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사유..!/논문 자료들. 101

[ㅍ] 사회구조와 행위주체

목 차 I.서 론 II.고전이론가들의 사회구조에 대한 견해 III.사회구조에 대한 주요 입장들 1.거시사회적 속성으로서의 사회구조: 거시구오론적 논의 2.개인들로 구성된 것으로서의 사회구오: 미시구조론 적 논의 3.사회관계 체계로서의 사회구조 4.가상적 규칙과 자원으로서의 사회구조: 기든스의 논 의 IV.사회구조, 문화 그리고 행위주체 V.결 론 -------------------------------------------------------------------------------- 발행자명 啓明大學敎 社會科學硏究所 학술지명 社會科學論叢 권 17 호 1 출판일 1998. 사회구조와 행위주체 Theoretical Perspectives on Social Structure and Human Agency..

[ㅍ] 형식지시적 해석학-하이데거

목 차 1. 현사실적 삶의 형식지시적 해석학적 현상학 2.현존재의 형식지시적 해석학 3.1929-30년 겨울학기에서 형식적 지시 -------------------------------------------------------------------------------- 발행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명 인문학 연구 권 2 호 1 출판일 1997. 하이데거에 있어서 형식지시적 해석학 (1919년과 1929/30년 사이에 현상학의 새로운 전향) 김인석 숭실대학교 철학과 강사 2-397-9701-02 pp.41-65 -------------------------------------------------------------------------------- 형식적 지시(f..

[ㅍ] 침묵

목 차 예비진술 본론 1키에르케고르(Kierkegaard) 2니체(Nietzsche) 3하이데거(Heidegger) 4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 맺음말 -------------------------------------------------------------------------------- 발행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명 인문학연구 권 1 호 1 출판일 1996. 10. 침묵(Das Schweigen) (키에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 그리고 비트겜슈타인에서의 침묵 개념에 대한 철학적 진술 1)) Das Schweigen 볼파르트(G.Wohlfart),부퍼탈 구연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2-397-9601-05 pp.176-198 본 ..

[ㅍ] 존재물음의 확증(하이데거)

목 차 1.형이상학의 존재물음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2.칸트의 존재 설명 1)존재는 실제적 술어가 아니다. 2)존재는 절대적 정립, 지각이다. 3.지각의 구조인 지향성과 존재 4.존재는 지향적 향해 있음에 열어밝혀져 있다. 5.존재는 인간 현존재에게 열어밝혀져 있다. 6.맺는말-형이상학의 존재물음과 칸트의 존재물음 -------------------------------------------------------------------------------- 발행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명 인문학연구 권 1 호 1 출판일 1996. 10. 칸트의 '존재 테제' 해석을 통한 하이데거 존재물음의 구체적 확증 황경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2-397-9..

[ㅍ] 페미니스트 교육학연구

목 차 Ⅰ. 시작하는 말 Ⅱ. 페미니스트 연구방법의 등장배경 Ⅲ. 페미니스트 연구방법의 인식론적 틀 1. 페미니즘과 인식론적 문제들 2.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연구 지향점 Ⅳ. 페미니스트 이론과 연구방법 1. 전통적 페미니스트 연구방법 2. 근대 후기 페미니스트 연구방법 Ⅴ. 교육학에서의 페미니스트 연구방법론 Ⅵ. 맺는 말 -------------------------------------------------------------------------------- 발행자명 한국교육인류학회 학술지명 교육인류학연구 ISSN 1229-3911 권 5 호 1 출판일 2002. 교육학에서의 페미니스트 질적 연구방법의 틀1) A Framework of Feminist Research Methodology in Ed..

[ㅍ] 부교의 무아와 자기실현-융

목 차 Ⅰ. 서론 Ⅱ. 우파니샤드의 아트만 사상 Ⅲ. 초기 불교 및 부파 불교의 존재론적 무아 사상 Ⅳ. 유식불교의 인식론적 무아설 Ⅴ. 분석심리학에서의 자아와 자기 Ⅵ.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Ⅶ. 결론 -------------------------------------------------------------------------------- 발행자명 韓國宗敎敎育學會 학술지명 宗敎敎育學硏究 ISSN 권 15 호 출판일 2002.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Anatman Theory of Buddhism and Jung's Self Realizzation 정현숙 鄭賢淑 (Chung, Hyun-Sook) 3-398-0202-15 국문요약 불교의 무아설을 인도의 전통적 아트만 사상과 ..

[ㅍ] 시대와 자연학적 인식-최한기

목 차 1. 최한기 철학의 문제 의식 2. 소통[通]과 인식 3. 인식의 세 가지 요소 4. 본유 관념의 부정 5. 지식의 기원 6. 감각과 사유의 종합 7. 증험 8. 맺음말 -------------------------------------------------------------------------------- 발행자명 漢陽大學校 韓國學硏究所 학술지명 韓國學論集 ISSN 1229-196X 권 36 호 출판일 2002. . . 최한기의 시대 인식과 자연학적 인식론 김용헌 2-058-0201-02 -------------------------------------------------------------------------------- 1. 최한기 철학의 문제 의식 최한기는 자신이 살던 19세기..

[ㅍ] 토대론의 유효성-데까르트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토대론적 전략과 데카르트의 유산 3. 경험에 주어진 것으로서의 내성적 믿음 4. 토대론이 해결해야 할 남은 문제들 5. 나오는 말 -------------------------------------------------------------------------------- 발행자명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학술지명 철학탐구 ISSN 권 13 호 출판일 2001. 현대 인식론에서 데카르트식의 토대론적 전략은 유효한가? 홍병선 2-210-0101-02 -------------------------------------------------------------------------------- 1. 들어가는 말 지식의 가장 이상적인 모델을 확실성을 근간으로 하는 토대론적 ..

[ㅍ] 개념과 행동

목 차 Ⅰ.정치담론과 정치적 삶의 연관성 Ⅱ.행위 변화를 설명하는 두 가지 방법 Ⅲ.실증주의 ‘정치’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 1.권력중심의 도구주의적 성격 2.묘사-규범 이분법에서 비롯되는 탈규범성 3.객관주의의 억압성 Ⅳ.결론: 하나의 정치적 행위로서 담론적 실천 -------------------------------------------------------------------------------- 발행자명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지명 社會科學硏究Chung Ang Journal of Social Sciences 권 14 호 1 출판일 2002. 2. 25. 개념과 행동 (정치개혁의 인식론적 전제에 관하여) Concepts and Behavior (On the Epistemological ..

[ㅍ] 노자 25장

목 차 1.존재와 깨침의 문 사이에서 2.본원존재로서의 도 3.존재와 언어의 긴장관계 4.존재의 자연성에 기대어 5.영속적 존재의 깨침 -------------------------------------------------------------------------------- 발행자명 새한철학회 학술지명 철학논총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ISSN 1226-9379 권 26 호 1 출판일 2001. 10. 30. 『노자』 제25장의 존재론적 검토 이종성 (Lee, Jong-Sung) 충남대학교 ( Chungnam National Univ. ) 1-066-0104-09 국문요약 『노자』제 25장은 노자철학의 핵심주제라고 할 수 있는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