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서론
2.헤겔의 도덕 개념의 전개
1)「신현상학」(1807)이전의 도덕 개념
(1)T?gen, Bern 시대(1793-1796):Sittlichkeit(인륜) 개념의 등장
(2)Franltfurt 시대 :유대교와 칸트 도덕의 실증성 비판
(3)Jena시대(1801 ~1806) : 도덕(Moralit?t) 對 윤리적 삶(Sittlichkeit)
2)「신현상학」(1807)에 나타난 도덕관
(1)스토이시즘, 회의주의, 불행한 의식
(2)쾌락주의, 마음의 법칙, 德
(3)정신적 동물의 왕국
(3)법칙을 부여하는 이성과 법칙을 검증하는 이성
(4)이성에서 정신으로의 이행
3)도덕적 세계관과 양심 비판
(1)칸트 피히테의 도덕론의 자기 소멸적 성격
(2)도덕 법칙의 형식성과 공허성
(3)행동하는 양심과 아름다운 영혼
3.결론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
ISSN 1226-9379
권 25
호 1
출판일 2001. 7. 31.
헤겔의 칸트 도덕(Moralit?t)비판
성낙원
경북대학교
1-066-0103-08
국문요약
헤겔의 윤리학설은 칸트철학을 항상 염두에 두고 그것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비판하는 가운데 자신의 고유의 윤리 개념인 Sittlichkeit의 개념을 발전 시켰다. 칸트와 그의 계승자인 피히테의 철학과 윤리학설에 있어서의 서양근 근대의 사상의 특징인 개인주의와 주관주의에 대한 헤겔의 비판의 요지는 주관과 객관의 진정한 통일과 화해에 이르지 못하고 이원론에 빠진다는 것이다. 이 이원론은 유대교에서 나타난 외적 법률에 대한 맹목적 복종에 의하여 자신에 소원한 자기 바깥의 절대자를 섬김으로써 바리새주의와 같은 형식주의적이고 위선적인 도덕주의자가 되게 한다. 칸트 피히테의 도덕에서는 맹목적 추종의 대상을 자기 안에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동일한 실증성을 지닌다. 칸트 도덕에 있어서의 이성과 자연, 의무와 경향성의 끝없는 대립은 융화되지 못하고 결국 그것을 보장하기 위한 신적인 존재의 요청과 도덕에서의 무한진보의 요청에 의존하게 된다. 당위를 내용으로 하는 정언명법의 행위의 보편화가능성의 원칙은 자체가 자기 소멸적이며 형식적이며 공허하다. 이러한 칸트 피히테의 도덕과 근대적 주관주의적 원자론적 도덕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은 헤겔의 정신현상학의 이성장에서 상세히 다루어진다.
칸트 피히테의 자연과 자유의 양극성에 대응하여 헤겔이 대립시키는 도덕에 대한 개념이 성격으로서의 동일성이다. 이것은 개인들의 공동체와 영혼, 예술 작품의 美속에서 발견되는 보편과 특수, 질료와 형상의 진정한 통일인 인륜(Sittlichkeit)이다.
주제분야 : 헤겔, 도덕, 의무와 경향성
주 제 어 : 도덕, 인륜, 당위, 실증성, 형식주의
영문요약
Hegel’s criticism of Katian Morality
Hegel developed his own concept of Sittlichkeit against Kantian morality by accepting what Kant did right and finding flaws of Kant-Fichte philosophy. The polnt Hegel made about the philosophy of Kant and his successor Fichte is that the individualism and subjectism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ity cannot accomplish th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subject with object, thus leading to dualism. This dualism make men indulge in hypocricy and formalism as was the case in Judaism through positivity of laws which are alien to them and demand blind compliance with them as absolute divine being.
The endless opposition of freedom and nature, duty and inclination cannot be reconciled, so it need postulates of the existence of divine being and infinite progress in morality guaranteeing the harmony betwen them.
The principle of universalzation in categorical imperative is self-canceling in character, formalistic and empty because it has no specipic contents.
The Hegel criticise modem atomistic, subjectivist moral viewpoint of world more secifically in his major writing “Phenomenology of Spirit” than any other books with historical background.
The ethical concept Hegel opposes to the polemic of Kant-Fichte’s freedom and nature dichtomy is “the identity as character”. It is a genuine unity of the universal and the paticular, form and material, the Sittlichkeit which can be found in the community of individuals, the soul, and the beauty of works of art.
Key Words : morality, sittlichkeit, ought, positivity, formalism
--------------------------------------------------------------------------------
1.서론
헤겔은 그의 윤리적 사고에 있어서 늘 칸트를 의식하고 칸트의 철학과 도덕적 사유의 문제점에 천착하여 칸트 도덕철학의 잘못한 점과 본받을 점을 추적하여갔다. 칸트는 세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개인의 주관성과 대상의 객관성의 대립을 절대화시키고 주관의 대상사이에 결코 융화될 수 없는 간극을 설정하고 인식에 있어서의 주관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한 근대적 개인주의를 완성했으나 헤겔은 칸트와 같은 계몽적 사상의 전통에 나타난 이원론에 잠재되어 있는 인식론상의 모순을 해소하고자 칸트적 이원론에서 상호 침투할 수 없는 것으로 본 主客을 융화시킬 수 있는 철학을 전개한다.
인식론적인 이러한 근본적인 차이는 윤리학에 대한 뚜렷이 대비되는 입장의 차이를 가져온다. 칸트는 그의 도덕철학의 목적을 “나는 나의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되도록 意志할 수 있는 방식이외의 어떤 방식으로도 행동해서는 안 된다.”1) 에서처럼 도덕의 최고 원리를 확립하는 것이었다. 칸트에 있어서 윤리학이란 인간이성이 善惡正邪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나침반 제공해주는 규범적인 역할을해야 하는 것이었다.
반면에 헤겔에 있어서 철학자의 사명은 도덕적 처방이나 도덕적 충고를 주는 것이 도덕 철학자의 사명이 아니며 철학자의 사명은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지 세계에 간섭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헤겔의 입장은 그의「법철학」서문에 잘 나타나 있다.
철학은 어떤 경우에도 너무 늦게 현장에 도착하여 세계에 대한 교훈을 줄 수 없다. - 이상적인 것이 현실에 마주 대하여 나타나고 그 이상적인 것이 같은 실제 세계를 그 실체에서 파악하고 그 스스로를 위하여 그것을 구성하여 이념적 형상으로 만드는 것은 현실성이 성숙할 때 뿐이라는 것이 역사의 불가피한 교훈이기도 한 개념의 가르침이다. 철학이 그 회색빛에 다시 회색을 칠한 다음에는 삶의 형상은 늙어버리게 된다. 철학의 회색 덧칠로 그것은 젊음의 활력을 되찾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이해될 뿐이다.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황혼이 질 때에만 그 날개를 편다2).
이러한 헤겔의 관점을 감안할 때 헤겔은 과연 윤리학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는가? 그의 변증법이라는 것이 모든 역사상의 여러 계기들은 그 시대에서는 그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고 하는 관점이라 가정한다면 윤리에 관한 한 그는 상대주의자이거나 윤리적 가치를 부정하거나 둘 중의 하나일 것이다. 사실 그는 그의 철학의 토대를 칸트에서 시작된 독일관념론의 근본전제에 두었고 그의 철학 전반에서 늘 칸트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는 비록 차이점이 있긴 하지만 그를 칸트학도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3) 그러나 특히 칸트가 인간의 이성의 능력에 한계를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극도의 적대감을 표시하였으며 그의 당위개념이나 보편화가능성의 공식 및 정언명법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칸트의 윤리관과 대비되는 독특한 윤리관을 제시하였다.
칸트가 시대를 초월한 마땅히 있어야 할 윤리규범을 정립하는 것을 자신의 윤리학의 목표로 삼았다면 헤겔의 실천철학은 관조적 관점으로부터 다룬다. 그것을 정신의 자기의식의 발전 단계로서 다루며 ‘意志’를 의욕하는 행위자의 관점이 아닌 의지와 그 실현양식을 관조하는 사변철학자의 관점에서 다룬다. 가령 헤겔의 「법철학」에서 그가 공언한 목적은 있어야 할 국가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神적 이성의 현실성과 그것이 만든 사회의 합리성을 보여줌으로써 근대사회의 생활의 이성적 변신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헤겔의 윤리학은 사회학이나 정치학에 해소된다는 주장이 있을 수 있으나 헤겔 철학이 사회ㆍ정치의 현상유지(statusquo)를 정당화하는데 목적을 가진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을 것이다.4) 왜냐하면 헤겔은 「법철학」에서 기존 국가는 오류와 사악함에 변형되었고 전적으로 현실적이 되지 못함으로써 이성적인 것이 되는 데 실패했다고 하기 때문이다.5) 즉 기종의 것에 대한 비판의 여지와 개선시키려는 실천적 노력을 위한 여지를 남겨 둔다고 볼 수도 있다. 헤겔에 있어서 철학의 과제는 근대적 사변적 원리가 열었던 분열 흑은 양분화(Entzweiung)를 치유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헤겔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성의 최고의 목적은 철학적 관조에 있다’라는 말에 동의하면서도 사변적 인식을 이론과 실천 양자가 그 안에 포함되는 보다 높은 통일체로 취급하면서 그 양자에 대립시킨다. 헤겔은 “절대적 이념은, 절대정신의 영역이 이론적 정신과 실천적 정신을 초월하듯이 인식의 이념과 善의 이념을 초원한 곳에 있다"고 한다6). 이러한 그의 사변철학에 따르면 세계 속의 있어야 하는대로 되어 있지 않은 우연적이고 가변적인 존재가 많이 있다 할지라도 사변적인 이성에 의하여 그 필연성 속에서 보여지면 충분히 이성적이고 만족스러운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7).
헤겔의 사변철학은 역사적인 관점을 취하고 각 시대의 도덕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記述的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도덕의 문제는 당위(Sollen)의 문제가 아니 존재(Sein)의 문제로 된다. 이러한 역사적 접근법의 귀결은 윤리적 상대주의나 윤리학이 사회학 속에 해소되는 결말을 낳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헤겔은 그의 성숙한 사상 속에서 근대 세계를 고대 세계와 다를 뿐 아니라 보다 우월하다고 보게 만든 도덕적 진보의 관념을 갖고 있었다는 면에서 윤리적 상대주의에도, 윤리학의 사회주의에의 해소 어느 쪽으로도 귀결되지 않았음이 명백하다8).
그렇게 볼 때 당위에 바탕한 칸트적 도덕성의 형식성과 공허성을 반박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평가작용이고 그 자체가 가치문제에 개입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헤겔의 윤리학은 성립되며 그것은 칸트 피히데의 개체주의적 주관주의의 윤리의 극복을 통해서 형성된다. 그러면 그의 칸트 도덕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의 도덕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 「정신현상학」을 분수령으로 어떻게 전개되며, 칸트 피헤테의 도덕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의 논거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가 내세우는, 도덕(Moralit?t)에 대응되는 윤리적 삶(Sittlichkeit)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해 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2.헤겔의 도덕 개념의 전개
1)「신현상학」(1807)이전의 도덕 개념
(1)T?gen, Bern 시대(1793-1796):Sittlichkeit(인륜) 개념의 등장
이 시기의 헤겔 철학의 주제는 그와 선배와 동시대의 철학자의 영향을 받으며, Sittlichkeit의 문제, 그리고 Sittlichkeit개념과 연관되는 문제로서 고대 그리스와 근대적 정치 개념과 주로 연관된 것이다. 헤겔의 초기 철학은 칸트의 자유와 자율에 크게 영향받았다. 헤겔은 칸트를 인간의 자유에의 능력을 인정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탐색한 사람이라 칭찬한다.9) 그러나 1790년대 말에 이르러 그의 평생의 도덕적 · 정치적 사고의 일관된 특징이었던 칸트적 도덕성(Moralit?t)에 대한 비판에 이어 칸트적 관점에 선 피히테의 정치철학에 대한 비판이 이어진다. Sittlichkeit의 개념10)은 칸트-피히데적인 도덕의 형식주의와 空虛性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발전한다. 칸트와 피히데가 도덕적 의무의 근거를 주관적 반성에서 찾았다면 헤겔은 도덕적 의무는 민족의 구체적 관습과 정치적 제도로부터 도출된다고 하고 도덕과 합법성의 구분을 배척한다. Sittlichkeit의 개념이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이 바로 이것이다. 그 다음 주제가 고대그리스의 정치 개념과 근대적 정치 개념 사이의 긴장에 관한 것으로서 그리스정치 개념과 밀접히 연결되는 것이 Sittlichkeit의 개념이다. 단순화시켜서 말하자면 헤겔은 고대 폴리스적인, 전통적 법률과 습속에 헌신하고 국가적 삶과 개인적 삶이 혼연일체가 되었던 윤리적 삶(Sittlichkeit)을 옹호하고 비판적 도덕적 사고를 중시하는 도덕을 반대했다고 말할 수가 있으나 고대 그리스적인 polis에 매료된 것은 Sittlichkeit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이었다는 것과 근대사상의 개인주의를 인정하기 시작한 것이 그리스적 이상을 포기하기 훨씬 이전이었다는 점에서 보면 그리스 사상과 근대사상의 관계는 복합적이다11).
(2)Franltfurt 시대 :유대교와 칸트 도덕의 실증성 비판
초기의 신학적 저작의 시대인 1793년과 1800년 사이 헤겔은 종교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색에 들어간다. 그는 칸트처럼 모든 종교의 본질은 인간적인 도덕성이라고 생각하고 이성과 자유의 순수 도덕적 종교가 실증적 종교(positivereligion)의 역사적 전통에 대해서 가지는 복합적 관계에 관심을 가진다. 이성 종교와 실증종교 사이의 투쟁에 역사적 배역이 주어진다. 헤겔은 그리스인들의 정신적 자기조화는 정치적 자유를 낳게 되고, 종교적인 면에서는 교리가 단순하면서 강력한 감성적 상상력과 강력한 공적인 敬拜를 바탕으로 인간의 마음에 도덕적 열정을 불어넣는 데 적합한 종교를 낳았다고 보지만 유대문화의 권위주의와 자기소외는 자연과 인간 세계에 대해서 외적이고 유일한 신적 폭군에 대한 노예적인 헌신을 숭배하는 실증적 종교를 등장시킨다고 본다.. 그러한 환경 속에서 예수가 시도한 종교적 개혁은 개인과 사회, 이성과 감성이 행복하게 통합되는 진정한 민족종교의 창조가 될 수 없었다. 예수의 종교는 자유로운 지상의 사회질서개념을 가질 수 없는 고립된 개인들의 욕구에 적합한 사적이고 彼岸的 세계의 종교였다. 여기서 헤겔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먼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실상은 그의 시대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구체제(ancien regime)의 실증적이고 소외화된 사회, 계몽사상(특히 칸트철학)의 도덕적 개인주의와, 사라진 고대 그리스의 헬레니즘적인 이상에 바탕한 청년 헤겔이 바랬던 새로운 사회 사이의 투쟁이었던 것이다12).
프랑크푸르트 시절에서 헤겔은 유대교의 실증성과 자기소외를 비판함과 동시에 칸트에 대해서도 같은 비판을 가한다. 실증적 종교와 칸트적 도덕을 비교하며 실증 종교는 주인을 자기 바깥에서 섬기는 것이고 칸트적 도덕은 주인을 자기 안에서 섬김으로써 예속당한다는 것이다. 칸트적 도덕은 외적인 법의 실증성을 극복하는 듯하지만 그것을 철폐시키기보다는 예속을 내면화시킨다. 경험적 자아는 이성에 의해 주어진 법을 존중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법은 자신의 법은 아니다. 그것은 초감각적 피안에 있는 초자연적 자아의 선험적 법이다. 칸트적 도덕성은 그 안에 우리로 하여금 분개하는 마음을 충만시키는 무너뜨릴 수 없는 실증성을 내포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자기입법임을 가장하지만 실제로는 경험적 자아가 복종하게 되어 있는 경험적 자아에 疎遠한 입법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프랑크푸르트 시절의 헤겔에게는 예수의 가르침은 칸트의 도덕이 아니었고 그것은 도덕을 초월하는 이율배반적인 사랑의 종교였다. 예수의 설교는 도덕법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법을 완수(pler?ma)시키는 것이었으며 그것은 법으로서의 도덕법칙을 폐기하고 법에서 그 법의 법률성, 법의 형식을 제거하여 법과 의무를 사랑 속에 소멸시키는 것이었다. 튀빙겐과 베른 시대의 헤겔은 사랑을 도덕법을 위한 수단으로 보았으나 프랑크푸르트의 헤겔은 사랑은 법과 경향성의 조화가 아니고 그 대립조차 초월하는 영혼의 상태였다. 다시 말해 주관과 객관은 그 대립을 상실하고, 법은 보편성을 주관은 특수성을 상실한다. 따라서 모든 의무는 사라진다. 그런데 사랑은 신적 정신이며 이것 역시 제약된다. 왜냐하면 이것 역시 객관적인 것과 통일될 것을 요구하는 주관적 느낌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랑은 마지막 단계 즉 종교 - 정신의 최상의 욕구에 의해 완수된다13).
헤겔이 칸트적인 의무와 냉혈적인 법에 대한 존경에 대립시킨 사랑은 ? 즉 삶은 예수가 성취한 의무와 경향성의 통일, 칸트적 “당위(Sollen)”가 “존재(Sein)”에 의해 대체된 통일에 대한 헤겔의 공식이다. 이 “존재(is)”는 의무와 경향성의 종합일 뿐 아니라 주관과 객관,보편과 특수, 개념과 직관의 종합을 나타낸다.14) 여기서 이미 모든 2원론을 극복하려는 사변적 기획이 지평에 떠오른다15).
「기독교의 정신과 그 운명(SC)」에서 헤겔은 가장 특징적인 칸트 도덕 비판론을 전개한다. ①도덕성은 이성의 감성에 대한 소외된 관계, 결과적으로 실증성, 즉 비자유를 포함한다②도덕은 그것이 의도하는 선을 실현하는 데에 무기력하다. 선을 행하기 위해서는 이성뿐 아니라 감관적 충동까지 동원하여야 하는 데 선의지는 오직 관념, 표상 속에서만 나타난다. 도덕은 행위할 수 없고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판단하거나 비난할 수 있을 뿐이다. ③도덕은 본질적으로 위선의 경향을 지닌다. 善은 진실로 사랑의 정신을 통해서만 성취된다. 사랑은 자유로이 반성이나 의무감 없이 선을 행한다. 칸트적인 도덕은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의무의 동기, 즉 행위를 강제하에 행해지는 것으로 표상하는 반성과 동일시한다. 따라서 칸트의 도덕은 선을 자발적으로 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대신, 우리가 행하여야 할 것을 의무로부터 행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의무를 위한 도덕의 정신이 위선의 정신 즉 바리새인의 정신이다. “덕은 자신을 도덕성에로 변형시키는 가운데 필연적으로 자기자신의 덕에 관한 앎이 되거나 다른 말로 하면 바리새주의(Pharis?ismus)가 된다.16) ④ 도덕은 주관적 반성에 치우쳐 선한 행동이 자유롭고 습관적으로 행해지는 사회적 형태를 무시하거나 억압한다. 도덕은 단 하나의 형식적 원리로 충성의 다양한 요구들과 그것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지닌 풍요한 정서적인 사회생활의 조직을 대신한다. 의무의 개념은 공허한 사상일 뿐 아니라 행위 속에 그 자신을 드러내야 하기 때문에 이 개념은 다른 모든 관계를 지배하거나 배제한다. ⑤ 칸트의 도덕이 의무의 내재적 원리를 제공할 수 없는 공허한 형식주의라는 비판은 가장 유명한 칸트 도덕에 대한 헤겔의 비판 내용미지만 이것은 뒤의 저술에 나타난다. 도덕의 원리는 내용을 갖지 않기 때문에 즉 형식적이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 것에 대한 기준을 전혀 제시할 수 없으므로 가장 경멸할 행동도 도덕의 원리와 조화를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비난은 도덕의 위선성 비난과, 도덕은 의무의 동기가 감성과 건강한 사회 관계로부터 유리되어 있기 때문에 실증적이라는 비난과의 유사성을 지닌다17).
헤겔의 도덕비판론과 관련하여 Franco는 헤겔이 칸트 윤리학의 가장 심각한 결점으로 본 것으로 구체적 의무들 사이의 충돌을 조장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없는 경향성을 들고 있다. 18) “만약 德들이 하나의 살아있는 정신의 변용으로 간주되지 않고 개개의 덕이 절대적이라면 적대적인 것들의 수다성에서 야기되는 해결 불가능한 갈등을 초래한다.” 칸트적 덕의 보편성은 “개별성의 희생 위에” 얻어진 것이다. 칸트적 덕이나 원리는 세부적, 규정적, 단순한 상황에 국한된다. 구체적이고 복잡한 상황에서는 그러한 덕들의 수다성이 관련될 수 있으나 그들 사이에 위계질서를 세우는 방법이 없다. 그 결과는 “덕에 대한 실망과 덕 자체의 위반 이외에는 아무 것도 남는 것이 없다. 덕이 하나의 살아있는 정신의 변용으로 간주되고 행동이 추상적 원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통일적인 성향에 의해 인도되면 사정은 달라진다. 여기서 덕은 “상황의 수다한 성격에 의해 분열되지 않는다. 즉 - 상황의 다면성은 절대적 양립 불가능한 덕들의 집합체가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남는다.” 헤겔은 덕의 본성에 대하여 칸트와 다른 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덕들의 살아있는 결속, 살아있는 통일은 개념의 통일과는 아주 다르다. 그것은 규정된 상황에서 규정된 덕을 수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장 다기한 관계들의 혼합 속에서도 통일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것의 외적인 모습은 무한한 방식으로 수정된다. 그것은 같은 모양을 두 번 다시 지니지 않는다. 그것의 표현은 규칙을 부여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코 특수에 대립한 보편의 힘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19).
그래서 칸트의 도덕은 의무들 사이의 충돌을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이 등장한다. 이 비판은 앞의 5가지 비판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되지만 이 내용은 칸트의 보편적 도덕 법칙의 형식성과 공허성 비판에서 다시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3)Jena시대(1801 ~1806) : 도덕(Moralit?t) 對 윤리적 삶(Sittlichkeit)
이 시기에는 헤겔의 지적 발달은 학적 사변적 체계로 발전하고 도덕관도 발전한다. 이 시기는 피히데의 칸트적 자율에 대하여 주로 공격한다. “피히데에 있어서 ‘우리는 우리 자신에 복종한다’는 ‘우리의 자연적 경향성이 우리의 도덕 법칙을 따른다’를 의미한다.” 헤겔은 이러한 자율 개념을 “기형적이고 초조해하고. 추한” 것으로 보았다.20) 피히데의 “자연과 자유의 양극성”과 “비자연적 자기억제”에 대해 헤겔은 “사랑”을 대응시키지 않고 “성격으로서의 동일성”을 대응시킨다. 이 성격으로서의 동일성은 모임 속에 있는 개인들의 완전하고 살아있는 공동체에서 뿐 아니라 영혼과 예술작품의 美 속에서 발견된다.21) 「신앙과 지식」(1801)에서 헤겔은 “성격으로서의 동일성”혹은 “보편과 특수, 질료와 형상의 진정한 통일”에 대한 신조어를 만들어내는 데 이것이 바로”윤리적 삶 (인륜)”(Sittlichkeit)이다22).
예나 시대의 나머지에서 헤겔의 윤리적 사고는 도덕과 인륜사이의 대비에 초점을 맞춘다. 동시에 헤겔은 그의 도덕관념을 세련되게 한다. 도덕은 칸트와 피히테의 철학에서 가장 잘 천명된 근대 사회생활의 특징적 형태이다. 윤리적 삶(인륜)은 공동체의 살아있는 “유기적 전체의 형태”23)이며 동시에 “개인의 본질”이다. 따라서 “절대적 윤리적 삶(인륜)의 본성”은 “제적 절대적 윤리적 삶에 대한 개별적 윤리적 삶의 관계”를 내포한다.24) 그것이 사회적 인륜으로 간주된다면 그것은 상호의존적 전체를 형성하는, 상이한 사회적 경제적 역할을 차지하는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의 총체성이다. “도덕”은 상호 무관심 속에서 그 관계의 구체적 조항들을 형식적으로 정립하는 것으로 정의된다.25) 도덕적 입장은 윤리적 삶(인륜)속에서의 개인적 역할을 그것이 일부가 되는 전체로부터의 추상 속에서 고려한다. 도덕 이론은 “대자존재와 개별성을 하나의 원리”26)로 만들고 모든 것을 추상화된 개인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헤겔은 이러한 관점은 단순히 부정되어서는 안되지만 그것은 “열등”하고 “일면적”이며,” 절대적 입장”이 될 수 없다고 한다.27) 헤겔은 도덕적 입장을 차별성이 고정되었다는 것과, 그 관계들의 차이성에 의존하면서 그 속에서 살아가는 근대 부르주아 혹은 私的 개인들의 윤리적 삶으로 간주한다.
1802년 무렵의 헤겔에 있어서 부르주아는 “보편적 私的 삶”에 참여하나 그 윤리적 삶은 사적인 자기추구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귀족계급은 군 장교나 고위관직이라는 공적 업무를 부여 받았기 때문에 그 자신의 욕구에만 매달릴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자유롭다고 헤겔은 본다28).
피히테와 칸트의 도덕론은 사적 개인의 입장에서 바라본 윤리적 삶의 학문이다. 사적 개인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를 오직 그들의 우연적이고 특수한 의욕의 자연적 표현으로 보았기 때문에 그러한 사회적 관계의 세부적인 면을 인정할 수 없었다. 도덕 이론은 세부적 윤리적 관계들에 대한 인식을 내포하고 있지만 그것들을 사회전체의 유기적 부분으로 이해하지 않고 오직 고립된 개인에만 의존하는 절대적인 어떤 것으로 다룬다. 특정한 부르주아의의 역할에 해당하는 의무들과 德들은 “고착”되고 보편적으로 구속력을 가지는 것으로 취급된다. 헤겔은 도덕적 의무의 진정한 유대는 이성적 사회적 질서의 윤리적 삶 속에서 의무가 민중의 사회적 역할 및 관계들과 연관을 맺는 방식에 의존한다고 본다. 하지만 도덕적 입장은 이들 의무들을 그런 찬계의 체계로부터의 떨어져 나옴(추상)속에서 고려한다. 따라서 도덕적 입장은 그것들을 단지 우연적인 것으로 보려는 유혹에 빠지면서도 이들 의무들을 절대적 자아의 형식적 원리와 연관지움으로써 그것들에게 도덕적 요구에 적합한 “절대성”의 형식을 부여하려고 노력해야 한다.29) 헤겔이 피히테의 윤리학설의 도덕적 광신성을 해석하는 것은 이러한 견지에서 비롯된다. 어떤 정치학에서도 유동적 유기체적 삶의 시각이 상실된 곳에는 公私의 추상적 대립30)이외에는 아무 것도 남아 있지 않으며 결국 냉혹하고 기계적인 전체주의 국가개념 내지 “생명 없는”, “경찰국가”개념을 낳게 된다31).
「자연권을 학적으로 다루는 방법에 대하여(NR)」에서 “자유”계급은 공적 계급으로서 플라톤의 수호자 계급,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유통치시민에 해당한다. 헤겔에 있어서 근대 부르주아 계급은 공동체의 정치적 계획에는 참여하지 않는 부자유스러운 匠人들과 생산자계급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여기서는 아직 헤겔이 부르주아의 “보편적 삶”에서 필요악 이외의 다른 무엇을 발견했다는 징후는 없고 부르주아의 주관성(「법철학」)에서 전개된 홉스, 루소, 칸트, 피히테에 의해 대표되는 근대자연법의 개인주의적 원리)의 긍정적 역사적 의미를 인정했다는 증거도 거의 없다32).
2)「신현상학」(1807)에 나타난 도덕관
- 개인주의의 극복과 정신의 이념 -
예나 시대 마지막에 이러한 사정은 변한다. 「정신현상학」의 전체 내용은 주로 외양적으로 인식론적 문제점을 주로 다루고 있으나 내용상 도덕 정치적인 함축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정신현상학」6장(정신)에는 고대 그리스문화로부터 헤겔 자신의 시대까지의 정신의 발전의 역사가 윤리적 삶과 도덕 사이의 대립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덕"은 더 이상 윤리적인 삶(인륜)의 거짓된 일면적인 인륜의 이론이 아니며 윤리적 삶의 내부에서의 제약된(부르주아의 부자유스러운) 관점에서 본 윤리적 삶의 경험도 아니라 고대 그리스의 윤리적 삶의 고귀한 순진성(개인과 공동체와의 직접적 통일 - 직접민주주의)과 대비되는근대적 정신의 특성인 관점에서 고려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역설적으로 연관된 주제가 있다. 하나는 헤겔이 개인주의를 비판하고, 동시에 자신이 윤리적 이성과 행위에 대한 필연적 맥락으로서 “정신”이라 칭한 윤리적 삶을 강조한 것이고 또 하나는 주관성과 개별성의 역할을 정신의 역사적 발전 속에서 이해했다는 것이다.33) 헤겔은 도덕을 크리스트교적 신앙세계의 자기소외34)를 극복하고 이성의 보편적 법칙과 동일한 것으로서의 개인적 자기를 성취하면서 초기 근대의 교양(Bildung)을 경험한 정신으로 기술한다.
도덕은 문화와 신앙의 의식처럼 절대적 매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본질적으로 직접적 존재의 추상성을 지양하고 대자적으로 보편적인 것이 되기 위한 운동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기와 현실의 순수한 소외와 분열을 통해서도 아니고 현실로부터의 도피를 통해서 그렇게 하는 것도 아니다. 대신에 그것은 그의 실체 속에 직접적으로 자신에게 현전한다. 왜냐하면 이 실체는 그것의 知이며 그것은 직관된 자기자신에 대한 확신이기 때문이다35).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은 명백히 근대적 도덕을 고대 윤리적 삶에서의 진보로 본다. 그러나 도덕은 윤리적 삶에 대한 한 측면적인 관점이라는 초기의 견해를 버린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윤리적 삶(인륜)의 체계적 우월성과 도덕의 역사적 우월성사이의 미해결의 긴장을 남겨둔다. 이 긴장을 해소하는 대신 전체로서의 유한한 정신의 한계를 보여주고 종교적 의식 속에서의 절대정신을 가리킴으로써 도덕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을 제공한다. 도덕적 의식이 그와 완전히 긍정적으로 융화된 근대적 삶의 모습을 제시한 것은 10년 후의 저서에 나타난다36).
그러면 여기서 근대적 윤리관의 바탕이 되었던 개인주의가 어떻게 극복되는가 그 과정을 알아보자.
(1)스토이시즘, 회의주의, 불행한 의식
자기의식 章의 후반부의 의식의 형태 즉 스토이시즘, 회의주의, 불행한 의식은 모두 세상에 대한 부정과 도피로 특징지워진다.
지금까지 (認定 투쟁을 통해) 자기독립과 자유에만 몰두했던 자기의식은 - 세상을 등지고 자신만을 유지하고자한다. - 그러나 자신을 확신한 이성으로서 그것들(세상 혹은 그 자신의 현실성)과 화해하며 그것들을 견뎌낼 수 있다. 그 자신이 그 자체로서 실제이며 모든 현실적인 것은 그 자신 이외의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그 사유 자체가 현실성이다. 사유의 현실에 대한 관계는 관념론의 관계이다37).
처음 등장하는 것이 자연과학 정신인 관찰하는 이성이다. 이 자기의식은 “정신의 존재는 뼈이다.”라는 불합리한 결론에 도달하고 만다. 관찰하는 이성이 자유롭고 정신적인 활동 즉 자기자신을 설명하는 데 실패함에 따라 이제 이성은 실천적 이성 혹은 “활동적 이성”을 고찰하게 된다. 의식에서 자기의식으로 넘어갈 때에 이론 이성이 실천 이성의 우위에 있었듯이 여기서도 실천적 이성의 우선성이 인정된다. 활동적 이성에서 관찰하는 이성의 객관주의는 지양된다. 활동하는 이성에서는 관찰하는 이성이 세계를 구성하는 자신을 인식하지 못했음에 비해 이 인식이 의식에 명백해진다. 활동적 이성은 단순히 개인적이며 명백하게 대립된 “타자” 속에서 자신을 산출하려고 한다. 다음 절에서 헤겔에게 개인주의적 행동모델에 포함된 모순 즉 Tudith Shklar가 말한 “비사회적 인간의 도덕적 실패를” 노정시키는 짐이 떠맡겨진다38).
개인주의 행동의 모델들에 들어가기 전에 헤겔은 그것들이 도달하게 될 행동목표 즉 민족의 윤리적 삶(Sittlichkeit)에 대한 윤곽을 그린다. 헤겔은 민족의 윤리적 삶을 보편성과 상호성의 완벽한 표현, 自와 他의 동일성, 주체와 실체의 완벽한 표현으로 기술한다.
그의 개별적인 작품 속에서 개인이 무의식적으로 그의 보편적인 작업을 수행하듯이 그는 또한 그 보편적 작업을 그의 의식적 대상으로서 수행한다. 전체는 하나의 전체로서 그가 그 자신을 바치고 그럼으로써 그것으로부터 자기를 환수하는 그의 작업이 된다. 거기에는 상호적이지 않은 것은 아무 것도 없으며, 그와 관련하여 개인의 독립성이 대자존재를 자기부정 속에 해소함에 있어서 그에게 대자존재의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대타존재 혹은, 자기를 사물로 만듦과 대자존재의 이 통일성, 이 보편적 실체는 민족의 습속과 법률 속에서 그것의 보편적 언어를 말한다. 그러나 이 현존하는 불가변적인 본질은 그에 대립된 것처럼 보이는 바로 그 개별성의 표현이다. 법률은 개인이 무엇인가 하는 것과 개인이 하는 것을 공표한다. -그러므로 보편적 정신 속에서 개인은 자신을, 실제 세계에 자신밖에 없음을 확신할 뿐이다. 나는 타자들 속에서, 자유로운 통일이 나를 통해서 존재하듯이 그것은 또한 타자를 통해서 존재하는 방식으로 타자와의 자유로운 통일을 인지한다. - 나는 그들을 나 자신으로 보고 나 자신을 그들로 본다39).
이러한 윤리적 삶의 상호성을 헤겔은 “고대의 현자들은 따라서 지혜와 덕은 자기 나라의 습속에 따라 사는 데 있다고 선언하였다”40)로 결론 짓는다. 그러나 헤겔은 활동적 이성이 지향하는 목표는 두 방식 중에서 한 가지로 고려할 수 있다고 한다. 첫째 그러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고도 할 수 있고(이 경우 개인의지는 그의 직접성, 충동의 생경함을 씻어내고 진정한 보편성에로 교육되어져야 함) 윤리적 생활의 행복한 상태는 이미 실현되어졌다(오직 직접적으로 원리상으로만)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행복한 상태는 단순히 주어진 무기력한 실체이기 때문에 이성은 행복한 상태에서 물러나야 한다). 헤겔은 후자를 선택하는데 그것은 “우리 시대에는 의식이 그 윤리적 삶을 상실한 후에 이들 개인주의적 대적, 주로 낭만적 개인주의를 제시한다. 쾌락주의, 마음의 법칙, 德(세상의 行程에 자신을 대립시키는)이 그것들이다41).
(2)쾌락주의, 마음의 법칙, 德
지성과 학문을 경멸하고 쾌락에 몸을 던진 괴테의 파우스트를 염두에 둔 쾌락주의는 성적쾌락을 말하는 데, 성적 쾌락의 비극은 자기의식이 어느 정도 그것을 통해 자기에게 대상화되는 반면, 극도로 類적인 따라서 궁핍한 방식으로 그렇게 한다는 점이다. 성적 쾌락에서 도달된 쾌락은 특정 개인을 지워버리는 통일, 특정 개인이 아무런 반성을 발현할 수 없는 통일이다. 따라서 헤겔이라는 쾌락의 裏面은 욕구 즉 “개인이 단순히 사라져버리고 個적 절대적 양도불가능성이 그와 대등하게 무자비하지만 끊임없는 현실 세계 위에서 산산이 부서지는 일종의 공허한 보편성이다”42).
마음의 법칙은 필연성 혹은 보편성을 그 내부에서 통합한다는 면에서는 쾌락주의보다는 진일보 한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자연적 선 혹은 인지상정으로서 사회의 상궤를 벗어나는 억압이나 관습에 저항한다. 이는 루소와 그보다 약화된 낭만주의자적 후계자들을 염두에 둔 것으로 헤겔이 그들의 주관주의적인 감상주의를 아주 경멸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43).
마음의 법칙은 두 가지 주요 모순에 굴복한다. 첫째,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음의 법칙은 원래의 참다운 자기가 대항하여 스스로를 중단한다. 둘째, 만약 자신의 마음의 법칙을 따르라는 명령이 보편화되면 개인의 마음의 법칙은 (그 법칙이 타인들의 법칙이 아닌 한) 그들로부터의 저항에 직면하여 마음의 법칙은 자기기만의 광기로 돌변한다. 개인은 타인의 저항과 보편적 질서 일반의 저항을 “광적인 승려들”과 “탐욕스런 폭군”의 도당적 음모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헤겔은 상궤를 벗어난 것의 진정한 원천은 이 외적 적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이 입법자의 마음 자체에 있다고 본다44).
마음의 법칙의 변증법의 과정에서 오염되지 않은 개인의 마음이 대립시켰던 보편적 질서의 개념은 다소 변한다. 원래 죽은, 무의식적인 무정신적인 필연성으로서 인식됨으로써 개인적 마음의 법칙에 저항하는 보편적 질서는 모든 이들의 마음의 법칙으로 보여지게 된다. 한편으로 이것은 보편적 질서의 생동화, 정신화를 구성하여 의식을 부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보편적 질서가 진정하게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일종의 홉스주의적 전쟁상태일 뿐이라는 것을 드러낸다.45) 헤겔은 공적 질서의 가면을 쓰고 있는 이 보편적 전쟁상태를 “세상의 行程”이라 부른다.
그 다음의 활동적 이성의 모습인 德의 인간이 무기를 겨누는 것은 세상의 행정의 겉잡을 수 없는 개인주의이다. 하지만 덕의 인간은 그 자신을 세상의 행정에 그 자신을 완전히 대립시키지는 않는다. 그는 오직 보편적인 것이 취하는 암묵적인 형태만을 파괴하려고 한다. 즉 개별성의 行事로부터 보편성이 등장하는 무의식적이고 무의도적인 방식을 파괴하려고 한다. 헤겔이 덕의 인간이 세상의 행정과의 싸움을 “시늉만 하는 싸움”이라 부르는 것은 덕의 인간이 보편자가 세상의 행정 속에 존재함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돈키호데처럼 “덕의 騎士”는 “그의 진정한 힘은, 善이란 자신의 힘으로 존재한다는 것, 즉 그 스스로를 완수케 한다는 사실 속에 있다는 것을 알기에” 이 싸움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것이 진지하게 되도록 하지도 않는다. 그 대신에 그는 수사학적인 훌륭한 言辭로써 만족한다. 즉 그는 “인류에 대한 최대의 善을 행하는 것에 대한, 인간성 억압에 관한, 선을 위해 희생하는 것에 관한 자기 과시적인 이러한 담화 속에서 커다란 긍지를 느낀다.” 헤겔은 “민족의 정신적 실체 속에 의미로 충만된 토대를 지녔던, 그리고 이미 존재 속에 있는 실제적 선을 그 목적으로서 지닌”, 그의 윤리관의 주제가 된 고대의 덕과는 다른 자기ㆍ의식적인 도덕주의 혹은 이상주의 등속에 대해 경멸을 표한다. 그는 이런 류의 이상적 실물과 목표는 “마음을 고무시키기는 하지만 이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개선시키기는 하지만 어떤 마음의 형성물을 이루지 못하는 공허하고 비효율적인 말에 불과하다”고 신랄하게 비파한다. 그것의 수사학적 성격 때문에, 그리고 그것 없이는 어떠한 현실성도 있을 수 없는 개별성을 억누르려고 하기 때문에 덕은 마침내 세상의 행정에게 패배한다.
덕은 개인주의를 희생하여 선을 실재존재로 만드는 일에 그 의의를 찾고자 하나, 실재의 측면은 개별성의 측면 이외의 것이 아니다. 세상의 행정은 善의 왜곡인 것으로 가정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개별성을 그 원리로 삼기 때문이다. 즉 오직 개별성만이 실재 세계의 원리이다. 왜냐하면 의식은 것은 바로 개별성이기 때문이다. 그로써 자신 속에 존재하는 것은 타자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존재한다. 그것은 불가변적인 것을 왜곡시킨다. 그러나 그것은 불가변적인 것을 사실상 추상의 무에서 실재의 존재에로 왜곡시킨다46).
(3)정신적 동물의 왕국
시늉만 내는 또는 수사학적 덕의 입장이 붕괴됨에 따라 개인이 자신을 세상과 현실성에 대해서 싸움붙이는 추상적 개인주의 형태가 남게 된다. 여기서 헤겔이 발전시키는 변증법은 개별주의적이고 唯我的인 행동 개념이다. 그의 목적은 이러한 개념이 어떻게 해서 자기 논파적이고 행동의 보다 상호ㆍ주관적인 이해로 가게 되는가 - 사실상 정신으로 나아가게 되는가를 보여 주는 것이다. 자신을 즉자 대자적으로 실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개별성은 원초적 규정적 본성을 요청한다. 행위는 이 원초적 또는 암묵적인 본성을 명시적으로 실제적으로 만드는 것에, “가능성의 밤으로부터 현재의 낮의 광명으로” 번역하는 것에 있는 것으로이해된다. 헤겔은 개인이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 것은 오직 행위를 통해서라고 말한다. 그것은 그러한 행위에서 결과하는 행적이나 작품은 선 또는 악의 기준에서 말할 수 없는 원초적 본성만을 나타낸다. 媒介의 완벽한 부재, 원초적으로 주어진 본성과 행위의 차이는 동물적 의식의 특징이다47).
이러한 자기 폐쇄적인 행위모델의 붕괴의 씨앗은 행적이나 산출된 작품 속에 있다. 작품은 개별적인 것의 원초적인 본성을 반영하기를 그치고 그것 자체가 “외타적인 힘과 관심들의 반작용에 의해서 소멸되는, 사라지는 것임을 나타내 보이고 실질적으로는 개별성의 실재성이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사라지는 것으로서 나타내 보인다.” 이러한 행위의 우연성을 탈피하기 위해 일면적으로 주관적인 행위의 모델로부터 일면적으로 객관적인 모델로 옮겨간다. 더 이상 행위의 목적이나 가치를 그의 원초적인 본성을 표현하는 능력에서 찾지 않고 헤겔이 事象자체(문제의 핵심)라 부르는 보다 비개인적인 大義나 과업을 표현하는 능력에서 찾는다.48) 여기서 정직한 의식이 등장한다.
이에 해당하는 활동으로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술가의 예술 그 자체를 위한 창작 활동, 학자의 학문적 활동이 있다. 이 의식과 관련한 헤겔의 논점은 그런 활동이 그렇게 보이는 만큼 정직하거나, 이기적이지 않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추상적 “事象 자체”는 결코 어떤 私的 관심이나 고려가 없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어떤 개인이 하나의 행위를 수행할 때에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의 관심은 “사상 자체”에 있을 것이라 짐작하고 따라와서는 자기들의 도움을 제공하거나 그 일은 이미 그들 자신이 이루어 놓은 일이라 지적 할 때에 그 개인은 “당면한 그 일’에 대한 그의 관심을 이루는 것은 그 자신의 행위이며 그 자신의 노력임”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타인들이 이것이 그 행동의 배후에 있는 진정한 동기라는 것을 발견할 때에 그들은 기만당한 느낌을 갖는다. 그러나 헤겔은 그들 자신의 원래의 도움의 제공은 그 자체가 그들 자신의 행위와 그들 자신의 노력을 보여주려는 욕구의 소산이지 순수 “事象 자체”에 의해 움직여진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도 동일한 기만의 죄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어떤 주제-문제를 풀어놓는 의식은 쏟아놓은 우유에 파리 떼가 달려드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몰려와서는 그들이 그 문제에 몰두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곧 알게 된다. 들은 그 개인에 대하여 그도 역시 하나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신의 일로서 그 주제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49).
헤겔이 이와 같은 논지를 펴는 것은 그가 모든 행위의 자기 관심적인 혹은 자기 표현적인 기초를 폭로하는 데 관심이 있기 때문이 아니다. 헤겔이 우리가 주목하도록 하는 것은 행위의 이러한 상호·주관적 차원이다50).
진정한 “事象 자체”는 “단일한 개인의 행위이며, 모든 개인들의 행위”흑은 “모두와 각자의 행위”이다. 사회적으로 이해된 이 “사상 자체”를 헤겔은 “정신적본질”로 칭한다. 이것은 이제 소외된 개체주의적 이성이 자기모순을 극복하고 정신의 실체, 윤리적 실체의 개념에 다다르고 민족의 생활에서의 진정한 이 이념의 표현으로 이행하게 됨을 의미한다.
(3)법칙을 부여하는 이성과 법칙을 검증하는 이성
개체주의적 이성이 민족(Volk)생활에서의 진정한 이념으로 이행하기 전에 아직 더 고찰해야 할 개인주의의 굴절이 남아있다. 그것이 법칙부여적 이성과 법칙검증적 이성이다. 법칙부여적 이성으로서의 개인적 자기의식은 직접적으로 옳음과 선함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고 이 직접적인 지식을 “모든 사람은 진실을해야 한다.”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와 같은 무조건 적인 법칙 속에 표현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헤겔에 의하면 이들 법칙들은 외양과는 달리 무조건 적이거나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누군가가 진실을 알고 있음과 누군가의 지성적인 사랑에 따른 우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직접적으로 입법하는 것은 恣意를 법칙으로 만들고 윤리적 행동을 그런 자의에 대한 복종으로 만들어버리는 폭군적 무례이다.” 그의 입법에 대한 보편적 내용을 발견하는 것에 실패한 개인적 의식은 그 법칙들이 자기모순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하는 그것들의 형식적 보편성을 확립하는 보다 온건한 과제에 몰두하게 한다. 이것은 칸트의 정언명법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51) 이 비판은 보편화가능성 검증은 어떠한 구체적 내용도 그에 따라 정당화할 수 있는 동어반복(Tautologie)에 불과하다는, 앞에서 언급하였던 「?ber die wissenscaftlichen Behandlungsarten des Naturrechts(1802)(NR)」에서 다루었던 칸트 도덕에 대한 비판과 유사하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논의하고자 한다. 이 개인적 이성은 결국 자의와 변덕으로 결말지어진다52).
여기서 법칙부여적 이성과 법칙검증적 이성은 기본적으로 개인적인 것으로 머무른다. “윤리적 실체는 처음에는 이 특정 개인에 의한 意志하기와 앎에 불과하다.” 진정으로 윤리적이 됨에 있어서 자기의식은 이 개인주의를 뒤로하고 “존재의 현전성(Gegenwart des Wesens)”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 법칙들에 자신을 관련시킨다. 이들 법칙들은 영원하다. 즉 그것들은 “특정 개인의 의지 속”에 바탕해 있는 것도 아니고 “나의 통찰”에 의해서도 타당화되는 것도 아니다. 이들법칙들은 단지 “존재(sind)하는 것이며 그 이상 아무 것도 아니다. 이것이 법칙들에 대한 자기의식의 관계를 구성하는 것이다.”53) 윤리적 사고방식(die sittliche Gisinnung)이란 법칙을 만들거나 그 논리적 일관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지 않고 “올바른 것을 굳건히 준수하는 데에, 그것을 동요케 하거나 흔들거나 근거에 소급해가는 것을 삼가는 데에 있다.”54) 이런 과정에서 어느덧 이성은 정신이 된다.
(4)이성에서 정신으로의 이행
「정신현상학」의 이성 章에서의 헤겔의 분석은 개인주의와 주관주의에 대한 비판이 두드러진다. 헤겔은 사회 전체의 객관성과 실체성에 단순한 개별적 이성의 자의성과 불완전성을 대비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지만 동시에 그것은 인간의주관성 혹은 대자존재에 알려지지 않는 것이거나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그러므로 정신은 실체이며 주관이기도 하다. 실체로서 정신은 “모든 행위에 대한 부동의 공고한 지반이며 출발점이며 그것들의 목적이요 목표이며 思想속에 표현된 모든 자기의식의 卽自이다.” 그러나 주체 혹은 대자존재로서의 정신은
각자가 그의 작업을 성취시키고 보편적 존재를 조각내어 그것으로부터 자시의 몫을 취하는 자기 희생적이고 자비로운 파편화된 존재이다. 이러한 본질이 개인들 소에 해소되는 것은 바로 만인의 행위와 만인의 자아의 계기이다. 그것은 실체의 운동이고 영혼이며 그에서 결과하는 보편적 존재이다. 그것은 바로 자기 속에 해소되는 존재이기 때문에 그것은 죽은 본질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살아있는 것이다55).
그런데 헤겔에서의 정신은 우선 그가 무의식적인 자연의 영역에 대립시키는 인간의 의식, 행위, 이해를 일컫는 말이다. 이것은 광의의 해석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따르면 지금까지 고찰해온 감성, 자기 의식, 소외된 자기의식인 이성 이 모두는 정신의 형태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방금 위에 인용한 것에서 나타난 정신은 민족의 윤리적 삶(인륜)에서의 실체성과 주관성, 보편성과 개별성의 통일을 일컫는 특정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주관성을 缺한 실체성은 앞에서 언급했던 프랑크푸르트 시기의 저작들에서 헤겔이 비판한 유대교(실체주의적 오리엔트의 윤리학도 마찬가지)와 크리스트교의 실증성과 같은 맥락에서 이야기할 수 있겠다. 실체가 결여된 주관성도 마찬가지로 無精神的이다. 실체가 결여된 주관성은 「법철학」에서 인류에 대한 원자론적 개인주의적 이해를 비판한 것과 함께 「현상학」에서 作爲의 개인주의적 유형을 비판할 때 주장한 헤겔의 논점이다.56) 헤겔은 “윤리적 영역에는 언제나 실체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관점과 개별성의 토대로부터 상승운동을 하는 관점이 있다. 후자의 관점은 정신을 배제한다. 그것은 오직 집합체에 이르게 되나 정신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과 보편의 통일이기 때문이다.”57)라고 하는 것도 이러한 특정한 정신의 개념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의 「정신 현상학」에서의 논의는 정신이 사회의 법률과 습속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정신의 직접태에서 출발하여 그 다음 그것의 매개적 형태로 나아가고 그 다음에는 윤리적 삶(인륜)의 美를 벗어나 자기를 자유롭고, 자기 결정적인 주관성으로 인식하기(自己知, 절대정신)까지의 정신의 형태를 다룬다58).
지금까지의 「정신 현상학」의 논의는 인간의 의식이 사물의 물성에 대한 직접적 의식으로부터 추상의 과정을 거쳐 자기의식 본질로서의 이성에 대한 의식의 형태로 발전되는 과정을 고찰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도달한 이성이라는 의식의 형태는 지금까지 본대로 근대적 개인주의로서 이것은 인간이 자기의 본질(주관성)을 발견했지만 칸트의 법칙윤리에서 나타나는 바처럼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외를 낳게 되어 인간의 공동체와의 진정한 합일(상호 주관성, 사회적 관계)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성에 이르기까지의 의식의 형태는 외적 사물이나 인간의식이라는 타자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에서 주관과 객관의 변증법적 전개과정이었다면,정신의 영역에서는 타자로서 즉 대상으로서 등장하는 것은 인간의 사회적 관계이다. 여기서도 인식론적 의식의 전개과정처럼 매개되지 않은 직접적인 삶의 공동체적 삶과 가족의 삶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매개되지 않은 관습에서부터 종교, 철학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자신에 대한 진정한 知(절대지)에 이르는 과정을 인간의 구체적 현실적 제도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실제 역사에 있어서 공동체와의 직접적인 합일을 이룬 그리스의 공동체적인 삶에서 출발하여 헤겔이 역사의 종말이라 일컬은, 주객 분리의 개인주의적 계몽사상의 귀결점이었던 근대시민책명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여기서는 물론 「법철학」에서처럼 법률 같은 사회제도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사회적 존재의 주체로서의 인간이 구체적인 삶 속에서의 사희와의 진정한 합일 즉 윤리적 삶의 실현이 이루어지는 현상궤 대하여 분석하므로 실천 이성과 도덕적 맥락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다음에는 특히 이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근대의 도덕적 세계관에 대한 헤겔의 비판을 살펴보고자 한다.
3)도덕적 세계관과 양심 비판
(1)칸트 피히테의 도덕론의 자기 소멸적 성격
“자기를 확신한 정신: 도덕”에서 헤겔은 혁명후의 독일철학, 칸트, 피히테, 및 그들의 낭만적 휴계자들의 도덕적 세계관을 다룬다. 이것은 고대 그리스의 객관적 윤리적 질서의 붕괴(神法과 인간법의 대립 및 소크라데스의 주관적 도덕에 의한) 이후 발전되고 심화되어온 극단적 주관성의 표현이다. 그리고 이것은 가장 극단적인 관념론이다. “의식이 알지 못하는 것은 의식에 대하여 아무 의미도 지니지 않고 그것에 대한 어떠한 권능도 지니지 못한다. 그것의 의식적인 의지 속으로 모든 객관성, 전 세계가 복귀했다.”59)그러나 헤겔이 자기 확신적 정신에 구현된 주관성의 형태를 비판하지만 그것은 그 이전의 단계보다 더 높은 단계이며 헤겔 자신의 절대 관념론의 직접적 서막이다60).
자기 확신적 정신의 첫 번째 형태인 “도덕적 세계관”은 칸트와 피히테의 철학을 염두에 둔 것이다. 여기서는 도덕적 세계관의 자유과 자연, 의무와 경향성의대립에 초점을 맞춘다. 도덕적 자기 의식은 의무를 “그것의 유일한 목적과 대상”으로 삼으며 “완벽한 자유”로써 그리고 자연이라는 타자성에 대한 무관심(자연과 도덕은 서로에 대해서 폐쇄적 절대적으로 독립적이다.)으로써 행동한다. “의식이 자유로우면 자유로울수록 그 의식의 부정적 대상(자연)도 더 자유로워진다.” 이 도덕과 자연의 상호무관심의 상황은 도덕적 의식에게는 매우 불만족스러운 것이므로 실천 이성의 세 가지 요청을 제시한다.
① 도덕과 행복의 용화 실제 감과의 세계에서는 이것이 실현되기 어렵지만 도덕을 완성시키고, 도덕적 자기 의식을 고무시키기 위해서 요청된다.
② 신의 존채요청: 신은 신적 보상과 벌을 통하여 도덕과 행복의 조화를 보장하는 목적에 이바지한다.
③ 도덕의 무한진보: 도덕은 우리 내부에 있는 감관과 경향성의 형태로 있는 자연과의 대립을 전제한다. 이성은 그것이 극복되기를 요구한다. 도덕과 관능사이의 대립은 도덕성에 있어서의 무한진보의 관념을 요청함으로써 동시에 보존되면서 극복된다.
이 실천 이성의 세 가지 요청은 자유와 자연이라는 칸트철학의 이원론을 해결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었으나 헤겔은 그것을 도덕적 세계관의 진정한 모순을 감추거나 눈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할뿐이라고 주장한다. 도덕과 자연의 융화는 실제로 일어나지 않고 어떤 희미한 星雲같은 “彼岸”으로 대체되어버린다. 이 요청에 귀속되는 모순은 칸트의 도덕이 감관적 경향성을 요구하면서 파괴하려는 사실에 있다. 칸트는 경향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정복되는 무한한도덕의 진보를 요청함으로써 모순을 피하려고 하나 완전한 도덕성을 성취하지않고 완전을 위해 나아간다는 것은 도덕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도덕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은 실제로 그것의 사라짐을 향해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덕적 의식은 자신이 도덕성에 대하여 진지하지 않음(僞善)을 보여준다61).
이 모든 칸트 도덕의 결함들은 칸트 철학의 도덕과 자유, 의무와 경향성의 이원론에서 비롯된다. 칸트의 선험철학을 계승한 피히데는 I=I라는 공식으로 “세계는 지성의 자유(die Freiheit der Intelligenz)의 산물이다.”62)라는 절대적 선험적 자아에 바탕한 主客동일성의 관념론을 전개한다. 의식의 선험적인 주객동일성의 일원론은 결국 二元論에 빠진다. 왜냐하면 I 혹은 자기는 반성적으로 자기 자신을 의식하기 위해서 자신에 대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아가 규정적인 무엇이 되기 위해서는 그것 바깥에 있는 무엇에 대한 대립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러한 대립이 있는 한 자기는 동일성 혹은 절대적인 것에 회귀하는 길을 발견하기 어렵다. 실천적 활동에서 비록 자아는 자신을 非我에 대립시키지만 非我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자아가 바탕하고 있는 그 조건(주객 동일성)을 동시에 제거하지 않고서는 그것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피히테의 자아는 따라서 무한적인 “분투”와 “무한 진행”에 빠지지 않을 수 없다. 주관과 객관의 이원론의 완전한해소는 칸트에서처럼 결코 실현될 수 없는 “당위”에 머무른다63). 이것이 헤겔이 말하는 칸트의 도덕 법칙의 자기 소멸적 성격 흑은 위선적 성격과 연관된다.
헤겔에 의하면 도덕은 도덕적 이성이 자연적 정욕을 그 대립으로서 그것의 도구로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동시에 자연적인 정욕을 파괴하는 일에 종사하면서 그것을 보존하는 일에도 종사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누군가를 비도덕적이라 말하는 것은 순수 변덕의 행위이며 ‘사악함이 이 세상에서 난무한다’는 판단은 ‘도덕의 망토 속에 은폐하는 질투심의 표현이 된다. 헤겔의 주장은 칸트적 전제 위에서 도덕적 의지를 완성시키는 것은 도덕의 소멸을 함의(도덕적 행위자가 싸울 대상이 없어지기 때문)하거나 칸트적 도덕주의자는 그가 진실로원하는 것은 원할 수 없다(악에 대항해 싸우는 사람은 악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라고 요약한다. 이에 대하여 Walsh, W.H.는 헤겔의 주장의 의의는 ‘건전한 윤리학이 지향하는 것은 단순한 고매한 인격의 윤리가 되어서는 안되고 도덕적 행위자와 그가 사는 세계를 칸트처럼 이원론적으로 구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칸트 윤리학은 의도를 중요시하고 실제 수행을 소흘히 한 것처럼 보이는데, 행위의 의도가 어떻게 수행까지도 포함하는지를 윤리학은 설명해야 하며, 인간을 단순히 신적인 이성과 동물적인 요소의 단순한 복합체의 이상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헤겔에서의 이론적 난점은 헤겔이 ‘칸트가 신적인 의지(의무감 없이, 욕망의 갈등이 없이 해야 하는 대로 행동)의 개념을 인간의 의지보다 나은 것으로 제시했다는 것을 망각한 것이 아닌가? 의지란 보다 나은 자신과 보다 나쁜 자신의 갈등 속에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덕스러운 성향을 조장하고 유지시키는 데에도 드러난다는 것, 그리고 헤겔은 전자에 있어서만 선의지가 드러난다고 보았다는 것, 따라서 그러한 선의지의 현존은 도덕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한 필요조건은 되지만 충분 조건은 아니라는 것을 간과’한 데에 있다고 주장한다64).
그러나 헤겔은 그런 구분(선의지를 단순히 소유하는 것과 선의지를 실현시키려는 나의 노력의 실패 또는 성공의 구분, 또는 선의지의 소유와 그 행동의 결과의 성공 실패의 무관함)을 강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헤겔은 주장하기를 결과들이 발생하는 것을 내가 몰랐을 때에 내 행동의 결과에 대해서 언제나 비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나는 그 행동의 성격상 내 행동에 속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그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고, 내 행위의 본성은 때때로 내가 행위하는 것 속에 있는 복합적인 외적 상황들을 내포한다고 주장한다. 만약 내 행동들의 본성이 좋은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는 그러한 것일 경우, 나는 나의 좋은 의도들에 대한 公言 되에 숨음으로써 내 의지의 善함을 구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헤겔은 “의도의 진실성이 행위 그 자체”65)라면 우리는 이들 도덕가의 주관성을 그들의 행동의 결과에 내포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약 우리의 의도들이 나쁜 결과를 산출하는 행동 속에서 산출된다면 우리는 나쁜 의도를 가진 것이 된다는 것이다66).
(2)도덕 법칙의 형식성과 공허성
칸트는 행위의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될 수 있는가 없는가를 자문하여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할 때에 행위는 정당성을 지닌다고 하였다. 준칙이란 칸트에 있어서 의욕의 주관적 원리이다.67) 준칙이 동일한 일반적 상황에 놓여 있다고 생각되는 모든 행위자의 행동을 지배하지 못하거나 그 행위자가 일관되게 그것이 일반적 적용을 가지도록 의욕할 수 없을 때에 법칙의 형식적 성격인 보편성을 缺하므로 도덕 법칙으로서의 역할이 배제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석된 보편화 검증은 부정적이다. 헤겔은 이러한 보편화 검증 수단에 의해서는 “어떠한 잘못된 비도덕적 행위의 노선도 정당화될 수 있다고 한다.”68) 준칙이 보편화될 때에 모순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할 때 이 때의 모순은 무엇, 즉 처음부터 고정된 원리로 전제된 내용의 모순이어야 한다. 칸트는 주장하기를 ‘내가 돈이 없을 때마다 내가 갚지 않을 것이란 것을 알고 있지만, 돈을 빌리고 갚을 약속을 하겠다’는 준칙은 모두가 이런 원리에 따라 행동한다면 ‘약속과 약속의 목적 자체’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기모순을 범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주고받는 약속이라는 모든 제도가 붕괴하리라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지만 이 사실에서부터 약속 없는 세상이 약속이 존속되는 세상보다 도덕적으로 열등하다는 사실이 도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헤겔에 의하면 칸트의 논증이 성립되는 것은 ‘약속을 지키는 것이 옳다는 것’이 미리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라 주장한다69).
준칙의 보편화 가능성이 생각되어질 수는 있지만 보편적 법칙으로서 적용될것을 의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예를 들면 자신의 재능을 개발하거나 곤궁에 처한 사람을 돕는 경우, 칸트는 모두가 자신에게만 충실하고 어려운 사람을 돕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칸트는 다른 사람 돕기를 거절하는 사람은 다른 상황에서는 남이 그를 도와주기를 생각하기 때문에 그는 모순적인 원리를 선언한다는 점에서 그는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사실이 남 돕기를 거부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비도덕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지 못한다. 남을 돕기를 거절하면서 동시에 남의 도움을 바라는 사람은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으나 그는 준칙 m(남을 돕는 것 거절)과 주장 c(남의 도움을 바라는 것) 중 하나를 포기함으로써 비일관성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칸트 논증의 약점은 오직 하나의 가능성 즉 준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포기하는 일만이 행위자에 개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칸트가 이러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처음부터 ‘인간은 그런 상황에서 남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 명백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편화 가능성의 원리는 어떤 구체적 행위가 옳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할 뿐 아니라(공허성) 어떤 비도덕적 행동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도덕적 의무들간의 충돌). 전체주의 국가에서 국가에 대하여 불평하는 아버지를 당국에 고발하는 것과 부모에 대한 효도 사이에서 어린이가 전자를 택한 것을 칭찬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보편화 가능성의 원리로서 검증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부모고발이 정당하다는 것은 보편화 가능성의 원리에 의해서 검증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옳다는 것이 이미 그 사회에서 옳은 것으로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70).
이 점에서 칸트의 윤리적 사고에는 직관주의적 요소가 있다고도 할 수 있다 (Paton,「정언명법」). 그러나 이성주의를 옹호하는 헤겔이 논리적 고려만으로는 어떠한 행동의 바람직함에 대해 아무 것도 결정할 수 없다는 흄의 회의주의와 주관주의에 동조하는 것은 아니다. 도덕은 도덕적 감각과 연계되어 있다는 흄의 이론에 빠지지 않고 칸트식 윤리객관주의(옳음이 보편화검증에 선행하여 전제되어 있음)를 배척하는 과제는 「정신현상학」에서의 도덕적 세계관고찰에서 행해진다71).
(3)행동하는 양심과 아름다운 영혼
결국 헤겔이 칸트 도덕 법칙의 자기모순성이나 형식성 흑은 공허성을 비판한것은 칸트 철학의 이원론(도덕과 자연, 의무와 경향성, 주관과 객관)의 결점을 지적하는 것이 된다. 양심(후기 칸트 학파의 낭만주의 사상가, Jacobi, Scheierm-acher, Novalis 등 칸트의 엄격한 이원론을 버리고 도덕성을 주관적 신념에 기초를 둔 것에 해당)이라는 의식의 형태에 의해 극복된다. 양심에서 자기의식은 의무와 실재의 대립을 포기하고 순수 의무의 공허성에 행위자 자신의 우연적인 자아 혹은 직접적인 개별성으로 구성되는 내용을 채운다. “의무는 더 이상 자아에 대립되는 보편자가 아니라, 그와 반대로 이렇게 분리된 자아는 아무 타당성을 가질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제 자신을 존재하는 것이 법이지, 법을 위해 자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가족 부양을 위해 강도짓 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경우)72) 양심(Gewissen)으로써 자기의식은 주관주의의 극단과 가자 완벽한 자기 확신에 도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겔에 의하면 그것은 어떤 공허성이나 무규정에 시달린다. 양심은 의지에게 어떤 내용을 제공하고 그로써 구체적인 도덕적 행동에 대한 가능성을 산출한다. 그러나 이 내용은 궁극적으로 “개인의 자의와 그의 무의식적인 자연적 존재의 우연성”에 의해 규정된다. 의무란 여기서 “어떤 내용도 가질수 있다.” “양심은 어떤 무슨 내용으로부터도 자유롭다.”73)이러한 주관주의, 상대주의에도 불구하고 그 주관적인 신념이 타자에 의해 인정받기 위해서 욕구의 형태 속에 보편성의 요소를 유지한다. 그러나 그것이 존재의 매개 속에서 수행되고 존재하자마자 행동과 그 배후의 양심적 의도사이에 불일치가 있게 된다. 이 때 언어가 다시 보편성과 특수성, 자아와 타자사이에 중요한 매개적 역할을 한다. 객관적 행적이나 그 뒤의 양심적인 의도사이에 불일치가 극복될 수 있는 것은 행동에 대해서 언어로 보완하고 그것을 주석하고 그것을 설명함에 의해서이다. 이렇게 해서 양심은 양심들의 공동체로 나아가는 데, “이 공동체의 정신과 실체는 그들의 양심성, 좋은 의도에 대한 상호인정, 이 상호순수성에 대하여 기뻐하고, 그러한 탁월한 사정을 알고, 발설하고 소중히 생각하고 조장하는 영광 속에서, 자신들에게 새 힘을 부여하는 것이다”74).
이와 같이 이야기가 행동을 대신한다. 양심적인 언어의 순수성과 보편성을 행위의 제한성과 보편성보다 더 선호한다. 이것이 “아름다운 영혼”이 처한 곤궁이다. 아름다운 영혼이란 행동과 존재에 의해서 내적인 존재의 영예를 더럽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 속에 사는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그의 순수한 마음을 보존하기 위해서 실제 세계와의 접촉으로부터 도피한다. “악과 그것의 용서”의 변증법은 아름다운 영혼과 행동하는 양심 사이의 변증법이다.
이 변증법의 과정에서 행동하는 양심은 그의 죄를 인정하게 되고 아름다운 행동의 필연성을받아들인다. 헤겔은 아름다운 영혼이 구체적인 행동 속에 있는 특수적이고 자기 이익적인 것에만 집중하여 비난하는 방식을 “어떤 사람도 그의 하인에게는 영웅이 아니다. 하지만 그것은 그가 영웅이 아니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하인이기 때문이다”75)라고 비판한다. 행동하는 양심을 아름다운 영혼이 용서하는 가운데 보편은 마침내 특수와 융화한다. 이 융화로써 「정신현상학」의 정신 章은 끝을 맺고 종교 형태의 절대 정신으로의 이행으로의 획을 긋는다.
3.결론
「정신현상학」의 이성 章과 정신 章은 명시적인 언급은 띄지 않으나 대부분의 내용이 칸트 피히테 철학과 윤리학의 이원론과 형식성을 이성 章에서는 인식론적 맥락에서 정신 章에서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비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헤겔은 칸트와 피히테의 주관주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발전시켜 자신의 절대적 관념론을 완성시켰기 때문에 칸트 도덕 철학을 전면 부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것의 결함을 지적하고 보완하는 가운데 자기 나름의 윤리관을 확립시켰다고 볼 수 있다. 칸트와 피히테의 철학의 문제점은 칸트의 선험철학과 이를 계승한 피히데의 주핀적 주객동일철학의 이원론과 그에 결과하는 주객의 대립이 응화되지 못하는데서 오는 객관과 주관의 영원한 소외이다. 따라서 당위를 추구하는 도덕법칙의 근원적 부정성은 자기소외를 극복하지 못하고 무한진행에 빠지면서 결국, 고대 유대교의 실증성을 극복하려고 시도한 예수의 크리스트교가 결국 지상의 세계와 화해하지 못하고 피안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던 사정과 비슷하다. 칸트의 정언명법으로 대표되는 도덕(Moralit ?t)은 이성이 인간의 감성으로부터 소외되고, 형식적이고 위선적이 되며, 내용이 공허한 동어반복(Tautologie)이 되며 사회생활의 관계로부터 추상되어 버리고 유대교의 율법같은 명령(정언명법)에만 집착하므로 존재(Sein)가 아닌 당위(Sollen)가 된다. 유대교의 율법이 절대적 외타적 주인을 바깥에 섬겼다면 이 도덕의 당위는 절대적 주인을 자기 안에 섬기는 것이 된다. 이 명령은 주인과 노예사이의 진정한 상호 주관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융화될 수 없는 절대적 명령과 복종의 관계만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관주의, 개인주의적 도덕은 자가당착에 이르게되고 내용이 공허하게 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것은 근대적 개인주의적 계몽주의에서의 자연과 이성의 절대적 대립을 낳는다.
이러한 도덕철학에 바탕하여 피히테의 경찰국가(기계국가)의 개념이 등장한다. 이 경찰국가 개념에 대립하여 헤겔은 “습속에 의하여 법이 필요치 않게 되는 아름다운 공동체의 무한성(眞無限)을 대립시킨다. 결국 도덕에 있어서 의무와 경향성, 자유와 자연, 명령과 복종의 무한 대립과 극복의 반복은 惡無限이었던 것이다.
이 아름다운 공동체의 原形을 헤겔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의 유기적 정치적 삶에서 찾았다. 물론 이 공동 생활은 매개되지 않은 그리스의 직접적인 유기적 공동체는 분화과정을 통한 발전의 과정을 겪어야 하는 것이지만 헤겔의 도덕 정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이상사회의 모티브였고 칸트의 이원론적, 원자론적, 주관주의적 도덕관에 맞서는 윤리적 삶(인륜, Sittlichkeit)의 개념의 원천이었다. 피헤데의 “자유와 자연의 양극성”과 “비자연적(기계적) 자기 억제”에 대응하여 “성격으로서의 동일성”을 대응시킨다. 이것은 개인들의 공동체와 영혼, 예술작품의 美 속에서 발견되는 보편과 특수, 질료와 형상의 진정한 통일이 Sittlichkeit이다.
도덕성 흑은 순수한 마음 그 자체의 개발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도덕은 개인적인 현상이 아니라 폭 넓은 전체 혹은 보다 넓은 전체로서 볼 때에만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적 의도의 순수성이나 진지성이 어떤 종류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합법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잘못이며 善은 존중할 만하나 그것은 악의 원천이기도 하다. 양심은 그것의 眞 혹은 僞의 판단에 복종한다. 그리고 그것의 결정을 위해 오직 자신의 판단에만 의존한다면 이성적이고 절대적으로 타당하고 본래적인 행위양식을 위한 규칙과 어긋날 수 있다는 것이다.
헤겔은 도덕적 행동이란 칸트처럼 인간 내부의 신적인 것의 외재적 표현이 아니라 인간의 자연적 욕구와 경향성과 연결되는 목적에 이바지하는 행동 유형이다. 물론 헤겔은 유신론을 주장하지만 그의 철학은 초자연적이라기보다는 인간 주의적인 것이다. 헤겔의 도덕론의 장점은 「정신현상학」에서처럼 역사적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대의 다양한 도덕적 논쟁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판단을 내리면서 위와 같은 자신의 윤리관을 형성해갔다는 데에 있다.
--------------------------------------------------------------------------------
참고문헌
Kant,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London, 1948.
Walsh, W.H., Hegelian Ethis(1969), Thoemmes Press, London, 1998판.
Franco, Paul, Hegel's Philosophy of Freedom, Yale University Press, USA, 1999.
Wood, Allen. W., Hegel's Eth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Hegel, G.W.F, Enzyklop?diel, Suhrkamp Verlag 1970, Werk 7.
Hegel, G.W.F, Der Philosophie des Rechts, Suhrkamp Verlag 1970, Werk 7.
Hegel, G.W.F, Jenaer Shriften 1801-1807(Glauben und Wissen) Suhrkamp Verlag 1970, Werk 2.
Hegel, G.W.F, Fr?he Schriften(4.Der Geist des Christentums und sein Schicsal), Suhrkamp Verlag 1970, Werk 1.
Hegel, G.W.F, Jenaer Shriften 1801-1807(DIFFERENZ DES FICHTESCHEN UND SCHELLINGSCHEN SYSTEMS DES PHILOSOPHIE(1801)), Suhrkamp Verlag 1970, Werk 2.
Hegel, G.W.F, Jenaer Shriften 1801-1807(?ber die wissenscaftlichen Behandlungsarten des Naturrechts(1802)), Suhrkamp Verlag 1970, Werk 2. Ph?nomenologie des Geistes, Suhrkamp Verlag 1970, Werk 3. Phenomeolgy of Spirit, A.V.Miller 역,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
각 주
1) Kant,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이하 GR로 약칭) London,1948. p.17.
2) Hegel,G.W.f, Der Philosophie des Rechts, (이하PR로 약칭) Suhrkamp Verlag 1970, Werk 7. S. 28
3) Walsh, W.H., Hegelian (1969), Thoemmes Press,London, 1998판. p. 6.
4) Wood, Allen.W.,Hegal’s Eth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p. 8.
5) PR§258A.
6) Hegel,G.W.F, Enzyklop?, (이하 EL로 약칭)Suhrkamp Verlag 1970, Werk 7. §236.
7) Wood, 앞의 책, pp.9-10.
8) Walsh,앞의책,p.11.
9) Franco, Paul, Hegel’s Pilosophy of Freedom, Yale University Press, USA, 1999,p.34.
10) 이 개념이 최초로 등장하는 곳은 「피히테와 셀링의 체계의 차이」(1801)에 처음 등장하나 Moralit?응하는 의미로 처음 사용된 곳은 Jenaer Shriften 1801-1807(Glauben und Wissen) Suhrkamp Verlag 1970, Werk 2. S. 391.이다.
11) Wood, 앞의 책, pp. 34-35
12) Wood, 앞의 책, pp. 128.
13) Wood, 앞의책, pp. 128-129.
14) Hegel,G.W.F, Fr?Schriften(4.Der Geist des Chistentums und sein Schicsal), (이하 SC로 약칭) Suhrtkamp Verlag 1970, Werk 1.S.324-27.
15) Franco, 앞의 책, pp. 43-44.
16) Hegel, Jenaer Schriften1801-1807(Glauben und Wissen), 이하 GW로 약칭, Suhrtkamp Verlag 1970, Werk 2. S. 426.
17) Wdod, 앞의 책, pp. 129-130.
18) Franco, 앞의 책, p. 44.
19) Hegl,SC. S. 359-62.
20) Hegel, Jenaer Schriften1801-1807(DIFFERENZ DES FICHTESCHEN UND SCHELLINGSCHEN SYSTEMS DES PHILOSOPHIE(1801)), 이하 DFS로 약칭, Suhrkamp Verlag 1970, Werk 2. S. 92-93.
21) D, s. 88-90.
22) GW, s. 426.
23) Hegel, Jenaer Schriften1801-1807(? die wissenscaftlichen Behandlungsarten des Naturrechs(1802)), 이하 NR로 약칭,Suhrkamp Verlag 1970, Werk 2. S. 499.
24) NR, s.504.
25) NR, s.506.
26) NR, s.504.
27) NR, s.458-459.
28) NR, s.490.
29) NR, s.507.
30) 헤겔의 국가개념은 피히테가 주장한 중앙집권적 통제나 기계적 국가 개념이 아니라 최소국가의 개념이다. Franco, 앞의 책, p. 49-50. 참조.
31) NR, s.517-518.
32) Wood, 앞의 책, p. 133.
33) Wood, 앞의 책, p. 81.
34) 유대교의 맹목적 율법준수(실증성 -또는 절대적 타자와 자기의 2원적 대립)를 사랑에 의해 예수가 극복하려 했지만 결국 오직 “空”속에서만 자유를 추구하는, 예수를 신격화함으로써 彼岸에 대한 끝없는 동경에 머물러 버린 것(「정신현상학」에서의 ‘아름다운 영혼’의 비판과 관련됨). Wood, 앞의 책, p. 45-46.
35) Hegel, Ph?enologie des Geistes,(이하 PgS로 약함) Suhrkamp Verlag 1970,Wtrk 3. s.441-442.
Phenomeolgy of Spirit (이하 PS로 약함), A.V. Miller, 역,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paragraph number).597.
36) Wood,의 앞의 책, p. 133.
37) PS, ¶232, PgS. S. 178-179.
38) Franco, 앞의 책, p. 94.
39) PS, p. 213-14. PgS, s. 265-266.
40) PS, p. 214, PgS, s. 266.
41) PS, p. 214, PgS, s. 266.
42) PS, p. 217-21, PgS, s. 270-75.
43) Franco, 앞의 책, p. 96.
44) PS, p. 221-26, PgS, s. 275-81.
45) Franco, 앞의 책, p. 97.
46) PS, p. 230-35, PgS, s. 285-91.
47) PS, p. 237-42, PgS, s. 294-300.
48) PS, p. 243-46. PgS, s. 300-4
49) PS, p. 247-51. PgS, s. 305-10.
50) Franco, 앞의 책, p. 100.
51) Franco, 앞의 책, p. 100.
52) PS, p. 252-60, PgS, s. 311-21
53) Franco는 이점은 헤겔의 반주관주의적 특색을 보여준다고 본다. 앞의 책, p. 100.
54) PS, p. 260-62, PgS, s. 320-23.
55) PS, p. 264. PgS, s. 325.
56) Franco, 앞의 책, p. 102.
57) PR¶. 156A.
58) Franco, 앞의 책, p. 102.
59) PS, p. 364-65. PgS, s. 441-42.
60) Franco, 앞의 책, p. 114.
61) PS, p. 374-81, PgS, s. 453-62.
62) DFS, s. 65-66.
63) DFS, s. 58-72.
64) Walsh, 앞의 책, p.31-33.
65) PS, p. 98, PgS. s. 130.
66) Wood, 앞의 책, p. 139.
67) GR, p. 15n.
68) PR, §. 135.
69) Walsh, 앞의 책, p. 23.
70) Walsh, 앞의 책, p. 26.
71) 같은 곳.
72) PS, p. 383-87, PgS. s. 464-69.
73) PS, p. 390-93, PgS. s. 472-76.
74) PS, p. 388. p. PgS, s. 469-70. s. 476-81.
75) PS, p. 399-409, PgS. s. 483-94.
--------------------------------------------------------------------------------
이력사항
성낙원
경북대학교
'퍼온~사유..! > 논문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ㅍ] 해석학과 윤리 (0) | 2008.05.08 |
---|---|
[ㅍ] 신화 방언주의 미적 형식주의 (0) | 2008.05.08 |
[ㅍ] 가족유사성의 의미와 그 배경 (0) | 2008.05.08 |
[ㅍ] 고유명의 비교-러셀과 프레게 (0) | 2008.05.08 |
[ㅍ] Mathview를 활용한 함수교육 (0) | 2008.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