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울에..?/묵힐짐

바둑의 용어와 수행규칙 그리고 순서도.

온울에 2008. 6. 5. 11:31

1)  바둑의 정의

   0. <우선성> ;  수행규칙을 순차적용 한다.

      1. 공시규칙 ;  통시규칙이 공시규칙을 제약할 수 없다.

      2. 통시규칙 ;  공시규칙이 통시규칙을 무효화 할 수 없다.

      3. 상황규칙 ;  공시와 통시 규칙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1. <준거성> ;  추구의 대상은 밭이다.

   2. <한계성> ;  밭을 확장할 수 있는 한 수의 실제적 가능성이다.

      1. 실제적인 가능성 = { 가능성 & 의도할 때.}

 

2)  바둑의 도구 ;  (p, q), 돌, 판

   0. (p, q) ;  오직 두 종류의 구분이다.

       ( (p)는 구조의 이름하기, (p)는 기능을 이름함. )

   1. ; 표시기호이다.

      1. 돌이음( , (p|q) )            ---  (|)는 두개 중 하나(양립불가)를 뜻한다.

        ex) 돌(p) = { * (p) }

   2. ;  직교좌표 평면(19x19)이다.

      0. 판의 단위와 단위의 요소

         1. 자리 = { 이 교차하는 곳인 점.}

         2. = { 사이의 경계인 선.}

         3. = { 자리으로 둘러쌓인 면.}

        ☞  ( 포함관계 ;  돌(p) ⊂ 자리(p) ⊂ 둑(p) ⊂ 밭(p) )

      1. 자리이음( (형식1), 둑n )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2. 둑이음( (형식1), 둑n, (형식1) )    (단, (형식1) = (형식2))

        ex)    둑(p) = { 자리(p) * 둑n * 자리(p) }

             돌둑(p) = { 돌(p) * 둑n * 돌(p) }

         1. 이음관계   ( (형식1) (형식2) )

           ex) 이음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3. 결합과 분리 (돌(p|q), 판)

       1. 가능성의 받음과 버림( 자리, (형식) )

         ex) 자리(p) = { 자리 * (p) }

       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ex) 돌(p) = {자리(p) * 돌(p) }

 

3) 돌둑과 섬

    1. 돌둑

       1. 둑(p) = { 자리(p) or  둑이음인 자리(p)들 }

       2. 돌둑(p) = { 돌(p) or  둑이음인 돌(p)들 }

       3. 가능돌둑(p) or 돌둑(p) = { 이음둑(p) or  이음돌둑(p) }

    2.

       1. 섬 = { 돌둑(p|q)이 이음자리를 포함하지 않음.}

          ex) 섬(q) = { 돌둑(p)에 의해서 돌둑(q)이 이음자리(q)가 없을 때.}

       2. 마주섬 = { 돌둑(q)의 모든 돌(q)이 돌둑(p)과 이음관계이고 섬일 때.}

          ex) 돌둑(p)의 맞섬(q) = { 돌둑(q)의 모든 돌(q)이 돌둑(p)와 이음관계일 때.}

                맞섬 = { 돌둑(p)와 돌둑(q)의 모든 돌들이 서로 1:1로 이음관계(대응)일 때.}

                서로 섬 = { 돌둑(p&q)이 맞섬이고 섬일 때.}

       3. 안에섬 = { 둘러섬(q)n이 하나이고,
                          돌둑(p)이 빈울(p)과 이음자리(p)를 포함하지 않음.}

          ex) 돌둑(p)의 안에섬(q) = { 돌둑(p)에 의해서 섬인 돌둑(q).}

 

     ☞  ( 포함관계 ;  섬(p) ⊃ 맞섬(p) ⊃ 안에섬(p) )     

 

4)  여울 ; < 안섬, 둘러섬 >인 규칙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0. 맺음자리와 여울자리

       1. 맺음자리(p) = { (안섬) 돌둑(p)을 돌둑(p)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리(p).}

       2. 여울자리(p) = { 빈울자리(p) or 한울자리(p) or 두울자리(p).}

    1. 둘러섬 = { 어떤 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된 구조.}

    2. 안  섬 = { 둘러섬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조.}

 

5)  여울의 종류 ; < 안섬(들), 둘러섬(들) >

 

    0. 빈울< 안섬 빈둑(p), 둘러섬 돌둑(p)n >

        ex) 빈둑(p) = { 둑(q) & Non 돌둑(q)n }

       0. 빈울(p) = { 빈둑(p)가 숨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숨자리(p) = { 둑(q)가 섬자리(q)를 포함.}

       1. 빈울자리(p) = { 빈둑(p)의 숨자리(p).}

 

    1. 한울< 안섬 돌둑(p), 둘러섬 돌둑(q)n >

        ex) 안섬돌둑(p) = { 섬(인)이 가능한 돌둑(p)n의 구조.}

              안섬쌍(p)n = { 두울구조의 조건을 만족하는 안섬돌둑(p)n.}

       0. 한울(p) = { 돌둑(p)이 섬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1. 한울이음(p) ; (1> | 2>)를 만족하는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돌둑(p)의 {마주섬(q)n or 안에섬(q)n}이 하나 이하일 때,

               1) 돌둑(p) = {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2) 이음돌둑(q)n = { 맺음자리.}

          2> { 한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 or 순환마디인 안섬쌍(p)n의 자리.}

       2. 한울자리(p) = { 돌둑(p)의 맺음자리(p).}

 

    2. 두울< 안섬 쌍(p&q), 둘러섬 쌍(q&p) >

        ex) 안섬쌍(p) = { 한울이음인 돌둑(p).}

              안섬쌍(p)n의 조건 = {안섬쌍(p)n의 돌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 { 돌둑(p)n의 {마주섬(q)n or 안에섬(q)n}이 하나 이하.}

       0. 두울(p) = { 한울이음의 안섬쌍(p)n에 자리가 없을 때 발생한다.}

       1. 두울이음(p) ; (1> | 2>)를 만족하는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돌둑(p)의 {마주섬(q)n or 안에섬(q)n}이 하나 이하일 때,
               1)
돌둑(p) = {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고,}

               2) 이음돌둑(q)n = { 모든 이음자리돌둑(p)에 포함.}

          2>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 or 순환마디인 안섬쌍(p)n의  자리.}

            ♤ 순환마디 = { 의 놓음과 낳음이 어떤 한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때,

                                   그 섬인 돌둑들을 안섬으로 하는 두울(구조&기능)이다.}

       2. 두울자리(p) = { 여울 안에서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or { 여울 밖에서 서로 맞섬인 안섬쌍(p)의 맺음자리(p).}

 

6)  진행규칙의 일반적인 구조

 

   [ 0 ] : 순환의 구조(여울)를 열어 짓는다.

 

        <0> :  여울을 모두 해체할 수 있다.     <- 열기        : All       변화(둘러섬 = (0))>

        <1> :  여울을 모두 재구성할 수 없다.  <- 짓기        : Non    변화(둘러섬 = (1))>

        <2> :  여울을 다시 사용할 수 없다.     <- 열어짓기 : Non 새로움(둘러섬 = (=))>

 

   [ 1 ] : 가능성 없음을 배제한다.

 

   [ 2 ] : 가능성을 추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행규칙]  

 

♤  [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  여울자리(p)에 돌(p) 받아 놓음을 가정할 때,

 

       < 0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없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1 > :  {  순환마디에서 안섬쌍이 같지 않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 2 > :  그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 1 ] :  섬인 돌둑(p)n의 돌(p)을 모두 낳아 버린다.

 

  [ 2 ] :  하나의 돌(p)자리에 받아 놓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충분조건이란 ?  :

 

     0.  [수행규칙]의 무효화를 시도하지 않는다.(전제)

     1.  그 안섬쌍(p)과 크기가 다른 안섬쌍(q)n이 있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2.  [빈울규칙]을 생략할 수 있다.

 

    ☞  단, 순환이 발생하면 순환마디를 결정하고, [충분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2.  두울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 할 때,

 

          < 0 > :  (( 그 둘러섬이 모두 없으면, 두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적용불가능.

          < 1 > :  (( 그 둘러섬이 모두 하나이면, 두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 적용불가능.

          < 2 > :  그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두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1.  한울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 할 때,

          < 0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없으면, 한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모두 안섬(q).

          < 1 > :  그 둘러섬(q)n이 모두 하나이면, 한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2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한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0.  빈울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 할 때,

          < 0 > ;  (( 그 둘러섬이 모두 없으면, 빈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1 > :  그 둘러섬이 모두 둑이음이면, 빈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2 > :  그 둘러섬이 모두 다른 자리(p)에 둑이음이면, 빈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우선 적용 ; 두울 << 한울 << 빈울.)

 

[ 1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따름규칙> :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으면, 여울자리(p)를 버린다.

 

[ 2 ] : 하나의 돌(p)자리에 받아 놓는다.

 

 <따름규칙> :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으면, 여울자리(p)에 놓을 수 없다.

 

 

 ♤♤♤♤♤♤♤♤♤♤♤♤♤♤♤♤♤♤♤♤♤♤♤♤♤♤♤♤♤♤♤♤♤♤♤♤♤♤♤♤♤♤♤♤♤♤♤♤♤♤♤♤♤♤

 

 

   순서도    (단, 충분조건을 모두 포함하지는 않음)

 

기억( 안섬쌍(p/q)mn, 둘러섬쌍(p/q)mn )

 

기억( 안섬(p/q)n, 가능안섬(p/q)n, 가능둘러섬(p/q)n )

 

시작:

 

  교환(p, q)

 

  |< 안섬(p)i에 포함된 자리와 이음자리거 없는가? >|

  |

  |    안섬(p)i의 모든 돌(p)을 낳음한다.

 

  모두 지우기(안섬(p/q)m, 가능안섬(p/q)m, 가능둘러섬(P/q)m)

 

  받음(자리)

 

빈울:

 

  < 모든 이음자리가 빈자리인가? >

 

       이동(정리)

 

  < 모든 이음자리가 (p)가 아닌가? >

 

       이동(한울)

 

  < 이음돌둑(p)이 하나인가? >

 

       이동(멈춤)

 

  < 모든 이음돌둑(p)이 공유하는 이음자리가 하나가 아닌가? >

 

       이동(멈춤)

 

한울:

 

  < 이음돌둑(q)이 없는가? >

 

       이동(정리)

 

  |< 이음돌둑(q)i에 이음자리가 없는가? >|

  |

  |    더하기(안섬(q)+, 이음돌둑(q)i)

 

  < 가능돌둑(p)이 둘 이상의 자리를 갖는가? >

 

       이동(두울)

 

  더하기(안섬(p)+, 가능돌둑(p))

 

  < 이음돌둑(q)i이 하나인가? >

 

       이동(멈춤)

 

  < 안섬(q)n이 없는가? >

 

       이동(멈춤)

 

두울:

 

  < 여울인가? >

 

       이동(두울1)

 

  < 자리가 안섬쌍(p)mn에 포함인가? >

 

       이동(두울1)

 

  < 안섬(q)n이 없는가? >

 

       이동(정리)

 

두울1:

 

  < 자리가 안섬(p)mn에 포함되지 않는가? >

 

       이동(두울2)

 

  < 안섬쌍(p)uv에 포함된 자리가 하나인가? >

 

       더하기(안섬()+, 안섬쌍())

 

       더하기(가능섬(p/q)+, 안섬쌍(p/q)un의 모든 n)

 

       더하기(가능둘러섬(p/q)+, 둘러섬섬쌍(p/q)un의 모든 n)

 

       이동(비교)

 

  이동(정리)

 

두울2:

 

  < 가능돌둑(p)이 빈울(p)을 포함하지 않는가? >

 

       이동(정리)

 

  더하기(안섬(p)+, 가능돌둑(p))

 

  부르기(마주섬(안섬(p)m, 안섬(q)n)

 

  < 안섬(p)n이 없는가? >

 

       이동(정리)

 

  < 어떤 안섬(q)n도 자리에 이웃하지 않는가? >

 

       이동(정리)

 

  |< 안섬(q)i >|

  |

  |    |< 안섬(q)i에 이웃한 가능돌둑(p)j이 빈울(p)을 포함하지 않는가? >|

  |    |

  |    | < 안섬(q)i에 이웃한 가능돌둑(p)j이 가능안섬(p)n에 포함이 아닌가? >

  |    |

  |    |    더하기(가능안섬(p)+, 안섬(q)i에 이웃한 가능돌둑(p)j)

 

  부르기(마주섬(가능안섬(p)m, 가능안섬(q)n)

 

  |< 가능안섬(p/q)i >|

  |

  |    |< 가능안섬(p/q)i에 이웃한 돌둑(q/p)j이 가능둘러섬(q/p)n에 포함이 아닌가? >|

  |    |

  |    |    더하기(가능둘러섬(q/p)+, 가능안섬(p/q)i에 이웃한 돌둑(q/p)j)

  |

  |< 가능둘러섬(p/q)i이 안섬쌍(p/q)mn에 포함인가? >|

  |

  |    더하기(둘러섬쌍(p/q)++, 가능둘러섬(p/q)i)

  |

  |< 가능둘러섬(p/q)i이 안섬(p/q)n에 포함인가? >|

  |

  |    지우기(가능둘러섬(p/q)i)

 

비교:

 

  < 가능돌둑(p)이 서로 맞섬이 아니고 자리가 안섬쌍(p)mn에 포함되지 않는가? >

 

       이동(정리)

 

  < 안섬(p)이 포함한 자리가 둘 이상인가? >

 

       이동(정리)

 

  < 가능둘러섬(q)n이 없는가? >

 

       이동(정리)

 

  < 안섬(p)과 크기가 다른 안섬(q)n이 있는가? >

 

       이동(정리)

 

  |< 가능둘러섬(p/q)i이 둘러섬쌍(p/q)mn에 포함이 아닌가? >

  |

  |    이동(정리)

 

  이동(멈춤)

 

정리:

 

  < 가능안섬(p)n이 있는가? >

 

       이동(정리1)

 

  < 자리가 안섬쌍(p/q)mn에 포함이 아닌가? >

 

       지우기(안섬쌍(p/q)mn, 둘러섬쌍(p/q)mn)

 

       여울맺음 한다.

 

       이동(마무리)

 

정리1:

 

  < 안섬(p)이 포함하는 자리가 하나인가? >

 

      여울이다.

 

  더하기(안섬쌍(p/q)++, 가능안섬(p/q)i)

 

  더하기(둘러섬쌍(p/q)++, 가능둘러섬(p/q)i)

 

마무리:

 

  자리에 돌(p)을 받음한다.

 

  자리에 돌(p)을 놓음한다.

 

  이동(시작)

 

멈춤:

 

  멈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주섬(PPP(p)m, PPP(q)n)

 

  |< PPP(p)i >|

  |

  |    만들기(NO, 0)

  |

  |    |< PPP(p)i에 이웃한 돌둑(q)j의 모든 이음자리가 PPP(p)i에 포함되는가? >|

  |    |

  |    | < PPP(p)i에 이웃한 돌둑(q)j이 PPP(p)i와 이웃하지 않는가? >|

  |    |

  |    |    이동(ZZ)

  |    |

  |    |    |< PPP(p)i에 이웃한 돌둑(q)j의 돌(u, v)이 PPP(p)i와 이웃하지 않는가? >|

  |    |    |

  |    |    |    이동(Z)

  |    |  ZZ:

  |    |    더하기(NO, 1)

  |    Z:

  |   < NO가 1 보다 큰가? >

  |

  |        지우기(PPP(p)i)

  |

  |        이동(나가기)

  |

  |    |< PPP(p)i에 이웃한 돌둑(q)j의 모든 이음자리가 PPP(p)i에 포함되지 않는가? >|

  |    |

  |    |    더하기(PPP(q)+, PPP(p)i에 이웃한 돌둑(q)i)

 

 

 

                  여울을 열어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