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77

[수행형 바둑 규칙]

☆ 어느 한 대비자(x)는 ...{in. [넘 김] : 선행자의 구분기호가 (x)가 아니면, 구분기호를 (x)로 넘긴다. {1. [여울 수행규칙] : 한정하는 여울(x)을 열어 짓는다.{2. [두 울] : 을 만족하면, 두울_자리(x)를 받을 수 없다. 1. [한 울] : 을 만족하면, 한울_자리(x)를 받을 수 없다. 0. [빈 울] : 을 만족하면, 온울_자리(x)를 받을 수 없다. :... 이상의 경우가 아니면, 각 여울자리(x)를 버릴 수 있다.} 2. [낳음 수행규칙] : 모든 선돌(x)을 자리에서 낳아 버린다. 3. [놓음 수행규칙] : 하나의 든돌(x)을 빈 자리에 받아 놓는다.} out. [넘 음] : 새밭이 없으면, 을 넘는다.} 1. : 연속을 전제하고, 올 둘러섬이 두울(x)n에 모두..

바둑의 도구와 참여자

바둑의 도구는 바둑돌과 바둑판이다. 1. 바둑돌 : 흑돌, 백돌 1. 구분 기호(흑/백, p/q) : 하나의 동일한 부류이고, 중간이 없는, 양극적인 구분(예, 검고 흰 색)의 결과이다. 2. 표시 기호(*돌) : 대비자의 결정을 표현하는 유일한 표시(예, 동그란 형태)이다. 2. 바둑판 : 충분히 유한한 직교 좌표 평면이다. (일반적으로 19x19가 쓰인다) 형식적인 바둑판을 바탕이라 하고, 그 기본 단위를 *밭이라 한다. 1. *자리 : 두 둑이 교차하는 점이다. 2. *둑 : 두 밭이 공유하는 선이다. 3. *밭 : 네 개의 *자리와 *둑으로 둘러싸인 면이다. 3. 대비자 : 바둑 게임에 참여하는 행위 주체이다. 형식적 대비자 : 오직 하나의 구분 기호만을 할당 받은 바둑의 참여자이다. 대비자는 할..

☆ 바둑용어의 재구성

* 바둑 : 바탕의 가능성을 밭으로 구체화하는 게임이다. * 두 구분기호와 돌과 바탕 : 구분 기호 (흑/백, p/q) : 서로 양립 불가능한 구분의 결과이다. 표시 기호 (돌) : 바탕에 표시하는 유일한 기호이다. 표시 영역 (바탕) : 두 대비자가 게임하는 적절한 크기의 2차원 직교 좌표 평면이다. → 밭 (바탕의 최소 단위) : 자리와 둑과 밭을 그 구성요소로 한다. * 자리와 둑과 밭 : 자리 : 서로 이웃한 둑과 둑이 교차하는 곳인 점이다. 둑 : 서로 이웃한 밭과 밭이 교차하는 곳인 선이다. 밭 : 서로 이웃한 자리와 둑으로 둘러싸인 면이다. * 둑과 돌둑과 올둑 : 자리둑 : 자리 혹은 자리와 이음인 자리들이다. 돌둑 : 돌 혹은 돌과 이음인 돌들이다. 올둑 : 서로 이웃한 자리둑 혹은 돌..

☆ 바둑 도구(용구)의 형식적 요소

일반적으로 바둑판(19x19), 흑돌(180), 백돌(180), 바둑통을 바둑을 위한 준비 도구라 한다. 1. 바둑통의 배제 ; 형식적 요소가 아니라, 돌의 편리한 관리를 위한 도구이다. 2. 바둑판 ; 바둑판(7x7, 9x9, 13x13, 15x15, 17x17, 19x19)이 이와 같이 다양하므로, 충분히 유한한 등간격 등곡률 직교 좌표 평면이라 하자. 1. "충분히"는 바둑의 규칙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하고, (예; 3x3) 2. 바둑의 추구와 관련하여 충분한 영역이 확보되어야 하며, 3. 너무 커서 바둑의 추구가 무의미할 정도(예; 360x360)가 되어서는 안된다. 3. 흑돌(180), 백돌(180) ; 1. 돌 수의 배제 ; 인터넷처럼 바둑의 돌 수가 반드시 확정적일 필요가 없다. 2. 흑/백..

☆ 바둑의 규칙

♤ * [정의] : 바둑이란 ? * 바둑판(온 밭, 바탕)에서 두 대국자가 돌로, "빈 밭"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 두 대국자가 서로 "차지한 밭"을 비교하여 많은 쪽이 이긴다. * [규정] : 종국이란 ? * 두 대국자 모두에게 "빈 밭"이 없으면, 종국이다. * [수행규칙]에 대한 [적용규칙] : (순서) 바꾸기. * 두 대국자가 [수행규칙]을 교차로 적용한다. (1) * [수행규칙] : [여울-읽기] >> [낳음-지우기] >> [놓음-쓰기] *0. [여울규칙] : (여울자리) 읽기. * 여울을 열어 짓는다. (0) *2. [두울규칙] : * 올 [두울]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2) ⇒ 단, 서로 맞섬(1:1)이 아니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3) ∴..

바둑..!/2008 2008.09.17

두울의 이해

지금까지의 바둑은 구조에 대한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그로 인해서 바둑이 이론적인 발전 없이 그냥 승부의 세계에 머물러 있었다고 보여진다. 순환의 형식(여울)을 규정하고 그 여울을 따라서 수행가능성을 찾아 내고자 한 결과가 수행규칙이다. 구조에 대한 이해를 수반하는 바둑은 보다 체계적이면서 논리적인 타당성을 갖추고 있다. 이렇게 합리적인 방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한다면, 그것은 훗날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서 큰 도움을 줄것이다. 두울만 요약하자..! * 두울(패형식) 안에서, 안섬쌍이 두번째 낳음(과거)이면 확실하게 순환이다. ⇒ 두울 안의 어떤 안섬쌍이 완료일 맺음자리는 받을 수 없다. 여기에서 미래에 올 확실한 경우를 첨가하자... ** 두울구조이고 그리고 그 안섬 쌍이 서로 맞섬인 경우까지이다. (안과..

☆ 진행규칙과 수행규칙의 차이

바둑의 진행과정을 확보하기 위한 형식적인 규칙을 바둑의 "진행규칙"이라고 하자... 그러면 진행규칙으로 모든 과정을 확보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진행규칙을 대국자가 과연 수행할 수 있는가? 빈울이나 한울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두울의 경우를 보면 문제가 발생한다. 두울의 둘러섬은 쌍(흑과 백)으로 구성 되어 있다. 그래서 흑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흑으로 두울의 둘러섬 쌍인 흑과 백의 돌둑을 모두 낳음 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즉, 형식적인 진행규칙이 그 자체로는 실행이 불가능한 부분을 포함한 구조인 것이다. 여기에서 "실행가능한"이라는 한정조건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실행가능한 조건을 따른다고 해서 진행규칙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실행가능한 조건에서 진행규..

바둑..!/2008 2008.09.12

바둑의 수행규칙

[수행규칙]의 요약 ! [열어짓기] : 여울을 열어 짓는다. ** 올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에 받을 수 없다. ( 단, 빈울에서는 올 둘러섬의 공유자리가 둘 이상이면, ~ ) [짓기] : 섬인 돌둑(p)m의 돌(p)m을 모두 낳아 버린다. [열기] : 오로지 하나의 돌(p)을 자리에 받아 놓는다. 바둑에서 실행성규칙은 낳음과 놓음 뿐이다. 그리고 바둑에서 가능성규칙은 하나의 형식으로 여울에 모두 포함시킨다. * 여울과 여울자리 * 여울이란? --- (종류 : 두울, 한울, 빈울) 바둑에서 순환 가능한 모든 구조와 기능이다. ( 직접, 간접으로 순환을 발생시키는 모든 구조와 그 기능이다. ) 여울자리란? --- (종류 : 두울자리, 한울자리, 빈울자리) 여울을 발생시키는 모든 자리이..

여울규칙의 정리

지금까지의 요약 : [빈울규칙] : 숨자리에 대해서 모든 올 둘러섬의 공유자리가 둘 이상이면, 놓음할 수 없다. [한울규칙] : 섬자리에 대해서 모든 올 둘러섬이 불변이면, 놓음할 수 없다. [두울규칙] : 맺음자리에 대해서 모든 올 둘러섬이 두울에 포함이면, 놓음할 수 없다.이상의 [규칙]들은 숨자리와 섬자리 역시 맺음자리에 포함되므로, 맺음자리에 대해서 모든 올 둘러섬이 ~~~이면, 놓음할 수 없다.그리고 [한울, 두울]의 '불변이다' 그리고 '두울에 포함이다'를 '여울에포함이다'로 통합하면. 맺음자리에 대해서 모든 올 둘러섬이 여울에 포함이면, 놓음할 수 없다.'놓음할 수 없다'는 [놓음]규칙에 해당하므로, 이를 상대화하여 '받을 수 없다'로 하면, 맺음자리에 대해서 모든 올 둘러섬이 여울에 포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