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여울바둑 ◈

[강좌11] : 한울을 정리합니다.

온울에 2008. 6. 6. 16:51

 <가규-한울> :  섬자리에 받을 수 없다.

  빈울은 상대방(타자)과의 관계를 내재화하므로 외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있다. 반면에 한울[안섬 : 둘러섬]은 내적인 관계가 아니라 외적인 관계이므로, 반드시 상대방과 상호관계가 전제되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흑의 한울[흑인 안섬 : 백인 둘러섬]은 안섬을 기준으로 흑/백을 표시하기로 한다. 

즉, 흑의 한울은 안섬이 흑이고 둘러섬이 백이다. 

한울안섬은 어떤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알아보자. (흑의 한울안섬은 흑의 빈울을 포함하고 있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한울의 둘러섬에서 보아 그 한울안섬(흑)이 낳음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조적인 입장에서는 한울의 안섬이 빈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빈울을 포함하지 않지만 빈울 그 자체가 한울의 안섬일 수 있다. 빈울과 마찬가지로 한울도 그 크기가 충분할 때는 규제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안섬의 연결 가능성이 최소일 때 그 최소 가능성을 간직한 자리가 섬자리인 것이다. 차례대로 추구 가능성을 근거로 하여 구분하기로 한다.

  먼저 섬자리에 대해서 둘러섬이 가장 단순한 하나일 때를 기준으로 보자. 흑의 한울에서 안섬에 받음을 가정했을 때 둘러섬인 백의 돌둑들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낳음)면, 추구 가능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한울의 모든 둘러섬이 돌의 받음에 의해서 낳음상태(이음자리가 없는)가 되면 한울의 둘러섬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한울의 구조에서 모든 둘러섬이 돌의 받음에 의해서 받음 이전의 둘러섬이 받음 이후에 모두 안섬이 되어버리면, 받음 이전의 한울은 둘러섬이 존재하지 않는 한울의 열림이 된다. 즉, 받음 이전의 둘러섬이 받음 이후에 모두 섬인 돌둑(안섬)이 된다. 이것을 한울을 열어 짓는다 일컫는다.

<한울열기> : 올 둘러섬(q)이 존재하지 않으면, 섬자리(p)를 버릴 수 있다.

  다음으로 <한울열기>조건에서 벗어나 있다는 전제에서 확실하게 추구 가능성 없음이 확실한 경우를 찾아보자. 이러한 경우는 하나인 둘러섬이 돌의 받음에 의해서 하나도 변하지 않을 때이다. 즉, 돌의 받음 이전의 한울이 돌의 받음 이후의 한울로 아무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된 것이다. 이를 한울을 한울 위에 겹쳐 쓴다는 비유로 이해해 보면 한울이 중복됨을 알 수 있고 이 중복을 순환이라 간주할 때, 흑의 추구가능성 자체가 무효화(자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추구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음(둘러섬이 하나로 존재)은 추구 가능성의 확보(받음가능성)가 존재하지 않음이다.

<한울짓기> :  모든 둘러섬(q)이 하나로 존재하면, 섬자리(p)를 받을 수 없다.

  끝으로 <열기, 짓기>조건을 보면 받음 이전의 하나의 둘러섬이 받음 이후에 모두 변하거나, 받음 이전의 하나의 둘러섬이 받음 이후에 아무런 변화가 없을 때이다. 이와 같은 두 조건에서 벗어난 경우는 둘러섬이 하나인 경우에는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둘러섬이 하나가 아니고 받음 이전과 이후에 둘러섬의 일부만이 변할 때이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둘러섬이 변할 때의 제약조건은

<한울의 열어짓기> :  모든 둘러섬(q)이 받음 이전의 둘러섬(q)에 포함되면,

                               섬자리(p)를 받을 수 없다.

  이제 가능돌둑(흑)의 크기가 둘 이상일 때로 확장해서 적용해 보면 크기가 하나인 자리에서 크기가 하나보다 더 큰 흑의 가능돌둑에 대해서도 그리고 둘 이상의 둘러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첫째로, 가능돌둑(흑)에 대해서 둘러섬이 오직 하나일 때는 위에서와 동일한 구조의 단순한 확장으로 볼 수 있고 둘째로 가능돌둑(흑)에 대해서 둘러섬이 둘 이상일 때에도 마찬가지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빈울과의 연관성을 함께 고려하기 위한 방편으로 구조적인 동일성을 비교하기가 쉽기때문이다.


< 한울 규칙의 요약 >

<가규-한울> :  한울(p)을 열어 짓는다.

☆ 한울(p)에서 한울(p)의 섬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할 때,

    섬자리(p)에 이웃한 둘러섬인 돌둑(q)n에 대해서

<열기> : 올 둘러섬(q)n이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섬자리(p)를 버릴 수 있다

<짓기> : 올 둘러섬(q)n이 모두 하나로 존재하면, 섬자리(p)를 받을 수 없다.

<열어짓기> : 모든 올 둘러섬(q)n이 이미 한울인 둘러섬(q)m에 포함이면,

                   섬자리(p)를 받을 수 없다.


   흑의 섬자리는 구조적인 자리이므로 기능을 포함한다고 단언할 수 없다. 기능적으로 추구 가능성을 제약하는 자리(섬자리)를 한울자리로 구분하여 표기하고자 한다. 구조적으로 각각의 한울의 섬자리를 한울자리라 할 때 한울자리를 가지는 구조는 한울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 된다. 즉, 한울자리를 가지면 추구 가능성을 제약하는 기능하는 각각의 한울(흑)이 발생하는 것이다.

  끝으로 빈울과 한울의 우선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빈울의 열기 규칙>에서 빈울(흑)의 둘러섬이 모두 백이면 빈울(흑)의 숨자리(흑)에 돌(흑)을 받아 놓음을 가정할 때 언제나 놓음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순을 처리하기 위해서 "우선성 해결의 원칙"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면 아주 간단하게 <한울>-<빈울>의 순서로 규칙을 적용하면 된다. 왜냐하면 규칙의 중복적용 역시 순환이므로 <한울>규칙을 적용하면 <빈울>규칙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조발생적인 입장에서 기술하면 빈울을 열어 지음으로써 한울이 발생한다고 할수 있다. 단 둘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돌둑에 대해서는 해당되지 않는다-설명을 위해서. 이렇게 보면 발새의 방향과 규칙적용의 방향이 정 반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가 고려의 대상(받음)으로서 많은 한울과 빈울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규칙의 적용은 단 하나의 구조에만 적용된다는 사실을 주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인 한울과 빈울의 관계는 다음강의에서 다루기로 한다.  


    ♤   한울은 너와 나의 우리(울+이, 울타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