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논문 자료들. 101

[ㅍ] Mathview를 활용한 함수교육

목 차 1. 함수의 연산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2. 절대값 기호가 붙은 식의 그래프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3. 유리 함수의 그래프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4. 점근선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5. 이차곡선의 개형익히기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6. 공간도형과 좌표평면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7. 지수함수의 극한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3) 일반화 4) 지필환경과의 비교 8. 미분계수와 도함수의 의미 1) 개요 2) 교수-학습 방법 ..

[ㅍ] 폭력의 대위법

목 차 Ⅰ.장막에 가린 폭력의 오페라 Ⅱ.Macbeth의 불안인가, 16세기 영국 사회의 불안인가 Ⅲ.공포와 폭력에 취한 극, Macbeth Ⅳ.마녀들의 오페라-성, 언어, 폭력의 무대에서 1.세 마녀와 Lady Macbeth의 사중창 2.기호체계의 혼란 3.선과 악, 죄의식, 공포 Ⅴ.신화의 어둠을 걷어내기 -------------------------------------------------------------------------------- 발행자명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술지명 연세학술논집 권 27 호 1 출판일 1998. 2. 20. 폭력의 대위법 (-Macbeth 시론(試論)) 이종도1) 연세대 석사 2학기 4-223-9801-08 ---------------------------------..

[ㅍ] 과학주의비란-비트겐슈타인

발행자명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학술지명 원우론집 권 24 호 1 출판일 1996. 8. 26. 비트겐슈타인의 과학주의 비판 우환식 연세대학교 박사3학기 4-222-9602-07 -------------------------------------------------------------------------------- 1.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언어에 대한 철학적 관심은 프레게와 럿셀 등의 철학자들이 기호논리학을 발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이상언어를 구축하고자 한 데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경험론적 입장에서 이를 수용한 논리실증주의자들은 검증이론을 기초로 통합과학을 완성시킴으로써 과학적 세계관을 세우고 기존의 철학적 활동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 후의 형식언어 및 통합과학의..

[ㅍ] 의식존재론-후설

목 차 I. 無前提性과 嚴密學의 이념 II.Husserl의 인식과 철학적 반성 1. 의식의 비판 2. 존재의 비판 III. 의식이 指向性과 相關者로서의 경험세계 3. 心理學主義와 정신과학 일반 4. 指向性 (Intentionalitat) - 충족된 의식 5.현상학의 개념 - 事態와 體驗流 6. noesis - noema 구조 7.의식존재의 存在論的 해명 IV.와 선험적 주관의 통일 8.自然的 態度의 극복과 현상학적 還元 9.순수의식의 地平 10.共同主觀性과 明證性 V.현상학의 科學性 개념 -------------------------------------------------------------------------------- 발행자명 中央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학술지명 人文學硏究 권 25 호 1 출판..

[ㅍ] 비주관적 현상학과 진동의 철학-파토쉬카

목 차 1.들어가는 말 2.생애와 활동 3.진동(Amplitude)의 철학 1)철학의 유형 2)정신적 인간과 문화적 인간 3)격동(Ersch?tterung)의 삶 4.비주관적(asubjektiv) 현상학 1)궁극적 기초로서 나타남(Erscheinen) 2)세계와 타자 5.나가는 말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ISSN 1226-9379 권 26 호 1 출판일 2001. 10. 30. 파토쉬카의 비주관적 현상학과 진동의 철학 홍성하 (Hong, Seong-Ha) 우..

[ㅍ] 종교현상학

목 차 1.들어가기 2.초대 기독교에서 현사실적 삶의 경험 3.아우구스티누스와 신플라톤주의 4.맺음말: 철학적 탈-신론자 하이데거 -------------------------------------------------------------------------------- 발행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명 인문학연구 권 5 호 1 출판일 2000. 12. 31. 하이데거의 종교 현상학 김재철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2-397-0001-04 -------------------------------------------------------------------------------- 1.들어가기 젊은 하이데거는 초기 그의 강의에서 "삶의 현사실성"1)을 자신의 철학적 근본주..

[ㅍ] 무의 자리지기

목 차 1.'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2."형이상학적 물음"이란? 3."무(無)란 무엇인가?" 4.무(無)의 자리지기인 인간 현존재 5.형이상학과 무 6.현존재와 무 7.우리의 "형이상학적" 과제 -------------------------------------------------------------------------------- 발행자명 한들 학술지명 현대철학 강좌 권 2 호 1 출판일 1999. 인간은 무(無)의 자리지기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설) 이기상 한국 외국어대학교 2-529-9901-03 pp.67-88 -------------------------------------------------------------------------------- 1.'형이상..

[ㅍ] 현존재의 존재세계

목 차 1.머리말 2.현존재 분석 3.현존재의 세계성 4.현존재의 공간성 5.맺음말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 ISSN 1225-9379 권 17 호 1 출판일 1999. 현존재의 존재세계 (공간성을 중심으로) Being-world of Dasein 성홍기 (Sung, Hong-kee) 계명대학교 철학과 강사 1-066-9902-05 pp.95-109 국문요약 한글 요약 공간성을 문제로 삼는 궁극적인 의도는 물론 공간 그 자체의 파악에 있다. 이를 공간성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존재자를 통하여 우리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지는 것은 공간이 ..

[ㅍ] 칸트 해석(하이데거)

목 차 1.들어가는 말 2.인식의 요소와 통일 1)인식 일반 : 직관과 사유 2)순수직관인 시간과 사유(개념과 범주) 3)인식의 통일: 근원적 종합 3.범주의 선험적 연역 1)범주연역의 규정, 과제와 목표 2)선험적 연역의 두 길 (1)통각에서 시작하는 길 (2)아래로부터, 즉 경험적인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길 4.맺는 말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ISSN 1226-9379 권 26 호 1 출판일 2001. 10. 30. 하이데거의 칸트 해석 (『순수이성비판』의..

[ㅍ] 철학의 종말과 주체의 미래

목 차 1. 현대철학과 반휴머니즘 2. 철학의 종말과 과학기술 3. 휴머니즘 또는 형이상학의 극복과 회상적 사유 4. 하이데거의 탈윤리적 사유 5. 전체성의 이념과 자기의식에 토대한 휴머니즘 6. 무한성의 이념과 타자와의 관계 7. 존재론과 형이상학 8. 개방성과 주체성 : 상처받을 가능성과 고통 -------------------------------------------------------------------------------- 발행자명 西江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학술지명 人文硏究論集 ISSN 권 27 호 출판일 1999. . . 철학의 종말과 주체의 미래 강영안 5-815-9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