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논문 자료들. 101

[펌] 현대 과학철학의 윤리적 재평가

목 차 1. 과학 발달과 윤리적 반성 2. 논리경험주의적 과학철학은 과학적 휴머니즘이다 3. 과학적 휴머니즘은 인식에 의한 인간 해방을 함축한다 4. 과학적 휴머니즘은 주체적 결단의 과학성을 요구한다 5. 과학학과 세계 시민의 윤리 -------------------------------------------------------------------------------- 발행자명 중앙대학교 부설 중앙철학연구소 학술지명 철학탐구 권 11 호 1 출판일 1999. 현대 과학철학의 윤리적 재평가 (세계 시민 윤리의 확립을 위하여) 이초식 고려대 철학과 2-210-9901-02 pp.18-39 ----------------------------------------------------------------..

[펌] 과학 기술 시대의 가치 선택

목 차 1 기계문명에 대한 항의가 어제오늘의 일만은 아니다. 2.오늘날에는 세계를 제 1, 2, 3 세계 등으로 표현하는 그 본래의 3. 경제성장에 의한 근대화에 따르는 사회구조의 불화는 공동체의 4.다음 세기는 생활세계의 기계화를 더욱 더 심화시킬 -------------------------------------------------------------------------------- 발행자명 중앙대학교 부설 중앙철학연구소 학술지명 철학탐구 권 11 호 1 출판일 1999. 과학 기술 시대의 가치 선택 차인석 서울대 철학과 2-210-9901-04 pp.63-71 ---------------------------------------------------------------------------..

[펌] 과학철학에서 진보의 문제-로단

목 차 들어가는 말 Ⅰ. 실증주의에서 본 과학의 진보 Ⅱ. 상대주의에서 본 과학의 진보 Ⅲ. 로단이 본 과학의 진보 1) 과학의 정의 2) 연구전통론 3) 이론과 연구전통의 평가 4) 진보와 합리성의 관계 5) 로단의 진보관에 대한 비판 맺는말 -------------------------------------------------------------------------------- 발행자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술지명 硏究論集 ISSN 권 21 호 출판일 1991. 과학철학에서 진보의 문제 (로단을 중심으로) 윤혜린 소흥렬 8-598-9102-03 -------------------------------------------------------------------------------- 들어가..

[펌] 근대사변철학 비판에 대한 고찰

목 차 I. 머리말 II. 근대철학의 정립과 그 성격-철학과 자연과학의 결합에 의한 자연의 복권 1. 베이컨과 질적 자연관 2. 홉스와 기계론적 자연관 III. 근대철학의 사변철학적 단초와 그 전개과정-자연과 정신의 분리와 매개, 통일의 과정 1. 데카르트의 이원론-정신과 물질의 분리 2. 스피노자의 범신론-정신과 물질의 매개 3. 라이프니쯔의 단자(Monade)론-자기활동성의 원리 IV. 맺음말 -------------------------------------------------------------------------------- 발행자명 全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학술지명 龍鳳論叢 권 19 호 1 출판일 1990. 포이에르바하의 "근대사변철학"비판에 대한 고찰(I) ("새로운 철학"의 형성과정을..

[펌] 비트겐슈타인의 과학주의 비판

발행자명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학술지명 원우론집 권 24 호 1 출판일 1996. 8. 26. 비트겐슈타인의 과학주의 비판 우환식 연세대학교 박사3학기 4-222-9602-07 -------------------------------------------------------------------------------- 1.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언어에 대한 철학적 관심은 프레게와 럿셀 등의 철학자들이 기호논리학을 발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이상언어를 구축하고자 한 데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경험론적 입장에서 이를 수용한 논리실증주의자들은 검증이론을 기초로 통합과학을 완성시킴으로써 과학적 세계관을 세우고 기존의 철학적 활동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 후의 형식언어 및 통합과학의..

[펌] 과학적 이론이란 무엇인가?

목 차 0. 머 리 말 1. 과학주의와 현상학: Edmund Husserl 2. 논리실증주의: 경험적 객관주의 3. 진리를 향한 반증: Karl Popper 4. 세계관에 입각한 과학철학: 객관에서 주관으로 4.1. 자기의 세계관에 맞는 이론: Stephen Toulmin 4.2. 관찰과 사실의 이론의존성: Norwood Hanson 4.3. 혁명과 패러다임의 행렬: Thomas Kuhn 4.4. 신화에서 신화에로의 행렬: Paul Feyerabend 5. 역사적 사실주의에 입각한 과학철학: 합리적 객관주의 5.1. 이상화, 추상화, 단순화, 일반화: Dudley Shapere 5.2. 보호띠 속에서 성장하는 핵심 가설: Imre Lakatos 6. 맺는말 --------------------------..

[펌] 과학철학에서 진보의 문제

목 차 들어가는 말 Ⅰ. 실증주의에서 본 과학의 진보 Ⅱ. 상대주의에서 본 과학의 진보 Ⅲ. 로단이 본 과학의 진보 1) 과학의 정의 2) 연구전통론 3) 이론과 연구전통의 평가 4) 진보와 합리성의 관계 5) 로단의 진보관에 대한 비판 맺는말 -------------------------------------------------------------------------------- 발행자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술지명 硏究論集 ISSN 권 21 호 출판일 1991. 과학철학에서 진보의 문제 (로단을 중심으로) 윤혜린 소흥렬 8-598-9102-03 -------------------------------------------------------------------------------- 들어가..

[펌]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목 차 1. 과학철학적 입장 1) 형식주의(formalism) 2) 신과학철학 2. 심리학과 이론적 설명 -------------------------------------------------------------------------------- 발행자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술지명 大學院 論文集 ISSN 권 2 호 출판일 1989.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방희정 조혜자 8-620-8901-07 국문요약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과학을 합리적으로 만드는가하는 물음에 대한 과학철학자들의 다양한 답변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행동주의 이래 실증주의적 입장이 고수되어온 심리학의 철학적 입장은 새로이 대두된 과학철학 이론들에서 논의되는 이론과 방법, 설명에 대한 태도를 받아 들임으로..

[펌] 과학적 이론이란 무엇인가?

목 차 0. 머 리 말 1. 과학주의와 현상학: Edmund Husserl 2. 논리실증주의: 경험적 객관주의 3. 진리를 향한 반증: Karl Popper 4. 세계관에 입각한 과학철학: 객관에서 주관으로 4.1. 자기의 세계관에 맞는 이론: Stephen Toulmin 4.2. 관찰과 사실의 이론의존성: Norwood Hanson 4.3. 혁명과 패러다임의 행렬: Thomas Kuhn 4.4. 신화에서 신화에로의 행렬: Paul Feyerabend 5. 역사적 사실주의에 입각한 과학철학: 합리적 객관주의 5.1. 이상화, 추상화, 단순화, 일반화: Dudley Shapere 5.2. 보호띠 속에서 성장하는 핵심 가설: Imre Lakatos 6. 맺는말 --------------------------..

[펌] 과학학과 과학철학

다음 글들은 1994년 고대신문에 실린 과학학 소개글입니다. 이초식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과학논리) 과학학 [Wissenschaftstheorie, Science of Science]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학문분야가 최근 우 리나라 지성인들 사이에서 비상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과학학은 이미 대학교 학부와 몇몇 대학원에서 [과학철학]이나 [과학사] 등의 강좌를 통해 그동안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일반사회에서도 크게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과학학과]는 대학의 정식학과로서 출범할 계획이다. 과학학은 물리학이나 생물학 등의 특정한 대상을 다루는 수준의 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과학 들을 다시금 대상으로 삼아 연구하는 메타수준Meta Level의 과학, 즉 과학의 과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