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8

[=] 바둑을 두면서 사람들이 인식하고

> 바둑을 두면서 사람들이 인식하고 사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생명과학과 20030232 박준형 목차 1. 서론 2. 본문 ⑴ 사고의 종류 - 기억력 - 논리력 - 수리력 - 공간지각 - 판단력 ⑵ 바둑에서의 사고 ① 포석 ② 정석 ③ 수읽기 ④ 끝내기 ⑤ 바둑 습득에서의 사고 ⑥ 바둑에서의 기억 ⑶ 컴퓨터 바둑과 사고 3. 맺음말 4. 참고문헌 1. 서론 최근에 컴퓨터 바둑프로그램을 좀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지만 큰 성과는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이 사고하는 방식에 대해 좀 더 많은 고찰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바둑에서 사람들이 인식하고 사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바둑에서 사람들이 사고하는 방식에 대해서 아는 것은 컴퓨터바둑의 꿈이다. 그러나 사..

[=] 스포츠, 게임과 바둑의 비교를 통한

스포츠, 게임과 바둑의 비교를 통한 바둑의 대중화와 그 방안에 대한 논의 20020505 조상범 --------차례-------- A. 서론-우리나라 바둑의 대중화 실정 1. 바둑의 역사 2. 각종 온라인게임 사이트에서의 바둑 3. 바둑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정도 4.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와 인기 비결 B. 본론-대중화의 요건과 방안 1. 무엇인가가 대중화가 되기 위한 요건 2. 바둑과 스포츠의 비교 분석을 통한 유사점 및 차이점 발견 3. 게임으로서의 바둑 4. 바둑을 둠으로서 얻을 수 있는 유익함 및 장점, 재미 5. 대중화의 방안 3. 결론-바둑의 대중화 가능성 1. 게임 산업과 스포츠가 인기 많은 우리나라 2. 한-중-일 삼국에서의 바둑 A. 서론-우리나라 바둑의 대중화 실정 1. 바둑의..

[=] 놀이문화로써의 바둑

바둑철학 논문 주제: 놀이문화로써의 바둑 지도 박 우 석 교수 20020581 홍 기 현 ================== 목차 =================== 1. 서론 2. 본론 Ⅰ. 놀이문화로써의 바둑의 평가 1) 놀이문화의 특징 2) 게임이론 3) 게임이론을 통한 바둑의 게임성평가 Ⅱ. 미래 놀이문화로 바둑의 지속과 변화 1) 바둑의 과거와 현재 2) 현재 놀이문화의 추세 3) 바둑의 지속과 변화 고찰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바둑은 이 시대에 가장 인기 있는 놀이문화 중 하나이다. 부모들의 바둑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며, 해마다 우후죽순처럼 늘어가는 바둑대회, 바둑 전용 채널의 신설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비단 인기뿐이 아닌 것이, "바둑은 정신스포츠로 자리매김 할 만큼"(바둑기원 ..

[=] 바둑 패러다임의 변화와 고찰

바둑 패러다임의 변화와 고찰 20020558 최혜봉 목차 - 서문 - 고대의 바둑 바둑의 종주국 중국의 바둑 한국의 바둑 일본의 바둑 - 바둑 패러다임의 변화 도우사쿠(道策) 구조주의 우칭위엔(吳淸源)과 기타니(木谷 實), 신포석 혁명 - 중앙으로의 발전 - 고찰 서문 초등학교 시절 클럽활동으로 바둑돌을 처음 잡아 상대의 돌을 처음 따내고 두 집을 내면서 처음 돌의 사활이란 것을 안 것이 벌써 10년이 지났으나 바둑 실력은 매년 제자리 걸음이었던 기억이다. 사실 초등학교때 오목수준의 돌따내기 게임정도에 불과하던 실력으로 치열한 입시의 중 고등학교에서 반 십년을 지내오면서 자연스레 그렇게 되었던 것이리라. 그러나 바둑을 잘 못한다고, 바둑 두는 것을 즐겨하지 않는다고 해서 바둑의 재미를 모르는 것은 아니었..

[=] 바둑철학논의

바둑철학논의 20030234 박지상 A. 서론 B. 본론 1. 바둑판을 이루는 것 -왜 이것들은 필수적인가? 1.1 결론 및 요약 2. 이미지 3. 치환가능성 3.1 좌표개념에서의 역선개념 3.11 역선개념의 확장 3.12 역선 개념의 예시 3.2 Zero Sum 3.3 과학철학에서의 시도 3.31 exampler 3.32 Paradigm 3.33 패러다임의 재생산 방법 3.4 우주론 3.5 무극과 태극 3.6 정보이론 4. 바둑의 기원 5. 훈수꾼 6. 바둑 '경기'에서의 시간 7. 시간의 흐름과 바둑의 규칙에 대한 이해 C. 결론 및 후기 D. 참고문헌 A. 서론 바둑은 여러 가지 구성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부차적인 조건들이 존재하여, 그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 '한판의 바둑'을..

순환의 구조

요약정리 : 1. 하나의 돌을 하나의 자리에 놓는다. [놓음규칙] 2. 이웃한 빈 자리가 없는 돌둑을 모두 낳음한다. [낳음규칙] 이제 실질적으로 대국자가 돌을 가지고 하는 것은 이것이 전부입니다. 그런데 왜 여울(패의 형식)이 필요할까요? 이점이 장기나 체스와 다른 점인데, 장기나 체스는 목표가 단 하나입니다. 바로 단 하나뿐인 왕(킹)을 잡는 것이죠. 그러므로 나의 기물이 거의 다 죽어도, 어느 한 수에 상대방의 왕을 잡으면, 승리합니다. 바둑도 이와 같을까요? 바둑에도 사석 작전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돌이 거의 다 죽고, 마지막 단 한수에 이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바둑에서는 불가능하군요. (왜냐 그 전에 바둑이 끝나 버립니다.) 장기나 체스는 상대방의 기물(말)을 직접 잡을 수 있습니다..

☆ "집" 개념의 이해

'집'이란 ?  한국기원 규칙 제14조 (집) :  살아있는 돌로 에워싼 빈집을 집이라고하며,, 점 하나가 한집이 된다.→ 집 이외의 빈점을 공배라고 한다.       집이 무엇인가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 조금 다른 눈으로 바라보자."살아 있는 돌로 에워싼 빈집" 여기서 '빈집'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빈집과 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  차이가 없다.           즉, 비어 있는 집이다.      그런데 집은 본래 비어 있어야만 한다.집은 (한 종류의) 돌둑에 절대적으로 의존적이다.다시 말해서 돌둑이 없이는 집을 생각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이처럼 집 개념이 돌둑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집은 서로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한 종류의 둘둑에 의해서 생산된 2차적인 결과물..

바둑..!/2008 2008.06.30

[=] 귀곡사와 계가법

수학철학을 들으면서 수학과 바둑을 연관짓다보니 귀곡사에 대한 재미있는 글이있어 퍼왔습니다. 도해는 없지만 글을 읽으시는데는 문제가 없을듯 합니다. 바둑룰 -수학교수 이무현씨의 주장‥‥‥‥‥‥‥‥‥‥‥‥‥‥ 2002. 5. 10. 金 영동대학교 수학교수 이무현박사가 을 만들었다. 내용이 세부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가 수학자의 입장에서 바둑규칙을 합리적으로 접근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필자는 5월 9일자 중앙일보 44면에 바둑룰의 대표적인 아킬레스 건이라 할 문제에 대해 그의 주장을 인용하여 기사를 썼다. 물론 귀곡사 문제는 바둑계의 해묵은 문제요, 당장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귀곡사 문제 뿐 아니라 바둑룰은 수많은 난제를 안고있다. 한국과 중국의 현행 룰과 중국룰, 그리고 잉창치(應昌期)룰이 서로 난..

[=] 바둑규칙

바둑의 규칙 1. 바둑은 두 사람이 하는 두뇌게임 입니다. 2. 흑돌과 백돌을 사용하여 한 수씩 번갈아 가며 둡니다. 3. 상수가 백을 잡고, 하수가 흑을 잡고 둡니다. 4. 흑이 먼저 둡니다. 5. 바둑돌은 바둑판 위의 선의 교차점에 놓아야 합니다. 6. 바둑판 위에 놓인 돌은 움직일 수 없습니다. 7. 착수금지의 곳은 둘 수가 없습니다. 8. 빈점(호흡점)이 없는 돌은 반드시 바둑판에서 들어 내야 합니다. 9. 패의 경우 상대가 따냈을 때 즉각 되따낼수가 없고 다른곳에 한번 이상 착수한 다음, 되따낼 수 있습니다. 10. 독립된 집을 2개 이상 갖고 있거나, 교대로 착수하여 2개 이상의 독립된 집을 확보할 수 있으면 (살아 있는 돌)이라고 합니다. 11. 삶을 증명할 수 없는 돌을 (죽은 돌) 이라고..

돌의 놓음과 낳음

*** 바둑에서 추구하는 대상은 '밭'이다. Q : 밭을 추구하는 방법은? A : 하나의 돌을 하나의 자리에 놓는다. [놓음규칙] (1:1 대응) ※ 둑이나 밭에 놓음할 수 없다. 둑(z)으로 잇고, ※ 한 종류의 두 돌(AB)에 대해서 돌 A가 둑(z)에 이웃하고 그리고 돌 B가 둑(z)에 이웃하면, 두 돌AB는 이음이다. ※ 이음인 돌들을 돌둑이라 한다. ※ 이음인 돌둑은 하나로 기능한다. ※ 둑은 자리를 포함한다. 밭(2)을 갖는다. ※ 밭의 소유 : 밭이 포함하는 모든 자리에 오직 한 종류의 돌이 놓음되어 있다. ※ 밭은 둑과 자리를 포함한다. 돌들이 일렬로 서 있는 경우에는 돌들이 밭을 소유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 Q : 이렇게 '돌들이 (더 이상의) 밭을 소유할 가능성이 하나도 없음을 표현하는..