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부터는 ☆ 수행규칙을 위한 기능성의 정의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여울" = { 안섬, 둘러섬 }
--- 모든 단위 여울은 둘러섬을 경계로하고, 안섬을 구성요소로 갖는다.
1. 빈울의 구조.
위의 그림이 빈울(흑)의 기본 구조이다.
1> 안섬 : 이 경우 흑의 빈둑이 빈울의 안섬이다.
2> 둘러섬 : 이 경우 네 개의 흑의 돌둑이 빈울의 둘러섬이다.
3> 빈울의 표현방법 : 흑의 빈울 = { 안섬(흑의 빈둑), 둘러섬(흑의 돌둑(들)) }
2. 빈울의 과정.
자리 x의 관점에서 표현을 해보자.
자리(x)를 포함하는 어떤 둑(p)n의 모든 자리(p)가 돌둑(q)m과 이웃하지 않을 때, 빈울(p)가 발생한다.
그리고 자리(x)를 포함하는 둑(p)이 돌둑(q)m과 이웃하면, 빈울(p)가 소멸한다.
3. 빈울의 진행규칙.
흑돌의 놓음을 가정한다.
빈울의 진행규칙 <열기> : 숨자리에 대해서 올 둘러섬이 없으면, 놓음할 수 있다.
--- 아래의 오른 쪽 그림은 한울의 규칙에 의해서 배제됩니다.
빈울의 진행규칙 <짓기> : 숨자리에 대해서 올 둘러섬이 하나이면, 놓음할 수 없다.
--- 둘러섬의 이음자리가 외부의 자리로 여러 개이다.
빈울의 진행규칙 <열어짓기> : 숨자리에 대해서 올 둘러섬이 다른 자리를 공유하면, 놓음할 수 없다.
--- 모든 둘러섬이 숨자리가 아닌 자리에 의해서 이미 이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궂이 숨자리에 이음할 필요가 없다. (어쩌면 효율성을 위해서...)
이상의 빈울규칙은 좀 복잡하다.
왜냐하면 한울이나 두울과의 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규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간단하게 숨자리 혹은 눈이라 부르는 자리는 달리 이음이 가능하면, 놓음이 불필요하다.
요약을 하자 !
빈울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 구성요소가 최소한 하나(자리)는 있어야 한다.
그리고 빈울에 오직 하나의 자리(숨자리)만이 남으면, 이 때에만 빈울의 규칙을 적용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빈울의 열기규칙은 생략해도 되고, 빈울의 짓기와 열어짓기는
"모든 둘러섬이 공유하는 이음자리가 두 개 이상이면, 놓음할 수 없다"가 된다.
[빈울규칙] :
숨자리에 대해서 올 둘러섬의 공유자리가 둘 이상이면, 놓음할 수 없다.
[~] 여울의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