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기능적 정의 :
1. [바둑의 이음] : { 형식1 * 형식2 }을 결합하여 하나로 기능하는 것이다.
11. 바탕(판)과 형식(가능성, 수행성)의 이음 :
22. 빈울의 과정 :
23. 한울의 과정 :
24. 두울의 과정 :
※ 발생과정은 그 우선성이 ( 빈울 → 한울 → 두울 )의 순서이다.
1. [바둑의 이음] : { 형식1 * 형식2 }을 결합하여 하나로 기능하는 것이다.
11. 바탕(판)과 형식(가능성, 수행성)의 이음 :
111. 가능성의 받음과 버림( 자리, 형식 )
11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1111. 자리에로 받음 : 어떤 형식이 바탕(판) 안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ex) 자리(p) = { 자리 * (p) }
한울(p) = { { 자리 * (p) } * 한울 }
1112. 자리에서 버림 : 어떤 형식이 바탕(판)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ex) 자리(p)에서 자리와 (p)의 분리이다.
ex) 자리(p) = { 자리 * (p) }
한울(p) = { { 자리 * (p) } * 한울 }
1112. 자리에서 버림 : 어떤 형식이 바탕(판)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ex) 자리(p)에서 자리와 (p)의 분리이다.
11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1121. 자리에로 놓음 : 어떤 형식을 바탕(판) 안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ex) 돌(p) = { 자리(p) * 돌(p) }
1122. 자리에서 낳음 : 어떤 형식을 바탕(판)에서 배제하는 것이다.
ex) 돌(p)에서 돌(p)과 자리(p)의 분리이다.
ex) 돌(p) = { 자리(p) * 돌(p) }
1122. 자리에서 낳음 : 어떤 형식을 바탕(판)에서 배제하는 것이다.
ex) 돌(p)에서 돌(p)과 자리(p)의 분리이다.
/ |
가능성 |
수행성 |
바탕(판)으로 진입 |
(있음을) 받 음 |
(돌을) 놓 음 |
바탕(판)에서 퇴거 |
(없음을) 버 림 |
(돌을) 낳 음 |
12. 바탕(판) 안에서 기능적인 이음 :
121. 자리이음( 둑n, 형식 )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122. 둑이음(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둑(p) = { 자리(p)m * 둑i * 자리(p)n }
돌둑(p) = { 돌(p)m * 둑j * 돌(p)n }
123. 밭이음( 밭n, 형식1, 형식2 )
ex) 빈울, 한울, 두울...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122. 둑이음(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둑(p) = { 자리(p)m * 둑i * 자리(p)n }
돌둑(p) = { 돌(p)m * 둑j * 돌(p)n }
1221. 이웃(이음)관계(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이음(이웃)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웃(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ex) 이음(이웃)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웃(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123. 밭이음( 밭n, 형식1, 형식2 )
ex) 빈울, 한울, 두울...
2. [여울의 과정] :
21. 맺음자리와 여울자리 :
211. 맺음자리 = { 어떤 형태를 돌둑으로 구체화(결정)할 수 있는 자리.}
ex) 안섬의 맺음자리(p) = { 안섬쌍(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을 포함할 때.}
ex) 안섬의 맺음자리(p) = { 안섬쌍(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을 포함할 때.}
212. 여울자리(p) = { 빈울자리(p) or 한울자리(p) or 두울자리(p).}
22. 빈울의 과정 :
221. 여울(빈울(p))의 발생 = { 어떤 빈둑(p)n의 모든 자리(p)가 돌둑(q)m과 이웃하지 않을 때.}
ex) 빈둑(p) = { 빈울(p)의 안섬(p)인 둑(p)이다. }
ex) 빈둑(p) = { 빈울(p)의 안섬(p)인 둑(p)이다. }
222. 여울(빈울(p))의 연장 = { 안섬에 변화가 없는 동안.}
222. 여울(빈울(p))의 완료 = { 안섬인 빈둑(p)이 숨자리(p)를 포함할 때.}
ex) 숨자리(p) = { 둑(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 포함.}
ex) 숨자리(p) = { 둑(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 포함.}
223. 여울(빈울(p))의 벗어남 = { 안섬인 빈둑(p)이 돌둑(q)n과 이웃할 때.}
23. 한울의 과정 :
231. 여울(한울(p))의 발생 = { 어떤 올둑(p)n이 빈둑(p)m을 포함하지 않을 때.}
232. 여울(한울(p))의 연장 = { 안섬에 변화가 없는 동안.}
232. 여울(한울(p))의 완료 = { 안섬인 올둑(p)이 섬자리(p)를 포함할 때.}
ex) 섬자리(p) = { 올둑(p)에 포함된 자리(p)가 오직 하나일 때.}
ex) 섬자리(p) = { 올둑(p)에 포함된 자리(p)가 오직 하나일 때.}
233. 여울(한울(p))의 벗어남 = { 한울의 둘러섬 기능이 변할 때.}
24. 두울의 과정 :
241. 여울(두울이음(p))의 발생 : 아래의 (1 & 2)을 만족하는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자리(p)를 포함하는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하고,
2. 자리(p)에 이웃하는 돌둑(q)n의 유일한 이음자리일 때.
1. 자리(p)를 포함하는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하고,
2. 자리(p)에 이웃하는 돌둑(q)n의 유일한 이음자리일 때.
242. 여울(두울이음(p))의 연장 : 아래의 (1 Nor 2 or 3)을 만족하는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경우1] : 이웃한 돌둑(q)n에 대하여(p → q),
1) { 밖으로, 이웃한 돌둑(q)n의 모든 이음자리가 올둑(p)에 포함된다. }
2) { 안으로, 자리(p)를 포함한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2. [경우2] : 이웃한 올둑(q)n에 대하여(q → p),
가정 q.
1. 올둑(p)에 포함인 자리들에 대하여,
2. 둑(p)를 포함하지 않은 올둑(q)n이 두울조건을 만족하면,
그 올둑(q)n을 안섬쌍(Q)n으로 가정한다. (1~n개)
가정 p.
1. 모든 안섬쌍(Q)n을 돌둑(q)이라 가정한다.
2. 자리(p)를 포함하는 올둑(P)이 두울조건을 만족하면,
그 올둑(P)을 안섬쌍(P)으로 가정한다. (오직 하나만 가능)
만족조건.
1. 각 안섬쌍(P/Q)n이 가정(q. → p.)을 만족한다.
3. 이미 { 여울(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 }
243. 여울(두울이음)의 완료 : 아래의 (1 or 2)를 만족하는 맺음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여울(두울(연속)이음)의 완료 : { 여울일 안섬쌍(p)n이 처음 돌둑(p)으로 완료 -맺음-일 때, }
2. 여울(두울(단속)이음)의 완료 : { 여울인 안섬쌍(p or q)n이 두번째 낳음 -맺음-일 때, }
1. 여울(두울(연속)이음)의 완료 : { 여울일 안섬쌍(p)n이 처음 돌둑(p)으로 완료 -맺음-일 때, }
2. 여울(두울(단속)이음)의 완료 : { 여울인 안섬쌍(p or q)n이 두번째 낳음 -맺음-일 때, }
244. 여울(두울이음)의 벗어남 : 여울(두울이음))의 연장이 아닌 자리(p)에 돌(p)을 받아 놓음이다.
※ 발생과정은 그 우선성이 ( 빈울 → 한울 → 두울 )의 순서이다.
*(08/09/23)
[~] ☆ 진행규칙을 위한 구조용어의 정의 :
[~] ☆ 진행규칙을 위한 구조용어의 정의 :
'바둑..! > 바둑_저장_2'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바둑용어의 재구성 (0) | 2011.01.04 |
---|---|
☆ 바둑 도구(용구)의 형식적 요소 (0) | 2010.02.11 |
☆ 수행규칙을 위한 구조적 정의 : (0) | 2009.05.09 |
☆ 수행 가능한 수행규칙 (0) | 2008.06.09 |
☆ 바둑의 재구성... (0) | 2008.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