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기초
1. 놀이 분류 및 분석 체계
2.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
3.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별 하위 내용
4.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
Ⅲ. 연구 문제
Ⅳ. 연구 방법
1. 관찰 대상 및 기간
2. 관찰 방법
3. 놀이 분석 도구
Ⅴ. 결과
1. 놀이의 종합적 분석
2. 놀이의 상황적, 연속적 분석
Ⅵ. 논의 및 제언
1. 논의
2. 제언
--------------------------------------------------------------------------------
발행자명 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학회지
권 1
호 1
출판일 1996.
유아 놀이의 상황적 관찰 및 분석 체계 개발 연구
A Development of Observation and Analysis System in Context of Children's Play Behaviors
장명림
(Chang, Myung Lim)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1-037-9601-08
pp.165-184
영문요약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system in context which can sufficiently include the range of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describe play behaviors in its complexity of classroom contexts.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system of play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
First, the existing problems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schemes were analyzed through reviewing bodies of research relating play to cognitive development(usually building on Piaget and Smilansky) and to social development(frequently building on Parte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schemes omit certain types of play(e.g., rough-and-tumble play, jokes and word play) and make unjustified assertions about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different types of play.
Secondly, the necessity to develop alternative analysis system of children's play behaviors was suggested through reviewing recent research literatures and texts related to both the comprehensive observation of play behaviors and the contextual view to play behaviors analysis.
Thirdly, based on the above, the elements and sub-categories of play analysis system were determined.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유아 교육과정은 놀이와 통합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놀이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교사는 관찰을 통해 유아의 다양한 놀이 유형과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유아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로는 Parten(1932)에 근거한 사회적 놀이 발달 연구와 Piaget(1962)에 근거한 인지적 놀이 발달 연구가 대표적이다.
Parten(1932)은 유아들의 놀이 행동을 관찰하여 사회적 참여에 관련된 일련의 단계를 확인하였는데, 비참여 행동(Unoccupied behavior), 방관자(Onlooder), 혼자놀이(Solitary play), 평행활동(Parallel activity), 연합놀이(Associative play), 협동적 및 조직화된 보충놀이 (Cooperative or organized supplementary play)의 단계를 제시하였다.
Piaget(1962)는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유아의 놀이 발달 단계를 제시하였는데, 0∼2세 (감각운동기)에는 연습게임(Practice games), 2∼7세(전조작기)에는 상징게임(Symbolic games), 7∼11세(구체적 조작기)에는 규칙있는 게임(Games with rules)의 순으로 발달한다고 보았다. Smilansky(1968)는 Piaget의 놀이 발달 단계를 수정·보완하였는데, 연습놀이를 기능놀이 (Functional play)로, 상징놀이를 극놀이(Dramatic play)로, 그리고 기능놀이와 극놀이의 중간에 구성놀이(Constructive play)를 추가하여 기능놀이, 구성놀이, 극놀이, 규칙있는 게임으로 이어지는 놀이 유형 변화를 제시하였다.
한편, Rubin, Maioni 및 Hornung(1976)은 Parten과 Smilansky의 단계를 통합하여 관찰체계를 제시하였는데, 연합 놀이와 협동 놀이의 구별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이 두 놀이 유형을 통합하여 집단 놀이(Group play)로 분류하고, 총 12개의 사회-인지적 놀이 요소로 구분하였다.
Smilansky와 Parten의 체계는 종종 통합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 체계의 발달 및 성숙 지표 상의 타당성을 비판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실시되어 왔다. Moore 등 (1974)은 혼자놀이가 사회적, 인지적 적응력의 부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능적으로 효율적인 활동이라고 보고, Parten의 놀이 발달 단계를 비판하였다. Smith(1978)도 평행놀이를 혼자놀이와 집단놀이의 중간 유형으로 간주하는 Parten의 사회적 참여 지표의 유용성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 Johnson과 Erschler(1981)는 혼자놀이가 목적 지향적, 교육적 또는 대근육 활동과 연관되는 놀이이며, 결코 사회적 미성숙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Christie와 Johnson(1987)은 유아의 구성놀이는 사회극 놀이나 규칙있는 게임보다 더 수준 높은 놀이 형태라고 주장하였다.
최근에 Takhvar와 Smith(1990)는 놀이의 전통적인 인지적 범주 체계는 대상물을 중심으로 하는 놀이 유형 구분에는 유용하나, 거친 신체놀이(rough-and-tumble play)나 언어놀이(jokes and word play)와 같은 특정한 놀이 유형이 제외되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놀이 에피소드 내에서 시간 표집으로 놀이 유형을 기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우세한 어떤 한 가지만을 추출하여 기록해야만 하는 관찰·기록상의 문제도 지적하였다.
한편, Reifel과 Yeatman(1993)은 교실 놀이를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상황적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상황적 틀(contextual frame)로서 놀이를 이해해야 하며, 유아의 놀이를 단순히 범주로서 분류하는 데에 그칠 것이 아니라 놀이가 왜, 어떻게, 선택되고 변형·발전되는 지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볼 때, 기존의 사회적, 인지적 놀이 분류 체계는 수정·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총체적인 상황 변인을 모두 반영하여 조망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놀이는 어디서 어떤 형태로 발생하며, 유아는 놀이에 어떻게 참여하며,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가 교실 내의 전체적 상황 속에서 관찰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실 상황에서 발생하는 놀이를 모두 포괄하고 교실내의 상황적 변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놀이를 분석하기 위한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 이론적 기초
1. 놀이 분류 및 분석 체계
가. 전통적 놀이 범주 및 분류 체계
유아 놀이 범주 및 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사회적 놀이와 인지적 놀이 발달 단계를 분류한 Parten(1932), Piaget(1962), Smilansky(1968) 및 Rubin 등(1976)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전통적인 놀이 범주 및 분류 체계를 종합해 보면, 유아의 놀이는 사회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에서의 놀이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놀이 분류 체계에 관련하여서는 놀이 발달 단계의 타당성 및 그 지표상 유용성 측면에서 비판의 소리도 있기는 하지만, 이는 놀이가 잘못 분류 되었다기 보다는 유아의 발달적 수준을 반영해 주지 못하거나 모든 놀이 유형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인지적 차원에서의 놀이 분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단지 그 하위 범주를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보겠다.
나. 놀이의 종합적, 상황적 분석
최근에 Pugmire-Story(1992)는 유아교육 현장의 자연스러운 놀이 장면에서 유아들의 놀이를 오랜 기간 관찰한 결과, 유아 '놀이의 구조(STEP)'를 자동차와 네 바퀴에 비유하여 제시하였다. 즉, 놀이를 하고 있는 유아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앉아 있는 "운전자"를, 자동차의 네 바퀴는 ①놀이의 사회적 차원(Social dimension), ②놀이의 유형(Types of play)-인지 발달적, ③놀이의 요소(Elements),④놀이를 위한 준비(Provisions)를 의미한다.
High/Scope 프로그램에서는 유아의 놀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와주고 촉진시키기 위하여 흥미영역별 유아 놀이를 면밀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포함해야 할 주요 요소로 유아의 계획 상태(Children's plan status), 사회적인 맥락(Social contexts), 놀이 유형(Play types) 및 주요 경험(Key experiences)을 제안하였다(Hohmann과 Weikart, 1995). Reifel과 Yeatman (1993)은 놀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여러 상황적 변인들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들이 제안한 상황적 변인은 자료의 영향, 사회적 관계, 실제-세상 경험, 가장하려는 것에 대한 결정 및 놀이 시간이며, 놀이가 진행하는 동안 이러한 변인들이 어떻게 놀이에 작용을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2.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
이상에서 전통적인 놀이 범주 및 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와 최근에 제시된 종합적, 상황적 관찰·분석 방안을 검토해 본 결과,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요소는 놀이의 사회적 차원(또는 맥락)과 인지적 놀이 유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놀이의 기능은 유아가 참여한 놀이의 유형, 사용한 자료 및 놀이감을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전체 구성 요소들 내에서 놀이를 조망해 봄으로써 해당 놀이가 유아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High/Scope 프로그램에서는 흥미영역별로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는 체계에 유아 (놀이자)의 계획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요소를 포함시키고 있다. 이는 곧 유아의 적극적인 놀이 참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유아가 놀이 상황에서 어느 정도로 놀이에 참여하고 주도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놀이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 보다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놀이를 위한 준비와 놀이의 상황적 변인은 관련성이 매우 높은 요소이다. Pugmire-Stoy의 '놀이의 구조(STEP)'모형에 제시된 '놀이를 위한 준비(Provision)'는 유아의 놀이를 보다 나은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교사의 준비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놀이의 준비에 해당하는 요소를 단지 놀이를 위한 준비로서만이 아니라 이것이 유아의 놀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놀이에 직·간접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를 놀이의 상황적 요인으로 대치하여 포함시키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놀이를 포괄적으로 또 상황적 변인을 고려하여 분석하기 위해서는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에 ①놀이의 유형,②놀이의 사회적 형태, ③놀이자의 참여 수준, ④놀이의 상황적 요인 을 주요 구성 요소로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3.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별 하위 내용
가. '놀이의 유형'의 하위 내용
놀이 유형에 포함될 하위 내용을 추출하기 위하여 유아 교육 현장에서 놀이 교육과정 운영 및 놀이 지도와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는 인지적·교육적 놀이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놀이의 유형 분류에 관련하여 제기되는 용어의 혼용 문제 및 발달 단계상의 문제들을 검토하여, 기존의 놀이 분류 체계를 수정·보완하고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놀이 유형을 제시하였다.
인지적·교육적 놀이의 유형, 놀이 유형의 분류상에 관련된 문제들, 극놀이의 가상 수준에 대하여 검토해 본 결과, 기본적인 놀이 유형 분류는 Smilansky와 Shefatya(1990)의 분류(기능놀이, 구성놀이, 규칙있는 게임-테이블 게임, 신체 게임, 극놀이)에 근거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세부적인 하위 내용의 수정·보완 측면에서 규칙있는 게임에 언어 게임을 추가하고, 또한 극놀이에는 세부적인 가상 요소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또한, 최근에 새로운 놀이 유형으로 제시되고 있는 거친 신체놀이(rough-and-tumble play)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놀이의 유형'에는 ① 기능놀이, ② 구성놀이, ③ 극놀이(가상 수준 : Ⅰ, Ⅱ, Ⅲ, Ⅳ, Ⅴ), ④ 규칙있는 게임(테이블 게임, 신체 게임, 언어 게임), 및 거친 신체놀이를 포함한다.
나. '놀이의 사회적 형태'의 하위 내용
본 연구에서는 유아 놀이의 사회적 형태가 사회적 놀이 발달 단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Parten의 사회적 놀이 발달 단계에 대한 지표로서의 유용성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한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놀이의 사회적 형태의 하위 내용은 Parten(1932)의 사회적 놀이 발달 단계, Howes의 또래 놀이 관찰 척도(단순 평행놀이, 상호인식 평행놀이, 단순 사회놀이, 상호인식 보완/상호 놀이, 보완/상호적 사회놀이), Pugmire-Stoy의 '놀이의 구조'의 사회적 차원(비참여, 쳐다보기, 혼자놀이, 평행놀이, 연합놀이, 협동놀이)를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Johnson 등(1987)이 제안한 협동놀이의 구분, 즉 짝 협동놀이(Cooperative couples play)와 2명 이상의 또래들과 집단으로 실시하는 집단 협동놀이(Cooperative group play)를 반영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놀이의 사회적 형태'에는 ① 쳐다보기, ② 혼자,③ 평행(단순 평행, 상호인식 평행), ④ 연합, ⑤ 협동(짝 협동, 집단 협동)을 하위 내용으로 포함한다.
다. '놀이자의 참여 수준'의 하위 내용
놀이 활동에서 보이는 놀이자의 참여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놀이 선호도 및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교사의 놀이 지도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놀이자의 놀이 참여 수준 및 형태는 몇몇 연구(이은해·이기숙, 1992; 나정·장명림, 1994)에서 그 범주를 구분·제시하고 있다.
유아의 놀이 형태는 유아가 혼자 또는 다른 유아나 교사와 교구를 가지고 놀이하는 경우와 유아가 다른 유아나 교사와 협동적 형태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놀이를 하는 경우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교구 및 자료에 관심을 기울이고 몰입하면서 놀이를 하는 적극적인 행동과 소극적인 행동으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해당 놀이 활동을 주도적으로 이끄는지 또는 수동적으로 참여하거나 비협조적인 행동을 보이는 지의 여부로 판단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놀이자의 참여 수준'에는 ①적극적(주도적), ② 소극적(수동적), ③ 비협조 를 하위 내용으로 포함한다.
라. '놀이의 상황적 요인'의 하위 내용
놀이의 상황적 요인에서는 놀이를 위한 준비와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그 하위 범주를 추출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놀이를 위한 준비와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은 서로 관련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즉, 유아는 놀이를 위해 준비된 인적·물적 환경과 상호작용 하면서 영향을 받으며, 또한 놀이자 자신의 경험 역시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놀이의 상황적 요인'에는 ① 놀이자의 경험, ② 놀이 공간, ③ 놀이 자료, ④ 놀이 상대, ⑤ 놀이 시간을 하위 내용으로 포함한다.
4.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
가.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 및 하위 내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 및 하위 내용은 <표 Ⅱ-1>과 같으며, 이들의 관계를 모형으로 제시해 보면 [그림 Ⅱ-1]과 같다.
[그림 Ⅱ-1]에서 보듯이, 전체적인 놀이 상황 내에서 놀이의 유형, 놀이의 사회적 형태 및 놀이자의 참여 수준은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연결되며, 이들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놀이의 상황적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나.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특징
【 놀이의 종합적 분석 】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에서는 전통적인 놀이 분류 체계 및 범주에서 제시한 사회적, 인지적 놀이 유형의 요소를 수정·보완하여 포함함은 물론, 놀이 과제 및 놀이 상황에 대한 놀이자의 참여 수준, 그리고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변인을 모두 포괄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놀이 특징을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하여 구성 요소의 하위 내용을 포괄화 및 세분화하였다.
【 놀이의 상황적 분석 】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에서는 놀이의 유형, 놀이의 사회적 형태 및 놀이자의 참여 수준간의 연계 내에서 놀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유아가 어떤 유형의 놀이를 선택하고, 어떠한 사회적 형태를 취하며, 또한 어떤 정도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동시에 파악함으로써 유아 놀이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놀이의 선택, 확장 및 변형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 (놀이자의 경험, 놀이 공간, 놀이 자료, 놀이 상대 및 놀이 시간)을 놀이 상황에서 파악하여 상황적 분석의 이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놀이의 연속적 분석 】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에서는 개별 유아의 놀이를 연속적으로 관찰·기록함으로써 동일한 장면에서 보이는 유아 놀이의 변화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유아의 놀이는 한 에피소드 내에서도 그 유형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므로 이러한 연속적 관찰·분석을 통하여 놀이의 기능 및 놀이 유형간의 관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는 기본적으로 '놀이의 유형' 변화를 기준으로 기록하도록 하였는데 특정한 한 놀이 유형 내에서의 사회적 형태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관찰지를 이용한 놀이 관찰·기록 시에 '→' '↔'와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놀이의 사회적 형태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예: 상호인식 평행 → 연합, 연합↔ 집단 협동).
Ⅲ. 연구 문제
연구 문제 1. 연구자의 놀이 분석 체계를 사용하여 유아의 놀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
1-1. '놀이의 유형'은 다양한 놀이 행동을 포괄적으로, 또 상호 배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1-2. '놀이의 사회적 형태'는 놀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 형태를 포괄적으로 반영하는가?
1-3. '놀이자의 참여 수준'은 유아의 놀이 참여 정도를 충분히 반영하는가?
1-4. '놀이의 상황적 요인'은 놀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모두 반영하는가?
연구 문제 2. 연구자의 놀이 분석 체계를 사용하여 유아의 놀이를 상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
2-1. 연구자의 놀이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들(놀이의 유형, 놀이의 사회적 형태, 놀이자의 참여 수준, 놀이의 상황적 요인) 간의 관계 내에서 놀이의 특징이 보다 잘 설명될 수 있는가?
2-2. 동일한 놀이 유형에서도 다양한 상황적 특징이 나타나는가?
연구 문제 3. 연구자의 놀이 분석 체계를 사용하여 개별 유아의 놀이를 연속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놀이 변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Ⅳ.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기 위하여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개발한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 관찰을 실시하였다.
1. 관찰 대상 및 기간
현장 관찰의 대상은 송파구에 위치한 C 유치원과 강남구에 위치한 P 유치원의 3, 4, 5세반 유아 총 96명이다. C 유치원에서는 3세 유아 24명, P 유치원에서는 4세 유아 35명, 5세 유아 37명을 대상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기간은 총 5주간이었으며, 주 2∼5회 관찰로 5주간 총 관찰일은 19일 이었다. 3세는 1주 4일간 총 6시간 관찰, 4∼5세는 4주 15일간 총 15시간 관찰하였다.
2. 관찰 방법
관찰 방법은 비디오 촬영, 녹음 및 직접 관찰을 활용하였다.
① 비디오 촬영 및 녹음은 보조 연구원 2명이 실시하였으며, 직접 관찰은 본 연구자가 실시하였다.
②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유스러운 상황에서 유아의 놀이 장면을 8mm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③ 촬영 방법은 흥미영역별 놀이 활동(5∼10분씩)과 개별 유아의 놀이 행동(10∼20분씩) 촬영의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④ 직접 관찰은 주 1회(매주 수요일) 본 연구자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놀이 장면을 현장에서 관찰노트에 기록한 후, 그날그날 관찰기록지 양식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3. 놀이 분석 도구
수집한 자료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놀이 분석 체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개념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놀이의 유형
① 기능놀이 : 놀이감 및 자료를 조작하거나,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행동을 시도해 보고, 그것들을 반복하는 놀이이다.
② 구성놀이 : 놀이감 및 자료를 가지고 새로운 특정한 결과물을 산출하는 놀이이다. 그리기나 만들기 등의 활동을 포함한다. 창의적인 구성 자료(블록이나 점토 등)를 가지고 유아가 자유로이 만드는 활동이 대표적이다.
③ 극놀이 : 현재 없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대체하기 위하여 놀이감, 사물, 다른 자료 및 언어를 사용하는 놀이이다. 시간, 공간, 역할 및 사물이 실제와 다르게 변형된다.
* 가상 수준
Ⅰ : 자기-가상, 현실적 도구 사용
주로 자기에게 직접적으로 관련된 행동을 가상하며, 현실적인 도구를 사용한다.
Ⅱ : 다른 사람 가상, 현실적 도구 사용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사물의 행동을 가상하며, 현실적인 도구를 사용한다.
Ⅲ : 대상물 대치 및 상상, 적극적 대체 대행자
일상적 용도와는 다른 방식으로 대상물을 사용하여 가상을 한다. 또한, 적극적인 대행자가 되도록 하기 위해 장난감이나 인형을 의인화한다.
Ⅳ : 대상물 사용 정교화, 행동 적용의 다양화
대상물을 정교한 방식으로 사용하며, 한 가지 가상 행동을 여러 대상에게 반복하여 적용한다.
Ⅴ : 일련의 주제 통합, 연속된 체계
한 가지 이상의 연속된 체계를 사용하여 가상을 하며, 개별 에피소드를 일련의 연결된 주제로 통합한다.
④ 규칙있는 게임 : 매우 구조화되어 있으며, 지켜야 할 특정한 규칙을 포함하는 놀이이다.
테이블 게임 : 도미노, 로토, 카드, 주사위가 포함된 판 게임 등과 같은 게임류이다.
신체 게임 : 숨바꼭질, 줄넘기, 공놀이 등 특정한 규칙이 있으며 신체를 이용한 활동적인 게임류이다.
언어 게임 : 아무런 자료나 도구 없이 재치나 능변을 겨루는 게임으로 스무고개나 수수께끼, 끝말 이어가기 등의 언어 게임이다.
⑤ 거친 신체놀이 : 구성적, 극적 및 게임의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대근육을 활용한 신체 활동이다. 잡기, 손으로 가볍게 치기, 쫓기, 밀고 당기기, 뛰기, 구르기 등의 활발한 신체 활동이다.
나. 놀이의 사회적 형태
① 쳐다보기 : 다른 유아의 놀이를 쳐다보는 행동이다. 이 행동은 유아가 쳐다보고 있는 특정 놀이에 참여하고 싶은 마음을 표출하는 것이기도 하며, 즉시 또는 얼마 후에 그 놀이에 참여할 수도 있다.
② 혼자 : 혼자서 놀이를 한다.
③ 평행 : 다른 유아와 가까이(약 1미터 이내에서)에서 동일한 자료 또는 유사한 자료를 가지고 각자 자신의 놀이를 한다. 서로간에 실제적인 상호작용은 없다.
단순 평행 : 다른 유아를 쳐다보거나 접촉하는 등의 어떠한 사회적 행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상호인식 평행 : 다른 유아의 놀이 상황을 쳐다보거나 또는 상대의 존재를 인식하고 눈을 맞추거나 말을 하기도 한다.
④ 연합 : 유아가 다른 유아와 동일한 자료 또는 다른 자료를 가지고 언어적, 신체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놀이를 한다. 그러나 놀이가 어느 한 유아의 지속적인 참여에 의존하지 않는다. 즉,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⑤ 협동 :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유아들이 한가지 놀이감이나 자료, 주제를 가지고 보완적으로 또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수반하며 놀이를 한다. 서로의 역할을 수용하고 평가한다. 따라서, 어떤 한 유아가 떠나면 놀이가 끝나거나 변화한다.
짝 협동 : 다른 한 명의 유아와 협동하여 놀이를 한다.
집단 협동 : 두 명 이상의 유아와 협동하여 놀이를 한다.
다. 놀이자의 참여 수준
① 적극적 참여 : 놀이 교구, 과제 및 상황에 깊이 몰입하며 적극적 또는 주도적(협동 형태 시)으로 놀이를 한다.
② 소극적 참여 : 놀이 교구, 과제 및 상황에 깊이 몰입하지 못하며, 소극적 또는 수동적 (협동 형태 시)으로 놀이를 한다.
③ 비협조 : 협동적 놀이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 협상하지 않거나 독단적으로 놀이를 진행한다. 다른 사람의 요청에도 반응을 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방해를 하기도 한다.
라. 놀이의 상황적 요인
① 놀이자 경험 : 놀이 자료, 상황 및 주제와 관련하여 놀이자가 가지고 있는 선행 기초 지식과 실제-세상 경험이 놀이에 영향을 미친 경우
② 놀이 공간 : 흥미 영역의 구성, 자료의 배치가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친 경우
③ 놀이 자료 : 놀이감 및 놀이 자료 그 자체의 교육적 효과로 놀이가 진행되거나 놀이에서 중요한 매개체가 되는 경우
④ 놀이 상대 : 놀이 상대와의 사회적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놀이 상대와의 친숙도가 놀이에 영향을 미친 경우, 또는 놀이 상대의 적극적, 주도적 놀이 참여로 놀이에 영향을 미친 경우, 그 외에도 교사와 함께 놀이를 한 경우에는 교사가 놀이에 미친 영향을 말한다.
⑤ 놀이 공간 : 놀이 시기,지속 시간 및 놀이자의 놀이 참여 빈도 등이 놀이에 영향을 미친 경우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관찰-기록지는 A형, B형으로 개발하였는데, 놀이 관찰지 A형은 개별 유아의 놀이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경우와 흥미영역별 소집단 놀이 상황을 포함하여 기타 참고 사항을 기록하는 경우에 유용하다(부록 참조). B형은 보다 단순화된 선 그림으로 개별 유아의 놀이 장면을 연속적으로 기록하거나 여러 명의 놀이 행동을 동시에 관찰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Ⅴ. 결과
1. 놀이의 종합적 분석
현장 관찰을 통해 수집한 흥미영역별 놀이 분석 사례는 약 50개 였으며, 그 중에서 놀이 유형별로 대표적인 사례를 16개 추출하였다. 또한, 개별 유아의 놀이는 약 20명의 놀이 사례가 수집되었는데, 그 중 5명의 20개 놀이 유형을 포함하여 총 분석 사례는 36개이다(<표 Ⅴ-1>참조).
가. 놀이의 유형
첫째, 놀이의 유형은 기능놀이, 구성놀이, 극놀이, 및 테이블게임이 주로 관찰되었다.
둘째, 극놀이의 가상 요소는 Ⅰ-Ⅴ의 요소가 모두 나타나기는 했으나, Ⅰ과 Ⅳ의 사례는 적었다.
셋째, 거친 신체놀이는 2개의 사례에서만 분석되었다.
넷째, 규칙있는 게임의 하위 범주로 포함시켰던 언어 게임이나 신체 게임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나. 놀이의 사회적 형태
첫째, 놀이의 사회적 형태는 쳐다보기, 혼자, 단순 평행, 상호인식 평행, 연합, 짝 협돋, 집단 협동이 모두 관찰되었다.
둘째, 흥미영역별 놀이 사례에서는 주로 평행, 연합 및 협동의 형태가, 개별 유아의 놀이 사례에서는 혼자 및 쳐다보기가 많이 나타났다.
다. 놀이자의 참여 수준
첫째, 유아들은 대부분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 지향적 활동의 경우(퍼즐, 규칙있는 게임 등)에는 수행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라. 놀이의 상황적 요인
첫째, 놀이의 상황적 요인에서는 주로 놀이 공간, 놀이 자료, 놀이 상대가 놀이의 선택, 확장 및 변형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놀이 공간이 놀이의 상황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는 작업영역 및 소꿉영역이 대표적이었다.
둘째, 놀이의 상황적 요인은 놀이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경우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유아의 놀이 참여가 소극적인 경우나 과제 수행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놀이 요인이 특별히 추출되지 않았다.
2. 놀이의 상황적, 연속적 분석
첫째, 유아들의 놀이는 구성 요소간의 관계 내에서 그 특징을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둘째, 동일한 놀이 유형에서도 다양한 상황적 특징이 나타났다. 즉, 동일한 기능놀이, 구성놀이, 극놀이 및 규칙있는 게임에서도 모든 상황적 요인이 각기 다르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동일한 장면에서 보이는 빠른 놀이 변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Ⅵ. 논의 및 제언
1. 논의
가. 놀이의 종합적 분석 측면
(1) 놀이의 유형
3, 4, 5세 유아들의 놀이 활동 관찰 결과, 전반적으로 놀이의 유형은 상호 배타적으로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구성놀이의 경우는 놀이 활동이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대별되어 나타났으므로 그 정교화의 측면에서 단순 구성 활동(견본보고 만들기)과 표상적 구성 활동(블록으로 성만들기)으로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한편, 극놀이에서는 Ⅰ∼Ⅴ의 가상 요소가 모두 나타났는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Ⅱ·Ⅲ·Ⅴ, 또는 Ⅱ·Ⅴ와 같이 특정한 요소가 조합하여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주로 Ⅱ, Ⅲ, Ⅴ의 요소가 관찰되었으며, Ⅰ과 Ⅳ요소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 Ⅰ의 요소는 현실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자기-가상을 하는 행동으로 2∼3세 이전에 주로 나타난다고 제시한 연구들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의 관찰대상인 유치원 유아들(3∼5, 6세)은 발달 단계상 이미 이러한 초보적인 단계의 가상놀이 수준은 벗어난 시기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가상 Ⅳ의 요소는 대상물 사용의 정교화 및 행동 적용의 다양화를 포함하는 가상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아 놀이 관찰 시에 그 구분이 다소 모호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가상 Ⅳ의 요소가 많이 나타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판단 기준상의 모호함 때문인지, 아니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놀이 분석 사례 수가 적었기 때문에 많이 관찰되지 않은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결론을 지을 수 없다.
규칙있는 게임은 주로 테이블 게임만 나타났을 뿐, 신체 게임이나 언어 게임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유치원 교육활동에서 일정한 규칙이 포함된 신체 게임은 주로 전체 유아의 대집단 활동으로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형태로 실시되기 때문에 자유선택 활동 시간에는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언어 게임이 보이지 않은 이유는 자유선택 활동 시간은 주로 흥미영역별 활동을 중심으로 실시되는데, 모든 흥미영역에는 자료가 마련되어 있어 유아들은 주로 자료-지향적으로 놀이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놀이 유형에 포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던 거친 신체놀이는 두 가지 놀이 사례에서 나타났으며, 분석된 놀이 사례 외에도 놀이의 중간 중간에 잠깐씩 관찰되어 본 놀이 분석 체계의 한 단위를 적용하여 분석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였다. 그러나 남아들의 경우는 블록 놀이를 하는 도중에도 거친 신체놀이에 해당하는 활동을 종종 보였으므로 단지 놀이 유형 구분 시에 놀이 지속 시간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가 문제로 남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거친 신체활동이 많이 관찰되지 않은 이유중의 하나는 본 놀이 사례가 모두 실내에서 수집된 것으로 거친 신체 활동은 교사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놀이 분석 체계는 실외 놀이 활동 분석 시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므로 거친 신체놀이를 한 놀이 유형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2) 놀이의 사회적 형태
놀이의 사회적 형태의 하위 내용은 쳐다보기, 혼자놀이, 단순평행, 상호인식 평행, 연합, 짝 협동 및 집단 협동으로 구분·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놀이의 사회적 형태의 개념 정의에 의한 놀이 분류가 용이하였으며, 타당한 분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놀이자의 참여 수준
놀이자의 참여 수준은 적극적 참여와 소극적 참여 및 비협조로 그 수준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놀이 분석 결과, 유아들은 대부분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놀이를 할 수 있는 자료와 환경을 충분히 제공해 주는 경우에는 유아들이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협조는 단지 한 사례에서만 관찰되었으나, 협동적 놀이 상황에서 다른 유아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술이 부족한 유아의 행동은 교사가 주의깊게 관찰하고 지도해야 하므로 그 구분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 놀이의 상황적 요인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놀이의 상황적 요인에는 놀이자의 경험, 놀이 공간, 놀이 자료, 놀이 상대 및 놀이 시간을 포함시켰다.
유아의 놀이 분석 결과, 이러한 요인들은 놀이의 선택, 확장 및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놀이 자료와 놀이 상대가 주요한 놀이의 상황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에도 놀이 공간이 중요한 요인으로 관찰되었는데, 소꿉 설비 및 용품과 극놀이를 위한 자료가 준비된 소꿉 영역, 다양한 구성(만들기, 그리기 및 꾸미기 등) 자료와 도구가 준비된 작업 영역 및 쌓기 블록이나 조립식 블록이 마련된 블록 영역 등이 놀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놀이자의 경험이나 놀이 시간의 영향은 본 놀이 분석 사례에서 많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아들의 개인적인 특성 및 또래들 간의 사회적인 관계, 유아의 개인 배경 등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유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이 상황적 요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기록·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나. 놀이의 상황적 분석 측면
연구자의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상황적 분석 특징은 네 가지 구성 요소간의 관계 내에서 놀이의 특성 파악 및 동일한 놀이 유형의 다양한 상황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체적인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놀이 유형, 놀이의 사회적 형태 및 놀이자의 참여 수준은 서로간의 관계 내에서 그 특징이 보다 잘 파악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놀이의 특징에 놀이자의 경험, 놀이 공간, 놀이 자료, 놀이 상대 및 놀이 시간이 놀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다. 놀이의 연속적 분석 측면
본 놀이 관찰 및 분석 체계의 연속적 분석 특징은 동일한 놀이 장면에서의 빠른 놀이 변화와 개별 유아의 연속적 놀이 변화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유아의 놀이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며, 또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놀이의 연속적 분석은 놀이 유형간의 관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도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능놀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성놀이로 변화하는 경우, 구성놀이에서 극놀이로 변화하는 경우 등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기능놀이가 시간이 지나면서 구성놀이로 변화함은 물론 가상의 요소를 포함한 구성놀이에서 다시 탐색적 기능놀이로 변화하였는데 그 형태가 단순한 기능놀이가 아니며, 보다 정교한 탐색을 포함한 기능놀이로 변화하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2. 제언
본 연구에서는 놀이의 상황적 변인을 포함하여 유아의 놀이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놀이의 상황적 분석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추출된 교육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놀이 분석 체계를 사용하여 유아의 놀이를 종합적으로 관찰·기록한 결과를 교육과정 운영 및 놀이 지도 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유아 놀이 분석 체계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성 내에서 놀이를 분석함으로써 놀이의 수행에 있어서의 상황적 변인과 개인적 변인의 차이 및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첫째, 각 놀이 유형별로, 하위 범주 및 수준별 단계의 세분화가 요구된다.
둘째, 교실 내의 종합적인 상황에서 유아의 놀이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나정 , 장명림 (1994). 유치원 교육환경 개선 방안 연구 . 연구보고 RR 94-13, 한국교육개발원 .
이은해 , 이기숙 (1992).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종단적 연구-. 청삼아동문제연구소 .
Barnes, K. E . (1971). Preschool play norms : A repli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 5, 99-103.
Boulton, M. , & Smith, P. K . (1989). Issues in the study of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 In M. N. Bloch & A. D. Pellegrini , The ecological context of children's play (pp. 57-83).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
Christie, J. G. , & Johnson, E. P . (1987). Reconceptualizing constructive play :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Merrill Palmer Quarterly , 33, 439-452.
Garvey, C . (1977). Play .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Garvey, C . (1990). Play .(2nd ed).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Gowen, J. W . (1995). The early development of symbolic play . Young Children , 50(3), 75-84.
Hohmann, M . & Weikart, D. P . (1995). Educating young children .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
Howes, C . (1980). Peer play scale as an index of complexity of peer interaction . Developmental Psychology , 16, 371-372.
Johnson, J ., & Erschler, J. (1981). Developmental trends in preschool play as a function of classroom setting and child gender . Child Development , 52, 95-104.
Johnson, J. E ., Christie, J. F ., & Yawkey, T. D .(1987).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 Glenview, IL: Scott, Foresman .
Moore, N. V ., Evertson, C. M., & Brophy, J. E . (1974). Solitary play : Some functional reconsider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 10, 830-834.
Parten, M. B . (1932).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 27, 243-269.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 N.Y.: Norton.(Original work published in 1945) .
Pellegrini, A. D ., & Perlmutter, J. C . (1989). Classroom contextual effects on children's play . Developmental Psychology , 25, 289-296.
Pugmire-Stoy, M. C . (1992). Spontaneous play in early childhood .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 ..
Reifel, S ., & Yeatman, J. (1993). From category to context: Reconsidering classroom play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 8, 347-367.
Rubin, K. H. , Fein, G. , & Vandenberg, B . (1983). Play . In P. H. Mussen & E. Hetheringt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th ed.) N.Y.: Wiley .
Rubin, K. H. , Maioni, T. L. , & Hornung, M . (1976). Free play behaviors in middle and lower-class preschoolers : Parten and Piaget revisited. Child Development , 47, 414-419.
Smilansky, S . (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 N.Y.: Wiley .
Smilansky, S . (1990). Sociodramatic play. Its relevance to behavior and achievement in school . In E. Klugman , & S. Smilansky (Eds.), Children's play and learning . N.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
Smilansky, S ., & Shefatya, L . (1990). Facilitating play. Silver Spring , Maryland: Psychological & Educational Publications .
Smith, R. K . (1978). A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participation in preschool children : solitary and parallel play reexamined. Developmental Psychology , 14, 517-523.
Spodek, B ., & Saracho, O. N . (1994). Right from the start : Teaching children ages three to eight. MA : Allyn and Bacon Co ..
Takhvar, M ., & Smith, P. K . (1990). A review and critique of Smilansky's classfication scheme and the nested hierarchy of play categories .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 4, 112-122.
'퍼온~바둑..! > 놀이 이론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놀이와 인간 - 로제 카이와 (0) | 2008.05.17 |
---|---|
[=] 협동학습과 그 이론적 기초 (0) | 2008.05.12 |
[ㅍ] 존재론적 차이 속으로 (0) | 2008.05.07 |
[펌] 놀이의 원리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방법 (0) | 2008.05.06 |
[=] 말놀이와 언어의 주체성 (0) | 2008.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