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바둑..! 151

[=] 한국기원 바둑규칙 2009

대한민국 바둑백서 2009 > 부록 2 > 한국바둑 룰 (한국기원)의 내용을 퍼온 것입니다. 옛 그림을 사용하였으므로 참고도를 보실 때, 주의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바둑 규칙] (반상 룰) 제1조 바둑의 정의 바둑은 두 사람이 흑과 백의 바둑돌로 규칙에 따라 바둑판의 교차점에 교대로 착수하여 쌍방이 차지한 집과 포로(잡은 사석)의 많고 적음으로 승패를 가리는 경기이다. 제2조 바둑의 도구 1) 바둑돌 바둑돌은 바둑을 둘 때 바둑판에 올려놓는 용구로서 흑과 백, 두 가지가 있다. 돌 수는 흑181개, 백180개가 표준이다. 2) 바둑판 바둑판은 가로, 세로 각 19개의 평행선을 그린 평면으로 가로 42.5cm 세로 45.5cm의 나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참고도 1] 제3조 대국(對局) 1)..

[발췌] 수상전의 수학

월간 바둑(08/8) [독자기고 190p] "수상전의 수학 (배태일)"을 요약 발췌 한 것입니다. ⊙ 수상전의 수학 발췌 : * 대궁의 내부 수수 : 4궁(5수), 5궁(8수), 6궁(12수).. 기호화. Nw = 백의 외부 공배 수. Nwi = 백의 궁도 안의 수. Nb = 흑의 외부 공배 수. Nbi = 흑의 궁도 안의 수. Nc = 공유 공배의 수. 1. 눈이 없는 미생마끼리의 수상전 : (공유 공배는 잡으려는 쪽의 부담) 가정) 백의 외부 공배 > 흑의 외부 공배. Nw > Nb + Nc - 1 : 손을 빼고도 백승. Nw = Nb + Nc - 1 : 백이 선수면 백승, 흑이 선수면 빅. Nw < Nb + Nc - 1 : 빅. 2. 유가무가의 수상전 : (공유 공배는 무가 쪽의 부담) 가정) 백이..

[요] 바둑과 체스의 차이

1.서론 -추상 대상에서 특정 성질이나 공통된 징표(徵表)를 분리·독립시켜 사유(思惟)의 대상으로 하는 정신작용. 예를 들면 빨간 넥타이에서 <빨강> 아니면 <형(形)>만을 추출하는 것, 또는 빨간 우체통과 잘 익은 토마토 등에서 공통된 <빨강>을 골라내거나, 빨강·파랑·노랑에서 <색>을 골라내는 것 등이다. 단 인간의 얼굴만을 표상으로 분리하는 것은 대상과 같은 차원의 절단(切斷)으로서 본래의 추상이라고 말할 수 없다. 추상은 불필요한 계기를 버리는 사상(捨象)을 수반하고 있다. 추상에는 보편성·일반성의 정도가 있으며, 고도의 추상은 보통명사나 명제의 형성·유형화(類型化)·이론형성에 전제되는 일상적·학문적 활동에 불가결한 작용이다. 다만 자연수 <1>은 1자루의 연필, 1마리의 개보다는 추상적이지만 <..

[요] 마지막 수(승)

1. 반집을 다투는 미세한 바둑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마지막 공배를 메운 쪽이 이긴다. 2. (흑의 수) + (흑집의 수) = B, (백의 수) + (백집의 수) = W 흑백이 착수포기 없이 같은 수수만큼 두어(백이 마지막 수를 두어) 반상의 공배를 모두 메웠다고 가정하면, B+W=361이고 반집을 다투는 미세한 바둑에서는 B-W=5이거나 6일 것이다. 만약 B-W=6이라면 B=W+6, 그러면 W+(W+6)=361이니 W=177.5인데(맞나?) 정수가 아니니까 그럴 리가 없다. 그러니까 B-W=5이고 백이 반집을 이기는 '셈'이다...!!! 3. 집 수 같은 거 헤아리지 말고 아예 마지막에 둔 쪽이 이기는 게임을 생각하면? 그러면 흑이 유리할 텐데? 아하~ 옳거니! 백한테 덤 5집 반 대신 다섯 ..

[요] 바둑의 정의1

현재의 모든 바둑룰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은 “집”인데 놀랍게도 그 어느 룰에서도 집의 정의를 정확히 내리지 못하고 있다. 한마디로 바둑이란 집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집을 많이 차지하려고 다투는 경기인 셈이다.그렇다면 “집”이란 이렇게 대충 정의해서 쓸 수 밖에 없는 개념인가? “룰이 합리적인가?”라는 질문은 수학적으로만 보면 무의미하다. 수학적으로 룰은 지켜야 할 대상일 뿐이지 선악판단이나 진위판단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첨언] 이 룰은 한국룰(또는 일본룰)에 가깝다. 사석을 상대방 집에 메워서 계가하고 바둑판위에 남아있는 돌의 개수는 따지지 않는다. 그 쪽이 더 합리적임은 몇가지 이유만으로도 자명한데 논의는 다른 기회로 미룬다. 다만 내용중에서 “규칙3. 주인의 돌만 막힌돌이..

[=] 우리의 민족놀이

우리의 민족놀이 2007/11/29 흑룡강신문 우리의 민속놀이의 변천 조선민족은 오랜 옛날부터 농경생활을 영위하여오면서 자기들의 락천적인 기상과 풍부한 정서로 흘러넘치는 다채로운 민속놀이를 창조하였으며 또한 그것을 세세대대로 즐겨오고 있다. 유구한 력사를 가지고있는 조선민족의 민속놀이는 그 시원을 원시사회에 두고있다. ≪음력 정월이 되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나라 사람들이 많이 모여 련일 술을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어 이것을 영고라 불렀다≫ ≪해마다 시월이 되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낮에 밤을 이어 술을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어 이것을 무천이라 하였다.≫ ≪항상 오월에 파종이 끝나면 신에게 제사를 지내였는데 사람들이 모여서 노래하고 춤추고 술을 마시며 낮과 밤을 쉬지 않았다. 그 춤은 수십명이 다 함께 ..

[=] 놀이 분류 재해석

> 서광록 (sstorm@dreamwiz.com) 가이드 4편을 시작하며… 지난 1~2편에서 막연한 아이디어를 데이터화 하여 논리적인 문서로 표현하는 방법, 그리고 3편에서 게임을 보는 눈을 키우기 위한 새로운 시각의 게임 분류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마도 지난 가이드를 보신 많은 분들이 ‘아니 이놈이 뭔가 그럴듯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긴 한데, 막상 기획서를 쓰려고 하면 별로 나아진 게 없네’와 같은 기분을 느끼셨으리라 봅니다. 그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불과 워드 수 십장에 불과한 가이드를 가지고 하루아침에 여러분의 실력을 월등히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설사 아무리 좋은 정보를 여러분께 알려드린다 해도 결국 여러분 스스로가 그것을 소화해내지 못하면 ..

[=]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을 통한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을 통한 물리적 바둑 분석 시도 작성자 :20030346 윤홍기 지도 교수: 박우석 교수님 1. 컴퓨터를 이용하여서 바둑을 분석한 이유 물리적으로 바둑을 바라 본 것을 어느 정도 사실성이 있는지 검사를 해보고 싶어서 컴퓨터로 분석을 시도 하였다. 분석을 해보기 위해서는 실제로 게임을 많이 진행해봐야 한다. 그런데 그 게임들은 최적의 수라고 판단 할 수 있는 것 들을 이용해서 해야 한다. 앞에서도 언급을 했듯이 게임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둘 다 이기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한다. 그리고 의미 있는 돌들과 돌들 사이에서 생기는 에너지관계를 찾기 위해서는 분석하는 게임 결과들이 가능한 최적으로 진행된 것들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분석에 사용한 기보들은 “http: //www.cyberoro...

[=] 물리로 본 바둑

-물리로 본 바둑- 논문작성자: 20030346 윤홍기 지도 교수님: 박우석 교수님 목차 -서론 -본론 1. 물리를 이용해서 바둑을 설명해보려는 것은 올바른 시도 인가? 2. 바둑에서 에너지란 어떤 의미 일까 3. 바둑에서 힘을 물리적으로는 어떻게 받아들일 것 인가? 4. 가상의 돌로 생각해보는 귀와 변위 유리함. -결론 Abstract. 물리라는 관점에서 바둑을 관찰하고 의미를 부여해 본다. 이 논문에서는 물리가 가지고 있는 철학적 관념을 바둑에 응용하여서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을 시도해 본다. 서론 바둑이라는 게임은 게임이론상으로 제로섬 2인 게임이다. 제로섬 게임이란 각 선수가 어떤 전략을 선택하든지 그 결과로 나타는 보상의 최종 합이 0이 되는 게임을 말한다. 즉 이러한 게임에서는 이익이 최대가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