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2008 26

☆ 바둑의 규칙

♤ * [정의] : 바둑이란 ? * 바둑판(온 밭, 바탕)에서 두 대국자가 돌로, "빈 밭"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 두 대국자가 서로 "차지한 밭"을 비교하여 많은 쪽이 이긴다. * [규정] : 종국이란 ? * 두 대국자 모두에게 "빈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 [수행규칙]에 대한 [적용규칙] : (순서) 바꾸기. * 두 대국자가 [수행규칙]을 교차로 적용한다. (1) * [수행규칙] : [여울-읽기] >> [낳음-지우기] >> [놓음-쓰기] *0. [여울규칙] : (여울자리) 읽기. * 여울을 열어 짓는다. (0) *2. [두울규칙] : * 올 [두울]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2) ⇒ 단, 서로 맞섬(1:1)이 아니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3) ∴..

바둑..!/2008 2008.09.17

☆ 진행규칙과 수행규칙의 차이

바둑의 진행과정을 확보하기 위한 형식적인 규칙을 바둑의 "진행규칙"이라고 하자... 그러면 진행규칙으로 모든 과정을 확보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진행규칙을 대국자가 과연 수행할 수 있는가? 빈울이나 한울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두울의 경우를 보면 문제가 발생한다. 두울의 둘러섬은 쌍(흑과 백)으로 구성 되어 있다. 그래서 흑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흑으로 두울의 둘러섬 쌍인 흑과 백의 돌둑을 모두 낳음 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즉, 형식적인 진행규칙이 그 자체로는 실행이 불가능한 부분을 포함한 구조인 것이다. 여기에서 "실행가능한"이라는 한정조건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실행가능한 조건을 따른다고 해서 진행규칙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실행가능한 조건에서 진행규..

바둑..!/2008 2008.09.12

☆ 바둑규칙에 변화(?)가 없다.

기본규칙 요약 ! 1. 이웃한 빈 자리가 없는 돌둑(p)n을 모두 낳음한다. [낳음규칙] 2. 오로지 하나의 돌(p)을 자리에 놓음한다. [놓음규칙] 장기나 체스처럼 다양한 형태의 표시물(기물)을 가지고, 단 하나의 기물(왕)을 잡으면 게임이 끝나는 경우는 반복을 게임의 비김으로 허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국자에게 반복을 피해갈 수 있는 행마의 선택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둑은 표시물의 이동을 원천적으로 배제한 게임이다. 억지로 찾자면 돌둑을 낳음하는 경우- 정확하게는 여기에서 저기로 이동은 아니다- 뿐이다. 바둑에서 놓인 돌은 다른 자리로 이동할 수 없고, 당연히 이동 방법도 없다. "바둑의 진행규칙은 돌의 이동에 대한 규정이 전혀 없다."그러므로 순환(반복)이 발생할 경우, 돌의 이동으로 순..

바둑..!/2008 2008.08.26

☆ 바둑의 삶

1. 진행규칙으로부터의 자유(눈으로 삶) : 어느 한 돌둑에 대해서 바둑의 진행규칙으로는 낳음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면, 그 돌둑은 진행규칙으로부터 자유로운 돌둑이다. 이러한 돌둑을 살아있다고 한다. 2. 기능적인 자유(삶) : 어느 한 돌둑이 바둑의 과정에 대해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바둑판 안에(위에) 존재할 수 있을 때, 이러한 돌둑을 우리는 살아 있다(기능하고 있다)고 한다. 즉, 빅과 같은 경우이거나 혹은 두 눈은 없지만(눈으로 삶이 아님) 낳음되지 않았을 때이다. * 그렇다면 진행규칙으로부터 자유로운 돌둑(눈으로 삶)만을 삶(살아 있는 돌)이라 규정하고 있는 현행의 규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삶에 상대적인 죽은 돌을 생각해 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바둑에서 죽음이란 무엇인..

바둑..!/2008 2008.08.24

☆ 순환형태의 기본 요소

1. 순환형태의 기본요소 : 이들 유형들이 여러개가 조합되어 순환이 가능한 경우를 순환의 조합형이라 합니다. 2. 순환이 불가능한 경우 : 흑에 대하여 마주하고 있는 백의 맞섬이 두 개이다. 백에 대하여 마주하고 있는 흑의 안섬(?)이 두 개이다. 백에 대하여 마주하고 있는 흑이 안섬(?)이 하나, 맞섬이 하나이다. 이상의 경우, 다른 순환형의 어떠한 지원으로부터도 순환이 일어날 수 없다. 즉, 안섬과 맞섬의 합이 2 이상이면, 순환이 불가능하다. 3. 순환이 항상 가능한 경우(맞섬형) : 서로 맞섬형이고 그 크기가 단 하나인 경우이다. 서로 맞섬형이고 그 크기가 둘 이상일 경우는 조합형일 때에 순환이 가능하다. [~] ☆ 진행규칙과 순..

바둑..!/2008 2008.08.20

☆ 한국기원 바둑규칙에서...

한국기원 바둑규칙 [ 제1장:총칙] [ 제2장:착수] [ 제3장:사활] [ 제4장:종국] [ 부칙 ] [ 제1장:총칙 ] 제1조 바둑의 정의 : 바둑은 두 사람이 흑과 백의 바둑돌로 규칙에 따라 바둑판의 교차점에 교대로 착수하여 쌍방이 차지한 집이 많고 적음으로 승패를 가리는 경기이다. ?. 두 사람(?) ; 혼자서, 두 그룹의 사람이,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한 사람과 여러 사람도 가능하다. ? 차지한 "집" : --> 개념이 불확실하다. ?. 쌍방이 차지한 집(의 총합)은 언제나 같다. ---> 쌍방이 차지한 집의 차이가... ?. 많고 적음이 아니라 ---> 많은 쪽이 이기는.. 제2조 바둑의 도구 : 1) 바둑돌 : 바둑돌은 바둑을 둘 때 바둑판에 올려놓는 용구로서, 흑과 백 두가지가 있다. * ..

바둑..!/2008 2008.07.04

☆ "집" 개념의 이해

'집'이란 ?  한국기원 규칙 제14조 (집) :  살아있는 돌로 에워싼 빈집을 집이라고하며,, 점 하나가 한집이 된다.→ 집 이외의 빈점을 공배라고 한다.       집이 무엇인가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 조금 다른 눈으로 바라보자."살아 있는 돌로 에워싼 빈집" 여기서 '빈집'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빈집과 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  차이가 없다.           즉, 비어 있는 집이다.      그런데 집은 본래 비어 있어야만 한다.집은 (한 종류의) 돌둑에 절대적으로 의존적이다.다시 말해서 돌둑이 없이는 집을 생각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이처럼 집 개념이 돌둑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집은 서로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한 종류의 둘둑에 의해서 생산된 2..

바둑..!/2008 2008.06.30

☆ 두울의 이해

두울(패의 형식)이 가능한 경우는 포함이거나 교차인 경우 뿐이다. 안에섬이 두개 이상이면 교차는 경계를 공유할 수 없다. 두울일 수 없다. 1. 두울의 조건 : 1. 안으로, 안섬 쌍(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 상대에 의해서 섬일 수 있다. - 스스로 돌둑으로 맺음할 수 있다. 2. 밖으로, 안섬 쌍(q)n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1. 마주섬(교차)이거나 안에섬(포함)일 경우가 하나 이하이다. - 마주섬이 두 개 이상이면, 순환이 불가능하다. - 안에섬이 두 개 이상이면, 순환이 불가능하다. - 따라서 마주섬과 안에섬의 합이 두 개 이상이면, 순환이 불가능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패라고 부르는 '것'의 구조와 그 성립 조건은 위에서와 같다. 순환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형식을 구체화 했..

바둑..!/2008 2008.06.23

☆ 밭의 추구 가능성과 [놓음]

바둑에서 추구하는 대상은 일차적으로 '밭'입니다. 자리와 집의 중간 개념입니다. 따라서 밭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돌을 놓음하고, 밭을 추구할 수 없으면 돌을 놓음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바둑에서 표시기호는 오직 하나 "돌" 뿐입니다. 오직 하나의 표시기호(돌)로 밭을 추구하는 것과 밭을 추구할 가능성이 없음을 표시해야 합니다. 그 방법이 바로 '밭을 추구한다(돌을 놓음)'와 '밭을 추구할 가능성이 더 이상 없다(돌을 낳음)'입니다. 최소주의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관점에서는 기회의 최대화를 위해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최소의 표시기호(자원)로 최대의 잉여(기회)가치의 생산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최대최소(경제) 원리는 바둑이 기본적으로 수용하는 원리입니다. (기회의 경제원리) 그러므로 돌을 놓음할..

바둑..!/2008 2008.06.22

☆ 바둑에서 진행규칙의 순환

* 진행규칙이 적용되는 과정을 나열하기 위해서 진행규칙의 종류를 보면, * [진행규칙] = { [바꾸기], [읽기], [지우기], [쓰기] }이다. 이들이 적용되는 가능한 경우들 중에서 어떤 경우가 가장 적합한가? 제한조건 : 1. 한 종류 안에서, [읽기]는 [쓰기]와 [지우기] 앞에 와야 한다. 2. 한 종류 안에서, [쓰기]는 마지막에 와야 한다. [(p,q)바꾸기]를 어디에 넣어야 가장 이해하기 좋은가? ┏━━━━━━━━━┓ ┏━━━━━━━━━┓ [읽기]p ↑ ↑ [읽기]q |* ←┐ | | [지우기]p [바꾸기] [지우기]q |* ←┘ | | [쓰기]p ↑ ↑ [쓰기]q ┗━━━━━━━━━┛┗━━━━━━━━━┛ 가장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배열은 [바꾸기]-[읽기]-[지우기]-[쓰기]의 순서이다..

바둑..!/2008 2008.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