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바둑..!/관련 자료들~

[=] 스포츠 전문기록원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온울에 2008. 5. 22. 02:36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스포츠기록의 의미와 기록분류
1. 기록의 의미
2. 스포츠기록의 분류
1) 공식기록(Official Score)
2) 개인 및 팀 기록(Team Score)
3) 분석기록(Score Analysing) - 기록의 새로운 해석
Ⅲ. 전문기록원의 현황과 문제점
1. 전문기록원의 현재 현황
2. 기록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점
Ⅳ. 기록원의 책무와 전문화 교육의 필요성
1. 기록원의 권한
2. 기록원의 의무
3. 스포츠기록원에 대한 전문화 필요성
1) 전문화 필요성
2) 스포츠기록원의 전문화 필요성
Ⅴ. 결 론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藝體能論集 
ISSN  
권 12 
호  
출판일 2001.  

 

 

 

스포츠 전문기록원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 for Sports special recorder


박장근
(Park, Jang-Geun)
이원희
(Lee, Won-Hi)
최연숙
(Choi, Yeon-Sook)
5-717-0101-04

영문요약
At the sametime Specialization of Sports record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continued for maintain of specialization and expansion one.

For this object, To acquire the following a conclusion

1. To be necessary a course of education for engaging sport recorder

2. A course of study of college to special study for sports recording and decomposition being established.

3. To be necessary development of recording paper for recording management.

4. To various analyze and To build database of recording of game must offer consistent information

5. Korea, for maintain a strong state of sports, Scientifically sports recording, Accurate database of recording, Training specialist, Systematic study. So Sport society and Gorvenment must support this one.

Base of this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sports recorder with obligation and duty, being foundation for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 expansion.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C는 사회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도시화, 산업화와 함께 분업화가 초래되었고 이로 인한 전문적 분야로 활동하게 되면서 전문가 시대가 다양한 영역으로 창출되었다. 사회의 분업화와 전문화는 개인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특성화를 점차적으로 확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의 요구에 따라 현대의 스포츠도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할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김경숙, 1999).

임종호(1999)는 정보화 및 서비스경제로의 이행에 따라 스포츠, 레져 및 관광 등 서비스경영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며 국민들의 스포츠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스포츠 및 레저산업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이에 부응하여 스포츠와 관련한 스포츠기록 및 스포츠기록 분석 등 스포츠정보에 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스포츠기록의 현 상황에 있어서 스포츠 방송과 신문, 잡지 및 인터넷 등의 언론매체에 대하여 다양한 기록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 자체 또한 중요하지만 선결과제의 하나로 스포츠전문가 수준에 이를 정도로 높아진 시청자 또는 구독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스포츠 경기에서 볼 수 있는 기록의 다양함을 과학적으로 흥미 있게 분석하여 방송에 간단 명료하게 표현시키며 기록원의 기록 판정 하나로 대기록이 탄생할 수도, 그대로 묻혀 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스포츠에 있어 스포츠 전문기록원의 확보는 필수적이다(조선일보, 1999).

대표적인 예로 야구의 경우 선수의 안타 하나 때문에, 혹은 1승이 모자라 3할 타율이나 10승 달성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돈으로 모든 것을 말하는 프로 세계에서 기록원의 판정 하나는 선수의 연봉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개인성적과 직결되기도 한다(이헌재, 2000).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록원들의 일은 대부분 음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력에 비해 빛이 나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기록과 관련된 부서에서도 이들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기에 기록원들에 대한 처우가 낮을 수밖에 없어 우수한 전문기록원 확보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조선일보, 1999).

우리나라의 경우, 기록원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종목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전문직이란 인식조차 부족한 상황이어서,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까지도 자신의 직업에 대한 정체성(identity)과 자부심(self-confidence)을 확보치 못한 상태이다(최정태, 2001).

따라서, 한국의 스포츠 발전과 기타관련 분야에서의 적용과 올바른 활동을 위하여 보다 체계적인 스포츠 전문기록원 양성 및 종합적인 기록 방법의 개발과 기록분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의해 본 연구는 현재까지 각 종목별로 스포츠 전문기록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스포츠기록에 대한 전반적인 의미와 스포츠 전문기록원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스포츠 전문기록원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스포츠기록의 의미와 기록분류
1. 기록의 의미
나날이 발전해 가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각종 프로 및 아마스포츠는 우리생활의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손경희, 1999). 이러한 상관 관계 속에서 다양한 스포츠 기록은 스포츠에 관한 역사(歷史)로서의 의미를 찾는다는 점과 동시에 스포츠 역사라고도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스포츠기록 자체가 지니는 진정한 의미는 스포츠경기의 역사로서의 의미이며, 이 역사 속에 나타난 사건(경기 또는 게임)의 결과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사전이 일어나기까지의 배경과 과정 역시 중요한 것처럼, 모든 스포츠 경기는 결과 외에 경기과정도 무시할 수 없는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KBO, 2001).

이러한 의미에서 프로야구 기록법 책의 기재되어있는 내용을 살펴보면 기록은 크게 세 가지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의미로는 경기자체의 기록을 말하며, 이것은 경기의 승패를 떠나 그 기록 자체만으로도 역사성을 포함하는 중요한 의미와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두 번째는 기록의 통계학적 의미이다. 스포츠가 역사를 거듭함에 따라 선수와 팀이 만들어내는 각종 기록들은 현장기록을 밑바탕으로 하는 통계적 기록에 의하지 않고는 수치 파악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다방면적인 스포츠기록의 집계는 여러 대기록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으며, 여러가지 흥미로운 자료를 제공하여 스포츠가 기록의 역사 속에 뿌리내리는데 그 근간이 되어 왔다.

세 번째는 분석적 의미의 기록이다. 경기를 분석하고 선수를 비교하는 자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순히 한 경기를 보는 것만으로는 어느 선수가 얼마만큼의 기량을 가졌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기록의 힘을 빌린다면 선수에 대한 여러가지 자료를 분석해 낼 수 있다. 선수의 외형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그 선수가 지니고 있는 소질, 재능 및 팀 기여도 등을 기록이라는 자료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서 구체화 또는 체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대스포츠에서 이러한 기록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 매스미디어의 발달은 자료로서의 가치는 물론, 스포츠기술의 정밀화 및 분업화에 따른 과학적 접근방법으로도 기록이 지니는 의미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스포츠기록의 분류
스포츠를 기록경기라고 말하는 만큼 스포츠에 있어서 기록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을 세분화하기 위해 야구기록법과 기록규칙에 의한 자료는 다음과 같이 기록의 종류를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다.

1) 공식기록(Official Score)
공식기록은 커미셔너(프로스포츠의 최고기관 또는 책임자)가 임명한 공식기록원에 의해 이루어진 기록을 말한다. 이 기록은 모든 경기의 통계가 기본이 되며, 기록의 정사(正史)라 할 수 있는데 일단 완성된 기록은 커미셔너의 승인이 없는 한 변경할 수 없다. 그만큼 공식기록은 그 경기의 역사로서 권위와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이러한 공식기록은 해당 경기가 채택한 양식과 기록법에 따라 영구적인 기록집계에 편리하도록 해당경기의 규칙에 규정된 항목을 모두 기록해야 한다.

2) 개인 및 팀 기록(Team Score)
팀 기록은 각 팀(개인)에서 지정된 기록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기록으로서 선수의 개인기록 또는 팀에 대한 공헌도 평가, 승리를 위한 작전자료의 활용 등을 위해 범(개인)에 의해서 작성되는 기록을 말한다.

팀(개인) 기록의 중요 항목은 팀 또는 개인에 의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한 기록과 자신의 상대 팀 또는 개인에 대한 기록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역사로 말한다면 일종의 야사(野史)적 성격을 가진다.

3) 분석기록(Score Analysing) - 기록의 새로운 해석
야구의 경우 기록의 새로운 해석방법으로 분석기록을 적용하고 있다. 미국 프로야구의 경우SABR(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이란 단체를 중심으로 야구기록의 새로운 해석방법이 이미 오래 전부터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시도는 선수나 팀을 평가할 때 공식기록에 나타나는 숫자의 집계에만 의존했을 때의 모순을 극복하고, 보다 흥미롭고 공정한 평가에 접근하기 위해서이다. 흔히 센터라인으로 불리는 포수, 유격수와 2루수, 중견수의 수비능력은 경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도루허용은 투수와 포수중 누구의 책임이 더 큰가하는 문제들은 지금까지의 기록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문제들이다.

새로운 해석방법이란 앞서 말한 것과 같은 문제들을 통계학의 정량분석법을 도입해 풀어보려는 것을 뜻한다. 컴퓨터를 이용해서 기록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려는 이들의 움직임은 야구기록의 단순한 숫자집계에 그치지 않고, 야구의 특성자체를 전문적으로 파악하려는 것으로 야구계에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편, 매스컴에서 많은 이용빈도를 보이고 있는 특정선수의 최근 타율변동이라든가, 다양한 주자 상황에 따른 타율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픽 등도 이제는 보편화된 기록의 새로운 해석과 이용의 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각 팀마다 새로운 선수자원의 정확한 평가와 발굴 및 영입을 위한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스카우트 분야도 넓은 의미에서는 팀 기록분석의 한 분야로 해석할 수 있다.

Ⅲ. 전문기록원의 현황과 문제점
1. 전문기록원의 현재 현황
우리나라의 스포츠기록원을 살펴보면 전문적인 단체나 소속없이 대부분 경기 때마다 필요한 인원을 충당하는 시간제 근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특별한 교육이나 자격증이 없는 선수출신들이 경기기록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야구종목의 경우 타 스포츠종목에 비해 KBO(한국야구협회)에서는 기록위원회가 따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들은 기록위원장을 비롯하여 1군 팀장, 2군 팀장 등 모두 13명의 기록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야구협회 기록원 중 한명은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한 경기에 기록원2명이 경기내용을 기록하는 반면 일본은 3명의 기록원이 경기를 기록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판단과 공정한 기록을 할 수 있다"면서 전문기록원의 부족한 현실을 지적하였다.

또한 "야구에서 기록원은 단순히 기록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중계자 역할과 경기장에 서 분쟁이 일어났을 경우 심판의 역할까지 담당해야 하는 만큼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선수들의 기록은 곧 개인의 연봉과도 관계가 있기에 기록원은 경기의 사관"이라고 하였다.

기록원을 '경기의 사관' 이라 표현할 만큼 중요한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기록원의 교육은 일반인이 참여하기에는 어려운 전문적인 용어와 트레이넘 과정이 오래 걸리고 심하기 때문에 기록원이 되기가 어렵다. 선수출신들이 4~5일 정도 짧게 교육을 받고 KBO에서 발급하는 수료증을 받은 다음 바로 현장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배구와 농구도 4~5명정도의 선수출신들이 기록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이 시간제(프리랜서) 개념으로 대회 중에만 짧은 기간 활동하기 때문에 소속감이나 사명감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였다.

배구협회 관계자에 의하면 "공격, 방법,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스포츠에서는 경험을 마당으로 기록원이 기록을 하고 있으나, 기록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이나 교육기관이 없기 때문에 객관적인 판단보다는 주관적인 판단이 대부분이므로 기록판단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신뢰도가 없다"고 말하였다. 또한 "운영요원이나 일반인들에게도 기록원에 대한 인지도가 낮기에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모든 경기가 기록원에 의해서 기록되어지는 것은 아니며 배드민턴이나 육상경기종목에서는 각 경기위원회, 심판위원회에 소속된 심판이 판정과 함께 기록을 하는 경기도 있다. 우리나라의 각 종목별 현재 기록원 현황을 살펴보면 <표. 1> 과 같다.

표 1. 공식기록원의 현재 상황
종 목
 공식기록원
 근무 형태
 
프 로
야 구
 기록위원장, 1군?2군 팀장
기록위원 ? 총 13명
 공채 및 정식직원
 
배 구
 ?
 시간제 근무 기록원 4명
(선수출신 주부)
 
농 구
 ?
 시간제 근무(통계요원) ? 기록요원, 스파
타 (경기기록 불러주는 사람) 총 9명
 

2. 기록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점
앞에서는 간단하게 기록원의 현재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포츠 전문기록원에 대한 문제점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결과의 판정이 애매하여 주관적으로 기록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배구경기의 수비나 토스기록에 있어서 한 선수가 어려운 볼을 좋은 환경을 만들어서 토스를 올렸을 때 기록원이 포인트(퍼센트)를 기록하는데 이때 본인 선수 매의 경험을 바탕으로 포인트(퍼센트)를 기록한다.

둘째, 농구·배구 등 일부스포츠 종목의 기록원은 특별한 전문적 교육을 받지 않고 대부분의 선수출신들이 시간제로 근무하고 있다.

셋째, 공식 기록원이 없는 스포츠 경기도 있다. 예를 들면 기록이 경기인 육상종목의 경기에 있어서 심판들에 의해 모든 경기가 운영 되어지고 있다.

넷째, 공식기록에 대한 구체적인 BB(Data Base)가 없기에 객관성 및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같은 날짜 2001년 9월 2일자의 J신문에는 기아 이종범 첫 타석의 안타로 '38게임연속 출루'를 기록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S신문에는 '연속 경기 출루를 37경기'라고 기재되어 있었으며, 또한 같은 신문사내의 기자에 따라 S기자는 스포츠 관중 수를 234%증가라고 기재하는가 하면, K기자는 240%로 증가라고 기재하였다. 이런 상황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데 공식적인 기록과 믿을 만한 일관적인 DB(Data Base)가 없는 것을 알 수가 있다.

Ⅳ. 기록원의 책무와 전문화 교육의 필요성
1. 기록원의 권한
공식기록원은 경기를 대표해서 기록을 담당한다. KBO(한국프로야구협회)의 경우 기록규칙을 보면 '기록원의 독자적인 판단으로 결정할 권한을 갖는다' 라고 되어 있다. 물론 모든 스포츠 종목이 이러한 판단 결정 권한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기록원이 관한한 결과가 곧 그 경기의 공식기록을 판단한 것과 같은 효력을 지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다른 스포츠 종목의 경기기록을 담당하는 기록원은 해당경기의 숫자를 집계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 표현을 한다면 통계원 쪽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야구경기에서는 기록원이 단순히 득점 수 등을 세는 것 외에도 판정을 내려야 할 때가 많다. 가장 널리 알려 진 대로 타자가 타격을 완료하고 출루했을 경우에, 그것이 안타인지 아니면 수비실책에 의한 출루인지의 판단을 내려야 하는데, 바로 이 결정에 의해 타자의 타율이 결정된다. 이밖에도 타점여부의 판단, 도루와 도루자의 구별, 번트 때 희생타 인정여부, 그리고 루·타수의 결정 등은 공격부문과 관련하여 많은 기록판정을 내려야 한다.

표 2. 기록원의 권한 비교
종 목
 기 록 원 의 권 한
 
야 구
 ? 승리투수의 결정
? 폭투와 포일(捕逸)의 구별
? 투수의 자책점 결정
? 수비실책이 발생했을 경우, 어느 야수의 실책인지를 판단
? 타자가 타격을 완료하고 출루했을 경우, 안타인지, 수비실책에 의한 출루 인지
의 판단
? 타점여부의 판단
? 도루와 도루자의 구별
? 번트 때 희생타 인정 여부 등
 
배 구
 ? 심판들에게 시그널를 보내기 위해 부자나 음성 신호기 사용
? 규정된 절차에 대한 경기와 팀에 필요한 사항을 기록
? 어떤 제재라도 기록
? 수비, 토스에 있어서 포인트(퍼센트) 점수 부여
 
농 구
 ? 볼이 데드 되고 나서 다시 라이브로 되기 전에만 신호를 울린다.
? 각 선수가 파울을 범할 때마다 양 팀의 코치에게 표시판을 잘 보이도록 들어
줌으로서 선수의 파울 수를 알려야 한다.
 
기 타
 ? 팀 명단, 득점 기록표와 경기가 시작 후의 경기장 입장, 참가할 자격이 없는
경기자의 입장을 주로 관리
? 교대 선수의 기록관리 및 분석자료제시
? 예선과 결승의 출전선수를 추첨현황 기록
? 경기에 앞서 선수들의 교체 상황을 기로
? 기록원은 혹시라도 잘못 판단된 기술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즉시 주심이나
담당직원에게 알려야 한다.
 

투수와 관련된 기록판정들은 승리투수의 결정, 폭투와 포일(捕逸)의 구별 그리고 야구기록에 있어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우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투수의 자책점 결정 등이 있다.

아울러 수비실책이 발생했을 경우, 그 실책이 어느 야수의 실책 인지를 판단하는 것 또한 공식 기록원의 권한이다.

따라서 스포츠가 대중화될수록, 규모가 커질수록 기록원의 권한과 책임은 커져갈 뿐만 아니라 중요해지고 있다. <표. 2> 는 기록원 권한에 대하여 몇 개의 종목을 비교한 것이다.

2. 기록원의 의무
경기의 커미셔너에 의해 임명되는 공식기록원은 그 경기가 채택하고 있는 양식과 기록법에 따라 경기기록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기록원은 경기규칙을 마당으로, 그 경기의 대회요강 및 규약 등을 충분히 숙지해야하며, 공인으로서의 위치를 인식해 품위를 잃지 말아야 한다.

또한 경기 중 규칙에 관계되는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중재하고 조정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 그 내용을 관중들에게도 알려야 한다.

아울러 판단이 요구되는 경기에서는 정확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의 견지가 요구된다. 즉 정확한 판정을 위해서는 선수와 마찬가지로 늘 생각하는 기록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확하고 공정한 판정을 위해서 기록원이 염두에 두어야할 몇 가지 기본적인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하고 신중한 판정을 해야한다.

둘째, 신속한 판정과 집중력이 요구된다.

셋째, 경기규칙을 철저하게 이해하고 판정 반복은 금지이다

넷째, 자신감 있는 판정으로 자신을 가져야 한다.

다섯째, 항상 숫자와 기호에 관한 기록은 꼼꼼하게 점검해야 한다.

여섯째,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록판정을 위해서는 기록실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3. 스포츠기록원에 대한 전문화 필요성
1) 전문화 필요성
하나의 학문분야가 그 사회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는데 전문적 지식과 전문가 단체도 그 요소들 중의 일부이다. 전문성을 확보한다는 의미에 대해 미국의 기록관리학자인 셰라(Shera)는 전문직과 관련시켜 "모든 전문직업은 이론과 실제, 과학과 기술, 이해하는 것과 그 방법을 아는 것과의 혼합이며, 이 두 가지 요소는 필수적이며 조화 있고 적절한 관계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어 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이론과 실무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문제에 대해 중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1972, Shera, Jesse H)

한편 김상호(1998)는 전문성 획득 방안에 대해서 '배타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체계적인 이론, 독자적인 교육체계, 객관적인 실무능력의 평가절차, 전문분야 종사 및 사회적 기여, 전문단체의 구성, 전문직업인으로서의 가치관을 확립하고, 대학수준의 전공교육을 통해 사회의 특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판단과 실천능력을 배양해야 하며, 계속 교육을 통해 환경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그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라 말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문직의 특성을 정리해보면 첫째, 직무수행에 있어서 고도의 지적능력과 기술을 가지며, 둘째, 장기간의 준비교육 및 일정한 자격과 계속적인 성장이 요구되며, 셋째, 직무범위 내에서 자율성을 행사하며, 넷째, 개인의 이익보다 사회에 봉사하려는 사명감이 더 중요하고, 다섯째, 전문적 활동을 위한 조직단체, 조직운영 및 윤리강령을 가지고 스스로 규제한다는 것이다(정태범, 1999).

2) 스포츠기록원의 전문화 필요성
스포츠기록원이란 역사적 가치를 지닌 각 스포츠경기가 채택하고 있는 기록양식과 기록법에 따라 경기기록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직업인이다.

따라서 스포츠기록원은 해당 종목에 대한 경기 규칙 및 폭 넓은 지식과 각종 기록에 대한 기록법 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기록에 대한 관리와 기록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를 통한 기초적 분석 및 객관적 판단을 기초로 한 자율적인 경기 판단 등의 역할까지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스포츠기록원에 대한 정기적인 또는 수시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문교육의 부재는 부정확한 기록 및 기록관리, 그리고 이에 따른 부정확한 데이터, 그리고 잘못된 분석을 내놓음으로서 해당되는 스포츠종목 또는 해당되는 선수의 데이터에 의한 과학적 발전을 저해하는 우(愚)를 범할 수 있다.

스포츠기록에 있어 전문성의 확보는 미래 스포츠 발전을 가늠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포츠기록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인력의 필요성, 곧 기록원 개념의 도입이 요구되며, 전문화된 스포츠기록원은 기존의 단순 스포츠기록의 범위에서 벗어나 기록을 통한 데이터관리와 분석, 분석을 통한 팀 또는 선수관리 등 그 역할이 다시 세분화되어야 할 것이다.

스포츠기록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는 첫째, 정확한 기록과 관리이며, 둘째, 기록을 분석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확보, 셋째, 분석된 데이터를 실제로 경기, 험 또는 개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스포츠기록은 상당한 수준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록원도 스포츠운동의 확산과 실천을 위한 전문적 자질을 배양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수성 및 전문성을 갖춘 스포츠기록원이야말로 스포츠의 올바른 역사를 위해 꼭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고려해볼 때, 현재 우리 나라의 스포츠기록은 아직도 걸음마 수준임을 알 수 있으며, 스포츠 강국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했다면 스포츠기록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더 이상 뒤로 미를 사안이 아니라 사료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스포츠기록원과 기록방법을 향상시키고 현재까지 전문적 스포츠기록원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전문기록원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줌으로, 스포츠기록 및 분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스포츠기록원에 관한 전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러한 스포츠기록원의 전문화와 함께 더욱 중요한 것은 전문성을 유지하고 발전 할 수 있는 전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시행 및 지속적인 교육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재 스포츠 기록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들을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기록원들이 기록에 관한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선수출신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활동하기에 공정한 판정이 요구되는 기록에서는 객관적이기보다는 주관적인 입장에서 기록하기에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스포츠기록과 분석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의 학과가 개설되어야 한다. 스포츠기록원에 대한 지속적인 전문화교육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스포츠 경기들에 대한 단순기록의 의미를 뛰어넘어 스포츠의 다양성과 전문성의 발전과 더불어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기록방법을 도입하고, 세분화하여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록지 개발이 필요하다. 경기기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틀인 기록지를 개발하여 다양하고 발전적인 과학적 기록방법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경기기록을 다양하게 분석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를 더욱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다시금 스포츠 팀 또는 선수 및 관리자들 또한 관심 있는 산업체와 팬들에게 환원하여 그들로 하여금 기록을 기초로 스포츠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할 수 있는 역할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스포츠협회나 정부는 전반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한국이 스포츠 강국으로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포츠기록의 과학화와 그 기록의 정확한 DB(Data Base) 및 전문가를 양성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하여야 되기에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된다.

끝으로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책임감과 의무감을 가지고 스포츠 전문기록원을 전문적이고 과학적,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관리한다면 한국스포츠의 기록 및 분석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가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김경숙, "사회체육지도자의 활동영역별 전문성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2호, pp. 11~29. 1999.
김상호, "한국 기록보존사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제28집, pp. 39~58. 1998
곽현미, "스포츠교육의 미학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1994.
강신욱, "스포츠 참가와 교육포부의 관계",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주종미, "스포츠기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전문성인식과 역할수행 및 보도성향상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손경희, "스포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임종호, "지역사회체육 활성화를 위한 지도자 활용", 한국사회체육학회지, 통권 제12호(1999) , pp.95~108.
윤송원, "기록관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교과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정태범. "교원의 전문성과 책무성에 대한 정책적 제언", 교육진흥, 11권3호, 1999
이동연. 스포츠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울: 도서출판 삼인, 1998)
최정태. 기록학 개론. (서울: 아세아 문화사, 2001)
일간 스포츠. 2000년 12월 13일자
스포츠 서울 2001년 09월 02일자
스포츠 조선. 2001년 09월 02일자
조선일보. 1999년 02월 03일자
야구기록법 & 야구기록규칙(2001). KBO협회
www. naver. com.
www. swimming. sports. or. kr
www. basketball. or. kr
www. Kva. or. kr.
www. handball. sports. or. kr
Shera, Jesse H.,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Becker and Hayes, 1972, p. 201.

--------------------------------------------------------------------------------

이력사항

박장근
(Park, Jang-Geun)
명지대학교 체육학부 교수

이원희
(Lee, Won-Hi)
명지대학교 체육학부 강사

최연숙
(Choi, Yeon-Sook)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