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펌] 과학학과 과학철학

다음 글들은 1994년 고대신문에 실린 과학학 소개글입니다. 이초식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과학논리) 과학학 [Wissenschaftstheorie, Science of Science]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학문분야가 최근 우 리나라 지성인들 사이에서 비상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과학학은 이미 대학교 학부와 몇몇 대학원에서 [과학철학]이나 [과학사] 등의 강좌를 통해 그동안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일반사회에서도 크게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과학학과]는 대학의 정식학과로서 출범할 계획이다. 과학학은 물리학이나 생물학 등의 특정한 대상을 다루는 수준의 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과학 들을 다시금 대상으로 삼아 연구하는 메타수준Meta Level의 과학, 즉 과학의 과학이다..

[펌] 인공지능과 과학철학

인공지능의 철학 : 이초식, 고려대 출판부, 1993, Page 101~111 1. 지식의 종류와 조건 2. 현대 과학철학의 과제와 접근방법 1. 지식의 종류와 조건 인공지능의 구성은 철학의 여러 분야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이미 우리는 형이상학· 언어철학 등이 직접으로 인공지능에 관여되어 있음을 보았다. 그런데 전통철학의 인식론과 현대의 과학철학은 철학의 어느 분야보다도 지식 자체를 본격적으로 다루어 온 만큼, 지식 문제를 주제로 하는 인공지능의 구성과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식론과 과학철학의 과제와 접근방법들을 개관하고 20 세기 과학철학의 전개과정과 쟁점들을 논해 가면서 그들의 연구성과와 연구방식이 인공지능 구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981년 뉴웰은 인공..

[펌] 과학적 지식의 성장

인공지능의 철학 : 이초식, 고려대 출판부, 1993, Page 217~237 1. 기술의 세계와 '자연' 의 의미 2. 기술에의 존재론적 접근방식 3. 기술철학과 과학철학 1. 기술의 세계와 '자연' 의 의미 이제는 과학적 지식의 구조와 성장을 논한 데 이어 그 활용에 관한 철학 문제들을 논의할 차례이다. 현대의 기술 (technology) 은 과학지식을 활용함으로써 성립된다. 뿐만 아니라 현대에 최첨단 기술로 간주되는 인공지능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기술철학 (philosophy of technology) 의 영역에 속한다고 하겠다. 현대생활의 특색은 과학지식을 활용한 기술에 크게 의존한다. 의식주 생활의 기본들이 모두 과학기술의 산물이며 교통통신을 비롯한 모든 생활환경이 기술 없..

[펌] 인공지능 구성의 철학 (3)

- 인공지능 언어 LISP 의 철학적 기초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의 철학 : 이초식, 고려대 출판부, 1993, Page 242~267 1. LISP란 무엇인가? 2. LISP의 접근 절차 3. LISP의 술어처리방식 4. 조건표현의 문제 5. 역리현상의 LISP의 회귀표현 1. LISP란 무엇인가? AI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동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다. 우리는 오늘날 AI 연구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LISP에서 이를 개관해 가면서 그 속에 담겨진 철학적 기초들을 밝혀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과학철학, 특히 형식과학의 철학의 시각에서 수행된다고 할 것이다. 컴퓨터의 형식게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다룰 수 있는 범위는 논리적으로 접..

[폄] 인공지능의 철학적 성찰

♤ 과학사상8호(1994년-봄) : 이초식 (고려대 교수 · 철학), 범양사 출판부, Page 81~96 Ⅰ. 철학적 성찰의 요구 Ⅱ. 인공지능의 철학적 배경 Ⅲ. 인공지능의 비판적 성찰 Ⅳ. 기술습득의 단계와 전문가 시스템 Ⅴ. 인공지능과 철학 Ⅰ. 철학적 성찰의 요구 20 세기 후반부에 등장한 컴퓨터는 이미 인간의 정보처리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그 변화는 '정보화 사회' 라는 사회구획의 기준이 되기에 이르렀다. 즉, 역사의 방향은 농경사회로부터 산업화를 이룩한 사회들이 점차 정보산업사회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앞으로 정보화된 자우 시장경제체제의 사회에 있어서 정보의 합리적인 처리는 개인적인 삶뿐만 아니라 국가의 존립을 좌우하는 중대한 과제가 되고, 인공지능은 바로 이러한 합리적인 정..

[=] 민속놀이..

제1절 민속놀이 1. 가마 놀이 이 가마놀이는 주로 소년과 소녀들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것인데, 세 사람이 있어야 가마를 만들고 탈 수 있는 놀이이다. 세 사람이 가위·바위·보로 순서를 정하는데, 이 때 이긴 사람은 가마를 타고, 진 두 사람은 가마를 만들어야 한다. 가마를 만든다는 것은 어떤 재료를 구입 해다 만드는 것이 아니고, 두 사람의 팔을 엮어서 즉석 가마를 만드는 것이다. 우선 한 사람이 바른 손으로 자신의 왼쪽 손목을 잡고, 다시 왼손으로 상대방의 바른 손목을 잡으면, 상대방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손을 잡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손이 4각형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손가마가 만들어지면, 이긴 사람이 가마에 올라타고 지정된 목표까지 갔다 돌아오는 놀이이다. 다음은 가위·바위·보로 순서를 결정하고,..

착수에서..

바둑의 진행규칙을 정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은 제2장: 착수이다. *** 제2장 : 착수 제5조 착수의 정의 : 착수란 바둑돌을 바둑판의 교차점에 놓는 것을 말한다. 제6조 착수의 원칙 : 착수는 교대로 한수씩 놓는 것이다. 단, 종국시에는 착수를 포기할 수 있다. 제7조 돌의 존재 : 착수된 돌은 그 돌에 인접하여 빈점이 있는 한 존재하며 빈점이 없는 돌은 존재 할 수 없으므로 바둑판에서 들어낸다. --- 따낸 시점에서 착수가 완료되어 빈점이 생기기 때문에 백의 착수가 가능하다. 제8조 착수의 금지 : 착수함으로써 빈점이 없는곳은 둘 수 없다. 단, 따낼수 있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제9조 착수의 제한 : 서로 상대방의 돌 하나를 번갈아 되딸 수 있는 모양을 「패」라고한다. 패는 무한한 동형반복을 방지..

온울에..? 2008.04.04

요청의 근거.

우선성과 상반되는 것은 동시성이다. 우리가 하나의 자리에 동시에 두개의 돌을 놓음할 수 있을까? 같은 종류의 돌이든 다른 종류의 돌이든 하나의 자리에 하나 이상의 돌을 놓음할 수 없다. 우리가 현실에서 설정한 경험적인 한계이다. 왜 하나의 자리에 하나의 돌인가? 하나의 돌을 (하나의) 자리에 놓는다. 하나의 돌을 자리에 놓는다. 만이면 어떻게 될까? 돌 놓음만이므로 판을 가득 채우고 끝이 날 것이다. 오직 돌들의 긍정만이 남아 있게 된다. 은 절대적 긍정만을 허락한다. ---> 은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차이를 발생시키지 못한다. 어떤 차이가 없이는 게임일 수 없다. 따라서 어떤 차이를 발생시키는 차이(두 종류의 돌 : 돌B에 대한 돌 W)가 전제 된다. 이 긍정이므로 어떤 차이를 위해서 하나의 부정인 자..

온울에..? 2008.04.04

[=] 순장바둑

순장바둑 1. 서론 옛날에는 한(韓), 중(中), 일(日) 세 나라에서 과 같이 흑1에서 백4까지 네 귀의 화점(花 點)에 먼저 놓고서 대국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일본에서는 넉점을 놓지 않고 첫 착점부 터 반상의 임의의 곳에 착수할 수 있는 현대 바둑이 두어졌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넉점에다가 13점을 더 놓고 두는 이른바 순장바둑으로 발전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순장바둑이 현대바둑 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첫째, 흑백의 배치이며 둘째로는 계가법의 특이성을 들 수 있습니다. 2. 순장바둑의 배치 순장 바둑 기본 배치 순장바둑은 처럼 17개의 화점, 즉 장점에 16개를 미리 배석하고 두었습니다. A의 장점 (천원)에는 흑이 선착하지만 접바둑에서는 백이 놓고 치수에 따라 흑이 주변에 돌을 더 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