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조사 대상
2. 조사 방법
3. 자료 처리
Ⅲ.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형태
1. 여가 유형에 대한 참여형태
2. 참여빈도에 대한 참여형태
3. 참여기간에 대한 참여형태
4. 동반자에 대한 참여형태
5. 한달용돈에 대한 참여형태
6. 저해요인에 대한 참여형태
Ⅳ.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에 대한 만족도 분석
1.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2. 학년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3. 종교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4.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1) 여가활동 참여형태 분석
2)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에 대한 만족도 분석
2. 제언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藝體能論集
ISSN
권 13
호
출판일 2002.
바둑학 전공자들의 여가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 of Leisure of the Majors in Baduk Studies
박장근
(Park, Jang-Geun)
정수현
(Jeong, Soo-Hyun)
임란희
(Lim, Ran-Hee)
5-717-0201-08
영문요약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of leisure types of ‘the majors in Baduk Studies who attend Myong-ji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100 student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ir leisure type, that is, leisurely activities, satisfaction from it, absorbtion in i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The result conducted by some statistical analyses is as follows :
1. The Analysis of Participation type of leisure activities
1) In the aspect of participation type of leisure modes, play & recreation takes 34.0% and in sex appears significant difference.
2) In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ver 6 times occupies 41.0% and in sex comes meaningful discrepancy.
3) In the participation span, over 3 years has 56% of the whole, where remarkable differences are shown in grade, religion and the level of household economy.
4) In the participation of accompanists, 66% turns up ‘friends’,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factors.
5) In the participation of an obstruction factor, the shortage of time accounts for 48.0%, that shows an meaningful difference in grade.
2.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eisure Participation of the Majors in Baduk Studies
1) The highest in leisure satisfaction was shown in men, freshmen, non-religion, middleclass, and a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religion.
2) The highest satisfaction in leisure absorbtion was seen in women the 4th grade, non-religion, the high clas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came out in the level of household economy.
3) The highest in the satisfaction of life turned up in men, freshmen, non-religion, the high class, and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level of household economy.
--------------------------------------------------------------------------------
Ⅰ. 서론
21세기는 「여가의 시대」 라고 불릴 만큼 오늘날 여가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그 역할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삶의 질」 의 문제는 여가를 논하지 않고서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없을 정도로 여가문제는 우리 생활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이덕성 등, 2000).
여가는 전체 생활 속에서 노동과 의무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된 것으로 존재하며 동시에 그것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건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긍정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김광득, 1997). 따라서 여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용하느냐의 문제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여가활동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휴식 기능, 심리적 안정 기능, 교육 및 문화 기능 등이 높아져 사회전반이 향상 발전된다. 반면에 획일화가 이루어지거나 대중성, 동질성 등이 작용하여 인간의 주체적 사고나 판단이 소외당하는 경향을 띄기도 하며, 다수의 정의에 의하여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게 되는 부정적인 경우도 제외할 수는 없다(임창순, 2001).
현대사회의 여가활동으로는 각종 스포츠나 레저 등의 적극적인 동적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정적인 여가활동도 상당히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활동 중 흥미 있고,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적 여가활동의 대표적인 예로 바둑을 들 수 있다.
바둑은 동양적 사고가 담긴 두뇌게임으로서 심오한 예술성과 무궁한 창조성 및 교훈성을 내포한 빼놓을 수 없는 정적 여가의 한 분야이다. 바둑은 중국에서 고안되어 한국과 일본에 보급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수 천년의 긴 세월 동안 한국, 중국, 일본 국민들의 대중적인 놀이문화로 기여해 왔고 오늘날에는 세계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정수현, 2000).
우리나라에서 바둑은 20세기 중반에 조남철이 현대바둑을 보급하면서 일반인들에게 전파되어오다가 20세기 말에 조치훈, 조훈현, 이창호로 이어지는 세계적인 기사의 배출로 인해 바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그 결과 전국적으로 바둑교실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1997년 세계최초로 명지대학교는 바둑학과를 개설하여 동양의 전통적 여가문화로 현대인들에게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둑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있다(정수현, 2000). 이것은 그만큼 바둑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 있음을 반영하는 증거라고 하겠다. 이렇게 해서 바둑은 탄생된 지 무려 수천 년 만에 처음으로 학문으로서의 첫발을 내밀게 되었는데, 명지대학교 바둑학과는 바둑과 관련된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식을 쌓도록 함으로써 국내외에 바둑문화를 올바로 전파할 수 있는 바둑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명지대학교, 1999).
여가생활의 특성 면에서 볼 때 대학생 계층은 가장 능동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계층으로서, 사회인으로 출발을 준비하기 위한 마지막 시기에 있다고 볼 때 건전하고 유익한 여가활동 향유를 위한 여가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집단이다(최경칠 등, 1998). 그러나 대학생의 여가생활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여가활동이 대부분 오락적이고 휴식적인 활동 형태라는 데 있다. 여가의 형태는 다양한 측면에서 파악될 수 있다.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빈도나 강도, 시간, 활동 유형 등 객관적인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가치나 만족도를 통하여 인간의 여가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최장호 등, 2000). 여가활동의 유형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는데, 남행웅 등(1996)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창조적이고 문화적인 여가활동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며 또한 여가활동의 종류는 다양하기 때문에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즐기는 여가활동이 다를 것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선행된 여러 연구자료들의 결과에 의하면 여가활동이란 매우 중요할 뿐 아너라 개인의 생활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바둑이라는 특정 전공자들의 여가활동 참여 및 여가만족도에 대한 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정적인 여가활동의 한 분야인 바둑을 연구하는 바둑학과 학생들의 여가활동 특성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적극적인 동적 여가활동과 달리 바둑은 정적인 여가활동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어 많은 면에서 다른 특징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 연구에서는 바둑학을 전공한 학생들의 여가활동 형태 및 여가만족·여가몰입·생활만족을 알아보고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여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조사 대상
이 연구를 위한 조사는 2002년 5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총 113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응답을 하지 않은 문항이 지나치게 많거나 한쪽에 치우친 불성실한 응답을 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총 100명의 설문 응답자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표 1>과 같이 전체 표본 100명 중에 남성이 65%, 여성이 35%였으며, 학년 분포는 1학년이 30%, 2학년이 27%, 3학년이 25%, 4학년이 18%의 순으로 차지하고 있다. 종교별로는 기독교가 37%으로 가장 많고 천주교가 9%로 가장 적다. 가정경제수준은 중류층이 84%나 차지해 가장 많았고, 하류층이 12%, 상류층이 4%를 차지하고 있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분
N(명)
비율(%)
구분
N(명)
비율(%)
성별
남자
65
65.0
종교
기독교
37
37.0
여자
35
35.0
천주교
9
9.0
학년
1 학년
30
30.0
불교
19
19.0
2 학년
27
27.0
없음
35
35.0
3 학년
25
25.0
가정경제수준
상류층
4
4.0
4 학년
18
18.0
중류층
84
84.0
합계
100
100.0
하류층
12
12.0
2. 조사 방법
이 연구에서 바둑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여가 형태 및 여가만족, 여가몰입, 생활만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법은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이미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받아 이 에리사(1996)가 논문에서 사용한 설문지로 본 연구의 과제에 적절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를 2002년 5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에게 배포하고,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서 신뢰할 수 없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100명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내용은 조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항목 4개 문항, 여가활동 형태에 관한 6개 문항, 여가만족에 관한 20개 문항, 여가몰입에 관한 5개 문항, 생활만족에 관한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여가활동 형태에 대한 내용은 여가유형, 참여빈도, 참여기간, 동반자, 한달 용돈, 저해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가만족에 대한 내용은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양적, 생리적, 환경적 내용 등에 비중을 두었고, 여가몰입은 사고와 행동의 일치성, 활동과의 조화성, 정신적 몰두정도, 시간개념의 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활만족은 감정적인 부분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α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전체 만족도계수는 α=.9193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척도별 신뢰도 계수는 α=.7393~.8879로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3. 자료 처리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응답자료를 검토하여 불성실하거나 응답내용에 대해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무기입 자료 등은 제외하고, SPSS Window Version 10.0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맞게 통계처리하였다.
통계분석은 기초적 통계를 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형태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X² 검증 통계량을 이용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인별 특성에 따른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만족, 여가몰입, 생활만족에 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독립변인별의 차이를 검정하였고, 내적 일치도인 Cronbach’ α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Ⅲ.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형태
1. 여가 유형에 대한 참여형태
<표 2>는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들의 여가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 100명의 대상자는 놀이·오락이 34.0%, 스포츠 26.0%, 취미·교양이 18.0%, 관람·감상이 17.0%, 행락·관광이 5%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놀이·오락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 여가유형에 대한 참여형태
변인
스포츠
취미·교양
관람·감상
행락·관광
놀이·오락
계
X²
N (%)
26(26.0)
18(18.0)
17(17.0)
5(5.0)
34(34.0)
100(100.0)
성별
남자
여자
21(80.8)
5(19.2)
12(66.7)
6(19.2)
3(17.6)
14(82.4)
3(60.0)
2(40.0)
26(76.0)
8(23.5)
65(65.0)
35(35.0)
26.641***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8(30.8)
3(11.5)
6(23.1)
9(34.6)
3(16.7)
6(33.3)
6(33.3)
3(16.7)
4(23.5)
9(52.9)
2(11.8)
2(11.8)
1(20.0)
1(20.0)
3(60.0)
14(41.2)
8(23.5)
8(23.5)
4(11.8)
30(30.0)
27(27.0)
25(25.0)
18(18.0)
20.156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11(42.3)
1(3.8)
4(15.4)
10(38.5)
7(38.9)
1(5.6)
5(27.8)
5(27.8)
10(58.8)
1(5.9)
3(17.6)
3(17.6)
1(20.0)
1(20.0)
2(40.0)
1(20.0)
8(23.5)
5(14.7)
5(14.7)
16(47.1)
37(37.0)
9(9.0)
19(19.0)
35(35.0)
13.522
가정경제수준
상류층
중류층
하류층
1(3.8)
22(84.6)
3(11.5)
17(94.4)
1(5.6)
17(100.0)
5(100.04)
3(8.8)
23(67.6)
8(23.5)
4(4.0)
84(84.0)
12(12.0)
12.601
***p<.001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성별과의 분포에서 놀이·오락과 스포츠에서는 남자가 관람·감상과 놀이·오락에서는 여자가 높은 참여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0).
학년별에 따른 분포는 1학년은 놀이·오락과 스포츠, 2학년에서는 관람·감상과 놀이·오락, 3학년은 놀이·오락과 취미·교양, 4학년은 스포츠와 놀이·오락에 높은 참여 경향을 나타내고있다.
종교별에 따른 분포는 기독교는 스포츠가, 천주교는 놀이 오락에, 불교는 취미 교양과 놀이·오락에, 없음은 놀이·오락에 높은 참여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분포는 상류, 중류, 하류층 모든 집단이 놀이·오락에 높은 참여를 나타내고 있다.
2. 참여빈도에 대한 참여형태
<표 3>은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들의 여가 참여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 100명의 대상자 중 6회 이상이 41.0%, 3회 이하와 3회~4회가 각 20.0%, 4~5회가 12.0%, 5~6회가 7.0%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참여빈도는 6회 이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성별,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의 모든 변인에서 한 달에 6회이상의 참여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 집단에서는 5%범위 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학년별로나 종교별, 가정경제수준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표 3. 참여빈도에 대한 참여형태
변인
3회 이하
3-4회
4회
5-6회
6회 이상
계
X²
N (%)
20(20.0)
20(20.0)
12(12.0)
7(7.0)
41(41.0)
100(100.0)
성별
남자
여자
13(65.0)
7(35.0)
12(60.0)
8(40.0)
7(58.3)
5(41.7)
1(14.3)
6(85.7)
32(78.0)
9(22.0)
65(65.0)
35(35.0)
11.436*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6(30.0)
6(30.0)
5(25.0)
3(15.0)
6(30.0)
5(25.0)
4(20.0)
5(25.0)
2(16.7)
2(16.7)
4(33.3)
4(33.3)
4(57.1)
2(28.6)
1(14.3)
16(39.0)
10(24.4)
10(24.4)
5(12.2)
30(30.0)
27(27.0)
18(18.0)
18(18.0)
10.562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7(35.0)
3(15.0)
2(10.0)
8(40.0)
10(50.0)
2(10.0)
4(20.0)
4(20.0)
6(50.0)
3(25.0)
3(25.0)
2(28.6)
4(57.1)
1(14.3)
14(34.1)
2(4.9)
6(14.6)
19(46.3)
37(37.0)
9(9.0)
19(19.0)
35(35.0)
20.817
가정경제수준
상류층
중류층
하류층
18(90.0)
2(10.01
1(5.0)
17(85.0)
2(10.0)
11(91.7)
1(8.3)
5(71.4)
2(28.6)
3(7.3)
33(80.5)
5(12.2)
4(4.0)
84(84.0)
12(12.0)
4.973
*p<.05
3. 참여기간에 대한 참여형태
<표 4>는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들의 여가 참여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 100명의 대상자 중 3년 이상이 56.0%, 1년~3년이 20.0%, 3개월 미만이9.0%, 6개월~l년이 8.0%, 3개월~6개월이 7.0%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참여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성별,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의 모든 변인에서 3년 이상의 참여기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있으나,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의 집단에서는 5%범위 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표 4. 참여기간에 대한 참여형태
변인
3개월 미만
3-6개월
6개월-년
1-3년
3년 이상
계
X²
N (%)
9(9.0)
7(7.0)
8(8.0)
20(20.0)
56(56.0)
100(100.0)
성별
남자
여자
7(77.8)
2(22.2)
6(85.7)
1(14.3)
3(37.5)
5(62.5)
9(45.0)
11(55.0)
40(71.4)
16(28.6)
65(65.0)
35(35.0)
9.159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1(11.1)
1(11.1)
5(55.6)
2(22.2)
1(14.3)
4(57.1)
2(28.6)
1(12.5)
4(50.0)
3(37.5)
11(55.0)
5(25.0)
3(15.0)
1(5.0)
16(28.6)
13(23.2)
12(21.4)
15(26.8)
30(30.0)
27(27.0)
25(25.0)
18(18.0)
23.810*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4(44.4)
1(11.1)
3(33.3)
1(11.1)
1(14.3)
1(14.3)
1(14.3)
4(57.1)
3(37.5)
3(37.5)
2(25.0)
4(20.0)
2(10.0)
7(35.0)
7(35.0)
25(44.6)
2(3.6)
8(14.3)
21(37.5)
37(37.0)
9(9.0)
19(19.0)
35(35.0)
21.597*
가정경제
수준
상류충
중류충
하류층
5(55.6)
4(44.4)
6(85.7)
1(14.3)
5(62.5)
3(37.5)
20(100.0)
4(7.1)
48(85.7)
4(7.1)
4(4.0)
84(84.0)
12(12.0)
20.843*
*p<.05
4. 동반자에 대한 참여형태
<표 5>는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들의 여가 참여시 동반자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 100명의 대상자 중 친구가 56.0%, 동호인 클럽이 12.0%, 혼자가 11.0%, 가족이 8.0%, 이성친구가 3.0%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동반자는 친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성별,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의 모든 변인에서 친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표 5. 동반자에 대한 참여형태
변인
혼자
가족
친구
이성친구
동호인클럽
계
X²
N (%)
11(11.0)
8(8.0)
66(66.0)
3(3.0)
12(12.0)
100(100.0)
성별
남자
여자
9(81.8)
2(18.2)
4(50.0)
4(50.0)
39(59.1)
27(40.9)
2(66.7)
1(33.3)
11(91.7)
1(8.3)
65(65.0)
35(35.0)
6.926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3(27.3)
5(45.5)
2(18.2)
1(9.1)
1(12.5)
3(fr.5)
2(25.0)
2(25.0)
20(30.3)
16(24.2)
17(25.8)
13(19.7)
1(33.3)
1(33.3)
1(33.3)
6(50.0)
2(16.7)
3(25.0)
1(8.3)
30(30.0)
27(27.0)
25(25.0)
18(18.0)
7.001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6(54.5)
1(9.1)
4(36.4)
3(37.5)
1(12.5)
4(50.0)
24(36.4)
7(10.6)
15(22.7)
20(30.3)
1(33.3)
1(33.3)
1(33.3)
3(25.0)
1(8.3)
2(16.7)
6(50.0)
37(37.0)
9(9.0)
19(19.0)
35(35.0)
7.605
가정경제
수준
상류층
중류층
하류층
2(18.2)
9(81.8)
6(75.0)
2(25.0)
2(3.0)
56(84.8)
8(12.1)
3(100.0)
10(83.3)
2(16.7)
4(4.0)
84(84.0)
12(12.0)
9.812
5. 한달용돈에 대한 참여형태
<표 6>은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들의 여가 참여시 한달용돈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 100명의 대상자 중 20~30만원이 29.0%, 10~20만원이 28.0%, 10만원이하가 22.0%, 30~40만원이 13.0%, 40만원 이상이 8.0%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한달용돈은 20~30만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성별 집단에서는 남자는 20~30만원이, 여자는 10~20만원이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학년별에 따른 분포는 1학년과 4학년은 10~20만원이, 2학년에서는 10만원 이하, 3학년은 20~30만원이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종교별에 따른 분포는 기독교와 불교는 10~20만원이, 천주교는 10만원 이하와 20~30만원, 없음은 20~30만원이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분포는 상류층은 20~30만원이, 중류층은 10~20만원, 하류층은 10만원 이하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고, 학년과 가정경제수준의 집단에서는 5%범위 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성별과 종교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표 6. 한달용돈에 대한 참여형태
변인
10만원이하
10-20만원
20-30만원
30-40만원
40만원이상
계
X²
N (%)
22(22.0)
28(28.0)
29(29.0)
13(13.0)
8(8.0)
100(100.0)
성별
남자
여자
15(68.2)
7(31.8)
16(57.1)
12(42.9)
21(72.4)
8(27.6)
7(53.8)
6(46.2)
6(75.0)
2(25.0)
65(65.0)
35(35.0)
2.621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7(31.8)
9(40.9)
5(22.7)
1(4.5)
10(35.7)
7(25.0)
5(17.9)
6(21.4)
9(31.0)
9(27.6)
9(31.0)
3(10.3)
4(30.8)
2(15.4)
4(30.8)
3(23.1)
1(1.2.5)
2(25.0)
5(62.5)
30(30.0)
27(27.0)
25(25.0)
18(18.0)
19.175*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6(27.3)
4(18.2)
4(18.2)
8(36.4)
15(53.6)
6(21.4)
7(25.0)
12(41.4)
4(13.8)
4(13.8)
9(31.0)
4(30.8)
1(7.7)
3(23.1)
5(38.5)
2(25.0)
6(‘75.0)
37(37.0)
9(9.0)
19(19.0)
35(35.0)
17.371
가정경제수준
상류층
중류층
하류층
16(72.7)
6(27.3)
1(3.6)
27(96.4)
2(6.9)
23(79.3)
4(13.8)
1(7.7)
12(92.3)
6(75.0)
2(25.0)
4(4.0)
84(84.0)
12(12.0)
13.773*
*p<.05
6. 저해요인에 대한 참여형태
<표 7>은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이 그들의 여가 참여시 저해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 100명의 대상자 중 시간부족이 48.0%, 경제적 여유가 29.0%, 장소와 시설의 부족이 14.0%, 교통불편이 8.0%, 몸이 약함이 1.0%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어 저해요인은 시간부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성별 집단에서는 남자와 여자 모두 시간부족이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학년별에 따른 분포는 1학년과 4학년은 시간부족이, 2학년과 3학년은 경제적 여유가 자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종교별에 따른 분포는 기독교와 불교, 없음 집단에서는 시간부족이, 천주교 집단에서만 경제적 여유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분포는 상류층과 중류층은 시간부족이, 하류층은 경제적 여유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고, 학년의 집단에서는 5%범위 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있으나, 성별과 종교, 가정경제수준의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표 7. 저해요인에 대한 참여형태
변인
경제적 여유
시간부족
교통불편
몸이약함
장소
시설부족
계
X²
N (%)
29(29.0)
48(48.0)
8(8.0)
1(1.0)
14(14.0)
100(100.0)
성별
남자
여자
19(65.5)
10(34.5)
30(62.5)
18(37.5)
6(75.0)
2(25.0)
1(100.0)
9(64.3)
5(35.7)
65(65.0)
35(35.0)
1.029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5(17.2)
12(41.4)
10(34.5)
2(6.9)
14(29.2)
12(25.0)
8(16.7)
14(29.2)
5(62.5)
3(37.5)
1(100.0)
6(42.9)
3(21.4)
3(21.4)
2(14.3)
30(30.0)
27(27.0)
25(25.0)
18(18.0)
22.592*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11(37.9)
5(17.2)
6(20.7)
7(24.1)
22(45.8)
3(6.3)
7(14.6)
16(33.3)
2(25.0)
1(12.5)
3(37.5)
2(25.0)
1(100.0)
2(14.3)
3(21.4)
9(64,3)
37(37.0)
9(9.0)
19(19.0)
35(35.0)
15.796
가정경제수준
상류충
중류층
하류층
21(72.4)
8(27.6)
3(6.3)
41(85.4)
4(8.3)
8(100.0)
1(100.0)
1(7.1)
13(92.9)
4(4.0)
84(84.0)
12(12.0)
12.522
*p<.05
Ⅳ.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에 대한 만족도 분석
1.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여가만족도에 대한 성별 간 차이는 <표 8>과 같다. <표 8>과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가만족의 경우, 남자가 평균 3.46(sd=.59)로 여자 평균 3.33(sd=.5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가몰입의 경우, 여성이 평균 3.30(sd=.73)으로 남자 평균 3.27(sd=.58)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활만족의 경우, 남성이 평균 3.30(sd=.67)로 여성 평균 3.22(sd=.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3점(보통)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성별에 따른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여가만족도에 대한 성별 간 차이
항목
구분
SS
df
ms
f
p
여가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394
32.682
33.076
1
98
99
.394
.333
1.182
.280
여가몰입
집단-간
집단-내
합계
1.235E-02
47.275
47.288
1
98
99
1.235E-02
.482
.026
.873
생활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169
40.630
40.799
1
98
99
.169
.415
.407
.525
한편, 성별에 따른 여가 만족도 조사결과는 <표 9>와 같다. 남자의 경우, 만족도 요인 중에 여가만족 평균이 3.46(sd=.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몰입이 평균 3.27(sd=.6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는 여가만족이 평균 3.33(sd=.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3.22(sd=.5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9.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평균과 표준편차
구분
n
여 가 만 족
여 가 몰 입
생 활 만 족
sd
sd
sd
남자
여자
65
35
3.4631
3.3314
.5898
.5536
3.2738
3.2971
.6760
.7282
3.3051
3.2190
.6742
.5827
합계
100
3.4170
.5780
3.2820
.6911
3.2750
.6420
2. 학년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여가만족도에 대한 학년별 간 차이는 <표 10>과 같다. <표 10>과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가만족의 경우, 1학년이 평균 3.50(sd=.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학년이 평균3.27(sd=..4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가몰입의 경우, 4학년이 평균 3.40(sd=.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학년이 평균3.22(sd=.8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활만족의 경우, 1학년이 평균 3.33(sd=.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학년이 평균 3.21(sd=.7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서 2학년 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점수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여가만족도에 대한 학년별 간 차이
항목
구분
SS
df
ms
f
p
여가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892
32.184
33.076
3
96
99
.297
.335
.887
.451
여가몰입
집단-간
집단-내
합계
.352
46.936
47.288
3
96
99
.117
.489
.240
.868
생활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197
40.602
40.799
3
96
99
6.558E-02
.423
.155
.926
한편, 학년별에 따른 여가 만족도 조사결과는 <표 11>과 같다. 1학년의 경우, 만족도 요인중에 여가만족이 평균 3.50(sd=.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몰입이 평균 3.27(sd=.7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학년은 여가만족이 평균 3.27(sd=.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3.22(sd=.7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학년은 여가만족이 평균 3.47(sd=.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몰입이 평균 3.27(sd=.6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학년은 여가만족이 평균3.42(sd=.5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3.27(sd=.4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학년에서 여가만족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11. 학년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평균과 표준편차
구분
n
여 가 만 족
여 가 몰 입
생 활 만 족
sd
sd
sd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30
27
25
18
3.4983
3.2667
3.4740
3.4278
.6831
.4905
.5302
.5766
3.2733
3.2222
3.2720
3.4000
.7134
.8215
.6215
.5615
3.3333
3.2160
3.2733
3.2685
.6081
.7635
.6699
.4822
합계
100
3.4170
.5780
3.2820
.6911
3.2750
.6420
3. 종교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여가만족도에 대한 종교별 간 차이는 <표 12>와 같다. <표 12>와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가만족의 경우, 없음이 평균 3.64(sd=.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천주교가 평균3.08(sd=.4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교별에 따른 여가만족에 관한 만족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347, df=3, 96, p<.002). 여가몰입의 경우, 없음이 평균3.35(sd=.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천주교가 평균 2.91(sd=.71)로 보통(3점)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생활만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없음이 평균 3.44(sd=.6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천주교가 보통(3점)보다 낮은 2.89(sd=.66)로 나타났다. 여가몰입과 생활만족의 항목에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2. 여가만족도에 대한 종교별 간 차이
항목
구분
SS
df
ms
f
p
여가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4.735
28.341
33.076
3
96
99
1.578
.295
5.347
.002**
여가몰입
집단-간
집단-내
합계
1.450
45.837
47.288
3
96
99
.483
.477
1.102
.391
생활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2.592
38.207
40.799
3
96
99
.863
.398
2.171
.096
**p<.01
한편, 종교별에 따른 여가 만족도 조사결과는 <표 13>과 같다. 기독교의 경우, 만족도 요인 중에 여가몰입이 평균 3.28(sd=.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3.19(sd=.5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천주교는, 여가만족이 평균 3.08(sd=.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2.85(sd=.6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불교는, 여가만족이 평균 3.57(sd=.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3.31(sd=.6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없음은 여가만족이 평균 3.64(sd=.5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몰입이 평균 3.35(sd=.7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독교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여가만족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13. 종교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평균과 표준편차
구분
n
여 가 만 족
여 가 몰 입
생 활 만 족
sd
sd
sd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37
9
19
35
3.2122
3.0778
3.5711
3.6371
.5710
.4931
.4331
.5760
3.2811
2.9111
3.3368
3.3486
.6155
.7149
.7088
.7489
3.1937
2.8889
3.3070
3.4429
.5686
.6614
.6267
.6859
합계
100
3.4170
.5780
3.2820
.6911
3.2750
.6420
4.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조사결과
여가만족도에 대한 가정경제수준별 간 차이는 <표 14>와 같다. <표 14>와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가만족의 경우, 중류층에서 평균 3.45(sd=.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류층에서 평균 3.21(sd=.7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교별에 따른 여가만족에 대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몰입의 경우, 상류층이 평균 3.35(sd=.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류층에서 보통(3점)보다 낮은 평균 2.80(sd=.63)으로 나타났다.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여가몰입에 관한 만족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483, df=2, 97, p<.035). 생활만족의 경우, 상류층이 평균 3.58(sd=.6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류층이 평균 보통(3점)보다 낮은2.82(sd=.69)로 나타났다.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만족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966, df=2, 97, p<.022).
표 14. 여가만족도에 대한 가정경제수준별 간 차이
항목
구분
55
df
ms
f
p
여가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729
32.347
33.076
2
97
99
.365
.333
1.094
.339
여가몰입
집단-간
집단-내
합계
3.168
44.120
47.288f
2
97
99
1.584
.455
3.483
.035*
생활만족
집단-간
집단-내
합계
3.084
37.715
40.799
2
97
99
1.542
.389
3.966
.022*
*p<.05
한편,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여가 만족도 조사결과는 <표 15>와 같다. 상류층의 경우, 만족도 요인 중에 생활만족이 평균 3.58(sd=.6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만족이 평균3.25(sd=.7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류층은 여가만족이 평균 3.45(sd=.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이 평균 3.33(sd=.6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류층의 경우 여가만족이 평균3.21(sd=.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몰입이 평균 2.80(sd=.6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15. 가정경제수준별에 따른 여가만족도 평균과 표준편차
구분
n
여 가 만 족
여 가 몰 입
생 활 만 족
sd
sd
sd
상류층
증류층
하류층
4
84
12
3.2500
3.4542
3.2125
.7348
.5486
.7227
3.3500
3.3476
2.8000
.4726
.6866
.6267
3.5833
3.3254
2.8194
.6872
.6116
,6907
합계
100
3.4170
.5780
3.2820
.6911
3.2750
.6420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명지대학교 바둑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여가활동 형태 및 여가만족, 여가몰입, 생활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여가활동 참여형태 분석
(1) 여가유형에 대한 참여형태는 놀이·오락이 34.0%를 차지했으며,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참여빈도에 대한 참여형태는 6회 이상이 41.0%를 차지했으며,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참여기간에 대한 참여형태는 3년 이상이 56.0%를 차지했으며, 학년, 종교, 가정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동반자에 대한 참여형태는 친구가 66.0%를 차지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한달용돈에 대한 참여형태는 20~30만원이 29.0%를 차지했으며, 학년, 가정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저해요인에 대한 참여형태는 시간부족이 48.0%를 차지했으며,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바둑학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참여에 대한 만족도 분석
(1) 여가만족에 관한 만족도는 성별은 남자가, 학년별은 1학년이, 종교별은 없음이, 가정경제수준별은 중류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교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여가몰입에 관한 만족도는 성별은 여성이, 학년별은 4학년이, 종교별은 없음이, 가정경제수준별은 상류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경제수준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생활만족에 관한 만족도는 성별은 남성이, 학년별은 1학년이, 종교별은 없음이, 가정경제수준별은 상류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경제수준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은 기존의 연구결과(박영숙 등, 1999; 임번장 등, 1996; 최경칠 등, 1995)에서 나타났던 대학생들의 여가형태가 주로 스포츠나 야외활동이며 이와 같은 능동적인 형태에서 사교, 학문적 대학만족, 생활만족 등에 보다 크게 기여한다는 사실을 볼 때 바둑을 전공한 학생들은 놀이·오락에 이미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형태에 있어 능동성의 부족함이 드러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항목별 만족도의 점수가 모두 만족한다(4점)에 미치지 못하는 보통(3점)에 가깝게 나타나 만족도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은 저학년 남학생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여가몰입은 고학년의 여학생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정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제 여가를 점차 중요시하게 될 주체가 되는 대학생 집단에 여가만족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오락적이고 휴식만을 위한 여가활동보다는 자기창조·계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주 활동 반경인 학교 내에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빈부의 차이 없이 적극적이고 자주적인 여가 활용방법에 대한교육의 기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할 때 시간부족의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Csilkszentmihalyi(1997)는 오락 - 특히 수동적 오락에만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회는 앞으로 직면하게 될 기술적·경제적 난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신적 에너지가 부족할 것을 지적하였다.
또한 Brooks & Elliot(1971)의 연구는 스포츠와 같은 능동적 여가활동을 통하여 자기만족을 많이 경험한 사람은 주로 수동적 여가활동을 한 사람에 비해 30년 후의 심리적 복지와 적응력이 보다 높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Flanagan(1978)은 전국적인 조사를 통하여 스포츠와 같은 활동적 여가가 총체적인 삶의 질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지닌 6개 영역중의 하나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신체활동이 인지된 삶의 질과 생활만족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주로 수동적인 여가형태를 보이고 있는 이들에게 바람직한 여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태적 여가에서 동태적 여가로의 전환 - 수동적이고 정적인 활동보다는 직접 참여하여 여가 시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능동적이고 동적인 여가를 권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소비적 여가에서 생산적 여가로의 전환 - 소비적 여가란 여가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운동참관, TV시청 등 대리적 소비를 말한다. 그러나 스포츠활동, 문화활동, 야외활동 등에 직접 참여하여 가치를 창조하는 생산적인 여가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집단적(친구) 여가에서 가족적 여가로의 전환 -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정보화는 때때로 심각한 사회 단절의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는 사회의 기본구조인 가족과 하는 여가문화가 발전해야 할 것이다.
2. 제언
우리나라는 주 5일 근무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 증가한 여가는 이제 인간의 행복한 삶의 성취와 복지 사회구현이라는 대 전제하에 새로운 사고의 틀 속에서 여가의 개념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시간을 가지고 여가활동의 선택 및 지출에 대한 계획성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조직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구축과 효과적인 여가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학교 내 여가선용 활성화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참고문헌
김광득(1997). 여가와 현대사회. 서울 : 백산출판사.
남행웅 등(1996). 여가정보론. 도서출판 : 홍경
명지대학교(1999). 명지대학교 요람.
박영숙, 김종수(1999).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대학만족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2호
이덕성, 박영숙(2000).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 유형 및 참여정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4호.
이에리사(1996). 생활체육 활동과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번장, 김흥청(1996).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4호
임창순(2001). 바둑문화의 정체성을 찾아. 바둑과 문화. 도서출판 : 바둑과 문화.
정수현(2000). 한국류 정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예체능 논문집 제11호.
정수현(2000). 바둑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고찰. 바둑과 문화. 도서출판 : 바둑과 문화.
최경칠, 최만준(1998).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9호.
최장호, 박영숙(2000).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4호.
Brooks, J. B & Elliot, D.M(1971). Perdiction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t the thirty from leisure tim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in childhood. Human Development 14, 51-61.
Csilkszentmihalyi M(1997). Finding Flow. Brockman, Inc. New York.
Flanagan, J.C(1978). A research approach t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Americans Psychology, 33, 138-147.
--------------------------------------------------------------------------------
이력사항
박장근
(Park, Jang-Geun)
체육학부 교수
정수현
(Jeong, Soo-Hyun)
바둑학과 부교수
임란희
(Lim, Ran-Hee)
체육학부 강사
'퍼온~바둑..! > 관련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행마법 이론의 원리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0) | 2008.05.12 |
---|---|
[=] 한국류 정석의 특성에 관한 연구 (0) | 2008.05.12 |
[=] 바둑기술의 문제해결적 접근 (0) | 2008.05.12 |
[=] 예 · 체능 전공 대학생들의 여가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0) | 2008.05.12 |
[=] 현대사회와 스포츠 문화의 구성체계에 관한 고찰 (0) | 2008.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