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 바둑의 이해와 대학 바둑학과 학생들의 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목 차 I. 序論 II. 바둑의 歷史 1. 바둑의 起源 2. 한국바둑의 歷史 III. 바둑계의 現況 IV. 바둑의 學問的 意義와 背景 V. 硏究 方法 1. 연구의 대상 2. 질문지 작성 VI.結果 1. 연구대상의 요인별 분석 2. 설문내용의 분석 VII.結論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藝體能論集 ISSN 권 9 호 출판일 1998. . . 바둑의 이해와 대학 바둑학과 학생들의 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Baduk and an Examin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Baduk Major College S..

[=]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에 대한 연구

목 차 Ⅰ. 서론 1. 바둑수 위치에 대한 기존의 표시 방식의 문제점 2. 표준화된 바둑 수 위치 표시 방법의 필요성 3. 이종민의 천원 기점의 좌표 표시법 1) 천원 기점의 좌표 표시법의 문제점 4. 4개 귀를 기점으로 하는 새로운 좌표 방법 Ⅱ. 연구방법 1. 피험자 2. 실험도구 1) 평가지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두 가지 좌표방식에 따른 문항별 정답률에 대한 집단 간 차이분석 2. 좌표방식에 따른 착점 속도 차이분석 3. 문항별 표준점수와 기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1. 구좌표와 귀 기점 좌표의 효율성 -------------------------------------------------------------------------------- 발행자명 명..

[=] 아마추어 기사의 직업관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목 차 Ⅰ.서론 Ⅱ. 아마추어 기사의 실태 1. 아마추어 기사의 개념 2. 아마기사의 직업활동 3. 아마기사의 특징 1) 바둑을 배우게 된 동기 2) 직장생활 3) 승부에 대한 태도 4) 바둑에 대한 관념 5) 프로입단에 대한 시각 4. 아마기사의 직업관의 의미 Ⅲ. 아마기사의 생활과 직업관 1 직업에 대한 인식 2.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 3. 아마기사의 일상생활 4. 경제활동과 금전에 대한 관념 5. 바둑에 대한 관점 및 자세 Ⅳ. 아마기사의 문화에 대한 해석 1) 특수한 영역-바둑인의 세계 2) 바둑의 마력 3) 학력주의의 폐해 4) 프로기사 활동의 모사 5) 자유로운 한량의 삶 6) 보이지 않는 좌절감-회한과 원망 Ⅴ. 결론 ---------------------------------------..

[=] 바둑기술의 문제해결적 접근

목 차 Ⅰ. 서론 Ⅱ. 바둑기술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 1. 전통적 바둑학습법의 종류 1) 형태적 지식 암기 2) 원리적 요령 이해 3) 문제풀이 학습 4) 실전기보 감상 2. 전통적 바둑학습법의 제한점 Ⅲ. 문제해결적 관점의 접근법 1. 문제해결의 개념 2. 문제해결적 접근의 의미 3. 바둑 문제해결의 단계별 과업 1) 상황 분석 2) 목표 설정 3) 가능한 수단 찾기 4) 수의 변화 추리 5) 선악판단 6) 착수선택 Ⅳ. 바둑학습과 문제해결적 접근법 1. 바둑 문제해결을 위한 방략 2. 문제해결 방략의 적용 Ⅶ. 결론 -------------------------------------------------------------------------------- 발행자명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학술지명 ..

[ㅍ] 計算機를 活用하여 問題 解決 指導를 위한 瓷料 開發에 대한 硏究

목 차 Ⅰ. 서론 Ⅱ. 초등 학교 수학과 계산기 1. 수학교육에서 계산기의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 (1) 학생들이 계산기를 사용하면 그들은 생각하지 않는다. (2) 계산기는 학생들의 수학 학력에 해롭다. 2. 수학교육에서의 계산기 (1) 개념 학습에서의 계산기 (2) 문제 해결에서 계산기 (3) 기초 기능을 계발하는 데 있어서의 계산기 (4) 평가에 있어서의 계산기 (5) 계산기의 잘못 사용 Ⅲ. 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문제 해결 1. 1학년 교육 목표 2. 2학년 교육 목표 3. 3학년 교육 목표 4. 4학년 교육 목표 5. 5학년 교육 목표 6. 6학년 교육 목표 Ⅳ. 계산기를 활용한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1. 규칙 찾기 (1) 수를 통한 규칙 찾기 (2) 수 규칙을 찾는 게임 (3) 연산 규칙..

[ㅍ] 문장의 정보구조와 대명사의 지시

목 차 1.서 론 2.대명사의 특성 3.정보구조에 따른 대명사의 지시적 의미 3.1기능원리와 제약 3.2대명사 해석규칙과 체계 3.3규칙체계의 적용과 이론의 장점 4.결 론 -------------------------------------------------------------------------------- 발행자명 안양대학교 人文科學硏究所 학술지명 人文科學硏究김영숙교수 회갑 기념논문집 권 3 호 1 출판일 1995. 문장의 정보구조와 대명사의 지시 A Functional Approach to English Pronoun Re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a sentence 정은구 (Chung, Eun-Ku) 안양대학교 영어영문과 조교수 2-1..

[ㅍ] 노동법과 자기결정권

목 차 Ⅰ왜 자기결정권인가? Ⅱ노동법상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구분 1자기결정권의 의의 2개인적 차원의 자기결정권 3집단적 차원의 자기결정권 1)독일에서의 논의 : 공동결정에 대한 보편적인 권리 2)공동결정권의 구체적 형태 Ⅲ자기결정과 종속성 1근로계약에 의한 자기결정과 종속성 2자기결정의 이중구조 3국가적 조력에 의한 자기결정의 실질화 4집단적 자기결정의 의의 Ⅳ근로자의 자기결정권과 근로조건법 1근로조건법의 내용 1)노동보호법과 근로계약법의 구분 2)근로보호법과 근로계약법의 관계 2근로조건에 대한 근로자의 자기결정권 1)근로조건에 대한 근로자 자기결정권의 의의 2)근로조건법에 의한 자기결정의 부정원칙과 예외 3근로조건법에 의한 자기결정 부정의 원칙 1)근로조건법에 의한 자기결정 부정의 원칙의 정당화 2)근..

[ㅍ] 의사 소통 중심 교실에서의 효과적인 듣기 지도 방안

목 차 Ⅰ. 서 론 Ⅱ. 외국어 습득에서의 듣기의 과정 1.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 2. Brown(1994)에 한 청해의 상호 작용 모델 3. 듣기 능력을 이루고 있는 요소 Ⅲ. 의사 소통 중심 교실에서의 듣기 지도 원리 1. 듣기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 2. 듣기 수업에서 학습자 역할 3. 듣기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Ⅳ. 의사 소통 주임 듣기의 지도의 실제 1. 의사 소통 중심 듣기 수업의 모형 2. 의사 소통 중심 듣기 활동 가. 정보차 듣기 활동 (information gap) 나. 듣고 생각하기 활동 (listen and think activity) 다. 동화를 듣고 바뀐 내용 알아 맞추기 라. 직소 듣기(jigsaw listening) 마. 노래를 듣고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기 바. 유명한 탐..

[ㅍ] GATT에서 WTO로의 분쟁해결제도의 변화

목 차 1. 서 론 2. 거래비용 경제학과 신제도주의 국제정치이론 3. 국제제도의 네 가지 기능 1) 규칙의 제정(rule-making)과 관련된 제도의 기능 2) 감시(monitoring)와 관련된 제도의 기능 3) 분쟁의 해결(dispute settlement)과 관련된 제도의 기능 4) 실행과 관련된 제도의 기능 4. GATT에서 WTO로: 합의에 기반한 중재기구(consensus-based arbitration)에서 강제적인 판정기구(compulsory adjudication)로의 변화 1) GATT 분쟁해결기제 2) WTO의 분쟁해결기제 -------------------------------------------------------------------------------- 발행자명 서울대..

[ㅍ] 의미역 계층이론과 국어의 주격, 대격

목 차 1. 머리말 2. 문제 제기 3. 선행 연구 3.1. 주격과 대격을 도출하는 3가지 방법 3.1.1. 통사구조로부터의 도출 3.1.2. 의미역 계층(thematic hierarchy)으로부터 도출하는 방법 3.1.3. 주제화 계층(topicality hierarchy)으로부터의 도출 4. 용어 정의 4.1. 의미역과 논항구조 4.2. 고유논항과 부가논항 5. 문제 해결 5.1. 의미역의 중화 5.2. 의미역이 없는 논항 5.3. 수동태의 연결 규칙 6. 남은 문제들 -------------------------------------------------------------------------------- 발행자명 한국어학회 학술지명 한국어학 ISSN 1226-9123 권 13 호 출판일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