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바둑_저장_2

☆ 수행규칙을 위한 기능적 정의 :

온울에 2008. 6. 9. 15:48
ㅇ 기능적 정의 :

1. [
바둑의 이음] : { 형식1 * 형식2 }을 결합하여 하나로 기능하는 것이다.
11. 바탕(판)과 형식(가능성, 수행성)의 이음 : 
111. 가능성 받음과 버림( 자리, 형식 )
1111. 자리에로 받음 :  어떤 형식이 바탕(판) 안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ex) 자리(p) = { 자리 * (p) }
          한울(p) = { { 자리 * (p) } * 한울 }
1112. 자리에서 버림 :  어떤 형식이 바탕(판)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ex) 자리(p)에서 자리 (p)의 분리이다.

11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1121. 자리에로 놓음 :  어떤 형식을 바탕(판) 안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ex) 돌(p) = { 자리(p) * 돌(p) }
1122. 자리에서 낳음 : 어떤 형식을 바탕(판)에서 배제하는 것이다.
    ex) 돌(p)에서 돌(p) 자리(p)의 분리이다.

/

가능성 

수행성

바탕(판)으로 진입

(있음을) 받  음

(돌을) 놓  음

바탕(판)에서 퇴거

(없음을) 버  림

(돌을) 낳  음 

12. 바탕(판) 안에서 기능적인 이음 :

121. 자리이음( 둑n, 형식 )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122.
둑이음(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둑(p) = { 자리(p)m * 둑i * 자리(p)n }
          돌둑(p) = { 돌(p)m * 둑j * 돌(p)n }


1221. 이웃(이음)관계(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이음(이웃)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웃(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123. 밭이음( 밭n, 형식1, 형식2 ) 
    ex) 빈울, 한울, 두울...


2. [여울의 과정] :
21.
맺음자리와 여울자리 :

211. 맺음자리 = { 어떤 형태를 돌둑으로 구체화(결정)할 수 있는 자리.}
    ex) 안섬의 맺음자리(p) = { 안섬쌍(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을 포함할 때.}
 
212. 여울자리(p) = { 빈울자리(p) or 한울자리(p) or 두울자리(p).}

22. 빈울의 과정 :
221. 여울(빈울(p))의 발생 = { 어떤 빈둑(p)n의 모든 자리(p)가 돌둑(q)m과 이웃하지 않을 때.}
    ex) 빈둑(p) = { 빈울(p)의 안섬(p)인 둑(p)이다. }
222. 여울(빈울(p))의 연장 = { 안섬에 변화가 없는 동안.}
222. 여울(빈울(p))의 완료 = { 안섬인 빈둑(p)이 숨자리(p)를 포함할 때.}
    ex) 숨자리(p) = { 둑(p)이 오직 하나의 자리(p)
만 포함.}
223. 여울(빈울(p))의 벗어남 = { 안섬인 빈둑(p)이 돌둑(q)n과 이웃할 때.}

23. 한울의 과정 :
231. 여울(한울(p))의 발생 = { 어떤 올둑(p)n이 빈둑(p)m을 포함하지 않을 때.}
232. 여울(한울(p))의 연장 = { 안섬에 변화가 없는 동안.}
232. 여울(한울(p))의 완료 = { 안섬인 올둑(p)이 섬자리(p)를 포함할 때.}
    ex) 섬자리(p) = { 올둑(p)에 포함된 자리(p)가 오직 하나일 때.}
233. 여울(한울(p))의 벗어남 = { 한울의 둘러섬 기능이 변할 때.}

24. 두울의 과정 :
241. 여울(두울이음(p))의 발생 :  아래의 (1 & 2)을 만족하는 자리(p)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자리(p)를 포함하는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하고,
    2. 자리(p)에 이웃하는 돌둑(q)n의 유일한 이음자리일 때.

242. 여울(두울이음(p))의 연장 :  아래의 (1 Nor 2 or 3)을 만족하는 자리(p)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경우1] :  이웃한 돌둑(q)n에 대하여(p → q),
        1) { 밖으로, 이웃한 돌둑(q)n의 모든 이음자리가 올둑(p)에 포함된다. }
        2) { 안으로, 자리(p)를 포함한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2. [경우2] :  이웃한 올둑(q)n에 대하여(q → p),  

    가정 q.   1.  올둑(p)에 포함인 자리들에 대하여,
  2.  둑(p)를 포함하지 않은 올둑(q)n이 두울조건을 만족하면,
       그 올둑(q)n을 안섬쌍(Q)n으로 가정한다.  (1~n개)
    가정 p.   1.  모든 안섬쌍(Q)n을 돌둑(q)이라 가정한다.
  2.  자리(p)를 포함하는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하면,
       그 올둑(P)을 안섬쌍(P)으로 가정한다.  (오직 하나만 가능)
    만족조건.   1.  각 안섬쌍(P/Q)n이 가정(q. → p.)을 만족한다.  
  3.  이미 { 여울(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 }


243. 여울(두울이음)의 완료 : 아래의 (1 or 2)를 만족하는 맺음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여울(두울(연속)이음)의 완료 :  { 여울 안섬쌍(p)n이 처음 돌둑(p)으로 완료 -맺음-일 때, }
    2. 여울(두울(단속)이음)의 완료 :  { 여울 안섬쌍(p or q)n이 두번째 낳음 -맺음-일 때, }

244. 여울(두울이음)의 벗어남 : 여울(두울이음))의 연장이 아닌 자리(p)돌(p)을 받아 놓음이다.

 
 ※ 발생과정은 그 우선성이 ( 빈울 → 한울 → 두울 )의 순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