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체계와 의미.

[ㅍ] 구조화 이론과 사회 행위-기든스

온울에 2008. 5. 7. 10:16

목 차

이론 형성의 과정
정통 이론들의 비판
구조화 이론의 구축
1. 인간 행위 수행
2. 구조
맺음말 :성공적인 사회 행위 이론을 위하여
--------------------------------------------------------------------------------
발행자명 한국인문사회과학원 
학술지명 현상과 인식 
권 8 
호 1 
출판일 1984.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과 사회 행위


김중섭
경상대학교 사회학
1-104-8401-05
pp.81-96

--------------------------------------------------------------------------------

이론 형성의 과정
오늘날 영국 사회학자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저술 황동을 하며, 맏은 사 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학자로서 안토니 기든스(Anthony Giddeng)를 꼽을 수있을 것이다. 1) 1970년 대 초반부터 저작을 내놓기 시작한그는 10년 이 갓넘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여러 권의 저작과 논문들을 써왔으며 또 계 속하여 글을 내놓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아직 그의 이론을 평가할 만큼 충분한 시간이 지났거나 성숙한 이론이 이루어졌다고 보기에는 무리일 것이다. 아직 기든스 자실에게도 자기 이론을 다듬어 가고 있으며 또 이 이 론틀에 따라 오늘날의 사회를 분석하여 이론의 설명력을 키우는 과정일 것이 다. 그러나 과아슨스에 의해 주도되었다고볼수 있는 사회하의 정통적인 찹 의 이론이 무너지면서 여러 이론의 경연장으로 바러어 버린 듯한 또늘날의 사회학 이론 영역에서 우리는 경연장에 나온 이론들의 장단점을 주도 면밀 히 따져보면서 앞으로의 사회학 이론 형성에 받침뜨로 삼아야 찰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아직 섣부르다고 느끼면서도 기든스의 이론적 관심을 따져볼 필요를 갖게 된다.

편의상, 지금까지 기든스에게 나타나는 이론적 관심의 변화는 크게 세 모 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의 고전 사회 이론을 재해석하려는 과정이 있었고, 뒤이어 사회 이론에 대한 이론틀을 세우려고 노력하였으며, 이제는 자실의 이론적 틀에 따라 오늘날 사회에 대하여 분석하려고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초기의 이론적 관심은 마르크스, 베버, 뒤르껭 등 고전 사회학자들에 대한 재해석에 있었다. 그는 「자본주의와칠대 사회 이론」 2) 에서 이 세 사람이 갖고 있는 전반적인 이론적 관심, 방법론, 종교 힐상 분석, 자본주의에 대한 인식 등을 자기의 시카에서 분석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뒤이어 막스 베버 의 정치 사상, 특히 제국주의 후기 시대, 제 I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정치 에의 베버의 기여 등에 대하여 앞에 적은 책의 베버 부분을 보완, 완성시키 고 있다. 3) 뒤에 나온 것뜨로, 종교, 도덕 현상, 국가, 방법론 등 뒤르껭의 전반적인 이론적 관심을 따져 보면서 뒤르껭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 는 글이 있다. 4) 또 이 시기에 나타난 논문으로서, 자본주의 발전에 대한 마 르크스와 베버의 논의를 다시 따져보면서 지금까지의 대립적인 관계로서 파 악한 두 사람의 이론적 관심에 대하여 다시 평가하고 있으며,5)사회 상사의 이론적 전제로 깔펴 있른, 그릇된 뒤르껭 인식을 지적하면시 뒤르껭의 사회 학을 재평가하고 있으며, 6) 또 도덕 헌상에 관한 후기 뒤르껭의 논의에 관심을 갖고 뒤르껭의 정치 사회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7) 그리고 뒤르껭에 나타난 개인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8) 이렇게 그는 우리에게 남겨진 뛰어난 사회학자 마르크스, 베버, 뒤르껭을 중심으로 고전 사회학자들끼 유산을 자실의 눈으로 다시 분쳐,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실의 관심 을 오늘날의 사회 현상, 특히 계급 현상으로 옮겨가기 시작한다. 그는 앞선 사회의 계릅 구조 칟상에 초점을 맞추어 마르~B스를 중심으로 한 종래의 계 급 이론을 비판적으로 다시 따져보며,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와 국가 사회 주의 사회에 나타나는 계급현상을 셜명하려고 한다. 9) 이것은 고전 사회 이론을 다시 점검하며, 오늘날 사회를 설명하는 사회 이론 형성의 징검다리로 파악된다. 그는 이 글에서 '구조화' (structuration)의 개념을 쓰기 시작한다. 둘째 모습은 사회 이론에 대한 관심이다. 그는 이 문제를 1960년대까지 사회학의 주도적인 이론이었던 기능주의에 대한 포괄적인 비판으로부터 출 발한다. 10) 그는 이 글에서 지금까지 쓰여진 구조, 체계, 기능 등에 대한 개념을 다시 정리하면서 것들이 갖는 약점을 지적하며, 이른바 구조화 이론 을 세우기 시작한다. 또 그는 비슷한 시기에 현상학적 사회학, 민속 방법 론, 후기 뷔트낀슈타인 등에 대한 짤막한 비판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주관주 의적 입장에서 행위 수행 (agency), 사회적 삶의 구조화 등 자기의 관심을 절 리하고 있다. 11) 이렇게 전통적 이론에 대한 반박을 기반으로 서투르게나마 거칠게 자기 이론을 세우기 .시작한 기든스는 「사회 이론의 중심 문제들」에 서 구조주의, 해석학 등의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관심을 넓히고, 자기 주장을 좀더 짜임새있게 갖추고 있음을 보게 된다. 12) 그 이글에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자신의 이론 구축에 적절히 쓰기 시작한다.

자신의 이론적인 틀을 세우면서 기든스는 오늘날 사회에 대한 분석에 괄 심을 기울이는 세째 모습을 보여 준다. 「앞선 사회의 계급 구조」 13) 에서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사회를 계급 구조의 측면에서 따져보고 있 는데 「오늘날의 사적 유물론 비판」 14) 에서는 「사회 이론의 중심 문제들」에서 다루기 시작한 오늘날 사회의 권력, 갈등, 모순, 이데올로기, 국가 등의 문제를 앞서 구축한 자신와 이론적 안목에 따라 따져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아직 충분히 논의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을 것이다. 나는 편의상, 지금까지 진행된 기든스의 이론 형성의 과정을위와 같이 세 모습으로 나누어 보았다. 이 세 모습은 제각기 기든스의 사회 이론 구축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게 된다. 전통적인 고전 이론의 재해석, 자신 의 사회 이론의 형성, 오늘날 사회의 분석 등은 모두 기든스가 지향하는 새 로운 사회 이론을 만드는 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나는 이 글에서 서로 이어져 있는 기든스 이론 형성의 세 모습 가운데 사회 이론, 특히 행위 이 론의 부분을 비판적으로 따져보려고 한다. 그의 사회 행위 이론에 대한 논 외는 또늘날의 혼란스러운 사회 이롤의 모습에 비추어 새로운 사회 이론의 구축을 지향하는 기든스의 입장을 이해하며, 분석하는 데 중요한 바탕이 되 리 라고 생각된다.

정통 이론들의 비판
기든스의 .사회 챙위 이론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으로 전통적인 사회 이론 에 대한 그의 진단과 평가를 훑어보자

사회학에서 적어도 1950년대, 1960년대까지 많은 도건이 있기는 하지만 정통적으로 합의된 사회 이론이 있었다. 기든스는 이 합의 이론의 특성으럴 첫깨, 논리틀로서 실증주의 철학치 영향을 받아 인간 행위의 연구를 자연과 학적인 도식에 맞추려고 들었고, 둘째, 방법의 측면에서 기능주의의 영향으 로서 사회 현상에 대하여 자연주의직인 해석을 하였고, 세째, 내총의 측면 에서 산업 시씨 또는 근대화 이론 개렴의 영향을 받아 역사의 진보적일 변 화의 실마리를 산업 사회 친상으로 찾게 되었다는 것으로 정리하고 있다. 15)

이러찬 특징을 가진 정통적인 합의는 철학과 사회과학에서 샘걱나는 실증주 의와 기능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도전을 받아 무너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16)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사회 이론의 영역은 더 이상 정통적인 합치가 이루어 지지 않은 채 의견의 불일치와 혼란의 상태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17)

기든스는 정통적인 합의 이론이 갖고 있는 딱점을 지적하면서, 특히 정통 적인 사회학은 행위 이론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18) 이것은 무엇보다도 자연주의가 사회과차의 철학으로서 군림한 탓이었다. 간단히 말하자면, 자연주의는 행위를 단순히 사회적 요인에 따라 생겨나는 결과로서만 설명한 다. 이 점은 기능주의나 정통 마르크스주의에게 모두 똑같이 적용될 수 있 다. 이럭게 이 이론들은 모두 사회 결정론적인 관점에서 사회 현상을 설명하 기 때문에, 사회 행인 수행자로서 성찰적인 감시를 하는 인간 행위에 래한 설명에, 곧 진정한 의미의 사회 행위 이론을 만드는 데 실패하게 된다. 물론 우리는 파아슨스에게서 행위 이론이 기능주의에 접합시켜 시도되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19) 파아슨스는 '자원주의' (voluntarism)좌 틀을 빌어 인간 행위가 목적 지향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행위자는 여러 목적 가운데 선택한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밟히고 있다. 이러한 파아슨스의 '행위 준거틀' (action frame of reference) 이론에서 인간 행위 수행자(hu- man agent)의 모습은 그가 언급하고 있기는 해도 여전히 그의 설명 도식 에서 벗어나 있다. 20) 무대가 마련되어 있고, 자본은 쓰여져 있고, 역할은 주어져 있으나 신기하게도 배우는 그 장면에 나와 있지 않은 꼴이다. 행동 이 욕구 성향이나 역할 기대에 의해 추진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파아슨스의 행위 준거틀에서 인간은 숙련된 지식을 가진 행위 수행자로서, 적어도 어느 정도 자실의 운명을 움직이는 주인으로서 그려지지 않는다. 이것은 파아슨 스가 사회적 행동에서 판단력과 추리려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탓이다. 21) 기든스는 인간이 행동하면서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을 통하여 자신의 행동 을 성찰적으로 감시하는 존재라고 파악하면서 바로 이 점을 파아슨스가 고 려치 않았다는 것이다. 22)

능동적 자아(I)와 슬동적 자아(me)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성찰 적인 인간 행위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에서 상징적 교섭론은 기능주의가자연 주의 이론들과 달리 정통 사회학 이론 가운데에서는 두드러지게 행위 이론 에 괍심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다. 23) 상징적 교섭론은 사회적 삶을, 목적을 가지고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행위자들의 능동적인 성취로서 그리고 있다. 그것은 미드(G.H, Meed)가 성찰적 의식의 사회적 기원에 대한 설명에시 구 체화한 것처럼 분명히 '주체의 이론'이다. 그러나 기든스는 상징적 교섭론 이 능동적 자아와 수동적 자아의 변증법 관계로 나타나는 성찰 의식을 통하 여 주체적 인간 행위에 대한 설명은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능동적 자아가 어떤 바탕에서 어떻게 생겨났는가에 대하여는 적절히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고 비판한다. 24) 사회적 자아인 수동적 자아의 형싱 과정에서 맡은 역할로서 능동적 자아를 설명할 뿐 그 기원은 애매한 상태로 남겨놓고 말았다. 또 상 징적 교섭론은 자아 형성의 과정에서 인간, 특히 능동적 자아의 성찰적인 모습을 설명하면서 행위 이론의 한 면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것 이 이루어지고 바지어지는 제도적인 수준에서의 분석은 적절히 설명되지 못 했다는 것이다. 25) 이 점은 곧 분화되어 가며, 역사적인 맥락에서 변형되어가 는 사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비판과 이어진다. 기든스는 인간 행 위 주제와 구조 사이의 긴밀한 연관 관계를 강조하며, 사회 이론은 이 두요 소를 모두 잘 설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메문에 그는 구조의 이중성 (duality of structure) 개념을 도입한다. 26) 곧, 구조는 행위 수행과 사회적 실행 (social practic)의 구성으로 만들어지며, 동시에 그 구성이 낑걱나는 슨 간에 존재한다. 달리 말하면, 구조는 사회직 실행이 이루어지며, 또 되풀이 되거나 바꾸는데 쓰이는 도구이면서 아울러 그 과정의 결과라는 것이다.

또, 기든스는 구조의 개념을 따져보면서 구조주의와 기능주의의 입장을 비판하고 있다. 27) 구조주의와 기능주의는 모두 구조의 개념을 이용하고 있 는데, 물론 이 두 이론들 사이에 차이점이 있지만, 대체로 구조를 행위치 굳 어진 유형 (pattern)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개념 속에는 인간 주체의 모습이 없다는 것이다. 28) 기능주의에서는 구조를 사회 관계의 유형에 관련 된 것으로 파악하여, 기능에 의해 작용하는 하나의 도구로서의 서술적인 개념으로 해석한다. 29) 또 같은 구조주의라도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갈래 이기는 하지만, 특히 레비-스트로스 식의 구조주의는 구조를 내재되어 있는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적 삶의 겉에 드러난 현장 밑에 깔려 있는 형 식으로 파악한다. 30) 이때 구조는 서로 치어진 요소들로 이루어진 것이며, 또 여러 물질이 똑같이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형의 성격끌 갖게 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렬게 볼 때, 기능주의에서는 구조와 기능이 밀접하게 이어져 있고, 구조주의에서는 구조와 체계가 뒤섞여 쓰이고 있다. 이에 관 하여, 기든스는 기능주의에서 기능의 목적론이 장놜하거나 그릇되게 적용되 었으니 기능의 낱말을 버리자고 주장한다. 31) 그리고 구조와 체계는 구분되는 것으로 기든스는 이것들을 다시 정의내리고 있다. 곧, 구조는 '사회 체계속성으로서 조직된 규칙과 자윔으로서 단지 "구조적 속성"으로서만 존재 집합체율 사이에 거듭 만들어지는 관계'라는 것이다. 32)

기능주의와 구조주의는 공통적으로 공시성과 통시성, 정체성과 역동성을 구분하여 이론을 주고 있다. 이 이론들은 대체로 주체보다는 객체(대상)에 논의의 우선권을 설정하고, 또 행위보다는 구조를 강조하는 입장을 친하고 있다. 그력기 때문에 이 이론들에서 인간의 행위 수행의 모습과 시간의 개 념이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33) 이것은 곧, 구조와 인간 행위 수행의 밀접한 관계를 깨닫지 못하고 구조의 이중성 개념을 무시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 이론에서 적전한 행위 이론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렇게 정통 사회학 이론의 입장들을 비판하면서 기든스는 새로운 사회 행위 이론의 구축을 지향한다. 다음 부분에서는 그의 행위 이론의 핵심 부 분을 따져보면서 그의 이론을 분석하려고 한다.

구조화 이론의 구축
지금까지의 정통 이론에 대한 비판 속에서, 우리는 '구조화 이론' (theory of structuration)이라고 부를 수 있는 기든스의 주장을 보게 된다. 그는 지 금까지의 정통 이론이 행위 이론을 갖고 있지 않다고 비판하면서, 인간 행 위 수행의 수준과 구조의 수준을 모두 적절하게 설명하는 행위 이론이 민요 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회는 행위자가 황동하는 환경이면서, 아울러 행위 의 조건으로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34)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행위는 사회 속에서 주체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또 그 사회의 조건에 영향을 받아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해가기 때문에 성격상 고정된 상태로서 파악될 수 없다. 이러한 인간 행위의 모습은 주체와 객체(대상)의 이분법, 또는 공지성과 통시성의 이분법을 전제하여서는 적절하게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 행위 이론은 마땅히 이러한 이분법이 극복늰 이론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35)

이제, 기든스가 설명하고 있는 사회 행위 이론을 따져보고자 한다. 1_의 행인 이론에 괄련된 주장들은 「사회하 방텁의 새 규칙들」(1976), 「사회 이론 의 중심 문제들」(1979), 「오늘날의 사적 유물론 비판」(1981)을 비롯한 여러 책과 논문에서 되풀이 되어 나타나면서 다듬어져 왔다. 사회 행위에 관련된 그의 주장은 쉽 단순화될 수 없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나는 다음과 같 은 그림으로 그의 생각을 정리하였다.


나는 이 글에서 편의상, 이 그림을 바탕으로 인간 행위띄 모습인 행위 수 행과 구조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그의 인간 행위에 대한 설명을 따져보떠고 한다.

1. 인간 행위 수행
인간의 사회 행위는 행인를 이골떠가는 수행자가 있뜸을 전제로 깥고 있 다. 기러면서 그 사회 행위는 사회 구조의 배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이 두 요소가 뒤섞여 작용하고 있는 '행위'의 개념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힝위를 '계속되는 행동의 흐름'으로 파악한 가든스는 그것을 "일상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진행 중인 과정에서, 육체적인 인간들의 현실적이거나 관 념상에서의 인과적인 중재의 흐름"이라고 정의를 내린다. 36) 이렇계 행위는 행위 수행자의 행동에 관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잠재적으로 유동성을 갖고 있는 힐실 세계에서의 중재를 경칩하는 행위 수행자는 어떤 틀, 내재화된 가 치나 구조에 얽매여 있는 규정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반드.41 '달리 행동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고 있다. 37) 모든 행위자는 자신이 속한 사회가 형성되어가는 조건에 대하여 많이 알고 있거나, 알 수 있게 된다. 38) 이러한 상호 지식(mutual knowledge)을 통하여 잘위자는 자실의 행위를 하게 되는 테 이때 행위 수행자의 행인 기준으로-키든스는 실리적 의식 (practical con- sciousness)이 작용한다는 것이다. 39) 기든스는 이것을 무의식의 수준에서 바램이 작용될 수 있는 무의식 (Unconscious)이나, 행위자가 의사 소통의 수준에서 표현할 수 있는 지식에 관련된 추리 의식 (discursive consciousness)과 구별괴는 것으로 "기술적으로 행동 과정을 규정하는데 적총되면서도 추리하 여 형식화할 수 없는, 말로 이루어지지 않는 지식"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40) 많은 상호 지식 가운데 실리적 의식의 기준으론 이루어지는 행위에는 성찰 적 감시 (reflexive monitoring)의 성격이 있음을 기든스는 강조한다. 41) 성찰적 감시는 인간 행위의 의도나 목적의 성격과 관련되는 것으로, 인간 행위 의 일상적 모습인 그 의도가 '과정' (Process)이라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42) 그리고 행위의 성찰적 감시는 인간 행위의 깨닫지 못한 조건과 의도하지 않 은 결롸와 함께 작동하고 있다. 교섭 행위의 상황 설정에 대한 감시도 포함 하고 있는 인간 행위의 성찰적 감시의 특징은 인간 행위가 고정되어 있는 것 이 아니라는 점룬만 아니라 동물 행동과 달리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 이것은 행위자가 자신의 행위를 되풀이하거나, 바꾸어 하는 바탈으 로 상호 지식을 활용하며, 또 모든 행위자가 어떨 형태이건간에 자신의 행 동을 합리화하기 때문이다. 기든스는 상호 지식과 행동의 합리화 사이에 실 리적 의식이 자리잡고 있음을 지적한다. 43)

2. 구조
위에서 살펴본 기든스의 행위 수행 개념은 구조의 개념과 떼어놓을 수 없 는 것이지만 된이상 나누었기 때문에 앞으로 논치됨 부분과 접합시켜 이해 해야 할 것이다.

기든스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에 관련되어 있는 구조를, 사회 체계에서 시간과 공간의 결합을 이루어주는 구조적인 속성, 더 정확하게는 구조되어 가는 속성 (Btructuring ProPertied)으로 파악한다. 44) 기든스는 전통적 인 이론이 가지고 있는 굳어진 유형으로서의 구조의 개념을 벗어나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곧 시간과 공간에 따파 바꺽어 가는 구조의 진행적 인 성격을 강조하는 것이다. 45) 이런 배경에서 그는 '구조화'의 개념을 끌어들다. 그는 전통 이론에서 보여 주는 굳어진 유형으로서의 사회 구조를 사회 체계라고 개념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다시 규정하며, 그 사회 쳬계는 행위에 의해 이루어지는 계속적인 사회적 재생산을 통하여 시간과 공간 속에서 틀로 굳어진다는 것이다. 곧, 사회 체계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사회적 실행 으로 구성된 것으로, 되풀이되어 이루어지는 행위의 상호 의존과 관련이 있 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 체계는 행위 수행과 구조의 모습이 뒤섞여 굳어진 틀로서 구조화된 전체라고 할 수 있다. 기든스는 구조적 분석이 바로 이 사 회 체계의 구조화를 따져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46) 여기에서의 구조화의 개념은 '구조의 이중설'과 이어진다 사회 체계의 구 조적 속성은 그 체계를 이루고 있는 사회적 실행의(중개자이면서 아울러 로 결과라는 것이다. 47) 이것은 근본적으로 순환되어 가는 사회적 삶의 성격과 이어지는 것이며, 또 구조와 행위 수행 사이의 상호 의존을 나타내는 것이 다. 인간은 사회적 교섭 과정에서 자실의 행동을 언제나 합리화하는데, 그 행동의 합리화가 구조의 이중성의 맥락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48) 구조의 이중성을 통하여 구조는 언제나 행위 수행과 밀접히 이어지게 된다. 이렇게 기든스는 구조의 성격을 논의하면서, 뒤르껭이 사회적 사실의 성 격으로서 개체에 대한 전체성의 구속력만 강조하고 있으나, 49) 실제로 사회 개인을 구속하는 것만 아니라 변화의 가능성도 같이 부여하고 있다는 것 이다. 50) 구조는 주체(행위자)뿐만 아니라 객체(사회)에도 개입하며, 따라서 동시에 '개인의 성품'과 '사회'를 만든다. 51) 구조는 행위를 가로막는 장벽으로서 이해될 것이 아니라 그 행위를 낳는 데 관련 되는 것으로 과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이중성'외 모습온 구조화 이론의 핵심이다. 이러한 개념을 통하여 기든스는 주체와 객체, 정체성과 역동성 같은 종래의 이론이 보인 이분법을 깨어 버리려고 시도한다. 곧, 구조의 이중성에서 주체와 객 체는 서로 어우러져 있으며, 또, 구조의 이중성은 구조화의 역동적인 과정 으로서 분석될 수 있는 사회적 재생산의 뒤얽힌 모습을 가쑹 잘 보여 주기 때문이다. 52)

기든스는 이러한 성격을 가진 구조의 구성 요소로 규칙 (rules)과 자원(re- Sources)을 들고 있다. 53) 그는 규칙들이 단순히 행동을 규제하는 성격을 갖는 것도 아니고 그 자체의 내용만으로 서술되거나 분석될 수 있는 것도 아 니라는 것이다. 규칙은 사회 체계가 구성되고 다시 짜여지는 과정의 중개자 이면서 또 그 과정의 결과로서 만들어지는 것치다. 그렇기 때문에 규칙들은 사회 전체의 역사적 발전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또 그 사회에 서의 실행들과 긴밀하게 이어져서 존재하게 된다.

기든스는 자원을 설명하는테 권력 개념을 끌어들인다. 54) 지금까지의 행위이론에서 권려 개넘이 다루어지지 않은 것은 사회 행위의 중요한 모습을 지 나쳐 버린 결과를 낳았다. 그것은 사회 이론에서 권력은 인간 행위 수행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권력은 제도적으로 교섭 행위의 과정에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략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쓰이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행위의 개념은 논리적으로 권력의 개념과 이어져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보기로서, 행위 수행자의 "달리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은 권력의 핀수적인 요소로 설명된다. 기든스는 권력 개념을 전통적인 두 이론에서 끌어온다. 55)

하나는 베버의 권력 이론의 건통으로, 권려을 자신의 의지를 성취하는 행위자의 능력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파아슨스에 의한 권력 개념으로서, 56) 권력을 집합체의 속성으로서 파악한다. 이 두 이론을 합하면, 권력은 변형시킬 수 있 는 능력과 1단 내의 지배 형태를 갖게 쥔다. 변형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권력은 행위 수행자의 행동에 따라서 파악되는 특성이고, 지배 형태로서의 권 력은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본 모습이다. 57) 자원은 바로 권력이 행사되는 수단이며 아울러 관의 바탕인 것이다. 58) 기든스는 이렇게 지배 구조를 형성하며, 또 교섭 행위에서 권력 관계를 만들어 주는 자원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그 둘은 사람에게 명령을 발동할 수 있는 능력인 권위화(authorisation)와, 물질이나 대상에 대하여 명령할 수 있는 능력인 분배(allocation)이다. 59)

지금까지 훑어 본 것처럼, 기든스가 규정하고 있는 인간 행위는 주체적인 모습과 사회 구조적인 모습을 다함께 갖고 있다. 기든스는 이러한 모든 인 간의 교섭 행위가 이루어지는 데는 (시도된)의사 소통과 권력의 작용, 도려 적 관계 등 세 요소가 관련되어 친다는 것이다. 60) 이것은 곧 구조차 과정이의미, 궐력, 규범의 상호 작용에 의왜 이루어진다고 밟히고 있다. 61)

맺음말 :성공적인 사회 행위 이론을 위하여
기든스의 말대로 전통적인 사회 이론은 인간의 행위 현상에 대하여 적절하 고 충분한 관심을 기울였다고 보기 힘들 것이다. 아마 이 점은 정통적인 합의 이론이 사라진 오늘날, 많은 주장들이 제각기 다른 모양읖 갖고서 사회 이론 의 영역에 뛰어들어 치고 받고 싸우게 된 원인 가운데 하라일 것이다. 그 많 은 주장들은 한결같이 제법 독창적이고 설명력있는 이론들인 것처럼 내세우 지만 고전 이론들에게 빛을 안지고 있는 것들은 드물다. 기든스의 이론 역시 그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그의 이론도 비판하건 동의하건간에, 또 겉에 드 러냈건 감추고 있건간에, 뒤르껭, 베버, 마르크스에게 빛지고 있으며, 하이덱 거, 하버마스, 미드, 레비-스트로스 등의 해석학, 상징적 교섭론, 기능주의, 후기 구조주의 등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 그의 이론은 다듬어져 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나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중싣으로 오늘날의 여러 이론들이 지향하는 사회 행위 이론의 성공적인 구축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 면서 그의 행위 이론이 갖고 있는 약점을 짤막하게 지적하려고 한다.

첫째, '구조화의 과정'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기든스는 스스 로 자신의 이론을 '구조화 이론'이라고 부를 정도코 구조화의 개넙을 내세 우고 있다. 이 개념은 티리아키안이 지적했듯이 기든스의 독창적인 작품은 아터다. 62) 이것은 기든스가 먼급하지 않은 척러 사랄들의 생카과 이어지겠 지만, 기든스 자신도 데리다(J. Derrida)의 '구조의 짜여짐' (structuring of structure)의 개념과 깊이 이어져 있음을 밟히고 있다. 63) 어쨌든 기든스는 치 구조화의 개념을 도입하여 그것에 구조의 이중성의 특성을 덧붙여 설명 하면서 지금까지의 이론에서 흔히 나타난 객체와 주체의 이분법의 약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는 구조화의 성격을 밟히는 데 주려하면서도, '구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는 소홀히 다루고 있다. 단순히 교섭 행위 과정의 세 가지 요소, 곧 (시도된) 의사 소통, 권력의 작용, 도덕적인 관계 등을 밝히고 있을 뿐, 이것들이 어떤 배경에서, 어떤 기제를 통하시, 어떻게 작총하고 있는지 밟히고 있지 않다. 이론틀이 지나치게 개념적인 수 준에서 머물러 있다면 구체적이고 설득려있는 이론으로 성숙되기 어렬다는 상식적인 사실을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보런적인 행위 이론 은 그 행위가 이루어지는 사회의 역사적 경험이나 문차적 바탕의 특수성을 설득려있게 포용찰 수 있는 이론이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이론틀로의 성 숙과 보편적인 이론의 형성은 이론을 만드는 과정에서 서로 반작총적인 성 격을 갖기 쉼다. 새로운 띠론들은 더욱 이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기든 스의 구조회 이론은 이 두 가지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구조화의 과점 에 대한 짜임새 있는 틀의 형성이 요망늰다. 이런 전에서 그의 이론은 아직 다듬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는 개념 정의에 잔한 문제다. 그는 새로운 많은 용어들을 만들어내 고 있으나 그것들이 적절하고 명료하게 정의내려져 그가 의도한 구조화 이 론의 바탕이 되고 있으라 끼새겨 볼 필요가 있다. 보기를 들어 궐려 개념치 도입이라 구조의 이중성 부각, 구코와 체계의 개넘 구분, 행위 수행과 구조 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 통은 지금까치의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정리하 며 개념을 구체화하는 데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 적 실행, 사회적 재생산, 실리적 의식, 성찰적 감시, 행위 수행, 구조화 등 여러 용어들은 지금까지 쓰여온 개념일지라도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거나 새 로 만들어낸 그의 이론의 핵심적인 개넘들이다. 그런데 전반적으로 이 개념 들은 뚜렷하게 정의내리지 않고 애매하게 쓰이고 있음을 보게 된다. 64)

세째는 무의적인 행위 동기에 대한 설명이 소홀하다는 점이다. 오늘날의 사회 이론이 가지고 있는 괄심사 가운데 하나가 행위의 주체적이고 능동적 인 모습과, 사회 구조적인 영향이나 틀속에서 이루어지는 수동적인 모습의 접합일 것이다. 곧, 이분법으로 이 둘을 떼어놓아 어느 한편도 소홀히 다루 지 않고, 동시에 그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틀을 짜려는 시도들을 보게 된다. 65) 기든스도 행위 수행 개념을 통하여 사회, 구조, 제도 등에서 나타 나는 행위자의 능동적인 모습을 강조하지만, 실제로 인간의 행위 수행자의 형성이나 출현은 실제적이거나 정신적으로 사회 세계와 물질 세계와의 무의 식적인 조화나 적응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 행위 수행 자도 만들어진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66) 행위 수행자는 행위에 대한 성찰 적인 감시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행위의 원인이 의식적, 무의 식적으로 사회적 실체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런데 기든스는 실리적 의식 의 요소와 상호 지식에 관편된 부분적인 모습만 불완전하게 발혔을 백, 행 위에 대한 무의식적인 동기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애매하게 남아 있다. 이 에 관련되어 행위 수행자에 대한 기든스의 설명은 그가 거부하고자 하는 주 체와 객체, 의지의 의식과 무의식의 이분법을 충분히 극복하지 못한 채 여 전히 설명의 바탕에 그러한 이분법을 깔고 있다. 67)

위에서 지적찬 세 가지의 포괄적인 약점은 서로 이어져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 행위의 어떤 속성을 구조화라는 개념을 빌어서?파헤쳤다고 .하 더라도 '구조화의 과정'에 대한 설득력있는 설명 도구가 핀요할 것이다. 곧, 기든스가 주장하는 '구조화'의 과정에 대한 설득력있는 설명력을 가질 때 무 의 식 과 의 식 (실리 적 의 식 을 포함하여 )의 관계 와 주체 (행위자)와 객체 (사회 )에 대한 이분법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론의 설명력에 관련된 이러 한 문제는 오늘날의 여러 행위 이론이 풀어야 할 과제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

각 주
1)오늘낱 영국 사회학의 모습을 설명하는 짧막한 다음 글 존 렉스, "영국 사회학 :1960-1980"(박종선 옳김). 「사회학 연구」, 첫째책 (1984) 볼 것.
2) Ca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우리말 옳긴 글로 「資本主談와 現代減會獵論」(林榮- ·朴魯英 옮김)(서울 : 한길사, 1981) ,
3) Politics and Sociology in the Thought of Marz Weber (London: Macmillan,1972) 우리말 옮긴 글로 「막스 배버의 정치 사회학」(김성건 옮김) (서을 :대영사, 1981) .
4) Durkheim(Glasgow: montana, 1978) 우리 말 옮긴 글로 「에밀 뒤르껭 硏究」 (金義順 ·金怒惠 壽김) (서울 한길사, 1981).
5) "Marx, Weber and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Sociology, 4 권 (1970) .
6) "Four Myths in the History of Social Thought," Economy and Society, 1권(1972).
7) "Durkheim's Political Sociology " Sociological Review, 20 권 (1972) ,
8) "The ' Individual' in the Writings of Emile Durkheim, " Arhives Europeene de Sociologie, 12권(1971). 달음 』), 5), 6), 7), 8)의 네 논문은 기든스의 논문모임인 Studies in Social and Political Theory(London: Hutchinson, 1977)에 실려 있음.
9) The Class Structure of the Ad vanced Societies (London: Hutctinson, 1973) . 우리말로 정수(종로 서적, 1982)과 정대연(學文社, 1982)이 제각기 옳겨놓고 있다.
10) "Functionalist: apres la lutte, " Social Reserarch, 43권(1976). 이것은 Studies in Social and Political Theory(1977)에 있음. 우리 말 옮긴 글로 "구조 기능주의의 비판적 재인식" (김중섭 옮김), 「현상과인식」, l권 I호(1977 봄),
11) New Rules of Socilogical Method : A Positive Critique of Interpertaive Socioloies (New York: Basic Books, 1976) (이 책은 앞으로 New 로 줄여 씀)
12) Central Problems in Social Theory:Action, Structrue and Contradinction in Social Analysis(London::Macmillan, 1979)(이 책은 앞으로 Central Problems로 줄여씀).
13) The Class Structrue of the Advanced Societies.
14) A Contemporary of Historical Materialism(London:Macmillan 1981)(이 책을 앞으로 A Contemporary Critique 줄여 씀),
15) "Hermeneutics and Social Theory, " Profiles and Critiques in Social Theroy(London: Macmillan, 1982) 1-3 쪽 : Central Problems, 235-238쪽.
16) "Hermeneutics and Social Theory," 3 쪽.
17) 윗글 ; Central Problems, 234쪽.
18) 윗글, 7장 볼 것. 특히 253-257쪽.
19) Talcott Parsons,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Glencoe: Free Press, 1937) ,
20) Anthony Giddens, 윗글, 51-52쪽 ; New Rules, 94-96쪽.
21) 윗글, 95쪽.
22) Contral Problems, 254 쪽.
23) 윗글, 50쪽, 254쪽 : New Rules, 22쪽.
24) 윗글 볼 것.
25) 윗글, Central Problems, 121쪽.
26) 이 개념은 New Rules 이후 지금까지 쓰여진 기든스의 글에 나와 있는 중심 개념이므로 그의 글들 여러 곳 볼 것,
27) "구조 기능주의의 비판적 재인식" : New Rules, and 21-22쪽, Central Problems, I장, 50-53쪽 및 여러곳 볼 것: A Contemporary Critique, 17-19쪽.
28) "구조 기능주의외 비탈적 재인식"
29) Central Problems, 60쪽.
30) 윗글, 22-28쪽.
31) "구조 기능주의의 비판적 재인식," l27-131쪽,
32) Central Problems, 65-67쪽과 76-81쪽; "Action, Structure, Power," Profiles and Critiques Social Theory, 특히 32∼36쪽.
33) 윗글, 29쪽.
34) Central Problems, 51 쪽.
35) 윗글, 2-5쪽-이것은 그의 행위 이론이 지향하는 핵심 가운데 하나이다.
36) Newk Rules, 75 쪽 : Centrual Problems, 55쪽.
37) 윗글, 56쪽.
38) 윗글, 여러 곳, 특히 2장 볼 것.
39) 윗글, 57쪽 볼 것.
40) 윗글.
41) 윗글, 57쪽 볼것,
42) 윗글.
43) 윗글, 58쪽
44) 윗글, 64쪽과 103쪽 : A Contemporary Critique, 52쪽과 4장 볼것.
45) 윗글, 여러 곳 볼것
46) Central Problems, 64쪽.
47) 윗글 여러 곳 볼 것 ; Profiles and Critiques in Social Theory, 36-38쪽; New Rules, 121쪽.
48) 행동의 합리화에 환한 것은 New Rules, 81-86쪽 : Central Problems, 216쪽 볼 것.
49) Emile Durkheim, Rules of Sociological Method (Glencoe: Free Press, 1964 . 우리말 옳긴 글로 「사회학 방법 의 규칙」 (박영신 ·차성환 옳김)(서을 : 헌상과인식, 1984).
50) New Rules, 161쪽.
51) Central Problems, 70쪽 .
52) New Rules, 127쪽.
53) Central Problems, 2· 3장 볼 것,
54) 윗글, 3장 볼 것,
55) 윗글, 88-91쪽,
56) "Power in the Writings Of TaIcott Parsons," Sociology, 2권(1968). 또는 Studies and Social and Political Theory, 333-346 쪽.
57) Central Problems, 2장 볼 것.
58) 윗글, 91쪽.
59) 윗글, 91-94쪽과 3장 볼 것,
60) 윗글, l27쪽.
61) New Rules, 161쪽.
62) 티리아키안(Edward A. Tiryakian)의 New Rules에 대한 짧막한 서평 볼 것.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권 4호(1978년 I월), 1022-1025 쪽. 그는 이글에서 이미 구조화 이론에 관련된 개념들이 나왔었음을 밝히며 독창적인 생각이 없다는 점등에서 그 책을 혹평하고 있다.
63) Central Problems, l장 볼 것.
64) Fred R. Dallmayr, "The Theory of Structuration: a Critique," Anthony Giadens Prorfiles and Critiques in Social Theory, 18-27쪽. 구조, 시간과 공간의 관계, 행위 주체 등 여러 개념들의 애매한 쓰임새에 대할 지적을 볼 것,
65) 이에 관하여, 최근에 우리 말로 나온 글로, 박영신, "역사 구조적 접근의 일반 원리," 「사회학 연구」, 첫째책 (1984) 볼 것 .
66) Barry Smart, "Foncault, Sociology, and the Problem of Human Agency, " Theory and Society ll권 2호(1982. 3) 특히 1330136쪽 볼 것:
67) 윗글, 1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