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바둑_저장_2

☆ 수행규칙을 위한 구조적 정의 :

온울에 2009. 5. 9. 01:16

ㅇ 구조적 정의

1.
 [바둑 도구의 형식적 구성요소] :  

              { 구분기호(p, q), 표시기호(돌), 표시영역(바탕) }이다.  <-수정: 10/02/11

11. 구분자   (p, q) :  오직 두 종류이고 양립불가능(|)한 구분의 결과이다. 
12. 표시기호   (돌) :  오직 하나의 표시기호이다. 
13. 표시영역 (바탕) : 충분히 유한한 2차원 등간격 직교 좌표 평면이다.     <- 수정: 10/01/06
131. 바탕의 단위 : { 밭 }
1311. [바탕 단위인 밭의 구성요소] :  { 자리, 둑, 밭 }이다.
13211. 자리 :  이 만나는 (극한)이다.
13212.    둑 :   이 마주하는 경계인 (선분)이다.
13213.     직교하는 네 개의 자리 으로 둘러싸인 최소의 (면적)이다. 
<-수정: 10/02/13


※ 첨가 :  대비자 (사용자 or 대국자) =  구분자(p|q) * 표시기호(돌) * 대비(?).      <-수정: 09/05/09

첨가 :>

이웃 관계 = {잇음이거나 맞섬인 관계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1) 잇 음 (동종 이웃 관계) = { 한 종류의 두 자리가 오직 하나의 둑을 사이에 둔 경우이다.}

1.1) 이음 = { 잇음의 잇음은 하나로 기능한다.}

2) 맞 섬 (이종 이웃 관계) = {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두 자리가 오직 하나의 둑을 사이에 둔 경우이다.}

2.1) 마주섬 = {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두 돌_자리둑이 최소한 하나의 맞섬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2.2) 대해서/대하여 마주섬 = { 하나의 돌_자리둑(p)에 대해서 돌_자리둑(q)의 모든 자리가 돌_자리둑(p)의 어떤 자리에 대하여 맞섬인 관계일 경우이다.}

2.3) 서로 마주섬 = { 돌_자리둑(q)이 돌_자리둑(p)에 대해서 마주섬이고, 그리고 돌_자리둑(p)이 돌_자리둑(q)에 대해서 마주섬일 경우이다.}

<: 10/01/06 


2. [돌둑과 섬] :

21
.
돌둑  (동종 이웃 관계를 전제함) :

211. 자리둑(p) or 빈둑(p) or 둑(p)  = { 자리(p) or  둑이음인 이음인 자리(p)n }
212. 돌둑(p)                                  = { 돌(p) or  둑이음인  이음인 돌(p)n }
213. 돌_자리둑(p) or 올둑(p)         = { 자리_둑(p)m과 돌_둑(p)n이 이웃하는 조합 }

22.
:

  221. 섬(q)n = { 올둑(q)n에 포함되는 빈 자리가 없음.} or { 돌둑(q)n에 이웃하는 빈 자리가 없음.}

  222. 맺음자리 = { 올둑(p)을 돌둑(p)로 구체화하는 마지막 빈 자리이다.}    <- 수정: 10/02/13

222. 마주섬(q)n = { 돌둑(p)에 대해서, 돌둑(q)n의 모든 돌(q)이 돌둑(p)과 이웃하고 섬일 때.}

2221. 맞섬 = { 돌둑(q)n의 모든 돌이 돌둑(p)의 돌과 서로 1:1 대응으로 이웃할 때. }

223. 안에섬(q)n = { 돌둑(q)n이 올둑(p)에 포함이고 섬일 때.}        <- 수정: 09/05/09


3. [
여울] :  { 빈울, 한울, 두울 }이다.

31.
[여울의 구성요소] :  { 안섬, 둘러섬 }이다.

311. 안  섬 = { 둘러섬에 의해서 결정되는 결정된 구조.}                <- 수정: 09/05/09
    ex) 안섬(p) = { 돌둑(q)n에 의해서 결정되는 올둑(p).}
312. 둘러섬 = { 어떤 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된 구조.}
    ex) 둘러섬(q)n = { 안섬(p)를 결정하는 돌둑(p)n.}

32.
[여울의 구조] :  < 안섬, 둘러섬 >인 규칙적용의 순환이 가능한 구조이다.
321. 빈울< 안섬 빈둑(p), 둘러섬 돌둑(p)n > :

3211. 안섬 :  둑(p)이다. 
    ex) 자리둑(p) or 빈둑(p) = { 자리둑(p)의 모든 자리(p)가 {자리(p) 혹은 돌둑(p)n}에 이웃할 때.}
3212. 둘러섬 :  돌둑(p)n이다.

322.
한울< 안섬 올둑(p), 둘러섬 돌둑(q)n > :

3221. 안섬 :  섬이거나 섬이 가능한 돌둑(p)이다.
    ex) 안섬올둑(p) = { 섬(인)이 가능한 올둑(p)n의 구조.}
3222. 둘러섬 : 돌둑(q)n이다.

323.
두울< 안섬 쌍(p&q), 둘러섬 쌍(q&p) > : 
3231. 안섬 :  서로 섬이 가능한 올둑(p&q)의 쌍이다.
    ex) 안섬쌍(p)n = { 두울(순환)조건을 만족하는 안섬올둑(p)n.}

3232.  둘러섬 :  안섬 쌍을 둘러싼 돌둑(p&q)n이다.
 

32311. 두울(순환)조건 :
 
 323111.  { 안으로, 안섬쌍(p)이 여울구조(빈울(p))를 포함하지 않는다. }
323112.  & { 밖으로, 안섬쌍(p)에 대해서 마주섬인 안섬쌍(q)n의 수가 둘 미만이다.}  
안섬 (마주섬 or  안에섬)쌍(q)n의 합이 하나 이하이다. }    
    단, 오직 둘 이상의 안에섬(q)n이 단 하나의 올둑(q)에 포함일 경우는 제외한다. 
  <- 수정: 10/01/06

*(08/09/23) ~ (10/01/06)
[~]  바둑의 체계적인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