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논문 자료들. 101

[ㅍ] 과정과 유식론

목 차 1)화이트헤드 철학에 있어서 '현실적 존재'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심적인 주제이다. 2)화이트헤드에 있어서 '사물'이란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들의 결합체이다. 3)유식학의 아뢰야식은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들의 결합체'에 해당한다. 아뢰야식에 대해서도 앞에 설명한 1)에서 5)까지 모두가 무리없이 적용된다. 유식 학에서는 아뢰야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아뢰야식과 종자 (2)아뢰야식의 형성과 상속 (3)종자 - 습기(習氣) 4)지금까지 논술한 내용을 가지고 현상세계를 바라볼 때 사물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5)한편 우리의 인식속에 떠오르는 다양한 현상들은 무엇인가? (3)4연설의 현대과학적 의미 ----------------------------..

[ㅍ] 경험의 의미-헤겔

목 차 1.들어가는 말 2.자연적 의식의 변증법적 전개 3.감성적 확신에서의 의식의 변증법의 전개 4.맺는 말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 ISSN 1226-9379 권 24 호 1 출판일 2001. 4. 30. 헤겔에서의 경험의 의미 (-'자연적 의식'과 '감각적 확실성'을 통해서 본 감성의 의미와 그 한계-) 이강화 계명대 1-066-0102-09 국문요약 절대지의 확보를 위해 의식적 경험이 그 필요성에 따라 나아가는 과정이 하나의 학으로 성립되는 헤겔(Hegel)의 경우, 의식의 변증법적 경험이 어디에서 출발해야 하는 가 라는 문제는 그의 학적 체..

[ㅍ] 타자와 탈현대의 윤리학-레비나스

목 차 1.序論 2.철학으로부터의 윤리학으로의 전환 3.他者倫理學의 倫理學的 爭點 1)同一者와 他者 2)타자적 이성과 감성적 수용성 4.타자윤리와 탈현대윤리학의 방향 1)타자윤리와 전통윤리의 접목 2)他者倫理와 平和의 윤리학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CHULHAK-RONCHONG ISSN 1226-9379 권 23 호 1 출판일 2001. 1. 31. 레비나스 타자윤리학과 탈현대윤리학 김연숙 전주교대 1-066-0101-02 국문요약 본 논문은 레비나스 타자윤리의 탈현대적 윤리학에의 반성과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윤리학에 관한 레비나스의 입장을 정리..

[ㅍ] 시간성과 인식론(엘리엇)

발행자명 현대영미어문학회 학술지명 현대영미어문학 권 17 호 2 출판일 2000. 2. 29. 엘리엇 시에 나타난 시간성과 인식론 김진규 경남대 1-187-0001-03 영문요약 T.S.Eliot’s Time and Epistemology Eliot’s first foremost endeavor of de-sanctioning activity is launched against the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s of logocentrism, the recent origin of which may be traced back to the Cartesian concepts of ‘I’, ‘mind’ and ‘consciousness’ According to Eliot’s vari..

[ㅍ] 게놈과 환원주의

목 차 1.들어가는 말 2.인간게놈프로젝트란 무엇인가? 3.존재론적 환원주의, 방법론적 환원주의 4.인식론적 환원주의 1)표준적 환원 모델과 긍정적 사례들 2)반환원주의 : 유전자 개념들 사이의 이질성 5.분자ㆍ비분자유전학의 상보성: 물음론적 접근 6.인간게놈프로젝트의 실상 7.맺는 말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ISSN 1226-9379 권 22 호 1 출판일 2000. 10. 31.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정상모 신라대 1-066-0003-12 국문요약 ..

[ㅍ] 과학기술과 사회..

목 차 Ⅰ. 머리말 Ⅱ. 과학기술 사회학의 발전 1. "표준적 과학관"과 전통적인 과학기술 사회학 2. 새로운 과학기술 사회학의 등장: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1) 과학지식의 사회학 2) 기술사회학 3. 사회구성주의의 인식론 Ⅲ.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도전 1. 과학 내의 여성문제: "왜 여성과학자는 눈에 띄지 않는가?" 2. 과학지식의 성적 구성 1) 두개골학(craniology) 2) 난자와 정자의 수정과정 연구 3) 포유류 분류 연구: 왜 포유류는 포유류라고 불리게 되었는가? 3. 기술과 여성 1) 생산기술(production technology) 2) 생식기술(reproductive technology) 3) 가사기술(domestic technology) 4) 남성..

[ㅍ] 마음과 의식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ISSN 1226-9379 권 22 호 1 출판일 2000. 10. 31. 마음과 의식 윤보석 서울대 1-066-0003-06 -------------------------------------------------------------------------------- 1. 많은 철학자들이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substance dualism)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마음이 가지는 인식론적인 성질에 대한 그의 관찰은 아직도 마음에 관한 철학적 토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데카르트에 의하면, 자신이 기존에 가져왔던 어떤 강한 믿음도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

[ㅍ] 존재론적 살(뽕띠)

목 차 Ⅰ.들어가는말 Ⅱ.신체와 세계의 교착배어법과 살 Ⅲ.가역성과 살 Ⅳ.언어와 존재 및 살 Ⅴ.맺는 말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 ISSN 1225-9379 권 17 호 1 출판일 1999. 메를로-뽕띠에 있어서 존재론적 살에 대한 연구 L'etude de la chair ontologique chez Merleau-Ponty 김병환 (Kim, Byeong-Hwan) 동의대학교 국민윤리학과 강사 1-066-9902-04 pp.73-94 국문요약 한글 요약 이 글은 메를로-뽕띠에 있어서 신체의 존재와 세계의 존재 사이에서 존재론적 살의 본질을 밝히는..

[ㅍ] 실존단계(홈머의해석)

목 차 (1)의식에 관하여 (2)사실에 대한 비판 (3)역량에 관하여 (4)'참'에 대한 의미론적 고찰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 ISSN 1226-9379 권 15 호 1 출판일 1998. "실존 단계"에 대한 일 고찰 (홀머의 키에르케고어 해석을 중심으로) On Understanding "Kierkegaard's Stages" 임규정 (Lim, Kyu-jung) 군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1-066-9801-08 pp.203-229 국문요약 홀머는 키에르케고어의 저작에 대한 종전의 해석들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두 가지 중요한 점, 즉 키에르케고어가..

[ㅍ] 의식존재론-후설

목 차 I. 無前提性과 嚴密學의 이념 II.Husserl의 인식과 철학적 반성 1. 의식의 비판 2. 존재의 비판 III. 의식이 指向性과 相關者로서의 경험세계 3. 心理學主義와 정신과학 일반 4. 指向性 (Intentionalitat) - 충족된 의식 5.현상학의 개념 - 事態와 體驗流 6. noesis - noema 구조 7.의식존재의 存在論的 해명 IV.와 선험적 주관의 통일 8.自然的 態度의 극복과 현상학적 還元 9.순수의식의 地平 10.共同主觀性과 明證性 V.현상학의 科學性 개념 -------------------------------------------------------------------------------- 발행자명 中央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학술지명 人文學硏究 권 25 호 1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