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I. 서론
II. 인증 기준 마련의 당위성 제고
1. 인증기준의 필요성
2. 한국 대학교육의 질과 평가 - 현황과 문제점
III.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 인증 기준
1. 인증의 목적
2. 기초수준의 인증기준
3. 산학협동 교육기준
4. 고급 수준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IV.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 인증 절차 모델
1. 인증을 위한 방문절차
V. 사회체육학 프로그램에 관련된 인증 기준 모델
1. 적용
2. 교수진
3. 교과과정
VI. 인증 결과
1. 인증 결과 판정
2. 인증 결과 적용
3. 인증의 취소
4. 항소
VII. 결론 및 제언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藝體能論集
ISSN
권 10
호
출판일 1999. . .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 기준 필요성과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eds and a Model of the Education Program Accreditation Criterion on the Sports and Leisure Studies Program
박장근
신희진
5-717-9901-0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odel of the education program accreditation criterion on the Sports and Leisure studies program. Accreditation means that a public institution accredit a document or a record has made justly. It is already used in many co1lege programs in U.S.A. and especially in Engineering programs. Engineering programs have a firm criterion and an institution-ABET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So in this study, authors have used the ABET accreditation program for making the Education program accreditation criterion on the Sports and Leisure studies program.
The purposes of accreditation are to authenticate a graduate who has passed the accredited program can work in sports and leisure fields, to facilitate educational development, to encourage new and innovating methods in this part and to offer people exact information about that.
The criterions of accreditation program are students, educational purpose of the program, results and assessments of the program, professional element (curriculu-m), faculty, facilities, supportment and finance of education institution, and progr-am criterion. The accreditation process is designed three parts-paper assessment before a visit, a visit working (major part), and accreditation after a visit. And all of these completed by accreditation administrators and visitors.
The results of accreditation are classified five levels. Accreditation is only differentiate that the program has built a minimum criterion or not. and not calculate in number for preventing to make a class standing. If an education institution obtained the grade ?NA (not accredit)', they can appeal against that.
Some part in Korea, accreditation program is tried. And in author's opinion, making a accreditation program, a reliable accreditation institution and doing accredit are good for facilitating development of the sports and leisure education.
--------------------------------------------------------------------------------
I. 서론
다양화와 자율화가 중요한 시기에는 평가가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이는 목적 실정과 목적 성취 방법은 자유롭게 선택하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이 때 평가는 등급을 매기기 위한 심사 도구가 아니라. 발전을 돕기 위한 피드백 도구가 된다. 앞으로 정보화시대에는 그 평가의 내용을 공개할 것을 사회가 요구한다. 따라서 사회가 성숙해 짐에 따라 누군가에 의해 항상 공개적 평가를 받게 되어있다고 보아야 한다(이병기, 조벽, 1998).
한국대학교육 협의회는 대학평가인정제를 1994년도에는 희망대학인 7개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종합평가를 받도록 하고 점차적으로 매년마다 평가인정 대학을 늘여 가기로 하였(동아일보, 1994. 2. 17)으며 이에 따라 매년 대학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평가인정제 실시에 관한 몇 가지 주장의 근거는 그것을 통하여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목표에 따른 질 관리를 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고. 대학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대학의 자율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고 하는 것(최은수, 1995)등이다. 그러나 지난 1994년 대학평가인정제가 도입된 이래 지금까지 전국 120여 개 대학이 평가를 받았지만 인정을 받지 못한 대학이 단1곳도 없다는 것은 과연 대학평가인정제가 그 취지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이러한 대학교육개혁이나, 대학평가인정제는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으며. 현재 한국의 실정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재정 지원의 집중현상, 개별대학에 대한 외부적 징벌의 원인 제공 등-을 야기하고 있다(최은수, 1995).
미국의 경우, 공학 · 기술 교육 인증 협의회(ABET: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라고 하는 미국의 공학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 프로그램 인증 담당 기관이 있는데(ABET. 1997), 이 기관은 미국의 공학인들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결성되었고 70년에 걸친 공학교육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미국의 공학교육 발전을 주도해 오고 있으며. 또 ABET은 미국 교육부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어. ABET이 인증한 공학교육 프로그램은 각 주의 모든 위원회들. 전문학회, 엔지니어 고용 기관들과 같은 단체에서 폭 넓게 수용되고 있다(이명기, 1998)고 한다. ABET의 기초수준 인증 기준이 되는 항목으로는 학생들(학생 및 졸업생들의 자질과 학업수행).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 프로그램의 성과와 평가. 전문적 요소(교과과정, 공학의 주제영역). 교수진(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교수의 수, 능력, 활동 등). 시설, 교육 기관의 지원과 재정, 프로그램 기준 등이며, 산학 협동 교육 기준과 고급 수준 인증 기준도 마련되어 있다(ABET. 1997). 이와 같은 ABET의 인증은 그 신뢰도가 인정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대학별로 이루어지는 대학평가제와는 평가기준이나 결과면 에서 뚜렷한 대조를 보이는 평가와 인증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학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ABET보다 역사가 짧기는 하나 사회체육과 유사한 분야에도 그러한 인증기관이 있어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레저 · 레크리에이션 협회와 협력관계에 있는 NRPA(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인증위원회가 바로 그것인데, 이 인증위원회는 NRPA 이사회로부터 시행자격이 있다고 인정되는 일정수준 이상의 교육기관에 대한 인증 심사를 실시하고 그 기관들을 공표할 권한을 부여 받았으며 이 인증위원회는 1986년 COPA(Council on Postsecondary Accreditation)로부터 처음으로 인정 받은 바 있다(Jeanne, 1995)고 한다. 이 인증위원회가 ABET과 다른 점은 ABET은 원하는 모든 대학에 인증 프로그램을 시행하지만 NRPA 인증위원회는 NRPA 이사회가 인정하는 수준이상이 되어야 인증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평가기준의 개발 면에서 이 NRPA 인증위원회는 ABET과 마찬가지로 각 기관 고유의 특성과 프로그램의 자유 그리고 기관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있다. 이 NRPA 인증위원회의 인증프로그램의 첫 부분은 일반적인 운영과 각 학부 단위조직과 관련된 것이고, 두 번째 부분은 교과과정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본 위원회는 학생들이 레크리에이션, 공원 자원, 레저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봉사할 수 있도록 준비해 주는 전문 교육체계에 전념하고 있다고 한다. 이 인증심사 프로그램을 통해 인증을 받았다는 것이 그 인증 받은 교육프로그램을 졸업하는 학생에게 꼭 전문적 자격이 있다는 자질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지만(Jeanne, 1995). 이는ABET의 공학기준에 의해 인증 받은 교육기관을 졸업하는 학생이 공학인으로서의 자질을 인정 받는 것과 비교할 때 차이점을 보이는 것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NRPA 인증위원회의 인증을 받은 교육기관의 학생들은 CLP(Certified Leisure Professional) 증명서를 주는 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진다. 인증의 기준은 철학, 경영. 교직원, 학생. 구조적 자원. 전문적인 능력 등이며, l996년 현재 미국의 NRPA 인증위원회에서 구축해 놓은 여가학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Option은 Leisure Services management, Natural Resources RecreationManagement, Leisure/Recreation Program Delivery. Therapeutic Recreation 분야에 마련되어 있다(Jeanne, 1996).
여가학 분야에도 이와 같이 인증프로그램이 있고, 미국 대학에 시행되고는 있지만, 공학 인증프로그램에 비하여 그 구조나 체계가 미비한 점들이 보이며, 사회적 인정 정도 역시 ABET의 인증보다는 비교적 약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이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기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그 기본 틀을 ABET의 인증프로그램을 이용할까 한다.
한국의 사회체육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박장근(1996)은 한국의 사회체육학과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해결방안으로 사회체육에 적합한 전문성 있는 교육과정의 설정과 합리적인 교육과정의 운영. 그리고 그러한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수의 증원과 연구교수, 강의교수, 실기교수, 행정교수와 같은 전문성 있는 교수의 구분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조순묵(1993)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체육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체육교사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요원 확보 및 학교시설, 기자재 등의 교육여건이 보완되어야 하며, 장학제도 강화 등을 통한 교사교육의 유인체계 개선으로 우수한 예비교사를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실습의 강화와 바람직한 교과구성에 관하여도 언급하여 체육이나 체육교육 또는 사회체육 등으로 이름만 나누어지고 기능이나 실제 교과과정에는 별 차이가 없는 상황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체육학과, 체육교육학과 또 사회체육학과의 특징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각 학과의 발전을 저해할 뿐 아니라,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라고 사료된다.
노희덕, 임번장, 강신복, 정응근, 김종택, 성기훈, 김정연, 안양옥, 조미혜, 김윤희(1993)는 한국의 사회체육 계열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미국과 일본의 경우와 비교 · 조사하여 사회체육 계열학과 교육과점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모형은 아직 실제 교육 프로그램에서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1990년 대 초반까지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이나 진보가 아직까지도 없었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사회체육학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개선책을 나름대로 제시했으나,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며, 더구나 그러한 평가나 인증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기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인증(認證) · 이란, 문서나 행위의 기재(記載) · 성립(成立)이 정당한 절차로 된 것을 공적(公的)기관이 증명(證明)하는 일로, 학습이나 교육의 효과 · 발달 등을 측정하는 ‘평가(評價)’와는 그 의미가 다르며(이희승, 1991), 평가인정과 비슷한 면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 인증?이라는 용어가 이 논문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것과 일치하므로 ‘인정’ 이나 ‘평가’가 아닌 ‘인증’ 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문제점 중 점차 보완되고 발전을 보이는 것이 꼭 없다는 것은 아니나, 사회체육학의 발전과 그에 관련한 교육소비자(학생) 및 관련단체 등의 연계성 유지, 그리고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이제까지 양적 평가에 그친 대학평가인정제보다는 사회체육학과는 사회체육학만을 분리하여 이루어지고, 대학별 비교가 아닌 각 학교 학과 자체의 교육의 질을 인증해주는 제도가 적합하리라 본다.
게다가, 현재 한국의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회체육학(생활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은 각 학교별 기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각 학교별로 평등한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며, 대학이라는 학문의 장에서 각 대학마다 모두 같은 프로그램으로 통일한다는 것 또한 불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사회체육학의 발전과 그에 관여하는 교수의 연구 및 교육 능력 향상, 학생.졸업생의 자질 및 진로를 위하여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믿는 바이다. 인증의 과정은 인증을 원하는 대학의 사회체육학과가 과연 나름대로 정하고 지향하는 목적과 목표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있는지, 잘 실행되고 있는지 또한 미래적 발전가능성이 있는지, 그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육소비자인 학생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도달해오고 있는지에 관하여 정성적 평가(제반요소를 조화롭게 고려한 미래지향적 결론)에 의해 증명하게 된다. 또한 공인된 인증절차를 통한 교육기관과 관련기관 그리고 지역사회의 지지를 통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 ·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는 미국의 공학 인증 기준을 참고로 하여. 각 대학 사회체육학과의 · 종합적이고 세부적인 발전과 향상을 위해 한국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 기준모델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I. 인증 기준 마련의 당위성 제고
1. 인증기준의 필요성
한준상(1995)은 대학교육의 "질(質)"에 대하여. 첫째, 대학교육이 이루어내야 될 당연한 속성을 어느 정도로 갖추었느냐 하는 것을 꼽고 있다. 교육학자가 연구의 질을 익히고 있지 못한다면 그것은 교육학자의 질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대학교육계 사람들에 의해 판단되는 교육적 성과에 대한 가치평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자 특히. 교수에 대한 일차적인 가치판단의 기준은 무엇보다도 학문적인 우수성에 있기 때문에 대학교육의 질은 교육이 사회발전이나 학생들을 위해 어느 정도로 탁월성을 지니고 있느냐에 의해 결판이 나게 된다는 것이고, 그 세번째 뜻은 대학교육활동이 누구를 위한 활동이냐에 관계된 것이라고 한다. 대학교육의 질은 교육의 소비자인 학생에게 얼마나 만족스런 서비스를 제공하느냐 하는 정도와 수준으로 표시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김대현, 김석우(1996)는 교육과정 평가를 실시하는 이유 중에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교육수요자나 실천가들을 계몽하기 위해서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그리고 그들의 판단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이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주요한 이유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의 예에서 보듯이 대학평가 인정제의 활성화가 그들 나라의 대학을 경쟁력 있게 키워 온 장본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이 특성화와 자율화, 그리고 일류화를 지향한다고 하면, 남과의 비교는 무의미해진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자기 자신의 교육력 진보와 능률화를 준거로 한 평가들이 중요하다(한인길,1996)는 견해는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학평가인정제도의 문제점인 대학의 서열화, 각 학과의 서열화를 결과로 내놓는 방법에서 의 탈피를 지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학평가제 외에 각 학과별 인증제를 실시하는 상황 또한 대학교육발전을 위해 주목해야 할 사항이라고 본다. 지금까지의 양적 평가는 각 대학과 학과의 특성화를 경시하는 경향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평가라는 개념 이외에 각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그 자체만의 질적인 평가가 따르는 인증제도의 마련은 교육개혁과제의 급선무라 사료된다.
2. 한국 대학교육의 질과 평가 - 현황과 문제점
현재 대학교육은 현장과는 동떨어진 공허한 이론교육의 장(楊)이 되어있음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는 대학의 인재육성 철학 부재, 산업계의 비협조, 대학간 몰개성 등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대학은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자질과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외국어, 컴퓨터 등의 도구과목과 함께 문학, 예술 등 소양과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학교의 역할(중앙일보 1999.7.7)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현청(1999)은 한국 대학생의 학습량. 인생관 등의 의식구조를 폭넓게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너무 공부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주당 평균 학습시간은 58%가 2시간 이하였고, 전공서적 독서량도 47.4%가 3권 미만이었으며 도서관 이용도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그런 가운데 교수나 학생 모두가 교육시설 빈약과 학습량 부족 그리고 토론문화와 경쟁문화의 부재를 문제점으로 지적해 대학이 제도적으로나 실제적인 교육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진 것을 증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세계의 대학들은 기초과목을 철저히 하고 있으며. 학업량도 한국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많고. 국가나 대학의 정책도 그러한 면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대학별로 특정학문분야에 주력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서로 중복되는 학과나 경쟁력이 없는 학과는 과감히 없애기도 하는(중앙일보 1999.6.30) 것이 세계 대학의 자체 발전을 위한 전반적인 흐름이 아닐까 한다.
아직 미비하기는 하지만, 학계와 산업계의 연계가 이루어져 가고 있음은 다행한 일이다. 그러나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 너무나 많다(중앙일보 1999.6.18)고 사료된다.
III.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 인증 기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 인증 모델이 완전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이 모델이나 인증 기준을 현 상황에서 모든 대학에 적용해야 한다는 것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아니다. 인증 과정은 의무적이 아니며, 원하는 기관(대학이나 재단)에서 신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인증 과정을 거쳐 인증을 받은 프로그램은 인증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졸업생들이 실제 사회체육 현장에도 성공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인증기관이 보증하는 것이라는 것과, 또한 이것이 관련 기관이나 국민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인증은 오히려 대학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인증의 목적
인증의 목적은 첫째, 인증된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들이 실제 사회체육 현장에 성공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보장하고, 둘째, 사회체육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사회체육학에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장려하는 것이고, 넷째, 이러한 프로그램을 국민들에게 명확히 알리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2. 기초수준의 인증기준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을 요구하는 교육 기관은 다음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프로그램을 증명해야 한다.
1) 기준 1: 학생들
학생 및 졸업생들의 자질과 학업 수행은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학교는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학생들을 평가하고, 상담하고.관찰해야 한다.
2) 기준 2: 프로그램 교육 목적
인증 또는 재 인증을 받으려고 하는 대학교의 사회체육학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① 대학교의 특성화와 그 기준에 부합하는 교육 목적들이 있고, 그 교육 목적들이 자세하게 공식적으로 공개되어야 한다.
② 프로그램 구성원 모두를 충족시키는 프로그램 목적이 있고. 그 목적들을 결정하고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③ 이러한 목적의 성취를 보장하는 교과과정과 행정과정이 있어야 한다.
④ 이러한 목적의 성취를 증명할 수 있는 명가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그 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3) 기준 3: 프로그램의 성과와 평가
사회체육학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들이 다음과 같은 능력을 갖추었음을 증명해야 한다.
: ① 기초과목 지식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②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뿐만 아니라, 사회체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③ 요구된 필요조건에 맞추어 사회체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는 능력, ④ 산업체 및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복합 학제적 팀의 한 구성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 ⑤ 사회체육학 문제들을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⑥ 직업적,도덕적인 책임에 대한 이해, ⑦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⑧ 전세계적인 관점에서 사회체육학적 해결 방안이 끼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폭넓은 교육. ⑨ 평생 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과 평생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⑩ 현대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지식. ⑪ 사회체육학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최신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각각의 프로그램은 자체평가과정이 있어야 하고. 그 사실이 문서화되어야 한다. 평가 결과가 프로그램의 발전과 개선에 활동되고 있다는 것과, 이 평가 과정이 교육 기관의 임무와 프로그램의 목적(위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여)에 있어서 중요한 학습 성과들을 평가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학생이 설계 프로젝트,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시험이나 자격검정 결과, 동창생들의 직업성취도와 경력 증진 활동에 대한 조사, 고용주에 대한 조사, 졸업생들의 취업 자료 등이 증거자료에 포함될 수 있다.
교육 기관은 교환학생들을 수용하고 의부 학점 인정에 대한 정책을 실행하고 강화해야 한다.또한 모든 학생들이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절차를 갖추고 이를 강화해야 한다.
4) 기준 4 전문적 요소(교과과정)
전문적 요소의 요구사항은 사회체육학의 주제 영역을 제시하지만, 특정 과목들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사회체육학 교수진은 프로그램 교과과정이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육 기관의 목적에 부합하는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장해야 한다. 학생들은 교과과정을 통해 실제 사회체육 현장에 투입되기 위한 준비로서 교과과정 끝 단계에 주요 설계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요 설계 경험은 초기 교과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관련된 사회체육학 표준, 그리고 경제. 환경. 유지성, 도덕성, 건강과 안전. 사회, 정치 등을 포함하는 현실적인 제약에 기반한다. 전문적 요소는 다음의 것을 포함해야 한다.
① 기초학문과 관련된 과목을 포함하여 1년(2학기): 인문과학(체육원리,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 자연과학(해부. 생리. 역학 등), 기초실기(육상. 수영. 체조 등).
② 사회체육 프로그램 설계 제 분야(운동처방 및 재활,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사회체육 경영 · 관리, 스포츠 클럽 지도 등)와 실기분야(구기종목, 투기종목. 개인종목, 단체종목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1년 6개월(3학기).
③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육 기관의 목적에 부합하고 사회체육학 교과과정의 기술적 내용을 보충하는 교양교육.
5) 기준 5: 교수진
교수진은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 교수진의 수는 충분해야 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교과 영역을 치우치지 않고 다룰 수 있는 교수진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교수의 접촉, 학생 상담. 대학 봉사 활동, 전문적인 발전, 산업체의 전문 직업인들과의 접촉.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고용자라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수들의 수가 충분해야 한다.
교수들은 충분한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지도와 평가 발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교수들의 전체적 능력은 교육, 배경의 다양성, 사회체육 실습, 교육 경험, 의사전달 능력,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더욱 발전시키려는 열정, 학식의 정도, 전문적인 학회에의 참여도, 관련 자격증 소지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한준상(1995)은 학문의 질과 대학교육의 질은, 교수의 연구능력과 교직원의 교육서비스의 질과 정비례한다고 했다. 그는 교수의 질을 관리해야 하는 두 가지 이유를, 첫째는 학자적인 양식과 아카데미아로서의 대학원이 지녀야 할 교육적 책무성을 지키기 위해서이고, 그 둘째는 각 대학과 대학원의 여타 대학원과의 학문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 대학교육의 학문적 수월성은 교수의 질 관리로만 끝나는 것은 아니며. 그렇게 관리된 교수의 질을 교수 모두가 공개적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교수의 질 관리에 대한 결과가 대학 교육의 내실화와 합리적 경영에 반영되도록 그 질을 확인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그의 견해는 인증 기준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6) 기준 6: 시설
강의실, 실험실습실, 그리고 관련 장비들은 프로그램 목적을 성취하고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에 적절한 수준을 갖추어야 한다. 시설은 교수-학생간의 접촉을 조장하고 전문적인 발전과 행위를 고무시키는 기회를 만들어 내는 데에 사용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현대적 설비의 사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만 한다. 전산화 및 정보화 기반 구축은 학생 및 교수들의 연구 활동과 교육 기관의 교육 목적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7) 기준 7: 교육 기관의 지원과 재정
교육 기관의 지원과 재정 재원, 건설적인 지도력은 사회체육학 프로그램의 질과 지속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적절해야 한다. 재원은 뛰어난 자질을 갖춘 교수들의 전문적인 발전을 유도. 유지, 공급하는데 충분해야 하고,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시설과 장비를 획득하고 유지하는 데에도 충분해야 한다. 직원과 후생시설도 관련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에 대해 적절한 것이어야 한다.
8) 기준 8: 프로그램 기준
각각의 교육 프로그램은 적용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각 프로그램 기준에 부합함으로써 주어진 교육에 적용되는 기초 수준의 기준에 도달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프로그램 기준에 명기된 요구사항들은 교수의 자질과 교과과정 주제들의 분야에 한정된다. 만약 프로그램이 그 명칭 때문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 기준에 속하게 된다면, 그 프로그램은 각각의 프로그램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중복되는 요구 상황들은 한 번만 만족시키면 된다.
[표 1] 사회체육학 인증 기준
3. 산학협동 교육기준
만약 프로그램이 전문적인 구성요소의 일부로서 산학 협동 실무 요소를 포함한다면, 이러한 요소는 개별적으로 검토 가능하고 인증 활동의 일부분으로 보고할 수 있다.
4. 고급 수준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고급 수준의 프로그램 기준들은 기초 수준의 프로그램과 같고, 기초 수준 이상의 1년간의 학업, 사회체육 프로젝트 또는 주제 문제에 대한 숙련과 높은 수준의 의사전달 능력을 증명해 주는 보고서를 제시한 연구 활동에 관한 사항들이 덧붙여진다.
인증된 프로그램 기준에 의해서 취급되는 교과 영역은 사회체육학 기준과 인증 받고자 하는 프로그램 기준에 모두 부합되어야 한다.
IV.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 인증 절차 모델
사회체육학 기준의 지침과 이 절차는 인증된 프로그램의 졸업생들이 사회체육학 실무를 시작하고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한다.
1. 인증을 위한 방문절차
인증 방문을 수행하는 절차는 방문 전 활동, 캠퍼스 방문, 방문 후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전체적인 절차의 성공은 각 요소의 포괄적이고, 시기 적절하며. 전문적인 완성과 각 부분을 끊임없는 활동의 연장으로 통합하는 것에 의존한다. 절차의 개선은 목적 인식, 학습 성과 및 일관된 피드백 절차에 기반한다.
1) 방문 전 활동
① 방문 전 활동의 목적
· 전문적 분야를 균형 있게 대표하며, 방문하는 프로그램의 질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방문단을 소집한다.
· 캠퍼스 방문 이전에 교육기관이 제공한 자료에 근거하여 상당부분의 평가를 완료해야 한다.
· 캠퍼스 방문 동안에 수행할 부가적인 평가의 계획을 수립하고 부가적인 자료를 교육기관에 요청해야 한다.
② 방문 전 활동의 내용
· 교육기관의 자체평가보고서 평가와-검토와 방문 동안에 질문할 리스트 작성.
· 인증단 방문일정 확정 및 교육기관의 준비 상태 점검.
· 인증단의 방문시 숙박시설 확정 및 공정한 평가를 위한 적절한 능력을 갖춘 균형적인 방문단 구성.
· 프로그램 평가자와 참관인의 명단과 연락처를 단과대학장이나 해당 주임교수에게 제공. ?부가정보를 교육기관에 요청.
· 평가자는 초기 평가를 완성하고 방문 첫 회의 시 단장에게 제출할 복사본 준비.
· 교육기관의 자체평가보고서에 포함될 내용: ㉮ 교육기관과 사회체육학 학부의 후원, 조정 능력, 조직 ㉯ 제공된 교육 프로그램들과 학위 수여 ㉰ 교육기관과 교육 프로그램들의 역사 ㉱ 학생의 입학을 허가하는데 요구되는 사항들과 기본원칙 ㉲ 등록된 학생들의 수 ㉳ 교수진과 교육 책임량 ㉴ 관련 시설-사회체육학 교육을 위한 교육 설비 ㉵ 재정-투자, 지출. 수입 ㉮ 교과과정의 내용 ㉷ 교육결과의 폭을 보여주는 학생의 학업 사례들(Engineering Accreditation Commission, 1997).
2) 캠퍼스 방문 활동
① 캠퍼스 방문 활동의 목적
· 서면 설문서에 나타낼 수 없는 정성적인 면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 교육기관이 만든 자료에 대하여 세밀한 조사를 수행한다.
· 교육기관에게 그들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한 예비평가를 알려준다. ② 캠퍼스 방문 활동의 내용
· 실사전날 : 평가자는 완성된 초기 평가 복사본을 단장에게 제출 : 교과과정 분석(Curriculum Analysis), 성적증명서 분석(Transcript Analysis). 프로그램 부족 사항 감사(Program Deficient Audit), 교수진 분석(Faculty Analysis), 프로그램 절차, 학습 성과. 연속적인 개선 활동 검토 → 시찰 방문. 단장은 프로그램 평가자들 이 제출한 예비 평가 자료를 검토하고 다음 과정의 방문단 회의 준비 완료 → 프로그램 방문 전 평가, 지원 학과의 방문적 평가 등의 사항을 논의한다. 교육기관은 실사단의 캠퍼스 방문 활동에서 프로그램 부족 사항에 대한 자료를 받게 된다. 프로그램 부족 사항 감사의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프로그램 부족 사항 감사(PROGRAMDEFICIENCYAUDIT)
· 실사당일: 인증을 위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실사 실시: 필요에 따라 총장, 학장, 재정책임자. 필요한 기타 교육기관 행정직원들을 만나 논의하고, 프로그램 책임자를 만나 교육 프로그램 상황에 대하여 논의하며, 학생 그룹을 만나는 등 구체적인 실사를 실시한다.
3) 방문 후 활동
① 방문 후 활동의 목적
· 방문에 대한 교육기관과 프로그램의 의사가 교육기관에 통보할 논평서에 반영될 수 있게 한다.
· 방문에 관련된 쌍방 모두가 인증 결정에 대한 투표 이전에 부가적인 자료를 제공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같은 방문 회기 동안 방문했다는 전제하에서, 교육기관의 인증결정이 비슷한 부족 사항을 갖고 있는 다른 교육기관에 대한 인증결정과 일관성이 있도록 한다.
② 방문 후 활동의 내용
· 방문 보고서 완성하여 편집자에게 제출하면 편집자가 편집하여 평가기관 본부에 제출.
· 논평서(statement) 교육기관에 송부.
V. 사회체육학 프로그램에 관련된 인증 기준 모델
1. 적용
본 프로그램의 기준 모델은 사회체육학과와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에 적용한다.
2. 교수진
1) 교수진의 규모
전임교수진은 최소 4명 이상이어야 하며 사회체육학 프로그램 내에서의 교육을 담당하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한다.
2) 교수진의 자격
교수진은 사회체육학 관련학위가 있어야 하며, 전임교수진의 대부분은 학부 교육. 상담, 교과과정상의 문제 등을 담당하여야 한다.
3) 교육책임량
전임교수진의 교육책임량에는 다른 관련 활동 즉 연구. 상담. 위원회 또는 협의회에서의 봉사. 전문 사회에 대한 담당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교육책임량의 평가에는 수업의 규모, 교육양식, 교육에 대한 재정적 지원, 교제 시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4) 교수진의 참여도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의 관심 전공 분야에서 전문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과의 상호유대관계를 가질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진은 학생들의 전문적인 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
3. 교과과정
1) 목적 및 내용
폭넓게 기초범위를 다루려면, 교과과정은 적어도 인문과학분야의 사회학, 철학, 심리학, 개론등과 자연과학분야의 해부생리, 역학 그리고 기초 실기로 육상, 수영. 체조 등을 다루어야 한다.
2) 사회체육학 기초학문
기초학문은 인문과학분야. 자연과학분야, 그리고 기초 실기[표 1]로 나누어져 이루어진다. 3) 사회체육학 응용학문(전문분야)
응용학문은 전문분야별 학문을 말하며. 이는 전문실기종목을 포함한다. 전문분야별 과목은 노희덕등(1993)의 분류를 [표 3], [표 4]와 같이 제시하지만, 한가지 예시로 제시할 뿐 일괄적인 교과운영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표 3] 공통필수 및 공통선택 과목
[표 4] 전문분야별 필수 및 선택과목
4) 기타코스(교양과목 포함)
기타코스는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양과목을 포함하며. 교양과목에는 컴퓨터 활용 및 영어회화가 포함된다.
VI. 인증 결과
1. 인증 결과 판정
인증 결과는 NGR(next general review). IR(interim report), IV(interim visit). SC(show cause), NA(not accredit)등 5개 등급으로 판정된다. 첫째, NGR 판정은 "차기 일반 심사까지 인증한다"는 의미이며, 최대의 기간이 주어진다. 둘째, IR 판정은 "인증하지만 정해진 기한 안에 연장 또는 방문 심사를 위한 보고를 하라"는 판정이다. 셋째, IV 판정은 "인증하나 정해진 기한 안에 집중적인 방문 심사를 한다"는 판정이다. 넷째, SC 판정은 "정해진 짧은 기간을 인증하며 인증 철회 불가 판정 사유를 입증하라"는 판정이다. 다섯째, NA 판정은 "인증하지 않는다"는 판정이며, 이 경우에는 해당 교육기관이 항소를 제기할 수 있다(이명기, 1998).
2. 인증 결과 적용
대학은 어느 경우에도 인증 등급을 의부에 밝힐 수 없다. 인증 결과를 대학 소개서 등에 기재할 때에는 "신뢰받는 인증 기관에 의해 인증 받은 프로그램이다"라고 만 명시할 수 있다. 인증은 최소한 기준을 달성했는지 여부를 차별화해 줄 뿐, 그 수준을 점수로 계산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침은 인증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유사한 프로그램들 사이의 서열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 적용 규칙은 현행 대학평가인정제와 의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인증제도는 각 학교간의 점수화된 서열화가 빚어내는 선입견 및 그에 의한 잘못된 오해와 손실이라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며. 대학의 내부적인 발전 및 의부로 향한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3. 인증의 취소
인증기관은 인증유효 기간 동안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기준 이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감독할 수 있다. 만약 입증된 프로그램이 인증기관의 기준과 일치하지 않으면 그 교육기관에게 통보를 한다. 이에 대한 교육기관의 대응이 적절하지 않으면 인증기관은 인증을 취소할 수 있으며 취소 사유가 교육 기관에게 통보된다. 진상 파악을 위해 현지 방문이 이루어질 것이며 취소 근거에 대한 포괄적인 서류가 그 교육기관의 검토와 대응을 위해 그 교육기관으로 전달된다. 이때 교육기관의 대응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인증을 취소한다. 인증 기관의 의장은 교육기관들에게 인증 취소 결정 및 취소 근거를 즉시 알린다 · 취소는 "인증하지 않음(NA: not accredit)"을 의미하며 항소가 가능하다. 항소절차가 끝날 때까지 인증은 유효하다(ABET. 1997).
4. 항소
"인증하지 않음(NA)" 결정에 항소하기를 원하는 경우, 인증 불가 결정 통지일 의 정해진 기한 안에 항소의사를 인증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인증기관은 항소에 대한 특별 이사회를 개최하여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그 때 최종 조치를 취한다(ABET. 1997).
VII. 결론 및 제언
대학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평가가 필수적이며, 현행 한국의 대학평가인정제는 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한국 대학교육의 계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대학평가인정제와 함께 질적 평가를 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점차 수정되며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각 대학 각 학과가 주장하고 지향하는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며. 그 교육 목적에 맞는 교육 환경과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얼마나 잘 실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인증(Accreditation)제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평가인정제에서 아직 제대로 평가대상도 되지 못한 사회체육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 기준 모델을 제시하여 보았다. 70여 년 의 역사를 가지고 실행되고 있는 미국 ABET의 공학 인증 프로그램을 모델로 하여 그 인증 모델을 간략하게 제시하였기 때문에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많은 부분이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인증제도는 기존의 대학평가인정제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각 대학의 서열화를 그 결과로 나타내지 않으며, 이는 곧 대학의 질적 발전과 질적 평가를 통한 대학의 발전을 꾀하게 한다. 이러한 인증제도는 인증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졸업생들이 실제 사회체육 현장에 성공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보장하며, 사회체육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사회체육학의 실제분야에도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장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민들과 관련 단체 및 기관에, 그들이 원하고 또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의 기준에는 학생, 프로그램 교육 목적, 프로그램 학습 성과와 평가, 전문적인 요소, 교수진, 시설, 교육기관의 지원과 재정 지원, 프로그램 기준 등이 포함되어, 사회체육학 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분야를 정성적으로 평가하여 인증하는 것이 원칙이다.
인증은, 원하는 대학의 임의로 신청되며, 방문 전 활동, 방문 활동. 방문 후 활동으로 나누어져 실행된다. 결과는 다섯 단계로 이루어지나, 이것이 점수화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만약에 "인증하지 않음"의 판정을 받을 경우에는 해당 대학이 항소를 할 수 있으며 인증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프로그램을 포기하거나 수정할 것을 강요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말 그대로 인증을 시행한 기관에서 그 프로그램을 인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증제도가 수정되고 보완되어 하루 빨리 시행되고 정착되므로, 개성화 되어가고 있는 각 대학의 사회체육학과가 목표하고 지향하는 것이 교육 소비자에게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 그것이 가치가 있는 것인지, 부족한 사항 및 개선 사항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문과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제 한국에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제도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가 있다. 그러므로, 사회체육학 분야에서도 계속되는 연구를 통해 인증 제도가 바람직하게 마련되고 정착되어야 하며, 인증을 위한 신뢰성 있는 인증 기관의 설립 또한 요구된다.
--------------------------------------------------------------------------------
참고문헌
김대현, 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 평가, 서울: 도서출판 학지사. 1996.
노희덕, 임번장, 강신복, 정응근, 김종택, 성기훈, 김정연, 안양옥, 조미혜, 김윤희, "사회체육계열학과 교육과정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2권 제1호(1993).
동아일보, 대학종합평가 7개대 선정. 29면, 서울: 동아일보사. 1994. 2. 17.
박장근, "한국 4년제 대학 사회체육(학)과 교수들의 전공과 담당교과목 실태에 관한 조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호(1996).
이현청, 한국의 대학생. 서울: 도서출판 원미사. 1999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1991
이병기, 조벽. "미국의 공학교육 인증 · 평가", 공학교육과 기술. 제5권 제3호. 1998
조순묵, Practjce and R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93국제스포츠학술대회. 1993
중앙일보, [세계의 교육개혁] '주특기' 개발 최고로 키운다. 18면. 서울: 중앙일보사. 1999. 6. 30.
중앙일보, [세계의 교육개혁] '창의력 키우는 선진교육 부럽다'. 17면. 서울: 중앙일보사. 1999. 7. 7.
중앙일보 [세계의 교육개혁] 한국도 · 산학 손잡기 · 활발. 12면. 서울: 중앙일보사. 1999. 6. 18.
최은수, 한국교육행정의 현안문제. 서울: 양서원. 1995
한인길 편집, 내겐. 이 대학-이 학과가 최고. 서울: 중앙일보사. 1996
한준상. 한국교육개혁론. 서울: 학지사, 1995
ABET. ABET 공학 기준 2000. 제3판,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c. Boltimore , Maryland . 1997
ABET. CTiteria for acc1.edjtatlon programs in Engineoring in the United Statos,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c. Boltimore, Maryland.1997.
ABET. 공학 기준 2000 인증 절차를 대한 설명서,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c. Boltimore, Maryland. 1997
Jeanne Houghton. Academic accriditation: Who, what, when, where, and why?Park & Recreation February. Arlington. Virginia. 1996.
Jeanne W. Houghton. Standards and evaluatjve crlterja for baccalaureate programs in recreation, Park resources and leisure services.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Arlington. Virginia. 1995.
--------------------------------------------------------------------------------
이력사항
박장근
명지대학교 체육학부 부교수
신희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퍼온~바둑..! > 관련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구성의 원리 (0) | 2008.05.22 |
---|---|
[=] 바둑의 이해와 대학 바둑학과 학생들의 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0) | 2008.05.22 |
[=] 스포츠 전문기록원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0) | 2008.05.22 |
[=]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밍 (0) | 2008.05.22 |
[=] 사활의 관한용어 (0) | 200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