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바둑..! 151

[=] 추상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바둑과 체스의 차이

추상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바둑과 체스의 차이 20030156 김현우 서문 바둑은 요(堯)·순(舜)임금이 자식교육을 위해서 창시했다고 하고, 또는 하왕조(夏王朝) 걸왕(桀王)의 신하 오조(烏曹)가 만들었다고 하는 전설도 있으나, 어느 것이나 확실하지 않다. 발생지와 시기에 대하여 몇 개의 가설은 있으나, 3000년쯤 전인 고대중국의 선진지대(先進地帶)에서 바둑의 원형이 형성되었다고 보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한편 체스는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차투랑가(chaturanga)가 유럽에 전해진 뒤 서서히 변형되어 15세기 무렵 지금 쓰이는 국제규칙이 확립되었다. 체스의 어원은 페르시아어의 샤(왕이라는 뜻)이다. 1924년 세계체스연맹이 창립되었고, 86년 가맹국은 125개국이었다. 동서양의 가장 대표적인 두뇌게임..

[=] Analyzing GNU Go's moves

Analyzing GNU Go's moves Park Young-ki (cncpp@hanmail.net) KAIST, South Korea August 11, 2004 Abstract. GNU Go는 바둑을 두는 free program이며 top commercial go program에게 1-2점 놓고 두면 비슷한 수준이다. 이 논문에서는 GNU Go가 바둑을 두는 기본적인 과정을 살펴보고, GNU Go와 바둑을 둔 사례를 통하여 컴퓨터 바둑의 문제점과, 앞으로 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 Introduction 1장에서는 컴퓨터 바둑과 GNU Go에 대한 소개를 한다. 1장 1절에서는 체스와 바둑의 비교를 하고 1장 2절에서는 Go++를 간략히 소개한다. 1장 3절에서는 GNU Go에 대..

[=] 생물학과 바둑학

생물학과 바둑학 20010418 생명과학과 임정은 목차 Ⅰ Introduction 1.1 생물학이란? 1.2 바둑이란? Ⅱ 학문으로서의 바둑과 생물 2.1 Network적 구조 2.2 새로운 것의 발견 2.3 이단(異端) Ⅲ 결론 Ⅳ References 자연과학으로서의 생물학과 바둑은 얼핏 보기에는 어떤 연관성도 있어 보이지 않는다. 바둑학 이라는 용어 또한 1997년 명지대학교에서 예체능 체육학부 바둑지도학으로서 출발하여 98년도 세계에서 최초로 대학의 “과”로 인정이 되면서 생겨나게 되었다. 하지만 바둑은 그 원리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빼놓고는 설명하기가 힘들다. 자연과학의 주춧돌 역할을 하는 수학과 물리학과의 연관성 때문일지는 몰라도 바둑학과 생물학역시 그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신기할 정도의 유사..

[=]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바둑

바 둑 철 학 논 문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바둑 곽 승 연 (20020607) 물리학과 한 국 과 학 기 술 원 2004 Abstract 현재 컴퓨터 바둑의 주요 당면과제를 대부분 소프트웨어-알고리즘, AI 등-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컴퓨터 바둑의 연산을 하드웨어의 측면의 접근, 특별히 양자컴퓨터와 연관시켜 고찰한다. 먼저 컴퓨터 바둑에서 주로 이용되는 게임이론의 개요를 2장에서 설명한다. 기본 이론을 알아야 가능한 문제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동일한 게임이론의 바탕에서 계발된 컴퓨터 체스의 발전을 Deep Blue를 통해 살펴보고 체스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바둑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양자컴퓨터의 사용을 통한 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이어서 4장에..

[=] 바둑을 두면서 사람들이 인식하고

> 바둑을 두면서 사람들이 인식하고 사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생명과학과 20030232 박준형 목차 1. 서론 2. 본문 ⑴ 사고의 종류 - 기억력 - 논리력 - 수리력 - 공간지각 - 판단력 ⑵ 바둑에서의 사고 ① 포석 ② 정석 ③ 수읽기 ④ 끝내기 ⑤ 바둑 습득에서의 사고 ⑥ 바둑에서의 기억 ⑶ 컴퓨터 바둑과 사고 3. 맺음말 4. 참고문헌 1. 서론 최근에 컴퓨터 바둑프로그램을 좀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지만 큰 성과는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이 사고하는 방식에 대해 좀 더 많은 고찰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바둑에서 사람들이 인식하고 사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바둑에서 사람들이 사고하는 방식에 대해서 아는 것은 컴퓨터바둑의 꿈이다. 그러나 사..

[=] 스포츠, 게임과 바둑의 비교를 통한

스포츠, 게임과 바둑의 비교를 통한 바둑의 대중화와 그 방안에 대한 논의 20020505 조상범 --------차례-------- A. 서론-우리나라 바둑의 대중화 실정 1. 바둑의 역사 2. 각종 온라인게임 사이트에서의 바둑 3. 바둑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정도 4.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와 인기 비결 B. 본론-대중화의 요건과 방안 1. 무엇인가가 대중화가 되기 위한 요건 2. 바둑과 스포츠의 비교 분석을 통한 유사점 및 차이점 발견 3. 게임으로서의 바둑 4. 바둑을 둠으로서 얻을 수 있는 유익함 및 장점, 재미 5. 대중화의 방안 3. 결론-바둑의 대중화 가능성 1. 게임 산업과 스포츠가 인기 많은 우리나라 2. 한-중-일 삼국에서의 바둑 A. 서론-우리나라 바둑의 대중화 실정 1. 바둑의..

[=] 놀이문화로써의 바둑

바둑철학 논문 주제: 놀이문화로써의 바둑 지도 박 우 석 교수 20020581 홍 기 현 ================== 목차 =================== 1. 서론 2. 본론 Ⅰ. 놀이문화로써의 바둑의 평가 1) 놀이문화의 특징 2) 게임이론 3) 게임이론을 통한 바둑의 게임성평가 Ⅱ. 미래 놀이문화로 바둑의 지속과 변화 1) 바둑의 과거와 현재 2) 현재 놀이문화의 추세 3) 바둑의 지속과 변화 고찰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바둑은 이 시대에 가장 인기 있는 놀이문화 중 하나이다. 부모들의 바둑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며, 해마다 우후죽순처럼 늘어가는 바둑대회, 바둑 전용 채널의 신설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비단 인기뿐이 아닌 것이, "바둑은 정신스포츠로 자리매김 할 만큼"(바둑기원 ..

[=] 바둑 패러다임의 변화와 고찰

바둑 패러다임의 변화와 고찰 20020558 최혜봉 목차 - 서문 - 고대의 바둑 바둑의 종주국 중국의 바둑 한국의 바둑 일본의 바둑 - 바둑 패러다임의 변화 도우사쿠(道策) 구조주의 우칭위엔(吳淸源)과 기타니(木谷 實), 신포석 혁명 - 중앙으로의 발전 - 고찰 서문 초등학교 시절 클럽활동으로 바둑돌을 처음 잡아 상대의 돌을 처음 따내고 두 집을 내면서 처음 돌의 사활이란 것을 안 것이 벌써 10년이 지났으나 바둑 실력은 매년 제자리 걸음이었던 기억이다. 사실 초등학교때 오목수준의 돌따내기 게임정도에 불과하던 실력으로 치열한 입시의 중 고등학교에서 반 십년을 지내오면서 자연스레 그렇게 되었던 것이리라. 그러나 바둑을 잘 못한다고, 바둑 두는 것을 즐겨하지 않는다고 해서 바둑의 재미를 모르는 것은 아니었..

[=] 바둑철학논의

바둑철학논의 20030234 박지상 A. 서론 B. 본론 1. 바둑판을 이루는 것 -왜 이것들은 필수적인가? 1.1 결론 및 요약 2. 이미지 3. 치환가능성 3.1 좌표개념에서의 역선개념 3.11 역선개념의 확장 3.12 역선 개념의 예시 3.2 Zero Sum 3.3 과학철학에서의 시도 3.31 exampler 3.32 Paradigm 3.33 패러다임의 재생산 방법 3.4 우주론 3.5 무극과 태극 3.6 정보이론 4. 바둑의 기원 5. 훈수꾼 6. 바둑 '경기'에서의 시간 7. 시간의 흐름과 바둑의 규칙에 대한 이해 C. 결론 및 후기 D. 참고문헌 A. 서론 바둑은 여러 가지 구성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부차적인 조건들이 존재하여, 그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 '한판의 바둑'을..

[=] 귀곡사와 계가법

수학철학을 들으면서 수학과 바둑을 연관짓다보니 귀곡사에 대한 재미있는 글이있어 퍼왔습니다. 도해는 없지만 글을 읽으시는데는 문제가 없을듯 합니다. 바둑룰 -수학교수 이무현씨의 주장‥‥‥‥‥‥‥‥‥‥‥‥‥‥ 2002. 5. 10. 金 영동대학교 수학교수 이무현박사가 을 만들었다. 내용이 세부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가 수학자의 입장에서 바둑규칙을 합리적으로 접근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필자는 5월 9일자 중앙일보 44면에 바둑룰의 대표적인 아킬레스 건이라 할 문제에 대해 그의 주장을 인용하여 기사를 썼다. 물론 귀곡사 문제는 바둑계의 해묵은 문제요, 당장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귀곡사 문제 뿐 아니라 바둑룰은 수많은 난제를 안고있다. 한국과 중국의 현행 룰과 중국룰, 그리고 잉창치(應昌期)룰이 서로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