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여울바둑 ◈ 28

☆ <학술발표논문> 바둑의 체계적인 재구성

제목 : 바둑의 구조적인 재구성 -제8회 바둑학 학술대회(2008/05/31), 한국 바둑학회. 목차 : 제 1 장 : 바둑규칙의 문제제기와 해결방안 제시. 제 2 장 : 종국의 문제. 1. 한.중.일.대만 계가방식의 귀결. 2. 종국이란? 제 3 장 : 밭의 설명력과 그 효율성. 1. 바둑의 3요소. 2. 추구의 대상을써 밭. 제 4 장 : 규칙적용의 순서. 1. 순환마디의 결정과 규칙의 우선성. 제 5 장 : 바둑에서 순환의 경우. 제 6 장 : 바둑과 용어의 정의. 제 7 장 : 여울의 구조와 기능. 1. 빈울의 구조와 기능. 2. 한울의 구조와 기능. 3. 두울의 구조와 기능. 제 8 장 : 두울기능의 한계와 제약. 1. 한울이음. 2. 두울이음. 제 9 장 : 수행규칙의 적합성. 1. 충분규칙...

[강좌01] : 바둑 규칙의 제문제.

♤ 바둑의 진행규칙에 대한 강의를 할까 합니다. 온전한 진행규칙이 없어서 바둑을 즐기거나 발전에 기여하고 싶은 분들이 난감해 할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이미 드러난 모순을 기능적으로 해소하는 데에만 집중하였지, 다른 눈으로 바라보려는 노력과 관심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 논리적 정합성과 구조적인 관점으로 규칙을 이해하자... ; "반상 해결의 원칙"을 구체화하여 바둑의 가장 단순하면서도 "우선성 해결의 원칙"을 바탕으로 한 의도적인 합의로 인한 진행규칙의 오용(판빅)에도 견디는 수행규칙을 완성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입니다. 목표 : 순환가능성의 한계를 명확히 규정한다. 1. 수넘김에 따른 순환가능성. 2. 자살수에 따른 순환가능성. 3. 적용에 ..

[강좌02] : 바둑이 끝나면 무엇을 할까?

♤ 종국의 다양한 문제를 끝에서부터 접근하는 방식을 취하기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죽은 돌을 들어내고 집을 세기 좋게 정리한 후에 집수를 계산한다. 바둑에서 마지막으로 하는 것은 각각의 집을 계산하고, 비교하여 승부를 결정 짓는 것이다. 그러나 집을 셈하는 방법이 각기 다른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1) 중국식 계가 ; (빈자리의 수) + (살아 있는 돌수) = (집 수) 2) (한국식)일본식 계가 ; (빈자리의 수) + (따낸 돌의 수) = (집 수) 3) 순장바둑의 계가 ; (빈자리의 수) - (경계 돌의 수) = (집 수) 4) 대만식 계가 ; (빈자리의 수) + (180의 돌수) = (집 수) 이러한 계가법을 통합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선 결론부터 먼저 말하자면, 차지한 자리수의..

[강좌03] : 추구와 평가는 다르다.

♤ 바둑에서 진행규칙을 계속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계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쪽을 모두 들어 낼 때, 혹은 두 눈만 남을 때 등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그러나 현행규칙에는 수넘김이 있으므로 끝나지 않았다고 우기면 계속 진행되어 결국에 가서는 새로운 바둑을 시작하는 꼴이 될 것이다(수넘김이 연속이면 판빅이 된다). 그뿐만이 아니라 대만이나 중국식 룰을 적용하면 사석이 별 의미(?)가 없으므로 현재의 종국보다 어마어마하게 긴 과정을 거쳐야만 그나마 종국(?)에 이를 수 있다. 한편으로 진행규칙은 언제 시작하는지 그리고 언제 끝나는지에 대한 규칙을 가질 수 없다. 왜냐하면 진행규칙은 진행과정에 대한 방법론적인 제약이어야지, 진행규칙의 적용 범위 밖의 어떤 것을 제약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행규..

[강좌04] : 무엇을 추구하는가?

♤ 요약..! (p &q)에게 확장가능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앞 강의에서 좀 얼버무리고 넘어간 밭의 추구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바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단(도구)을 이용하여 밭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수단(도구)은 돌(p/q)이고, 그 적용 영역은 판(의 범위 안)이다. 돌(p/q)을 가지고 밭을 추구(놓음) 한다. 가장 단순한 설명은 같은 종류의 돌만을 밭의 자리에 놓음하는 것이다. 즉, 밭에 포함된 모든 자리에 같은 종류의 돌(p)이 놓여 있으면 밭(p)의 확보이다. 이것을 밭(p)의 직접확보라고 하면 그림의 아래 쪽 흑돌들은 밭을 확보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결정 된다. 이렇게 추구할 수 없음을 ..

[강좌05] : 바둑의 정의입니다.

♤ 1. 수행규칙을 순차적용한다(우선성). 2. 추구의 대상은 밭이다(준거성). 3. 두 대국자에게 유효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한계성). 1) '바둑을 둔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이고, 그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은 '어떻게'라는 방법을 어디엔가 적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어떻게를 구분해 보면 동시에, 병렬적으로, 중첩해서, 우발적으로 등등 많겠으나 바둑에서 허용하는 단 하나의 방법은 순차적으로이다. 순차적이라는 것은 순서가 있으며 차례대로라는 뜻이다. 순서가 있다는 것은 우선한다는 것이고 흑과 백이 어떤 관게 없이 계속해서 우선하면 기회의 평등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흑백이 교차로 우선해야만 한다. 바둑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은 교차우선성의 제약을 받는다. 왜냐하면 이 교차우선성이..

[강좌06] : 순환마디와 규칙의 순서입니다.

♤ 과 의 순차성 패의 순환마디를 결정해보자. = | | 우선 과 을 사용하기 편하게 아래처럼 기호화 한다. = , = , 흑 = p, 백 = q, 생략 = ( ), 흑이 흑돌의 놓음 = p:p 혹은 p, 흑이 백돌을 따냄 = p:q 혹은 q 이제 순환의 일반형을 표시하면(1형), ... p:p, p:q, q:q, q:p ... 이를 적용 대상에 맞추면(2형), p에 대해서 = ... p:p, q:p ... q에 대해서 = ... p:q, q:q, ... 이를 흑백의 작용자에 맞추면(3형), p가 = ... p, q, ... q가 = ... q, p ... (3형)에 (2형)을 맞추면, (p) = ... p, p, p, p ... (q) = ... q, q, ... | ... q:p p:p p:q q:q..

[강좌07] : 영역으로써 밭 개념입니다.

♤ 지금까지의 성과를 검토 해 봅시다. 1. 추구의 대상으로 "밭"(2차원 평면의 단위 영역)이란 개념을 도입함. 1) 종국을 명확히 할 수 있다. ⇒ 두 대국자에게 유효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 유효한 밭의 자리란? ⇒ 자리에 이웃한 돌둑의 이음자리가 둘 이상이다. ⇒ 더 이상 밭을 추구(확장)할 실제적인 한수의 가능성이 없으면, 종국이다. 2) 돌의 놓음과 낳음 그리고 이음의 근거(이유)를 찾을 수 있다. 3) "우선성 해결(지향)의 원칙"으로 전환한다. 자리(0차원)에 돌을 놓고 둑(1)으로 이음하여 밭(2)을 만든(추구)다. 4) 평가의 대상과 추구의 대상은 다를 수 있다. 1) '차지한 밭의 총합'(밭수)이 평가의 대상이다. 2) 다양한 평가방법을 고안할 수 있다. → 차지한 자리(자리수)..

[강좌08] : 바둑에서 순환의 경우입니다.

♤ 순환이란? 주기적으로 자꾸 되풀이하여 돎. 또는 그런 과정. ‘이어 돎’, ‘잇따라 돎’으로 순환. 흘러오던 방향으로 다시 방향을 바꾸어 흐르는 흐름. 일정한 수효의 항이 같은 차례로 되돌아 나오는 무한급수. (반복: 같은 일을 되풀이함) : 밭개념을 전제한 문제파악. 0. 판의 순환 : 바둑의 끝(종국)이 결정되지 않으면, 순환이 가능하다. → "밭"개념을 활용하여 종국을 확정 짓는다. ⇒ 종국 : 두 대국자 모두에게 유효한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1. 수넘김 ; (p)와 (q)가 의도적으로 수넘김을 할 때, 무한순환이 발생한다. ⇒ 바둑 과정을 진행할 힘을 잃어 버린다(돌을 놓지 않으면 진행할 수가 없다). 2. 수줄임 ; 1) 눈가림(자충수) ; 돌둑의 눈을 스스로..

[강좌09] : 여울의 구조입니다.

♤ > 1. 여울의 정의. : 바둑에서 과 만으로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2. 여울의 구성 요소 : 여울은 안섬과 둘러섬으로 구성되어 진다. 1) 둘러섬 ; 하나의 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된 형태이다. 2) 안 섬 : 둘러섬에 의해서 결정되는 형태이다. 3. 여울의 표기법 : 여울[안섬 : 둘러섬] 4. 여울의 종류. 1) 빈울[ 빈둑(p) : 돌둑(p)n ] : 내적 상호작용이다. 2) 한울[ 안섬(p) : 둘러섬(q)n ] : 외적 상호작이다.(낳음) 3) 두울[ 안섬쌍(p&q)n : 둘러섬쌍(q&p) ] : 두 개의 한울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5. : 여울을 열어 짓는다. 0) 둘러섬이 모두 변화하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열기) 1) 둘러섬이 모두 불변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