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여울바둑 ◈

[강좌18] : 완성된 수행규칙입니다.

온울에 2008. 6. 6. 16:48


  [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 여울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할 때, 이음관계인 돌둑(q)n이

     < 0 > :  모두 둘러섬으로 존재하지 않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1 > :  모두 둘러섬으로 존재하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2 > :  모두 둘러섬으로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1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 2 ] :  하나의 돌(p)을 자리에 받아 놓는다.

  지금까지 통합된 결과이다. 여기에서 <여울-짓기>규칙이 중복됨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짓기>규칙을 넣어서 설명한 이유는 <짓기>의 모두 불변인 경우를 이제부터 단순하게 통합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즉, 불변의 개념을 중복 혹은 같음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기 위해서 였다. 앞 강의에서 충분조건을 제시하였는 데 충분조건은 특히 두울이음의 결과로 발생하는 순환을 밭의 가능성을 추구한다는 바둑의 지향성을 내재화하기 위한 부차적인 조건이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충분조건이 없이도 위에서 제시한 진행규칙만으로 바둑에서 순환하는 모든 경우를 배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러섬이 불변이라는 개념을 확장해 보자. 즉, 고정되고 절대적인 불변에서 상대적(?)으로 받음의 상태(과거)와 놓음의 상태(미래)가 같음으로 확장해서 해석해도 바둑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제 과거상태와 미래상태를 비교하여 두 상태가 같으면 불변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확장을 두울에 적용했을 때 어떻게 될까? 먼저 안섬의 크기가 서로 같을 경우에 순환이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하다. 그렇다면 안섬의 크기가 같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를 말하는 것인가? 두울에서 안섬쌍(흑)들의 모든 자리수의 총합과 안섬쌍(백)들의 모든 자리수의 총합이 같으면 두울의 크기가 같고 순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여울의 일부분인 어떤 하나의 두울이 그 자체로 수맞섬(대챵)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전체가 순환조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하지만 이미 하나의 두울이 순환이 가능하므로 순환조건을 만족하고 이를 두울 단위의 안섬쌍의 크기가 같다고 한다. 끝으로 여울 안에서 하나의 안섬쌍 돌둑(흑)이 전체 여울안의 어떤 안섬쌍(백)과 그 크기가 같으면 이 두 안섬쌍이 순환의 쌍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흑의 안섬쌍 하나와 백의 안섬쌍 하나가 같을 때에도 순환이다.

  종합하면 여울에서 안섬의 크기가 같다는 것을 첫째 전체 안섬쌍의 크기가 같을 때, 둘째 여울 안의 어느 한 두울에서 각 단위 안섬쌍의 총합이 같을 때, 끝으로 여울에서 하나의 안섬쌍(흑)과 같은 크기의 안섬쌍(백)이 여울 안에 존재하면 최소 단위의 안섬쌍의 크기가 같다고 한다. 이를 정리하면 각 단위 안섬쌍이 같다.

  각 단위 안섬쌍(p&q)이 같으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그리고 <짓기>규칙이 <열어짓기>규칙에 포함됨을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짓기규칙을 위에서 정리한 내용으로 대신하고, 밭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이 바둑이므로 빈울의 진행규칙을 생략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생략은 순환이 발생하면 충분조건에 따른 진행규칙의 적용을 중지한다 ). 이렇게 밭개념에 의한 종국을 수용하고, 여울이음에 의한 여울의 유지와 연장을 수용하며, 마지막으로 바둑의 충분조건을 수용하면 다음과 같이 통합적인 바둑의 수행(충분)규칙이 만들어 진다.

   ※  수정됨:  그 두울구조에서 안섬쌍이 다르면, 여울자리를 버릴 수 있다...로


 바둑이란 ?

    순차적으로 [수행규칙]을 적용하여,

     실제적인 한수의 가능성이 있을 때까지,

     밭을 추구하는 것이다.


 [수행규칙]    

  [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 여울자리(p)에 돌(p)의 받아 놓음을 가정할 때,

     < 0 > :  둘러섬(q)이 모두 없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1 > :  그 두울구조에서 안섬쌍(p)과 크기가 다른 안섬쌍(q)n이 있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수정합니다.)

    < 2 > :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 1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 2 ] :  하나의 돌(p)을 자리에 받아 놓는다.


  위에서 보여지는 것이 바둑의 모든 수행규칙이다. 각각의 조건이 까다롭게 여겨질 수 도 있지만 이해하고 나면 당연한 것 들이다. 한번 더 강조하자면 [수행규칙]은 여울 안의 맺음자리(흑)와 여울자리(흑)에만 적용된다. 즉, 여울자리(흑)은 여울 안의 맺음자리 만이 아니라 여울 밖에도 있지만 이는 규칙적용의 단순화를 위한 것이다. 자세히 보면 여울자리가 여울 밖에 있는 자리에 대해서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만을 여울자리로 포함 하였기 때문이고, 엄밀한 의미로는 [수행규칙]의 적용범위는 과거에 대해서만이다. 순환 과정의 압축이다. 나머지는 여울의 이음이다. 여울이음과 수행규칙의 적용을 혼동하지 말자...

  여울자리(p) :

            빈울자리(숨자리(p)),

            한울자리(섬자리(p)),

            두울자리(1. 여울 안에서 안섬쌍(p)의 맺음자리(p),

                        2. 여울 밖에서 서로 맞섬인 안섬쌍(p)의 맺음자리(p) ).

  여울자리가 [수행규칙]이 적용되는 자리이다. 2)는 충분조건에 따른 자리이다.

  여울자리가 아닌 자리에 놓음할 때에는 여울이음이거나 여울맺음이다.

 먼저 두울안섬인 안섬쌍(p)의 맺음자리(p)에 놓음하는 경우를 검토해 보면 과거의 형태 혹은 이미 활성화된 안섬쌍(p)을 여울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여울이음 혹은 연속)에서 마지막으로 완료하는자리(p)이다(맺음자리). 그리고 다음으로는 서로섬이 불가능하면 두울의 연장이 아니다. 그러나 서로섬이 가능하다고 해서 모두 두울자리로 할 수도 없다. 원칙적으로 여울 밖에 놓음하면 모두 두울이음이거나 아니거나 해야 한다. 그러나 가능돌둑의 크기가 같고 맞섬인 경우는 여울 안과 밖을 구별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삼패의 경우처럼 안섬쌍이 세쌍인 데 세번 연장을 한 다음에 [수행규칙]이 적용되어야 하나 단패(가정한 돌둑(p&q)이 서로 맞섬이고 크기가 하나임)인 경우는 이를 압축해서 [수행규칙]을 적용해도 결과가 같기 때문이다. 이 외에 가능돌둑의 크기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여울이음으로 해결 한다. (수정됨 : 서로 맞섬인 경우로...)

  [수행규칙]을 이해하고 나면 [낳음]-[놓음]의 순서를 배려의 차원에서 현재하고 있는 <놓음>-<낳음>의 순서로 해도 된다. 왜냐하면 [여울규칙]은 [낳음규칙] 뿐만 아니라 [놓음규칙]에도 그 가능성을 제약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모두 관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강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까지 하고 나면 현행의 규칙과 다른 점은 단지 양패의 경우 정도이다. 삶과 낳음 그리고 애매한 착수금지와 착수해지 등의 규칙이 필요 없으며(규칙의 이해이지 규칙은 아니다) 동형반복의 금지도 마찬가지이다. 뿐만아니라 모든 경우의 순환을 억제할 수 있고 의도적인 순환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패, 4패, ?패, 2단패, 3단패, ?단패. 의도적인 패 등 모든 경우를 배제한다. 최대의 장점은 종국이 선명하면 현재 우리가 즐기고 있는 바둑과 차이가 없다고 할 정도로 작다. 더 이상의 규칙이 필요 없으며 필요한 것은 밭개념의 수용과 여울에 대한 이해이고, 진행과정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행규칙] 밖의 상황규칙과 시간제약의 규칙 정도이다.

  다음은 이음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이다.


          ♤  바둑의 수행규칙이 완성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