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제한점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
2. 조사도구
1) 설문지 구성내용
2)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3. 조사절차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의 행태적 특성
1) 활동유형
2) 1개월 간 참여빈도
3) 1회 참여 시 체제시간
4) 참여기간
5) 동반자
6) 한달 용돈
7) 1회 활동 시 소비 비용
8) 활동 참여시 저해요인
2.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 조사 결과
3.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 활동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1) 지식 도움
2) 스트레스 해소
3) 체력증진
4) 친목도모
5) 수업능력 향상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1)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의 행태적 특성 분석결과
2) 여가활동 만족도 분석결과 및 결론
2. 제언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 연구소
학술지명 예체능 논집
ISSN
권 14
호
출판일 2003.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evelopmental course and actual condition of leisure to art and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박장근
(Park, Jang―geun)
정수현
(Jeong, Soo―hyun)
임란희
(Lim, Ran―hee)
5-717-0301-05
영문요약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hich investigates the leisure activity form and a satisfactory degree of physical training and art university students and there is a place where it presents the improvement plan for this field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e executed self―admistration method question of the collection from 2001 May 21st until 2001 August 31st to 370 people physical traning subject 100 person, fine arts subject 100 person music 100 person baduk subject 70 pers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located in the H, K university in seoul and M, Y university in Kyonggi―Do
It reveals from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which it follows in personal quality and form quality analysis
(1) views from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m the appreciation 27.3%, sports 26.8%, playing and amusement 26.8% it appeared the fact that it is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s form the sex the subject, the religion and the family economic leave.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for one month,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of attendance was 27.1 percent and from the third to the fourth of attendance was 24.1 percent.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wo items as major add religion.
(3) From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m due to the dwelling duration, from two hours to three hours was 35.7% percent.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gender as well.
(4) From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m due to the duration, over three years was 49.2 perc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is part.
(5) From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m due to the companion, a friend was 65.9%, other sex friend was 15.4%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wo items as major and grade.
(6) From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 due to the pocket money in one month, from 200,000 to 300,000 was 35.1 percent , from 100,000 to 200,000 was 23.0 percent, there were also some differences in two items as grade and the family economic level.
(7)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m which it follows in activity consuming expense is appeared that 10―30 thousand won below 48.1% and 10 thousand won 24.1%. It appeared the fact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un the grad the family economic level.
(8)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form which it follows in hindrance activity, there are 39.7% economic power 30.8% It appeared the fact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insufficient time in the subject the family economic level.
2. The evaluation scale regarding a leisure activity satisfactory analysis satisfactory degree is like that very at 5 scales of the Likert, (5 pieces), it is like that, (4 pieces), it is an usual, (3 pieces), it is not like that, (2 pieces), it is not like that very, (1 piece) with it evaluated,
When it sees a leisure activity satisfactory moral investigation result, it appers Order broad way that stress solution average 3,87 (sd=.96) with to appear most highly ,friendship planning average 3.55 (sd=1.07) using of knowledge 3,29 (sd=.99) study ability improvement 3,09 (sd=1.10) physical strength increase 3.05(sd=1.23).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국의 두 여가학자 Michael Chubb 과 H.R Chubb은 그들의 저서 '우리들의 3분의 1시간' 에서 "인간은 일생동안 수면 및 식사시간 등의 생활필수 시간과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동시간을 빼면 나머지 3분의 1시간은 여가시간으로 남는다" 고 규정하였다.
21세기는 「여가의 시대」 이다. 오늘날 여가는 일상생활 속에서 중대한 부분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그 역할이 계속적으로 높아져 가고 있다. 즉, 오늘날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삶의 질」 의 문제는 여가를 논하지 않고서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없을 정도로 여가문제는 우리생활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이덕성 외, 2000).
여가는 전체 생활 속에서 노동과 의무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된 것으로 존재하며 동시에 그것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건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긍정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김광득, 1997). 따라서 여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용하느냐의 문제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여가활동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휴식기능, 심리적 안정기능, 교육 및 문화기능 등이 높아져 사회전반이 향상 발전되지만 반면에 획일화가 이루어지거나 대중성, 동질성 등이 작용하여 인간의 주체적 사고나 판단이 소외당하는 경향을 띄기도 하며, 다수의 정의에 의하여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게 되는 부정적인 경우도 제외할 수는 없다(임창순, 2001).
여가생활의 형태는 다양한 측면에서 파악될 수 있다.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빈도나 강도, 시간, 활동 유형 등 객관적인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가치나 만족도를 통하여 인간의 여가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최장호 외, 2000). 여가활동의 유형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고있는데, 남행웅 외(1996)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창조적이고 문화적인 여가활동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을 것이라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으로는 보편적으로 대학생을 들 수 있다. 중 · 고등학교시절에는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인한 학업과 과외 공부로 가장 활동적이어야 할 연령 단계에서 여가시간 및 여가활동의 소외를 경험한 후(박영숙 외, 1999), 진정한 의미의 자유시간으로서 여가가 주어지는 시기라는 점에서 대학생은 가장 활발하고 자발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계층이며 사회인으로서의 출발을 준비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라는 점에서 건전하고 유익한 여가활동 향유와 그를 위한 여가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집단이다 그러나 Dumazedier(1967)는 대학생의 여가생활에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여가활동이 대부분 오락적이고 휴식적인 활동 형태라는 데 있다고 했다. 따라서 대학생의 여가생활은 소비적이고 비활동적인 여가 형태에서 벗어나 자기개발과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능동적이고 활동적인 여가형태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로는 김신자(1983), 이영일(1986), 박만섭(1990), 박재현(1992), 심영보(2000), 등의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 및 여가활동이 개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예 · 체능 계열 중 전공별에 따른 여가활동 행태 및 여가 만족도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행태와 여가활동 만족도를 설문조사검토하여 이들을 위한 여가활동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2.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 한 H, K대학교와 경기도에 소재 한 M, Y대학교 재학생으로 제한하였다.
2) 본 연구의 대상학과는 체육계열학과, 미술계열학과, 음악계열학과, 바둑학과로 제한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
본 연구는 2003년 5월2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에 소재 한 H, K대학교와 경기도에 소재한 M, Y대학교 재학생 중 체육계열학과 100명, 미술계열학과 100명, 음악계열학과 100명, 바둑학과 70명으로 총 3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의 개인별 특성은 <표1>과 같다.
표 1. 조사대상자의 개인별 특성
구 분
항 목
빈도(명)
백분율(%)
구 분
항 목
빈도(명)
백분율(%)
성 별
남 자
198
53.5
종 교
기독교
184
49.7
여 자
172
46.5
천주교
39
10.5
학 과
체육계열
100
27.0
불 교
42
11.4
미술계열
100
27.0
무종교
105
28.4
음악계열
100
27.0
가정경제
수 준
상
31
8.4
바둑계열
70
18.9
중
299
80.8
학 년
1학년
160
43.2
하
40
10.8
2학년
82
22.2
합 계
370
100.0
3학년
83
22.4
4학년
45
12.2
2. 조사도구
1) 설문지 구성내용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행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Rageb와 Beard(1982)가 개발하고 이종길(1992)에 의해 번안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설문내용을 작성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nministration method)으로 대부분 폐쇄식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별 특성 5개 문항, 여가활동 참여 행태에 관한 물음 8개 문항, 여가활동 만족요인에 관한 물음 31개 문항으로 총 4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만족도를 묻는 문항의 평가척도는 Likert의 5점 척도로 매우 그렇다(5점)/그렇다(4점)/보통(3점)/그렇지 않다(2점)/매우그렇지 않다(1점)로 평가하였다.
표 2. 설문지 구성내용
구 분
구 성 내 용
문 항 수
개 인 별 특 성
성별, 학과,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
5
참여 행태 특성
참여유형, 참여빈도, 기간, 동반자, 비용 등
8
만 족 도 요 인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양적, 생리적, 환경적, 여가몰입 등
31
총 문 항 수
44
2)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전체문항에 대한 α값은0.8879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설문지의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를 높이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내용이나 문장의 표현법, 배열 등에 관한 문항 검토를 전문가 3명에게 의뢰하여 설문문항을 수정 · 보완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3. 조사절차
본 연구는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행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직접 설문지의 목적 및 내용을 조사 대상자에게 자세히 설명한 뒤, 설문지를 배부한 다음 자기평가 기입식(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4. 자료처리
본 연구는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이중으로 답변한 것과, 무 기입 등으로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문항은 자료에서 제외시켰으며 유효한 자료만을 부호화(coding)한 후, SPSS Window Versio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1) 설문지의 설문문항 신뢰도를 위해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계수를 산출하였다.
2)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간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 참여 행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Cross―taburation)을 실시하였다.
3)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독립변인별 차이를 검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의 행태적 특성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인별 특성(성별, 학과, 학년, 종교, 가정 경제수준)에 의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1) 활동유형
개인별 특성에 따른 활동 유형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활동유형은 관람 · 감상이 전체 370명 중 101명(27.3%)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행락 · 관광이 20명(5.4%)
표 3. 개인별 특성에 따른 활동 유형 n(%)
항 목
구 분
스포츠
취미교양
관람감상
행락관광
놀이오락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77(38.9)
22(12.8)
21(10.6)
30(17.4)
30(15.2)
71(41.4)
11(5.6)
9(5.2)
59(29.8)
40(23.3)
198(100)
172(100)
.000***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48(48.0)
22(22.0)
13(13.0)
16(22.9)
7(7.0)
16(16.0)
14(14.0)
14(20.0)
19(19.0)
27(27.0)
40(40.0)
15(21.4)
1(1.0)
6(6.0)
8(8.0)
5(7.1)
25(25.0)
29(29.0)
25(25.0)
20(28.6)
100(100)
100(100)
100(100)
70(100)
.000***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41(25.6)
22(26.8)
18(21.7)
18(40.0)
19(11.9)
19(23.2)
10(12.0)
3(6.7)
48(30.0)
15(18.3)
25(30.1)
13(28.9)
8(5.0)
6(7.3)
5(6.0)
1(2.2)
44(27.5)
20(24.4)
25(30.1)
10(22.2)
160(100)
82(100)
83(100)
45(100)
.154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49(26.6)
4(10.3)
10(23.8)
36(34.3)
24(13.0)
6(15.4)
7(16.7)
14(13.3)
64(34.8)
10(25.6)
12(28.6)
15(14.3)
7(3.8)
5(12.8)
4(9.5)
4(3.8)
40(21.7)
14(35.9)
9(21.4)
36(34.3)
184(100)
39(100)
42(100)
105(100)
.003**
가정경제
수준
상
중
하
9(29.0)
76(25.4)
14(35.0)
7(22.6)
43(14.4)
1(2.5)
6(19.4)
90(30.1)
5(12.5)
1(3.2)
16(5.4)
3(7.5)
8(25.8)
74(24.7)
17(42.5)
31(100)
299(100)
40(100)
.038*
계
99(26.8)
51(13.8)
101(27.3)
20(5.4)
99(26.8)
370(100)
*p < .05 **p < .01 ***p < .001
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활동유형을 보면 남자는 스포츠가 77명(38.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자는 관람 · 감상이 71명(41.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별로는 체육계열이 스포츠 48명(48.0%), 미술계열과 바둑학과가 놀이 · 오락 각 29명(29.0), 20명(28.6%)이었으며, 음악계열이 관람 · 감상 40명(40.0%)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1학년과 3학년이 관람 · 감상이 각 48명(30.0%), 25명(30.1%), 2학년과 4학년이 스포츠로 각 22명(26.8%), 18명(40.0)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와 불교가 관람 · 감상이 64명(34.8%), 12명(28.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천주교와 무종교가 놀이 · 오락으로 14명(35.9%), 36명(34.3%)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이 스포츠 9명(29.0%), 중류층이 관람 · 감상 90명(30.1), 하류층이 놀이 · 오락 17명(42.5%)으로 각각 다양한 활동유형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5)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개월 간 참여빈도
개인별 특성에 따른 1개월 간 참여빈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1개월 간의 참여빈도는 4―6회가 전체의 100명(27.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회 이상이 19명(5.1%)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참여빈도는 남자 6―7회가 54명(27.3%), 여자가 4―6회 52명(30.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과별로는 체육계열이 4―6회가 30명(30%), 미술계열이 6―7회가 33명(33%), 음악계열이 3―4회 32명(32.0%), 바둑학과가 7회이상 19명(27.1%)으로 계열별로 다양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1학년이 6―7회가 53명(33.1%)으로 가장 높았으며, 2, 3, 4학년 모두 4―6회가 26명(31.7%), 26명(31.3%), 15명(33.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가 3―4회가 48명(26.1%), 천주교와 불교가 4―6회 각 14명(35.9%), 17명(40.5%), 무종교는 6―7회가 29명(2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과 중류층이 4―6회로 각 10명(32.3%), 85명(28.4%)으로 가장 높았으며, 하류층은 6―7회가 15명(37.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4. 개인별 특성에 따른 1개월 간 참여빈도 n(%)
항 목
구 분
3회 이상
3회―4회
4회―6회
6회―7회
7회 이상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37(18.7)
38(22.1)
45(22.7)
44(25.6)
48(24.2)
52(30.2)
54(27.3)
33(19.2)
14(7.1)
5(2.9)
198(100)
172(100)
.133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18(18.0)
17(17.0)
21(21.0)
19(27.1)
23(23.0)
22(22.0)
32(32.0)
12(17.1)
30(30.0)
28(28.0)
26(26.0)
16(22.8)
29(29.0)
33(33.0)
21(21.0)
4(5.7)
19(27.1)
100(100)
100(100)
100(100)
70(100)
.000***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31(19.4)
16(19.5)
17(20.5)
11(24.4)
36(22.5)
19(23.2)
24(28.9)
10(22.2)
33(20.6)
26(31.7)
26(31.3)
15(33.4)
53(33.1)
17(20.7)
11(13.3)
6(13.3)
7(4.4)
4(4.9)
5(6.0)
3(6.7)
160(100)
82(100)
83(100)
45(100)
.219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39(21.2)
8(20.5)
6(14.3)
22(21.0)
48(26.1)
11(28.2)
6(14.3)
24(22.9)
51(27.7)
14(35.9)
17(40.5)
18(17.1)
43(23.4)
6(15.4)
9(21.4)
29(27.6)
3(1.6)
4(9.5)
12(3.2)
184(100)
39(100)
42(100)
105(100)
.000***
가정경제
수준
상
중
하
4(12.9)
59(19.7)
12(30.0)
8(25.8)
75(25.1)
6(15.0)
10(32.3)
85(28.4)
5(12.5)
5(16.1)
67(22.4)
15(37.5)
4(12.9)
13(4.3)
2(5.0)
31(100)
299(100)
40(100)
.066
계
75(20.3)
89(24.1)
100(27.1)
87(23.5)
19(5.1)
370(100)
***p < .001
3) 1회 참여 시 체제시간
개인별 특성에 따른 1회 참여 시 체제시간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1회 참여시 체제시간은 2―3시간이 전체의 132명(35.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시간 이상이 38명(10.3%)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1회 참여시 체제시간은 남자 50명(25.3%), 여자 29명(16.9%) 두 집단 모두 2―3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별로는 체육계열이 21명(21.0%), 미술계열 36명(36.0%), 음악계열 18명(18.0%), 바둑학과 22명(31.4%)으로 모든 집단에서 2―3시간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학년별로는 1, 2, 4학년이 각 66명(41.3%), 27명(32.9%), 15명(33.3%)으로 2―3시간이 가장 높았으며, 3학년만 3―4시간이 25명(30.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 37명(20.1%), 천주교 11명(28.2%), 불교 13명(31.0%), 무종교 38명(36.2%)으로 모든 집단에서 2―3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이 3―4시간이 10명(32.3%), 중류층107명(35.8%)과 하류층이 16명(40.0%)으로 2―3시간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표 5. 개인별 특성에 따른 1회 참여시 체제시간 n(%)
항 목
구 분
2시간미만
2―3시간
3―4시간
4―5시간
5시간이상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50(25.3)
29(16.9)
75(37.9)
57(33.1)
35(17.7)
44(25.6)
13(6.6)
29(16.9)
25(12.6)
13(7.6)
198(100)
172(100)
.002**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21(21.0)
18(18.0)
18(18.0)
22(31.4)
37(37.0)
36(36.0)
35(35.0)
24(34.3)
20(20.0)
22(22.0)
23(23.0)
14(20.0)
12(12.0)
15(15.0)
11(11.0)
4(5.7)
10(10.0)
9(9.0)
13(13.0)
6(8.6)
100(100)
100(100)
100(100)
70(100)
.699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33(20.6)
23(28.0)
11(13.3)
12(26.7)
66(41.3)
27(32.9)
24(28.9)
15(33.3)
31(19.4)
16(19.5)
25(30.1)
7(15.6)
13(8.1)
6(7.3)
16(19.3)
7(15.6)
17(10.6)
10(12.2)
7(8.4)
4(8.9)
160(100)
82(100)
83(100)
45(100)
.061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37(20.1)
6(15.4)
9(21.4)
27(25.7)
70(38.0)
11(28.2)
13(31.0)
38(36.2)
44(23.9)
7(17.9)
10(23.8)
18(17.1)
17(9.2)
9(23.1)
5(11.9)
11(10.5)
16(8.7)
6(15.4)
5(11.9)
11(3.0)
184(100)
39(100)
42(100)
105(100)
.467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5(16.1)
63(21.1)
11(27.5)
9(29.0)
107(35.8)
16(40.0)
10(32.3)
66(22.1)
3(7.5)
3(9.7)
36(12.0)
3(7.5)
4(12.9)
27(9.0)
7(17.5)
31(100)
299(100)
40(100)
.230
계
79(21.4)
132(35.7)
79(21.4)
42(11.4)
38(10.3)
370(100)
**p < .01
4) 참여기간
개인별 특성에 따른 참여 기간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참여기간은 3년 이상이 전체의 182명(49.2%)으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6개월이 34명(9.2%)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참여기간은 성별, 학과,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 모든 항목에서 3년 이상 참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다.
표 6. 개인별 특성에 따른 활동 참여 기간 n(%)
항 목
구 분
3개월미만
3―6개월
6개월―1년
1―3년
3년이상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23(11.6)
15(8.7)
18(9.1)
16(9.3)
17(8.6)
24(14.0)
37(18.7)
38(22.1)
103(52.0)
79(45.9)
198(100)
172(100)
.358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11(11.0)
8(8.0)
12(12.0)
7(10.0)
13(13.0)
6(6.0)
10(10.0)
5(7.1)
13(3.0)
5(5.0)
14(14.0)
9(12.9)
25(25.0)
20(20.0)
21(21.0)
9(12.9)
38(38.0)
61(61.0)
43(43.0)
40(57.1)
100(100)
100(100)
100(100)
70(100)
.097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8(11.3)
10(12.2)
5(6.0)
5(11.1)
12(7.5)
13(15.9)
7(8.4)
2(4.4)
16(10.0)
13(15.9)
9(10.8)
3(6.7)
36(22.5)
17(20.7)
13(15.7)
9(20.0)
78(48.8)
29(35.4)
49(59.0)
26(57.8)
160(100)
82(100)
83(100)
45(100)
.151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19(10.3)
7(17.9)
2(4.8)
10(9.5)
19(10.3)
3(7.7)
3(7.1)
9(8.6)
21(11.4)
9(23.1)
3(7.1)
8(7.6)
35(19.0)
6(15.4)
11(26.2)
23(21.9)
90(48.9)
14(35.9)
23(54.8)
55(52.4)
184(100)
39(100)
42(100)
105(100)
.283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2(6.5)
28(9.4)
8(20.0)
4(12.9)
29(9.7)
1(2.5)
1(3.2)
37(12.4)
3(7.5)
11(35.5)
54(18.1)
10(25.0)
13(41.9)
151(50.5)
18(45.0)
31(100)
299(100)
40(100)
.063
계
38(10.3)
34(9.2)
41(11.1)
75(20.3)
182(49.2)
370(100)
5) 동반자
개인별 특성에 따른 동반자를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7 >과 같다. 동반자는 친구가 전체의 244명(65.9%)으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성친구 57명(15.4%), 혼자 31명(8.4%), 동호인 클럽 24명(6.5%), 가족 14명(3.8%)의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학과와 학년에서 (p < .05)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개인별 특성에 따른 동반자 n(%)
항 목
구 분
혼자
가족
친구
이성친구
동호인클럽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17(8.6)
14(8.1)
6(3.0)
8(4.7)
125(63.1)
119(69.2)
37(18.7)
20(11.6)
13(6.6)
11(6.4)
198(100)
192(100)
.386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5(5.0)
13(13.0)
6(6.0)
7(10.0)
1(1.0)
2(2.0)
5(5.0)
6(8.6)
68(68.0)
56(56.0)
69(69.0)
51(72.9)
18(18.0)
21(21.0)
14(14.0)
4(5.7)
8(8.0)
8(8.0)
6(6.0)
2(2.9)
100(100)
100(100)
100(100)
70(100)
.023*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9(11.9)
7(8.5)
3(3.6)
2(4.4)
3(1.9)
3(3.7)
5(6.0)
3(6.7)
107(66.9)
50(61.0)
60(72.3)
27(60.0)
25(15.6)
11(13.4)
9(10.8)
12(26.7)
6(3.8)
11(13.4)
6(7.2)
1(2.2)
160(100)
82(100)
83(100)
45(100)
.018*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15(8.2)
2(5.1)
2(4.8)
12(11.4)
6(3.3)
2(5.1)
6(5.7)
130(70.7)
23(59.0)
28(66.7)
63(60.0)
25(13.6)
7(17.9)
9(21.4)
16(15.2)
8(4.3)
5(12.8)
3(7.1)
8(7.6)
184(100)
39(100)
42(100)
105(100)
.427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1(3.2)
27(9.0)
3(7.5)
12(4.0)
2(5.0)
17(54.8)
197(65.9)
30(75.0)
8(25.8)
46(15.4)
3(7.5)
5(16.1)
17(5.7)
2(5.0)
31(100)
299(100)
40(100)
.139
계
31(8.4)
14(3.8)
244(65.9)
57(15.4)
24(6.5)
370(100)
*p < .05
표 8. 개인별 특성에 따른 한달 용돈 n(%)
항 목
구 분
10만원이하
10―20만원
20―30만원
30―40만원
40만원이상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28(14.1)
17(9.9)
44(22.2)
41(23.8)
65(32.8)
65(37.8)
37(18.7)
32(18.6)
24(12.1)
17(9.9)
198(100)
172(100)
638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15(15.0)
11(11.0)
7(7.0)
12(17.1)
26(26.0)
17(17.0)
21(21.0)
21(30.0)
33(33.0)
33(33.0)
46(46.0)
18(25.7)
19(19.0)
24(24.0)
16(16.0)
10(14.3)
7(7.0)
15(15.0)
10(10.0)
9(12.9)
100(100)
100(100)
100(100)
70(100)
083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30(18.8)
9(11.0)
3(3.6)
3(6.7)
45(28.1)
23(28.0)
11(13.3)
6(13.3)
51(31.9)
34(41.5)
31(37.3)
14(31.1)
22(13.8)
8(9.8)
28(33.7)
11(24.4)
12(7.5)
8(9.8)
10(12.0)
11(24.4)
160(100)
82(100)
83(100)
45(100)
000***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26(14.1)
5(12.8)
3(7.1)
11(10.5)
48(26.1)
5(12.8)
10(23.8)
22(21.0)
64(34.8)
20(51.3)
12(28.6)
34(32.4)
33(17.9)
6(15.4)
12(28.6)
18(17.1)
13(7.1)
3(7.7)
5(11.9)
20(19.0)
184(100)
39(100)
42(100)
105(100)
071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32(10.7)
13(32.5)
7(22.6)
71(23.7)
7(17.5)
7(22.6)
109(36.5)
14(35.0)
6(19.4)
61(20.4)
2(5.0)
11(35.5)
26(8.7)
4(10.0)
31(100)
299(100)
40(100)
.000***
계
45(12.2)
85(23.0)
130(35.1)
69(18.6)
41(11.1)
370(100)
***p < .001
6) 한달 용돈
개인별 특성에 따른 한달 용돈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 표 8 >과 같다. 한달 용돈은 20―30만원이 전체의 130명(35.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65명(32.8%), 여자 65명(37.8%)이 모두 20―30만원이 가장 높았으며, 학과별로는 체육계열 33명(33.0%), 미술계열 33명(33.0%), 음악계열 46명(46.0%)이 20―3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바둑학과만 10―20만원이 21명(30.0%)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학년별로도 마찬가지로 1학년 51명(31.9%), 2학년 34명(41.5%), 3학년 31명(37.3%), 4학년 14명(31.1%) 모든 집단에서 20―30만원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 64명(34.8%), 천주교 20명(51.3%), 무종교 34명(32.4%)이 20―30만원이 가장 높았으며, 불교는 20―30만원 12명(28.6%)과 30―40만원 12명(28.6%)이 같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이 40만원 이상 11명(35.5%), 중류층과 하류층이 20―30만원이 각 109명(36.5%), 14명(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1회 활동 시 소비 비용
개인별 특성에 따른 1회 활동 시 소비 비용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1회 활동시 소비 비용은 1―3만원이 전체의 178명(48.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만원 이상이 9명(2.4%)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93명(47.0%), 여자 85명(49.4%)이 1―3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별로도 마찬가지로 체육계열 39명(39.0%), 미술계열 53명(53.0%), 음악계열 49명(49.0%), 바둑학과 37명(52.9%)이 모두1―3만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학년별에 따라서도 1학년 70명(43.8%), 2학년 38명(46.3%), 3학년 45명(54.2%), 4학년 25명(55.6%)o) 1―3만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기독교 94명(51.1%)과 불교19명(45.2%), 무종교 52명(49.5%)이 1만원이 가장 높은 반면 천주교는 14명(35.9%)이 3―5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과 중류층이 각 15명(48.4%), 149명(49.8%)이 1―3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하류층이 1만원 이하가 21명(52.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01)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개인별 특성에 따른 1회 활동 시 소비 비용 n(%)
항 목
구 분
1만원이하
1―3만원
3―5만원
5―10만원
10만원이상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55(27.8)
34(19.8)
93(47.0)
85(49.4)
28(14.1)
39(22.7)
17(8.6)
10(5.8)
5(2.5)
4(2.3)
198(100)
172(100)
.123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31(31.0)
25(25.0)
15(15.0)
18(25.7)
39(39.0)
53(53.0)
49(49.0)
37(52.9)
17(17.0)
15(15.0)
26(26.0)
9(12.9)
10(10.0)
5(5.0)
7(7.0)
5(7.1)
3(3.0)
2(2.0)
3(3.0)
1(1.4)
100(100)
100(100)
100(100)
70(100)
.212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4(33.8)
21(25.6)
10(12.0)
4(8.9)
70(43.8)
38(46.3)
45(54.2)
25(55.6)
27(16.9)
15(18.3)
14(16.9)
11(24.4)
7(4.4)
6(7.3)
12(14.5)
2(4.4)
2(1.3)
2(2.4)
2(2.4)
3(6.7)
160(100)
82(100)
83(100)
45(100)
.002**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43(23.4)
8(20.5)
11(26.2)
27(25.7)
94(51.1)
13(33.3)
19(45.2)
52(49.5)
33(17.9)
14(35.9)
6(14.3)
14(13.3)
11(6.0)
4(10.3)
3(7.1)
9(8.6)
3(1.6)
3(7.1)
3(2.9)
184(100)
39(100)
42(100)
105(100)
.127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2(6.5)
66(22.1)
21(52.5)
15(48.4)
149(49.8)
14(35.0)
5(16.1)
61(20.4)
1(2.5)
5(16.1)
20(6.7)
2(5.0)
4(12.9)
3(1.0)
2(5.0)
31(100)
299(100)
40(100)
.000***
계
89(24.1)
178(48.1)
67(18.1)
27(7.3)
9(2.4)
370(100)
**p < .01 ***p < .001
8) 활동 참여시 저해요인
개인별 특성에 따른 활동 참여시 저해요인을 교차 분석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활동 참여시 저해요인은 시간부족 147명(39.7%), 경제적 여유 114명(30.8%), 장소와 시설부족 67명(18.1%), 교통불편 31명(84%), 몸이 약함 11명(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시간부족이 남자 71명(35.9%), 여자 76명(44.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별로는 체육계열 33명(33.0%)만이 경제적 여유라고 응답한 수치가 가장 높은 반면, 미술계열 45명(45.0%), 음악계열 42명(42.0%), 바둑학과 35명(35.0%)의 세 집단은 시간부족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5)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에서는 1학년 50명(31.3%), 2학년 25명(30.5%), 3학년 25명(30.1%), 4학년 14명(31.3%)이 모두 시간부족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천주교만이 경제적 여유가 16명(41.0%)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독교 71명(38.6%), 불교 15명(35.7%), 무종교 48명(45.7%)은 시간부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 14명(45.2%)과 중류층 118명(39.5%)에서 시간부족이 가장 높았으며, 하류층은 경제적 여유가 18명(45.0%)으로 가장 높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p < .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개인별 특성에 따른 활동 참여시 저해요인 n(%)
항 목
구 분
경제적여유
시간부족
교통불편
몸이약함
장소와
시설부족
계
χ2
성 별
남 자
여 자
65(32.8)
49(28.5)
71(35.9)
76(44.2)
15(7.6)
16(9.3)
6(3.0)
5(2.9)
41(20.7)
26(15.1)
198(100)
172(100)
.394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33(33.0)
33(33.0)
28(28.0)
20(28.6)
25(25.0)
45(45.0)
42(42.0)
35(50.0)
13(13.0)
2(2.0)
12(12.0)
4(5.7)
4(4.0)
2(2.0)
3(3.0)
2(2.9)
25(25.0)
18(18.0)
15(15.0)
9(12.9)
100(100)
100(100)
100(100)
70(100)
.025*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0(31.3)
25(30.5)
25(30.1)
14(31.1)
67(41.9)
29(35.4)
32(38.6)
19(42.2)
13(8.1)
8(9.8)
7(8.4)
3(6.7)
2(1.3)
5(6.1)
2(2.4)
2(4.4)
28(17.5)
15(18.3)
17(20.5)
57(15.6)
160(100)
82(100)
83(100)
45(100)
.905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63(34.2)
16(41.0)
9(21.4)
26(24.8)
71(38.6)
13(33.3)
15(35.7)
48(45.7)
17(9.2)
2(5.1)
5(11.9)
7(6.7)
5(2.7)
2(5.1)
1(2.4)
3(2.9)
28(15.2)
6(15.4)
12(28.6)
21(20.0)
184(100)
39(100)
42(100)
105(100)
.433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3(9.7)
93(31.1)
18(45.0)
14(45.2)
118(39.5)
15(37.5)
2(6.5)
28(9.4)
1(2.5)
4(12.9)
6(2.0)
1(2.5)
8(25.8)
54(18.1)
5(12.5)
31(100)
299(100)
40(100)
.004**
계
114(30.8)
147(39.7)
31(8.4)
11(3.0)
67(18.1)
370(100)
*p < .05 **p < .01
2.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 조사 결과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는 <표 11>과 같다. 성별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스트레스 해소가 평균 3.98(sd=.93)로 여가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 능력 향상은 평균 3.09(sd=1.1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스트레스 해소가 평균 3.74(sd=.98)로 남자와 마찬가지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체력증진은 2.85(sd=1.1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과별로는 여가 만족도가 체육계열에서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에 도움이 된다는 항목에서 체육계열이 평균 3.34(sd=.93)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바둑학과는 평균 3.14(sd=1.04)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스트레스 해소는 음악계열이 평균 3.96(sd=.92)으로 가장 높았으며, 미술계열이 평균 3.80(sd=.99)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대체로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체력증진에서는 체육계열이 평균 3.29(sd=1.21)로 가장 높았으며, 미술계열이 평균 2.85(sd=1.30)로 3점(보통)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친목도모는 체육계열이 평균 3.62(sd=1.0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음악계열이 평균 3.51(sd=1.1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수업능력 향상은 음악계열이 평균 3.28(sd=1.17)로 가장 높았으며, 바둑학과가 3점(보통)보다 낮은 294(sd=1.03)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만족도는 대체로 1, 2학년이 3, 4학년보다 만족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해소는 1학년이 평균 3.98(sd=.96)로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학년이 평균 3.71(sd=.96)로 가장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증진은 1, 2, 3학년집단에서 3점(보통)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4학년은 2.96(sd=1.13)으로 보통(3점)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수업능력 향상에서도 1, 2, 3학년은 모두 3점(보통) 이상의 점수를 나타낸 반면, 4학년 집단만 2.73(sd=.99)으로 보통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종교별로는 무종교가 스트레스 해소 항목에서 평균 3.90(sd=1.0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능력 향상에서 평균 2.99(sd=1.11)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수업능력 향상은 천주교에서 평균 3.26(sd=1.1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가정경제 수준별로는 상류층에서 지식에 도움, 체력증진, 수업능력 향상 항목이 3점(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해소, 친목도모 항목은 하류층에서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개인별 특성에 빠른 여가활동 만족도 조사결과
항 목
구 분
n
지식에
도 움
스트레스
해 소
체 력
증 진
친 목
도 모
수업능력
향 상
―
χ
sd
―
χ
sd
―
χ
sd
―
χ
sd
―
χ
sd
성 별
남 자
여 자
합 계
198
172
370
3.32
3.25
3.29
1.00
.98
.99
3.98
3.74
3.87
.93
.98
.96
3.23
2.85
3.05
1.30
1.10
1.07
3.68
3.40
3.55
1.07
1.05
1.07
3.09
3.09
3.09
1.12
1.08
1.10
학 과
체육계열
미술계열
음악계열
바둑학과
합 계
100
100
100
70
370
3.34
3.29
3.33
3.14
3.29
.93
1.05
.96
1.04
.99
3.89
3.80
3.96
3.83
3.87
1.03
.99
.92
.85
.96
3.29
2.85
2.96
3.14
3.05
1.21
1.30
1.15
1.21
1.23
3.62
3.52
3.51
3.56
3.55
1.07
1.09
1.18
.86
1.07
3.09
3.00
3.28
2.94
3.09
1.00
1.15
1.17
1.03
1.10
학 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합 계
160
82
83
45
370
3.34
3.34
3.24
3.09
3.29
.98
.95
1.03
1.06
.99
3.98
3.91
3.71
3.73
3.87
.96
.92
.96
.99
.96
3.04
3.18
3.01
2.96
3.05
1.26
1.31
1.14
1.13
1.23
3.53
3.71
3.64
3.18
3.55
1.12
.99
1.04
.98
1.07
3.08
3.24
3.16
2.73
3.09
1.14
1.08
1.08
.99
1.10
종 교
기독교
천주교
불 교
무종교
합 계
184
39
42
105
370
3.27
3.28
3.40
3.28
3.29
.92
1.21
83
1.10
.99
3.84
3.72
3.86
3.99
3.87
.98
.97
1.05
.88
.96
2.95
2.77
3.31
3.24
3.05
1.23
1.20
1.07
1.26
1.23
3.59
3.31
3.55
3.57
3.55
1.07
1.24
.77
1.09
1.07
3.13
3.26
3.00
2.99
3.09
1.09
1.16
1.06
1.11
1.10
가정경제수준
상
중
하
합 계
31
299
40
370
3.71
3.30
2.88
3.29
1.10
.94
1.16
.99
3.77
3.88
3.90
3.87
1.18
.92
1.06
.96
3.19
3.03
3.15
3.05
1.49
1.17
1.44
1.23
3.58
3.53
3.68
3.55
1.12
1.06
1.10
1.07
3.32
3.14
2.53
3.09
1.19
1.09
.96
1.10
3.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 활동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1) 지식 도움
개인별 특성에 따른 지식 도움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표 12>와 같다. <표 11>과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식 도움의 경우 평균 3.29(sd=.99)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경제 수준별에서 하류층이 평균 2.88(sd=1.16)로 3점(보통)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학력별(f=3.596, p=.007)과 가정경제 수준별(f=3.529, p=.008)에 따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2. 개인별 특성에 따른 지식 도움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항 목
구 분
ss
df
ms
f
p
성 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225
91.818
92.043
4
365
369
5.625E―02
.252
.224
.925
학 과
집단―간
집단―내
합 계
3.664
423.363
427.027
4
365
369
.916
1.160
.790
.532
학 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6.022
406.522
422.543
4
365
369
4.005
1.114
3.596
.007**
종 교
집단―간
집단―내
합 계
9.676
623.826
633.503
4
365
369
2.419
1.709
1.415
.228
가정경제수준
집단―간
집단―내
합 계
2.636
68.145
70.781
4
365
369
.659
.187
3.529
.008**
**p < .01
2) 스트레스 해소
개인별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표 13>과 같다. <표 11>과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 해소의 경우 평균 3.87(sd=.96)로 모든 항목에서 상당히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3. 개인별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항 목
구 분
ss
df
ms
f
P
성 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780
90.263
92.043
4
365
369
.445
.247
1.799
.128
학 과
집단―간
집단―내
합 계
8.872
418.155
427.027
4
365
369
2.218
1.146
1.936
.104
학 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6.215
416.329
422.543
4
365
369
1.554
1.141
1.362
.247
종 교
집단―간
집단―내
합 계
3.802
629.700
633.503
4
365
369
.951
1.725
.551
.698
가정경제수 준
집단―간
집단―내
합 계
.819
69.962
70.781
4
365
369
.205
.192
1.068
.372
3) 체력증진
개인별 특성에 따른 체력증진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표 14>와 같다. <표 11>과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력증진의 경우 평균 3.05(sd=1.23)로 보통(3점)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서 여자가 평균 2.85(sd=1.10), 학과별에서 미술계열이 평균 2.85(sd=1.30), 음악계열 평균 2.96(sd=1.15), 학년별에서 4학년 평균 2.96(sd=1.13), 종교별에서 기독교가 평균 2.95(sd=1.23), 천주교 2.77(sd=1.20)로 보통(3점)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성별에서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6.197, p=.000).
표 14. 개인별 특성에 따른 체력 증진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항 목
구 분
ss
df
ms
f
p
성 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5.853
86.190
92.043
4
365
369
1.463
.236
6.197
.000***
학 과
집단―간
집단―내
합 계
3.077
423.950
427.027
4
365
369
.769
1.162
.662
.619
학 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8.023
414.520
422.543
4
365
369
2.006
1.136
1.766
.135
종 교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0.868
622.635
633.503
4
365
369
2.717
1.707
1.593
.176
가정경제
수준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78
70.603
70.781
4
365
369
4.445E―.02
.193
.230
.922
**p < .001
4) 친목도모
개인별 특성에 따른 친목도모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표 15>와 같다. <표 11>과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식 도움의 경우 평균 3.55(sd=1.07)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모든 항목에서 보통(3점)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목도모에 대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5. 개인별 특성에 따른 친목 도모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항 목
구 분
ss
df
ms
f
p
성 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179
90.246
92.043
4
365
369
.449
.247
1.817
.125
학 과
집단―간
집단―내
합 계
3.847
423.180
427.027
4
365
369
.962
1.159
.830
.507
학 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3.156
419.387
422.543
4
365
369
.789
1.149
.687
.602
종 교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327
632.175
633.503
4
365
369
.332
1.732
.192
.943
가정경제
수준
집단―간
집단―내
합 계
.601
70.180
70.781
4
365
369
.150
.192
.781
.538
5) 수업능력 향상
개인별 특성에 따른 수업능력 향상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표 16>과 같다. <표11>과 <표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업능력 향상의 경우 평균 3.09(sd=1.10)로 보통(3점)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과별에서 바둑학과가 평균 2.94(sd=1.03), 학년별에서 4학년이 평균 2.73(sd=.9), 종교별에서 무종교가 평균 2.99(sd=1.11), 가정경제 수준별에서 하류층이 평균 2.53(sd=.96)으로 보통(3점) 이하의 점수를 나타냈으며, 가정경제 수준별에 따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801, p=.026).
표 16. 개인별 특성에 따른 수업능력 향상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항 목
구 분
ss
df
ms
f
p
성 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295
90.748
92.043
4
365
369
.324
.249
1.303
.269
학 과
집단―간
집단―내
합 계
.878
426.149
427.027
4
365
369
.220
1.168
.188
.945
학 년
집단―간
집단―내
합 계
7.909
414.635
422.543
4
365
369
1.977
1.136
1.740
.066
종 교
집단―간
집단―내
합 계
15.056
618.447
633.503
4
365
369
3.764
1.694
2.221
.066
가정경제
수준
집단―간
집단―내
합 계
2.108
68.673
70.781
4
365
369
.527
.188
2.801
.026*
*p < .05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행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들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료수집은 2003년 5월2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에 소재 한 H, K대학교와 경기도에 소재 한 M, Y대학교 재학생 중 체육계열학과 100명, 미술계열학과 100명, 음악계열학과 100명, 바둑학과 70명, 총 370명을 대상으로 자기 평가 기입식(self―administration method)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의 행태적 특성 분석결과
(1) 활동유형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관람 · 감상이 27.3%, 스포츠 26.8%, 놀이 · 오락이 26.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학과별, 종교별, 가정 경제수준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개월 간 참여빈도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4―6회가 27.1%, 3―4회가 2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별, 종교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1회 참여시 체제시간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2―3시간이 3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참여기간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3년 이상이 49.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동반자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친구가 65.9%, 이성친구 15.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별과 학년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한 달 용돈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20―30만원이 35.1%, 10―20만원이 2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가정경제 수준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1회 활동시 소비 비용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1―3만원이 48.1%, 1만원 이하가2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가정경제 수준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활동 참여시 저해요인에 따른 참여 행태의 결과에서는 시간부족 39.7%, 경제적 여유30.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별, 가정경제 수준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예·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행태 결과를 볼 때, 예 · 체능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은 비활동적이고 휴양적 여가활동인 관람 · 감상을 주로 즐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이는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대학생들이 즐기는 여가활동 행태가 스포츠 활동이라는 결과를 볼 때, 예 · 체능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그들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들이, 학과별로는 음악계열 학생들이 가장 비활동적인 여가 선용 방법을 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참여기간을 볼 때 3년 이상을 지속해 오고 있었으며, 이는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예 · 체능을 전공하는 이들 집단은 뚜렷한 전공을 선택한 만큼, 주관이 뚜렷하고 개성도 강할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들이 대학생활에 만족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휴식만을 위한 여가활동 보다는 여가교육을 통해 다양한 여가활동에 관한 지식과 기술의 학습 또는 자기창조 계발과 함께 체력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대학 캠퍼스 내에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적극적인 참여의 기회를 줌으로써 학교 내 건전한 여가 환경을 조성하고, 수동적인 여가 참여에서 능동적인 여가 참여로 전환하는데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이들이 여가활동 참여시 가장 저해요인이라고 응답한 시간부족의 문제, 경제적 부담들은 캠퍼스 내에서 공간시간 등의 활용으로 인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2) 여가활동 만족도 분석결과 및 결론
여가 활동 만족도의 조사결과를 보면, 스트레스 해소가 평균 3.87(sd=.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목도모가 평균 3.55(sd=1.07), 지식에 도움 3.29(sd=.99), 수업능력 향상 3.09(sd=1.10), 체력증진 3.05(sd=1.23)의 순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여가 만족이란, 여가 활동의 선택과 참가의 결과로서 개인이 형성하거나 획득하는 긍정적 혹은 감정이라 할 수 있는데(Beard, J. B. & Ragheb, M. G, 1982 ), 예 · 체능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활동한 참여의 결과를 볼 때,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해소의 만족도 점수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또한 만족도를 측정한 항목의 결과에서 예 · 체능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요즘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여가시간을 많은 비용을 가지고서 화려하고 즐겁게만 보내려는 것이 아니라 여가를 미래 지향적인 재충전의 기회로 삼아 각 개인에게 적합한 신체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건전하게 실행함으로써 스스로가 만족함을 얻고 그 기술과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여가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2. 제언
본 연구에서는 예 · 체능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행태와 여가활동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이 참여하는 여가 활동 행태와 만족도와의 관계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별 특성 또한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임의 선정한 학교만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예 · 체능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에 적용하여 일반화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아울러 점차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대중화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여가 유형이 놀이 · 오락 중심에 있는 현 시점에서 대학생들을 위한 여가 연구는 아직도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교육적이고 건전한 여가선용이 학교 내 · 외적으로 여가교육과 관련된 부수적 연구 문제가 제기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후속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광득(1997). 여가와 현대사회 서울 백산출판사
김경진, 김홍록, 노재준, 박상욱, 이영기(1995). 여가 · 레크리에이션. 도서출판 이진
김문겸(1993). 여가의 사회학 도서출판 : 한울
김신자(1983) 여자 대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호(2001). 여가 행태의 바람직한 방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5호.
김진탁, 김원인(1997) 현대 여가 · 위락론 서울 · 학문사.
남행웅, 육조영, 육영숙, 오태영, 이종호(1996). 여가정보론 도서출판 : 홍경.
박만섭(1990) 한 · 일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및 가치관에 관한 비교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숙, 김종수(1999).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대학만족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제12호.
박장근(1998). 여가의 사회문제와 여가교육의 필요성.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9호.
박재현(1992).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조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광, 이제홍, 임종호(1999). 성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태도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2호.
서태양, 차석빈(1999). 여가론. 서울 : 대왕사.
심영보(2000).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경주(1993). 선호밀도와 혼잡지각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중근(1994). 철도기관사들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덕성, 박영숙(2000).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 유형 및 참여정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4호.
이상률(1996). 놀이와 인간. 서울 : 문예출판사.
이영일(1986).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에리사(1996). 생활체육 활동과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장영(1999). 대학생의 여가와 스포츠 관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2호.
임창순(2001). 바둑문화의 정체성을 찾아. 바둑과 문화 도서출판 : 바둑과 문화.
조연철, 이종완(2000). 배드민턴 동호인의 여가만족예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4호.
최경칠, 최만준(1998).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9호.
최장호, 박영숙(2000).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4호.
Beard, J. B. & M. G(1982).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siure Reasearch.
Dumazedier, J.(1967). Toward a society of leisure. new―York : The free press.
--------------------------------------------------------------------------------
이력사항
박장근
(Park, Jang―geun)
체육학부 교수
정수현
(Jeong, Soo―hyun)
바둑학과 부교수
임란희
(Lim, Ran―hee)
체육학부 강사
'퍼온~바둑..! > 관련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바둑학 전공자들의 여가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0) | 2008.05.12 |
---|---|
[=] 바둑기술의 문제해결적 접근 (0) | 2008.05.12 |
[=] 현대사회와 스포츠 문화의 구성체계에 관한 고찰 (0) | 2008.05.12 |
[=] 유아의 상징놀이와 사회인지 발달 : 통합적 고찰 (0) | 2008.05.12 |
[=] 놀이의 원리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방법 (0) | 2008.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