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반 행마 격언 | |
![]() |
첫째가 빈 귀, 둘째가 굳힘, 셋째가 벌림 | ![]() |
서로 공배되는 곳에서는 손을 쓰지 말라 |
![]() |
한쪽이 높으면 한쪽은 낮게 | ![]() |
벌림은 세간, 네간, 다섯간의 3가지가 있다. |
![]() |
큰 곳보다 급한 곳 | ![]() |
대 세력은 얕게 삭감하라 |
![]() |
걸침에 응하는 것이 최상책 | ![]() |
마늘모 붙임에는 세우라 |
![]() |
양날개를 펴라 | ![]() |
세 칸에 침입있다 |
![]() |
걸침은 넓은 쪽에서 | ![]() |
양날일자로 달아나지 마라 |
![]() |
다음이 없는 벌림은 두지 말라 | ![]() |
양씌움을 당하면 바둑에 진다 |
![]() |
제1착은 우상귀부터남의 집이 커보이면 진다. | ![]() |
빈3.3에 수 있다 |
![]() |
굳힘은 적에게 영향을 주는 쪽이 우선 | ![]() |
양걸침에는 강한(견고한)쪽에 붙여라 |
![]() |
일방가로는 이길 수 없다. | ![]() |
>2선은 패망선(2선을 기지 말라) |
![]() |
한간뜀에 악수 없다. | ![]() |
4선은 세력선(4선을 밀지 말라) |
![]() |
뜀보다 벌림이 낮다. | ![]() |
어느쪽에서도 벌릴 수 있는 갈라치기 |
![]() |
얕게 삭감할 때는 어깨짚기와 모자 | ![]() |
2립3전은 벌림의 원칙 |
![]() |
두터움을 울타리치지 말라 | ![]() |
1립2전, 2립3전, 3립4전 |
![]() |
두칸벌림은 일가를 이룬다 | ![]() |
협공에는 한간, 두간, 세간의 3가지가 있다 |
![]() |
두터움에 가까이 가지 말라 | ![]() |
서로 공배되는 곳에는 손을 대지 말라 |
![]() |
모양의 중심은 모자로부터 | ![]() |
화점에 남는 3.3침입 |
![]() |
두터움을 억지로 집으로 만들려 하지말라 | ![]() |
수비하고 나서 공격하라 |
![]() |
>일방가를 만들지 말라 | ![]() |
바둑판을 넓게 보라 |
![]() |
적이 둘 곳을 생각하고 두라 | ![]() |
화점과 3.3은 다음 수가 급하지 않다 |
![]() |
얾은 쪽은 막아라 | ![]() |
맞보기는 서둘지 말라 |
![]() |
대 세력 삭감은 모자와 어깨 짚기 | ![]() |
양보해서는 안될 모양의 쟁점 |
![]() |
초반의 마늘모는 좋은 수 | ![]() |
천금의 꼬부림 |
![]() |
중반행마, 맥 격언 | |
![]() |
빈삼각은 우형에 표본 | ![]() |
필요없이 공배를 메우지 말라 |
![]() |
1선에 묘수있다 | ![]() |
쌍립의 염려는 공배메우기 |
![]() |
끊은 쪽을 잡아라 | ![]() |
쌍립을 양쪽에서 들여다보기 |
![]() |
단수단수는 서투른 바둑표본> | ![]() |
맥과 속수는 한줄의 차 |
![]() |
크게 버리고 죄어붙인다 | ![]() |
수수를 메우는 먹여치기 |
![]() |
끼움이 좋을 경우가 많다 | ![]() |
타개는 붙임수에 |
![]() |
끊을 수 있으면 끊어야 한다 | ![]() |
적의 급소는 나의 급소 |
![]() |
끊음 하나가 승부의 열쇠 | ![]() |
빈삼각, 바보사각의 우형 |
![]() |
맞끊으면 한쪽을 뻗어라 | ![]() |
석점의 중앙이 급소 |
![]() |
날일자에 건너붙임 있다 | ![]() |
들여다 보는데 안잇는 바보 없다. |
![]() |
끊을 수 있는 곳을 들여다 보지 말라 | ![]() |
들여다보기에 되들여다보기 |
![]() |
우형에 묘수 | ![]() |
축을 모르고는 바둑을 두지 말라 |
![]() |
날일자를 밀고나가 끊는 것은 악수의 표본 | ![]() |
서투른 들여다보기는 악수 |
![]() |
날일자에 마늘모 | ![]() |
축은 반드시 잡아둔다 |
![]() |
날일자에 건너붙여온 수를 끊지 말라 | ![]() |
상수의 마늘모, 하수의 마늘모 |
![]() |
빵때림 30집 | ![]() |
붙임에는 젖혀라 |
![]() |
두점으로 키워 버려라 | ![]() |
사석을 두는 데 수 있다 |
![]() |
두점머리는 무조건 두드려라 | ![]() |
>효과적인 끊음 일발 |
![]() |
묘수와 악수는 종이 한장 차> | ![]() |
수상전은 바깥부터 메운다 |
![]() |
양젖힘이 들으면 1수가 는다 | ![]() |
껴붙임은 효과 있다 |
![]() |
돌을 잡고 바둑에는 진다 | ![]() |
꼬부림과 빈삼각은 같지 않다 |
![]() |
잡고 싶은 돌의 반대쪽을 끊어라 | ![]() |
강한 쪽에 붙여라 |
![]() |
모자에는 날일자 | ![]() |
3선의 돌은 두점으로 키워 버려라 |
![]() |
패가 달린 수상전은 마지막에 패를 따내라 | ![]() |
꼬리는 버려라 |
![]() |
한수의 양붙임 | ![]() |
요석과 폐석을 구별하라 마늘모에 묘수 있다 |
![]() |
스듬한 들여다보기의 이중활용 | ![]() |
배붙임 |
![]() |
사활 격언 | |
![]() |
2의 1 에 묘수 있다 | ![]() |
4궁의 치중은 5수 |
![]() |
귀신보다 무서운 자충 | ![]() |
면적을 좁히고 나서 급소에 둔다 |
![]() |
귀중한 젖힘 하나 | ![]() |
옥집의 맥을 노려라 |
![]() |
좌우동형 중앙에 수 있다 | ![]() |
유가무가 불상전 |
![]() |
빗꼴의 삶 | ![]() |
유가무가도 때에 따른다 |
![]() |
귀의 제2선은 5개로 삶 | ![]() |
매화육궁은 죽음 |
![]() |
죽음은 젖힘에 있다 | ![]() |
직4궁은 삶이며 사각궁은 죽음 |
![]() |
>귀의 빗꼴은 공배가 중요 | ![]() |
공배의 묘수 |
![]() |
귀의 빗꼴은 죽음,변의 빗꼴은 삶 | ![]() |
>묘수와 기수와 속임수는 다르다 |
![]() |
귀의 특수성 | ![]() |
대마불사 |
![]() |
귀의 공격은 바깥에서 좁힌 다음 치중 | ![]() |
우선 살고 변화를 봐야 할 경우가 있다 |
![]() |
귀곡사는 죽음으로 | ![]() |
수순의 묘 |
![]() |
빅은 삶이다 | ![]() |
궁도를 넓혀서 살라 |
![]() |
바깥에서 공격하라 | ![]() |
변의 공격은 양쪽에서 좁힌 다음 치중 |
![]() |
6사 8생, 생사의 기본 | ![]() |
궁도를 넓혀서 살아라 |
![]() |
제 3선은 4사 6생 | ![]() |
젖힘도 궁도에 포함 |
![]() |
공배메움이 목숨을 빼앗는다 | ![]() |
젖힘 일발이 생사의 열쇠 |
![]() |
6궁의 치중은 12수 | ![]() |
됫박형을 알면 5단격 |
![]() |
양패를 두는 법을 터득하라 | ![]() |
됫박형은 패로 알라 |
![]() |
양패, 3년의 우환 | ![]() |
수순의 주의하라 |
![]() |
4궁의 치중은 5수 만들어 후절수 |
- 동아바둑 중에서 -
'퍼온~바둑..! > 관련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바둑용어1 (0) | 2008.05.21 |
---|---|
[=] 유럽인의 눈에 비친 한국바둑 (0) | 2008.05.21 |
[=] Area룰과 Territory룰의 근본적 차이 (0) | 2008.05.21 |
[=] 국제바둑룰회의 (0) | 2008.05.21 |
[=] 인텔리아피아드는 '바둑규칙 통일화'로 가는 길 (0) | 200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