을 쓸 때에도 규칙에 따라 써야 한다는 것을 의식하게 한다.
3단계 : 구어적 방법으로 문법 오류 고치기
어순, 수식어와 피수식어 관계, 문장의 종류, 경어법 외에 여러 문법적 오류를 왜 틀렸는지 말해 보게 한다. 그 설명이 이론적이든 비이론적이든 그것은 상관치 않는다. 그리고 오류를 고쳐 본다. 고학년에 가서 배운 바 문법 내용이 있다면 오류의 원인을 문법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찾아 고쳐 본다.
4단계 : 글쓰기와 오류 고쳐보기
마지막 단계로 자신이 글쓰기를 해 보고, 오류를 찾아 고쳐 본다.
5. 결론
지금까지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문장쓰기 실태 및 지도 방법을 논해 보았다.
문장쓰기에 있어서의 오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문장의 길이가 너무 길고 문장의 구조가 복잡하여 오류 문장이 생기는 경우이고, 둘째는 문법적 오용으로 인하여 오류 문장이 생기는 경우이다.
첫째의 경우는 길고 복잡한 문장을 짧고, 간단한 문장구조를 가진 문장으로 바꾸어 씀으로써 바른 문장으로 쓸 수 있다. 논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초등학교 2학년의 경우 한 문장의 어절 수는 5어절 이하면 쉽게 쓸 수 있고, 8어절 이상이면 어려운데 10어절 이상이면 오류 문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4학년의 경우에는 6어절 이하면 쉽고, 10어절 이상이면 어려운데 13어절 이상이면 오류 문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의 경우는 전반적인 문법 내용에 걸쳐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법지식들을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에게 모두 다 가르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이 모르는 사실은 문법적인 지식이지 문장이 맞았는지 틀렸는지가 아니다. 결국 문장의 오류를 문법지식적으로 설명은 할 수 없지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는 알고 있다. 그래서 구어적 방법으로 오류문장 고치기를 하면 되는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지도하면 될 것이다.
1단계 : 문장 오류 발견하기
2단계 : 문법 규칙 의식 갖기
3단계 : 구어적 방법으로 문법 오류 고치기
4단계 : 글쓰기와 오류 고쳐보기’
초등학교에서의 글쓰기 지도는 감동적인 글쓰기보다는 하나의 문장을 정확히 쓰고, 하나의 문단을 정확히 쓰는 데 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생들 대다수들의 글을 보면 하나의 문장쓰기마저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저학년 때도 그렇지만 고학년에 가서도 그러한 오류들이 반복된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까지도 문장구조 면에서 많은 오류 문장들을 쓰고 있다. 글쓰기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배우는 초등학교 때에 글쓰기의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문장쓰기 지도에 더욱 힘 써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부(1988),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남기심 ·고영근(1985),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류성기(2001), 초등 국어지식 교육론, 박이정.
박영순(1998),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임성규(1998), 글쓰기 전략과 실제, 박이정.
캐슬린E. 설리번/최현섭 ·위호정 옮김(2000), 작문, 문단쓰기로 익히기, 삼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1985), 현대국어문장의 실태분석.
--------------------------------------------------------------------------------
각 주
1 각 학년별 지도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지도내용 앞 번호는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내용의 번호이다.
2 문장쓰기와 관련된 문법적인 내용으로써 3학년에 높임법, 5학년에 시제에 대한 사항이 제시되어 있다.
3학년
(2) 우리말에는 높임법이 있음을 안다.
(기) 예삿말과 짝이 되는 높임말을 찾는다.
(심) 높임말을 사용하여 문장을 만든다.
5학년
(2) 우리말에는 시간을 표현하는 말이 있음을 안다.
(기) 글에서 과거, 현재, 미래 등의 시간을 표현하는 말을 찾는다.
(심) 시간을 표현하는 말을 사용하여 짧은 글을 쓴다
3 글쓰기를 할 때 ‘주의, 조심, 글쎄, 쉿’ 등과 같이 하나의 단어로서 의사표현을 할 수도 있지만, 이는 매우 한정된 상황에서 사용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단어문에 대한 것은 예외로 하겠다.
4 논자가 고찰해 본 바에 의하면 조사대상이 된 두 학교의 차별성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므로 이들을 구별하지는 않겠다.
5 조사대상이 된 글을 ‘최상, 중상, 중하, 최하’로 4등분한다면 여기에서의 예문으로 표집이 된 글은 ‘중상’과 중하‘에 해당하는 글이다. 이는 특수한 경우보다는 보편적인 글의 상태를 알고자 하기 때문이다.
6 물론 이러한 현상은 2학년 모든 학생들에게 다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예외적으로 글쓰기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학생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7 글자 수보다는 어절 수가 한 문장쓰기 난이도를 측정하는 효과적인 척도가 될 것이다. 학생들의 문장쓰기의 기본 단위는 낱개의 글자보다는 어절 단위로 쓰기 때문이다. 참고로 어절수와 글자 수까지를 분석하여 보이면 다음 표와 같다. 예를 들어 ‘4/10’은 어절 수가 4개, 글자 수가 10개를 나타낸다.
위 표를 보면 2학년 학생들이 글쓰기를 할 때의 한 문장의 글자 수는 25글자 이내이다.
8 난이도를 결정함에 있어 어절 수와 오류 문장 비율은 반드시 일치할 수는 없다. 어절 수가 많아도 바른 문장만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류 문장의 비율을 살펴봄은 오류 문장이 발생하는 전체적인 경향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4학년 등 각 학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
이력사항
류성기
진주교육대학교교수
'퍼온~사유..! > 인지와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ㅍ] 의미역 계층이론과 국어의 주격, 대격 (0) | 2008.05.12 |
---|---|
[ㅍ] 운율 측면과 조화이론 측면의 비교: 강세 현상에 대해 (0) | 2008.05.12 |
[ㅍ] 특수 수동구문의 화용적 적응 (0) | 2008.05.12 |
[ㅍ] 국어 음운 현상의 성격과 범위 (0) | 2008.05.12 |
[ㅍ] 국어지식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0) | 2008.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