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바둑..!/관련 자료들~ 116

[=] 놀이의 원리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방법

목 차 1.들어가는 말 2.소통 방식에 접근하는 관점 3.비언어적 소통 방식으로서의 놀이 4.놀이의 범주 5.문학 교육에서 본 놀이 6.놀이를 통한 문학 교육의 방법 7.나오는 말 -------------------------------------------------------------------------------- 발행자명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지명 한국어문교육 권 10 호 1 출판일 2001. 2. 10. 놀이의 원리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방법 허왕욱 한국어문교육 일반연구원 2-117-0101-06 국문요약 문학 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집권적 의사소통 방식이 분권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필자가 소통 방식의 변화에 주목하는 까닭은 그 분화 과정이 가져오는 다양한 의사소통이 문학교..

[=] 아동의 놀이 속 은유 연구

목 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 자료수집 2. 자료의 해석 과정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4단계 Ⅲ. 사례 개요 1. 주문제 2. 아동발달 및 생육사 3. 가족관계 4. 상담을 통한 아동의 변화 1) 초기단계 (1회∼2회) 2) 중기단계 (3회∼32회) 3) 종결단계 (33회∼36회) Ⅳ. 아동의 놀이장면에시 나타나는 은유 1. 아동의 놀이 장면에 나타난 은유의 소재와 주제 1) 두꺼비집 공사·좌절·혼돈·완성 2) 호흡(산소):위기·좌절·안전 3) 공룡:대결·혼돈 4) 괴물:대결·혼돈 5) 아나콘다:대결 6) 웅덩이·하수구:공사·위기·좌절 7) 구조대(구명보트)·특공대:구조·안전·위기·해결 8) 축구:대결·승리 9) 기차:혼돈·위기·유대·해결 10) 농사·농장:안전·평안 11) ..

[=] 바둑의 이해와 대학 바둑학과 학생들의 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목 차 I. 序論 II. 바둑의 歷史 1. 바둑의 起源 2. 한국바둑의 歷史 III. 바둑계의 現況 IV. 바둑의 學問的 意義와 背景 V. 硏究 方法 1. 연구의 대상 2. 질문지 작성 VI.結果 1. 연구대상의 요인별 분석 2. 설문내용의 분석 VII.結論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藝體能論集 ISSN 권 9 호 출판일 1998. . . 바둑의 이해와 대학 바둑학과 학생들의 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Baduk and an Examin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Baduk Major College S..

[=]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에 대한 연구

목 차 Ⅰ. 서론 1. 바둑수 위치에 대한 기존의 표시 방식의 문제점 2. 표준화된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의 필요성 3. 이종민의 천원 기점의 좌표 표시법 1) 천원 기점의 좌표 표시법의 문제점 4. 4개 귀를 기점으로 하는 새로운 좌표 방법 Ⅱ. 연구방법 1. 피험자 2. 실험도구 1) 평가지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두 가지 좌표방식에 따른 문항별 정답률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 2. 좌표방식에 따른 착점 속도 차이분석 3. 문항별 표준점수와 기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1. 구좌표와 귀 기점 좌표의 효율성 -------------------------------------------------------------------------------- 발행자명 명..

[=] 아마추어 기사의 직업관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목 차 Ⅰ.서론 Ⅱ. 아마추어 기사의 실태 1. 아마추어 기사의 개념 2. 아마기사의 직업활동 3. 아마기사의 특징 1) 바둑을 배우게 된 동기 2) 직장생활 3) 승부에 대한 태도 4) 바둑에 대한 관념 5) 프로입단에 대한 시각 4. 아마기사의 직업관의 의미 Ⅲ. 아마기사의 생활과 직업관 1 직업에 대한 인식 2.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 3. 아마기사의 일상생활 4. 경제활동과 금전에 대한 관념 5. 바둑에 대한 관점 및 자세 Ⅳ. 아마기사의 문화에 대한 해석 1) 특수한 영역-바둑인의 세계 2) 바둑의 마력 3) 학력주의의 폐해 4) 프로기사 활동의 모사 5) 자유로운 한량의 삶 6) 보이지 않는 좌절감-회한과 원망 Ⅴ. 결론 ---------------------------------------..

[=] 바둑기술의 문제해결적 접근

목 차 Ⅰ. 서론 Ⅱ. 바둑기술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 1. 전통적 바둑학습법의 종류 1) 형태적 지식 암기 2) 원리적 요령 이해 3) 문제풀이 학습 4) 실전기보 감상 2. 전통적 바둑학습법의 제한점 Ⅲ. 문제해결적 관점의 접근법 1. 문제해결의 개념 2. 문제해결적 접근의 의미 3. 바둑 문제해결의 단계별 과업 1) 상황 분석 2) 목표 설정 3) 가능한 수단 찾기 4) 수의 변화 추리 5) 선악판단 6) 착수선택 Ⅳ. 바둑학습과 문제해결적 접근법 1. 바둑 문제해결을 위한 방략 2. 문제해결 방략의 적용 Ⅶ. 결론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전략계획방식의 적용

목 차 Ⅰ.서론 Ⅱ.지속가능한 개발의 이론적 고찰 1.지속가능한 개발의 배경 2.지속가능한 개발의 주요요소 3.지방의제21(Local Agenda21) 4.지속가능한 개발의 계획과정 Ⅲ.전략계획의 이론적 고찰 1.전략계획의 의의 2.전략계획의 과정 및 특성 1)제1단계: 조직화 2)제2단계: 환경의 탐색 3)제3단계: 외부와 내부요소의 분석 4)제4단계: 목표와 전략의 수립 5)제5단계: 행동계획과 집행 6)제6단계: 점검과 수정 Ⅳ.전략계획방식의 적용 1.참여의 확대 2.환경의 탐색 1)외부환경의 탐색 2)내부환경의 탐색 3.이슈의 선정 4.전략의 수립 5.행동과 집행지향성 6.점검과 수정 Ⅴ.결론 ----------------------------------------------------------..

[=] 순장바둑

순장바둑 1. 서론 옛날에는 한(韓), 중(中), 일(日) 세 나라에서 과 같이 흑1에서 백4까지 네 귀의 화점(花 點)에 먼저 놓고서 대국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일본에서는 넉점을 놓지 않고 첫 착점부 터 반상의 임의의 곳에 착수할 수 있는 현대 바둑이 두어졌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넉점에다가 13점을 더 놓고 두는 이른바 순장바둑으로 발전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순장바둑이 현대바둑 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첫째, 흑백의 배치이며 둘째로는 계가법의 특이성을 들 수 있습니다. 2. 순장바둑의 배치 순장 바둑 기본 배치 순장바둑은 처럼 17개의 화점, 즉 장점에 16개를 미리 배석하고 두었습니다. A의 장점 (천원)에는 흑이 선착하지만 접바둑에서는 백이 놓고 치수에 따라 흑이 주변에 돌을 더 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